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7 20:24:47

마터형 증기기관차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관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디젤기관차
<colcolor=white> 특수 9100호대 · D형
소형 2000호대 · 2100호대
중형 3000호대 · 3100호대 · 3200호대 · 4000호대 · 4100호대 · 4200호대 · 4300호대 · 4400호대
대형 5000호대 · 6000호대 · 6100호대 · 6200호대 · 6300호대
특대형 7000호대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 7700호대
전기기관차
화물 8000호대 · 8500호대
여객 8100호대 · 8200호대
기타 데로형
증기기관차
표준궤 모가 · 4륜 · 푸러 · 아메 · 터우 · 바티 · 코러 · 사타 · 소리 · 마터 · 파시 · 미카 · 170 - 230호 · 2524호(파시6) · 901호
협궤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디젤기관차
<colcolor=white> 소형 2000호대/현황 · 2100호대/현황
중형 3000호대/현황 · 3100호대/현황 · 3200호대/현황 · 4000호대/현황 · 4100호대/현황 · 4200호대/현황 · 4300호대/현황 · 4400호대/현황
대형 5000호대/현황 · 6000호대/현황 · 6100호대/현황 · 6200호대/현황 · 6300호대/현황
<nopad> 특대형 7000호대/현황 · 7100호대/현황 · 7200호대/현황 · 7300호대/현황 · 7400호대/현황 · 7500호대/현황 · 7600호대/현황
전기기관차
화물 8000호대/현황 · 8500호대/현황
여객 8100호대/현황 · 8200호대/현황
증기기관차
<nopad> 표준궤 푸러형/현황 · 터우형/현황 · 미카형/현황 · 사타형/현황 · 마터형/현황
협궤 혀기형/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현황 보기 · 전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1. 개요2. 사양
2.1. 마터 1형(Matei)2.2. 마터 2형(Mateni)
3. 북한의 사적 증기기관차
3.1. 증기 32호3.2. 증기 22호
4. 도입5. 기타

1. 개요

일제 강점기에 도입된 4-8-2형 증기 기관차.

산악 지형의 효율적인 화물수송을 위해 도입되었고, 이에 이름도 산악형이라는 의미에서 산(Mountain)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의 첫 두 음절을 따서 지었다.

2. 사양

2.1. 마터 1형(Matei)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마터1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Matei Class Steam Locomotive
}}}
파일:kmt114.jpg
재연판 탈거 이후 형상
파일:마터1재연판.png
재연판 탈거 이전 형상
차량 정보
구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 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 50량
차륜배치 4-8-2
도입시기 1939 ~ 1945년
제작사 경성공작창
기샤세이죠
차량 제원
전장 23,270㎜
전폭 3,200㎜
전고 4,700㎜
궤간 1,435㎜
중량 기관차: 116.00t
탄수차: 85.80t
최고속도 80㎞/h
밸브장치 왈샤트식
형식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터1형식도.jpg
북한에서는 마더하형으로 개번되었으며 이후 7100호대로 다시 개번되었다.

2.2. 마터 2형(Mateni)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총독부 철도국 마터2형 증기기관차
Chosen Goverment Railway Mateni Class Steam Locomotive
}}}
파일:마터1형 증기기관차.jpg
차량 정보
구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 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 33량
차륜배치 4-8-2
도입시기 1943 ~ 1944년
제작사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제원
전장 23,266㎜
전폭 - ㎜
전고 4,600㎜
궤간 1,435㎜
중량 기관차: 112.82t
탄수차: 65.80t
최고속도 90㎞/h
밸브장치 왈샤트식
형식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터2.jpg
북한에선 마더두형으로 개번되었으며, 이후 7200호대로 개번되었다.

3. 북한의 사적 증기기관차

3.1. 증기 32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증기 32호 증기기관차
Korean State Railway Steam30 Class Steam Locomotive
}}}
파일:steam32.jpg
증기 32호 [1]
차량 정보
구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 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 -
차륜배치 4-8-2
도입시기 -
제작사 -
차량 제원
전장 -㎜
전폭 - ㎜
전고 -㎜
궤간 1,435㎜
중량 기관차: -t
탄수차: -t
최고속도 -㎞/h
밸브장치 왈샤트식

증기돔의 형상이 마터 1형 중기형부터 사용되던 형상과 거의 똑같은 수준이다.

제연판 장착, 탄수차 교체등이 이루어진 마터 1형 32호로 추정된다.

3.2. 증기 22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증기 22호 증기기관차
Korean State Railway Steam22 Class Steam Locomotive
}}}
파일:증기22.webp
증기 22호 우표
차량 정보
구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 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 -
차륜배치 4-8-2
도입시기 -
제작사 -
차량 제원
전장 -㎜
전폭 - ㎜
전고 -㎜
궤간 1,435㎜
중량 기관차: -t
탄수차: -t
최고속도 -㎞/h
밸브장치 왈샤트식
해당 차량은 마더두 22호에서 개번된 것으로 보인다.

제연판등은 순정이 아닌 개조된 것으로 보인다.

4. 도입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총 83량이 도입되어 주로 북한 지역에서 주로 여객 및 화물열차를 견인하였다, 하지만 남한에서는 주로 이 기종 대신 주로 미카형이 화물열차를 견인하였다.

그래도 일부 마터 1형은 분단이후 남한에서 운행된적이 있으며 자동급탄기의 설치를 비롯한 보일러 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로 구배선 화물 및 여객수송에 널리 투입되었다, 이 때문인지 한국철도 역사상 가장 뛰어난 증기 기관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5. 기타

파일:장단역기관차.jpg
현재 임진각에 수십년간 장단역에 방치되던 한준기 기관사가 탔던 마터 2형 10호의 화통 잔해가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8호로 지정되어 보존 중이며, 남한에선 해당 차량을 제외한 동종 기관차는 전량 폐차되었다.

북한에서는 2003년 대부분 폐차되었다고 알려져있으나, 차번 미상의 차량 1대가 사적 기관차로 등록되어있다고 한다.

유이하게 남한에 남겨진 마터 2형은 마터 2형 34호(마지막으로 제작한 마터 2형)로 1946년 가와사키에서 제조되어 미군정 운수부에 소속되었고, 그후 대한민국 교통부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후에는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으며, 사진조차 위의 마터 2형 제원표의 사진 외에는 없었다.

황석영 작가가 2020년 출판한 소설인 '철도원 삼대'의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채널예스 연재 당시 제목과 2023년 영문판 제목은 이 기관차에서 유래되었다. '마터 2-10'(Mater 2-10)으로, '마터 2형 10호'라는 뜻이다. 보면 알다시피 장단역 증기 기관차 화통의 차번에서 따 온 것이다.

도입된 마터형 기관차는 총 83량이나, 해방 당시엔 77량이 재적되어 있는데 이중 6량의 행방이 묘연하다.
연합국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는것과 해방이후 소련군이 가져갔을(...)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참고로 소련군이 북한에 진주했을 당시 많은 증기기관차를 가져갔다는 얘기도 있다.


[1] 지금은 사라진 우리 한민족끼리 라는 사이트에 있는 영상의 스크린샷이다 (4분 33초 부터 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