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8:42:18

900호대 증기기관차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관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디젤기관차
<colcolor=white> 특수 9100호대 · D형
소형 2000호대 · 2100호대
중형 3000호대 · 3100호대 · 3200호대 · 4000호대 · 4100호대 · 4200호대 · 4300호대 · 4400호대
대형 5000호대 · 6000호대 · 6100호대 · 6200호대 · 6300호대
특대형 7000호대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 7700호대
전기기관차
화물 8000호대 · 8500호대
여객 8100호대 · 8200호대
기타 데로형
증기기관차
표준궤 모가 · 4륜 · 푸러 · 아메 · 터우 · 바티 · 코러 · 사타 · 소리 · 마터 · 파시 · 미카 · 901호
협궤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디젤기관차
<colcolor=white> 소형 2000호대/현황 · 2100호대/현황
중형 3000호대/현황 · 3100호대/현황 · 3200호대/현황 · 4000호대/현황 · 4100호대/현황 · 4200호대/현황 · 4300호대/현황 · 4400호대/현황
대형 5000호대/현황 · 6000호대/현황 · 6100호대/현황 · 6200호대/현황 · 6300호대/현황
<nopad> 특대형 7000호대/현황 · 7100호대/현황 · 7200호대/현황 · 7300호대/현황 · 7400호대/현황 · 7500호대/현황 · 7600호대/현황
전기기관차
화물 8000호대/현황 · 8500호대/현황
여객 8100호대/현황 · 8200호대/현황
증기기관차
<nopad> 표준궤 푸러형/현황 · 미카형/현황 · 사타형/현황 · 마터형/현황
협궤 혀기형/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현황 보기 · 전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조선철도주식회사 900호대 증기기관차
Chōsen Railway Class 900 Steam Locomotive
}}}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11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11 Class Steam Locomotive
파일:1024px-Chosen_ry_903_(1937).png
900번대 시절 (1937년)
파일:혀기11.jpg
박물관으로 보내질 준비를 하는 혀기11형 13호
차량 정보
구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도입량 15량
차륜배치 2-8-2
생산시기 1937 , 1944년
도입시기 1937년
제작사 기샤세이죠
니혼사료
히타치
차량 제원
전장 8,634㎜
전폭 2,280㎜
전고 3,200㎜
궤간 762㎜
차중 54.90t
최고속도 50㎞/h
밸브장치 -

1. 개요2. 보존

1. 개요

레일 간격이 762mm인 협궤용 텐더식 벙커C유 증기기관차로 수려선수인선에서 운행됐다. 협궤동차 도입 이후에는 주로 화물열차 견인에 이용됐다.
한국철도공사 공식 소개문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철도주식회사에서 운용했던 텐더식 협궤철도 전용 증기 기관차.
파일:혀기11625.jpg
1952년 6.25 전쟁중 수원역에 정차 혀기 11형 13호(오른쪽)]

6.25 이후에는 혀기 11형으로 이름이 변경된 후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용하였으며, 1982년에 효율성 부족으로 전량 퇴역하였다.

2. 보존

해방 이후 혀기 11형으로 차번이 변경되면서 총 3량이 보존 중이다.
[1] 보존중인 다른 기관차와는 달리 제연판(디플렉터)이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