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관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디젤기관차 | |
<colcolor=white> 특수 | 9100호대 · D형 | |
소형 | 2000호대 · 2100호대 | |
중형 | 3000호대 · 3100호대 · 3200호대 · 4000호대 · 4100호대 · 4200호대 · 4300호대 · 4400호대 | |
대형 | 5000호대 · 6000호대 · 6100호대 · 6200호대 · 6300호대 | |
특대형 | 7000호대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 | |
전기기관차 | ||
화물 | 8000호대 · 8500호대 | |
여객 | 8100호대 · 8200호대 | |
기타 | 데로형 | |
증기기관차 | ||
표준궤 | 모가 · 4륜 · 푸러 · 아메 · 터우 · 바티 · 코러 · 사타 · 소리 · 마터 · 파시 · 미카 · 901호 | |
협궤 |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 |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디젤기관차 | |
<colcolor=white> 소형 | 2000호대/현황 · 2100호대/현황 | |
중형 | 3000호대/현황 · 3100호대/현황 · 3200호대/현황 · 4000호대/현황 · 4100호대/현황 · 4200호대/현황 · 4300호대/현황 · 4400호대/현황 | |
대형 | 5000호대/현황 · 6000호대/현황 · 6100호대/현황 · 6200호대/현황 · 6300호대/현황 | |
<nopad> 특대형 | 7000호대/현황 · 7100호대/현황 · 7200호대/현황 · 7300호대/현황 · 7400호대/현황 · 7500호대/현황 · 7600호대/현황 | |
전기기관차 | ||
화물 | 8000호대/현황 · 8500호대/현황 | |
여객 | 8100호대/현황 · 8200호대/현황 | |
증기기관차 | ||
<nopad> 표준궤 | 푸러형/현황 · 미카형/현황 · 사타형/현황 · 마터형/현황 | |
협궤 | 혀기형/현황 | |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현황 보기 · 전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1. 개요
푸러형 증기기관차의 현황 및 운용 기록에 대한 문서이다.2. 현황
2.1. 푸러 1형 증기기관차
차호 | 초기 차호 | 제작연도 | 퇴역연도 | 제작사 | 운영기관 | 비고 |
푸러1-11 | プレ231 | 1906년 | 미상 | Baldwin | 철도청 | 1954년 당시 운용 확인 |
푸러1-14 | プレ234 | 전소차량, 1953년 폐차 | ||||
푸러1-17 | プレ237 | 1953년 폐차 | ||||
푸러1-21 | プレ241 | 1954년 당시 운용 확인 |
2.2. 푸러 2형 증기기관차
해방 이후 행적이 알려지지 않은 차량들은 '-'로 표기함차호 | 초기 차호 | 제작연도 | 퇴역연도 | 제작사 | 운영기관 | 비고 |
- | ニプレ1 | 1905년 | 미상 | Brooks | 미상 | |
- | プレニ2 | |||||
- | プレニ3 | |||||
푸러2-4 | プレニ4 | 철도청 | 1953년 이전 퇴역 | |||
- | プレニ5 | 미상 | ||||
- | プレ276 | 조선총독부 철도국 | 1935년 이전 폐차 | |||
- | プレニ6 | 1935년 | 미상 | Nippon Sharyō | 미상 | 기존 プレ276 대체 목적으로 제작됨 |
- | プレニ7 | 1905년 | 미상 | Brooks | ||
푸러2-8 | プレニ8 | 1950년대 초 | 철도청 | 전쟁중 파손됨 | ||
푸러2-9 | プレニ9 | 미상 | 1954년 당시 운행 확인 |
2.3. 푸러 7형 증기기관차
차호 | 초기 차호 | 제작연도 | 퇴역연도 | 제작사 | 운영기관 | 비고 |
푸러7-5 | プレ345 | 1930년 | 미상 | HITACHI | 철도청 | 원형(原形) 푸러7형이다. |
푸러7-9 | プレ321 | 1931년 | 경성공착장 | |||
푸러7-11 | プレ323 | |||||
푸러7-15 | - | 1938년 | 미상 | 니혼샤료 | ||
푸러7-16 | - | |||||
푸러7-17 | - | |||||
증기 1718호 | 부러치18[A] | 현역 차량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청진시에서 관광용으로 운행중이다. | ||
푸러7-25 | - | 1938년 | 미상 | 경성공착장 | 철도청 | |
푸러7-31 | - | |||||
부러치38 | - | 미상 | 미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1951년에 북한에서 목격되었으며, 당시 일제 명판을 사용중이었다. | |
푸러7-48 | - | 미상 | 미상 | 미상 | 철도청 | |
푸러7-62 | - | |||||
푸러7-64 | - | |||||
푸러7-66 | - | 1964년 | [F] | |||
푸러7-85 | - | 1939년 | 미상 | 가와사키중공업 | 철도청 | |
푸러7-86 | - | |||||
푸러7-87 | - | |||||
푸러7-88 | - | |||||
푸러7-89 | - | |||||
푸러7-90 | - | 1953년 | [P] | |||
푸러7-91 | - | 미상 | ||||
푸러7-92 | - | |||||
푸러7-93 | - | 1941년 | HITACHI | |||
푸러7-101 | - | 1924년 | 미상 | 니혼샤료 | 철도청 | [X] |
푸러7-201 | - | 1921년 | Porter | [X] | ||
푸러7-207 | - | 미상 | 미상 | [X] | ||
푸러7-211 | - | [X] | ||||
푸러7-255 | - | 1964년 | [H][9] | |||
푸러7-351 | - | 1938년 | 미상 | 기샤세이조 | 미상 | [S] |
푸러7-352 | - | 1938년 | 미상 | 기샤세이조 | 미상 | [S] |
2.4. 푸러 8형 증기기관차
차호 | 초기 차호 | 제작연도 | 퇴역연도 | 제작사 | 운영기관 | 비고 |
푸러8-1 | プレ351 | 1932년 | 미상 | 경성공착장 | 철도청 | |
푸러8-13 | - | 1939년 | HITACHI | |||
푸러8-14 | - | |||||
푸러8-15 | - | 1950년대 초반 | 1953년 폐차[P] | |||
푸러8-17 | - | 1982년 | 철도박물관에 차호 명판이 보존중 | |||
푸러8-19 | - | 미상 | ||||
푸러8-20 | - | 1964년 | [H] | |||
푸러8-22 | - | [H] | ||||
푸러8-23 | - | 1982년 | ||||
푸러8-25 | - | 1964년 | ||||
푸러8-28 | - | 미상 | ||||
푸러8-34 | - | 미상 | 기샤세이조 |
[A] 북한 증기기관차의 구 차호체계[F] 사고차량[P] 전쟁 당시 파손[X] 경남철도 출신 차량으로 기록돼있음[X] [X] [X] [H] 휴지차량 지정 시기[9] 사설철도 출신 차량으로 추정[S] 삼척철도 출신 차량으로 기록돼있음[S] [P] [H]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