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cf2026>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1d8441><colcolor=#fff> 공산동 | 내동 | 능성동 | 덕곡동 | 도학동 | 미곡동 | 미대동 | 백안동 | 송정동 | 신무동 | 신용동 | 용수동 | 중대동 | 지묘동 | 진인동 | ||
도평동 | 도동 | 평광동 | ||
동촌동 | 검사동 | 입석동 일부 | ||
방촌동 | 방촌동 일부 | ||
불로봉무동 | 불로동 일부 | 봉무동 | ||
신암1동 | 신암동 | ||
신암2동 | 신암동 | 신천동 일부 | ||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 [[동구청(대구)| 구청 ]] 신암동 | ||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 신천동 일부 | ||
안심1동 | 신기동 | 율하동 | ||
안심2동 | 매여동 | 상매동 | 용계동 | 율암동 | ||
안심3동 | 괴전동 일부 | 금강동 | 대림동 | 동호동 일부 | 사복동 일부 | 숙천동 일부 | 신서동 일부 | ||
안심4동 | 각산동 일부 | 동호동 일부 | 서호동 | 신서동 일부 | ||
지저동 | 지저동 | 불로동 일부 | 입석동 일부 | ||
해안동 | 둔산동 | 방촌동 일부 | 부동 | 신평동 | ||
혁신동 | 각산동 일부 | 괴전동 일부 | 내곡동 | 대림동 일부 | 동내동 | 사복동 일부 | 숙천동 일부 | 신서동 일부 | ||
효목1동 효목2동 | 효목동 |
동구의 행정동 공산동 公山洞 | Gongsan-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420071 | ||
관할 법정동 |
| ||
하위 행정구역 | 46통 162반 | ||
면적 | 83.80㎢ | ||
인구 | 20,791명[1] | ||
인구밀도 | 248.10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동구 을 | |
| 강대식 (초선) | ||
대구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 |||
| 권기훈 (초선) | ||
동구의원 | 라 선거구 | |||
| 김상호 (재선) | ||
| 노남옥 (3선) | ||
| 하중호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팔공로91길 9 (지묘동) | ||
공산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동구 지묘동 | 동구 미곡동 |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동.법정동인 내동, 능성동, 덕곡동, 도학동, 미곡동, 미대동, 백안동, 송정동, 신용동, 용수동, 중대동, 지묘동, 진인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행정복지센터는 지묘동 팔공보성타운2차아파트 옆에 있다.
2. 연혁
동명의 유래가 된 공산은 팔공산의 옛 명칭이다. 그 유명한 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이 후백제군에게 패배하고 태조 왕건의 충직한 신하 8명을 잃었다고 하여 공산에서 팔공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전설이 있다. 당장 평광동의 실왕리, 지묘동의 파군재와 신숭겸 장군이 전사한 곳인 신숭겸장군유적지 등 공산 전투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자세한 사항은 대구광역시/공산 전투 관련 지명 참조.원래는 달성군 공산면에 해당되는 지역이지만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었다. 사실 1957년에도 대구시에 편입된 바 있었지만, 1963년 도로 달성군으로 환원되었다. 이후 1981년까지 달성군의 월경지로서 외롭게 남아 있다가 대구직할시 동구로 편입되면서 공산동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이 되었다.
3. 설명
위로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동으로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과 경산시 와촌면, 하양읍, 남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도동, 평광동,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과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과 접하고 있다. 대구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행정동인데, 무려 수성구나 달서구보다 더 넓다.[2] 하지만 산지가 대부분이고 경사진 곳이 많아 실생활 면적은 좁은 편이다.팔공산국립공원을 끼고 있어 동 전체가 개발제한구역이다. 그래서 대도시인 대구광역시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농촌과 산촌 풍경이 펼쳐지며, 대다수 지역이 공산댐으로 인해 상수원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3] 공산동행정복지센터가 소재한 지묘동을 제외한 대부분은 그냥 대구광역시 군위군/달성군 팔공산면[4] 수준의 시골이지만, 행정구역 단위가 동이기 때문에 농어촌특별전형 혜택을 받지 못한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과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경산시 와촌면, 영천시 청통면, 신녕면과 마주 보고 있으며, 군위군 부계면은 팔공산에서 만난다. 군위군 부계면으로 바로 가는 길은 없기 때문에 자동차로 군위군 부계면에 가려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득명리를 통해 가야 하는데, 문제는 이 곳으로 가는 고갯길인 한티재가 동계에 눈만 오면 미시령 옛길같이 무조건 통제된다는 것. 공산동에서 영천시 청통면, 신녕면으로 가려면 능성동 방면으로 가서 909번 지방도를 통해 경산시 와촌면을 지나야 한다. 2017년 12월 1일부터는 팔공산터널이 개통되어 동계에도 팔공산터널을 통해 통행이 가능하다.
팔공산 비로봉은 대구 지역의 TV 및 FM 송신소[5]들이 있는 키스테이션국인데, 이들 중 KBS대구방송총국 팔공산 송신소의 주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산1번지다.[6]
1982년 공산출장소가 행정동으로 개편될 때 공산1동과 공산2동으로 분리되어 있었지만, 인구 감소로 1998년에 합쳐졌다. 이 흔적으로 지묘동에 있는 새마을금고 지점명이 공산2동 새마을금고다. 공산동도 동촌 쪽 전화 국번(980국)을 쓰지만 동촌에서 대단히 멀리 떨어져 있으며, 산으로 가로막힌 관계로 불로봉무동처럼 독립된 생활권이다.
최근에는 대구광역시임에도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장점을 살려 전원주택과 타운하우스 등이 지어지고 있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2023년 7월 1일부로 시행되었는데, 동구 공산동 지역이 군위군과 붙어 있는 유일한 행정구역이 되었다. 그러나 군위군으로 직접 연결되는 차로는 없기 때문에 도로 이용자들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득명리[7]를 반드시 지나가야만 한다. 다만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가 개통될 경우 동구 공산동과 군위군이 직접 연결된다.
4. 법정동
4.1. 내동
동구의 법정동 내동 內洞 | Nae-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40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149명[A] |
[clearfix]
4.2. 능성동
동구의 법정동 능성동 能城洞 | Neungseong-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2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187명[A] |
[clearfix]
4.3. 덕곡동
자세한 내용은 덕곡동(대구) 문서 참고하십시오.4.4. 도학동
동구의 법정동 도학동 道鶴洞 | Dohak-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4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295명[A] |
[clearfix]
4.5. 미곡동
동구의 법정동 미곡동 米谷洞 | Migok-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6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351명[A] |
[clearfix]
4.6. 미대동
동구의 법정동 미대동 美垈洞 | Midae-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9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340명[A] |
[clearfix]
4.7. 백안동
동구의 법정동 백안동 百安洞 | Baekan-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5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779명[A] |
고려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규모가 꽤 있는 사찰이 있었다. 지금은 사터만 남아있다. 수많은 유물이 발굴되었는데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사찰의 형태, 명칭, 사라진 이유 등은 남아있는 사료가 없어 추측조차 할 수 없다.
[clearfix]
4.8. 송정동
동구의 법정동 송정동 松亭洞 | Songjeong-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43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305명[A] |
다만 대구송정초등학교는 송정동에 없고, 한참 멀리 떨어진 안심역이 있는 동구 괴전동에 있다. 하필 안심역 일대의 삼거리 이름도 송정삼거리다. 이 때문에 진짜 송정동에 있는 삼거리 이름은 없다.
[clearfix]
4.9. 신무동
동구의 법정동 신무동 新武洞 | Sinmu-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8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221명[A] |
[clearfix]
4.10. 신용동
자세한 내용은 신용동(대구) 문서 참고하십시오.4.11. 용수동
동구의 법정동 용수동 龍水洞 | Yongsu-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7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233명[A] |
[clearfix]
4.12. 중대동
동구의 법정동 중대동 中大洞 | Jungdae-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42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811명[A] |
[clearfix]
4.13. 지묘동
자세한 내용은 지묘동 문서 참고하십시오.4.14. 진인동
동구의 법정동 진인동 眞仁洞 | Jinin-dong | |
<colbgcolor=#d12026><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동구 |
행정표준코드 | 2714013300 |
관할 행정동 | 공산동 |
인구 | 491명[A] |
진인동이란 이름은 자연부락인 진정마을과 인산마을에서 각각 따온 말이다.
[clearfix]
4.15. 과거 공산면에 속한 지역
이외에 공산면이었던 곳은 동서변동·연경동[21], 평광동 등이 있었다.5. 주요 시설
5.1. 기관
- 공산파출소 (중대동)
- 팔공파출소 (백안동)
- 공산119안전센터 (도학동)
- 공산동 행정복지센터 (지묘동)
5.2. 아파트
- 팔공보성아파트
- 팔공보성2차아파트
- 팔공보성3차아파트
- 태왕그린힐즈
- 왕산우방타운아파트
- 화성명산타운아파트
- 대구연경 LH천년나무2단지[22]
- 대구연경 아이파크
- 연경지구 LH뉴웰시티
모두 지묘동에 있다.
5.3. 교육
6. 교통
6.1. 도로
6.2. 버스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2] 공산동의 면적은 자그마치 83.80km²로 동구 전체 면적의 약 46%를 차지한다. 수성구 면적은 76.46km², 달서구 면적은 62.34km²다.[3] 2016년에 60% 이상 해제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지역이 보존지역으로 남아있다.[4] 상술한 것처럼 1981년 6월 30일까지 이곳은 달성군 공산면이었다.[5] 단 대구극동방송은 와룡산에 있고, 대구원음방송, 대구국악방송, CBS 음악FM은 대구 앞산에 있다.[6] 단 대구문화방송과 TBC(대구CBS 표준FM, 대구CPBC, TBN대구교통방송과 함께 사용)는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주소를, 대구불교방송과 KT는 군위군 부계면 주소를 쓴다.[7] 팔공산터널이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에 걸쳐 있다.[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11] 서당마을은 도학동이 아닌 백안동에 있다. 1970년대 중반 공산댐을 건설하면서 수몰지 주민들에 대한 보상책으로 세워진 작은마을인데, 당시 기준으로 번듯한 양식 건물이 많이 들어섰다. 새(新)마을이라고 불렀다. 서당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면 하동 정씨 선산 유적지가 있다.[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19] 이는 동촌(東村)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을 관할했던 옛 달성군 해동촌면(解洞村面)과 해서촌면(解西村面)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명칭을 따 온 초등학교가 서촌초등학교다.[A]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21] 이 셋은 원래 성북면(城北面, 現 금호강 이남 북구 지역)이었으나, 1938년 공산면에 편입되었다.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이중 동변동과 서변동은 1963년 대구시가 공산면을 다시 달성군으로 환원할 때 대구시에 잔류하였고, 구제가 실시될 때 북구 소속이 되었다. 1987년 동구에 속했던 연경동이 북구에 편입되었다. 그래서 연경동은 북구에서 유일하게 동촌 쪽 전화국번(980번대)을 쓴다. 이 3개 법정동은 전부 북구 무태조야동 관할이다.[22] 국민, 영구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