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6:13:31

연경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62aa>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62aa><colcolor=#fff> 고성동 고성동1가 고성동2가 고성동3가
칠성동 칠성동1가 칠성동2가
침산1동 [[북구청(대구)|
구청
]] 침산동
침산2동
침산3동
산격1동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0062aa 10%, #0062aa); font-size: 1em;"
]] 산격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동
복현2동
검단동 검단동
무태조야동 동변동 서변동 연경동
조야동
관문동 금호동 노곡동 매천동
사수동 팔달동
태전1동 태전동
태전2동
구암동 구암동
관음동 관음동
읍내동 읍내동
동천동 동천동
노원동 노원동1가 노원동2가 노원동3가
국우동 국우동 도남동 동호동
학정동
}}}}}}}}} ||
북구법정동
연경동
硏經洞 | Yeongyeong-dong
<colbgcolor=#0062aa><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북구
행정표준코드 2723013100
관할 행정동 무태조야동
면적 9.03㎢
1. 개요2. 주요 시설
2.1. 공공청사2.2. 문화2.3. 주거2.4. 교육
3. 교통
3.1. 도로3.2. 버스
3.2.1. 버스 정류장 및 경유 노선
4. 기타

1.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

본래는 동구 공산동 소관이었다가, 1987년에 북구로 편입됐다. 행정동은 서변동, 동변동, 조야동과 묶어서 무태조야동 산하에 있지만, 연경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여 무태조야동행정복지센터가 조야동[1]에 이어 연경동에 민원분소를 하나 더 설치해서 관리하고 있다.

팔공산에서 흘러내려온 동화천을 끼고 자연 부락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동구 지묘동에 걸쳐서 연경지구[2]2022년 사업 완료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아래로는 해발 200m 규모의 화담산이 자리잡고 있고 위로는 660m 규모의 도덕산이 있다.

도덕산 남쪽자락 화암(눈썹바위)과 굽이치는 동화천 사이[3]조선 명종 때 세워진 연경서원의 터가 있다.[4] 창건 당시 연경서원은 건물이 40칸이나 될 정도로 규모가 상당했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사라진 뒤 복원되지 못했고, 연경지구가 개발되면서 동화천 건너편 근린공원에 복원되고 있다.

연경동을 관통하는 왕복 2차선 동화천로팔공산에서 신천대로, 북대구IC와 접속할 수 있는 유일한 길목이라 자주 막힌다. 연경지구 개발 후 왕복 6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021년 2월 5일에는 금호강변도로로 직결되는 도로가 개통되어 연경동에서 불로삼거리를 거치지 않고 공항교로 곧바로 내려갈 수 있게 됐다. 당시 이 구간에서 봉무동으로 진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2021년 12월 이시아폴리스IC 좌회전 허용으로 해결되었다.

동구 지묘동과 인접한 곳으로, 북구에서는 유일하게 980국번대 전화번호[5]를 이용하는 동네다. 이는 북구로 편입되기 전에는 원래 동구 공산동 소관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지묘동과 인접함에도 불구하고, 연경동과 지묘동을 시내버스로 오갈 수 있게 된 건 2006년부터다.

2020년 3월 2일부터 대구연경예미지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503번이 대구연경 LH천년나무 1단지 북쪽까지 연장 운행하고, 북구2번 또한 안쪽을 경유하면서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대구 공군기지에서 멀지 않은지라, 전투기 소음이 상당하다.[6] K-2 비행장이 대구국제공항과 함께 통합 이전하면 소음 공해로부터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 주요 시설

2.1. 공공청사

2.2. 문화

2.3. 주거

  • 대구연경 LH천년나무1단지[8] - 2019년 5월 입주
  • 대구연경 금성백조예미지 숲속의 아침 - 2020년 3월 입주
  • 대구연경 동화아이위시 - 2020년 4월 입주
  • 대구연경 연경숲[9] - 2020년 5월 입주
  • 대구연경 우방 아이유쉘 - 2020년 6월 입주
  • 대구연경 대광 로제비앙 - 2020년 8월 입주

2.4. 교육

  • 연경유치원
  • 연경초등학교
  • 고등학교(미정)

3. 교통

3.1. 도로

3.2. 버스

3.2.1. 버스 정류장 및 경유 노선

정류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정렬하였음.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 ||
연경5(01875) • 연경4(04105) • 연경동아아이위시앞(04160)[10]
간선버스
지선버스
연경3(09206)
간선버스
지선버스
연경11(04210) • 연경12(04211)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우방아이유쉘앞(04170) ||
간선버스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금성백조예미지앞(04169) ||
간선버스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대광로제비앙앞(04212) ||
간선버스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초등학교 ||
앞(04172)
간선버스
지선버스
건너(04171)
간선버스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무태조야동연경분소 ||
연경분소1(01874)
간선버스
지선버스
연경분소2(01641)
간선버스
지선버스
연경분소3(04199)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숲아파트 ||
앞 (04202) • 건너 (04201)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도덕마을(04198) ||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천년나무1단지 ||
앞(04133)
간선버스 [11]
지선버스
건너(04134)
간선버스
지선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연경동종점1(04173) ||
간선버스
지선버스

4. 기타

동서변동에서 연경동으로 넘어오는 도로는 서변지하차도에서 국우터널 방면 우측 1차선과 유니버시아드 레포츠센터에서 신호받아 직진하는(직진+좌회전) 1차선이 있는데, 결국은 진입로만 다를뿐 한 방향이다.

퇴근 시간대에는 서변지하차도에서 빠져나온 차량들이 연경동으로 진입하기 위해 우측 1차선을 점령하는 사태가 벌어지다 보니, 이 시간에 지나가려고 하면 산격대교[12]에 올라타서 동서변동으로 내려갈 때쯤 차들이 제법 막혀있을 것이다.

환경은 동화천이 아파트 근처에 있으며 동화천 일대에 두꺼비(보호종)가 있어서 인근 아파트 내로 종종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그 밖에 생물은 왜가리, 백로, 황새, 오리, 고라니, 청둥오리 등 흔히 볼 수 있는 하천 생물이 발견된다. 또한 여름에는 소쩍새의 소리와 털매미 소리를 들을 수 있다.

[1] 버스종점 바로 앞에 분소가 있다.[2] 현. 대구연경공공주택지구 (구. 연경보금자리주택지구)[3] 대원사와 대구연경 LH천년나무2단지 일대[4] 동구 지묘동에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지명의 유래가 된 서원이지만, 법정동 바깥에 있다.[5] 팔공산권과 동촌권에서 쓰는 국번이다. 이는 북구 산격동/복현동 일부, 대현동에서 동구 신암동의 940/950번대 국번을 공유하는 것과 비슷한 케이스. 그래서 북구권역과 동구권역 지선 시내버스가 같이 들어오기도 한다.허나 북구2번은 연경지구를 경유하여 봉무동까지 가 버리고 동구8번이 연경지구 기.종점으로 되는 이상한 케이스가 발생해버리는 것[6] 당장 옆 동네 동변동은 (하계 기준) 여객기가 착륙을 준비하는 지점이다.[7] 임시로 운영 중이며, 공공청사부지 준공 시 이전예정 #[8] 행복주택 A-3[9] 10년 공공임대 리츠 A-1[10] 중복 내용 서술 방지용[11] 이 정류장에는 해당 노선이 양방향으로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하여야 한다.[12] 연경동 방면은 서변지하차도로 내려가는 쪽부터 밀리고, 반대 차선은 북대구IC에서 빠져나온 차량들과 동서변동을 거쳐 나온 차량들로 인해 정체를 빚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