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2월 13일 | ← | 2월 14일 | → | 2월 15일 |
1. 개요
1년의 45번째 날에 해당한다.발렌타인 데이[1]라는
이날을 안중근 의사의 기념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생일이나 기일이 아닌 사형 선고일로 삼는 건 이상하다. 차라리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의거일 10월 26일을 기념일로 삼는 게 더 설득력이 있을 거다. 굳이 역사 교과서에서 사형 선고일 등을 일일히 표시하지 않는데 다른 독립운동가들과 달리 2월 14일만 콕 찝는다는 건 대놓고 발렌타인 데이를 의식한 거다. 발렌타인 데이를 겨냥하는 이유는 초콜릿을 주는 게 일본 관습이라며 결부하는 설명이 많은데 선물이나 초콜릿을 교환하는 관습은 서구에서 시작됐다. 일본에서 여자가 남자에게 초콜릿을 주는 식으로 고정됐을 뿐이다.
|
영어권 솔로들의 자학드립으로 볼 때 거기서도 충분히 상업적인 날이다.
여담으로 안중근 의사는 3월 26일에 일제에 의해 사형당하면서 순국했다. 이날이 안중근 의사의 순국에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유의하자. 안중근 의사의 사형 선고일이 알려졌으니 다른 독립운동가들의 사형 선고일도 추가하자면 이봉창 의사는 9월 30일, 윤봉길 의사는 5월 28일이다. 각각 순국일은 10월 10일과 12월 19일이다.
이날 생일이 겹쳐져 있다면 학교는 방학일 테니 친구들 부르기에는 좋다. 이날을 음력으로 바꾸면 설날 바로 하루, 이틀 전이라 대부분의 경우에는 양력으로 하긴 하지만 그래도 음력으로 하는 사람도 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미합중국 유일의 황제 노턴 1세를 기리는 기념일이기도 하다.
2. 사건
2.1. 실제
- 1349년 - 독일 스트라스부르에서 유대인이 학살당함.[2]
- 1779년 -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3차 항해중 하와이 원주민에게 살해당함.
- 1876년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전화기의 특허 신청.
- 1910년 - 안중근 의사의 사형 선고가 내려짐.[3]
- 1929년 - 밸런타인 데이 학살(경찰로 위장한 알 카포네의 부하들이 조지 모랜의 아일랜드 갱을 학살한다.)[4]
- 1946년 - 세계 최초의 전자계산기 에니악이 만들어짐.
- 1962년 - 노르웨이 오슬로, 제 6회 동계올림픽 개최.
- 1969년 - 매일유업이 '한국낙농가공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첫 설립되었다.
- 1995년 -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 창립.
- 1996년 - 중국에서 창정 3B 로켓이 발사 도중 궤도를 이탈하여 인근 마을에 추락, 최소 6명 사망, 57명 부상자가 발생하는 창정 3호 참사 발생.
- 2003년 -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발매.
- 2005년 - 유튜브 서비스 시작.
- 2008년 - 포켓몬스터 시리즈 10주년 기념작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 한국 발매.
- 2009년 - 빌리 헤링턴 일본 방문.
2011년 - 디시인사이드 인수- 2016년 - 한국 프로농구 2경기에서 역전 버저비터로 승패가 갈리는 일이 있었다.
- 2018년 - 플로리다 마조리 스톤맨 더글러스 고교 총기난사 사건
- 2019년 - 유비트 클랜의 e-amusement pass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2. 가상
3. 기념일 및 절기
- 밸런타인 데이: 본래는 성 발렌티노 주교의 축일로 그의 순교를 기리기 위한 날인데... 현실은 시궁창.
사우디아라비아와 북한에는 그냥 없는 날 - 훈도시의 날: 일본 훈도시 협회 제정일이라고한다. 2(훈) 10(도) 4(시)라서. 만화 은수저 11권 권말에도 언급되어 있다.
빌리 해링턴의 방일이 그날이다(...) - 롯데그룹 창립기념일
- 성 애니악 데이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이말년이 언급. 컴퓨터를 만드는 날.
- 체육의 날 - 카타르
- 건(乾)멸치 데이: 일본 건멸치협회에서 제정한 날로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12권에서 언급된다.
4. 축일
- 성 노스트리아노
- 복자 니콜라오 팔레아
- 성 디오니시오, 성 암모니오
- 성 마론
- 성 모세, 성 바시아노, 성 아가토, 성 치리온
- 성 바소, 성 안토니오, 성 프로톨리코
- 성 발렌티노 : 이 성인의 축일 때문에 밸런타인 데이가 생겨났다.
- 성 비탈리스, 성 제노, 성녀 펠리쿨라
- 성 아브라함
- 성 아욱센시오
- 성 아폴로니오, 성 에페보, 성 프로쿨로
- 복자 안젤로
- 성 요한 밥티스타
- 성 치릴로, 성 메토디오 (키릴 문자의 고안자)
5. 생일
5.1. 실존 인물
- 1483년 - 바부르율리우스력(~1530년): 안디잔 출신의 모험가
- 1766년 - 토머스 멜서스(~1834년): 멜서스 트랩을 주장한 영국의 경제학자
- 1927년 - 가토 세이조(~2014년): 일본의 성우
- 1934년 - 키시노 카즈히코 : 일본의 성우
- 1942년 - 마이클 블룸버그: 블롬버그 통신 창업자이자 뉴욕 시장
- 1947년 - 김근태(~2011년): 전 보건복지부 장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 1955년 - 이선희(야구):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1956년 - 박인숙(~2015년): 한국의 성우
- 1963년 - 마츠모토 아키히코: 일본의 작곡가
- 1964년 - 원희룡: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67년 - 송호창: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71년
- 1972년 - 이윤석: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1973년 - 윤세웅: 한국의 성우
- 1977년 - 이승윤: 한국의 개그맨
- 1978년
- 1981년 - 김환성(~2000년): 한국의 가수, 그룹 NRG 전 멤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이해리: 한국의 가수, 다비치의 멤버
- 1987년
- 1988년 - 앙헬 디 마리아: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 1992년
- 1993년 - 하지메샤쵸: 일본의 인기 유튜버
- 1994년 - 김정훈(1994년): 한국의 프로게이머
- 1997년
- 1998년 - 이동욱: 한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LokeN'
5.2. 가상 인물
- 권혜연 - 회색도시
- 나가세 레이코 - 릿지 레이서 시리즈
- 나카타 사에 - 아마가미
- 니카이도 야마토 - 아이돌리쉬 세븐
- 다다 - 뿌까
- 도나토 포르포라 - 도쿄 구울
- 라라 크로프트/라라 크로프트(리부트) - 툼 레이더 시리즈[5]
- 러브러버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6]
- 러프 - 테일즈런너
- 리에 - 팝픈뮤직
- 마틴 챌피 - 사이퍼즈
- 멜티나 멜비스 - 환영을 달리는 태양
- 미야모토 프레데리카, 아이하라 유키노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미즈코시 마코 - 다카포 시리즈
- 미즈타니 시즈쿠 - 옆자리 괴물군
- 미코시바 미코토 - 월간 순정 노자키 군
- 반 - 일곱 개의 대죄
- 사루토비 가노 - 미소녀 닌자 모험기1·2
- 산구 아오이 - 종말의 세라프
- 세이브 - 엔드와 세이브
- 슈나이젤 엘 브리타니아 -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 스즈노 이토 - 프리티 리듬 레인보우라이브
- 시모츠키 미카 - PSYCHO-PASS 2
- 아리사카 마시로 - 푸른 저편의 포리듬
- 아리스가와 사에코, 유게 카에데 - 걸 프렌드(베타)
- 아리스인 미소노 - SERVAMP
- 아마하네 마도카 - 아이카츠!
- 아메무라 라무다 - 히프노시스 마이크[7]
- 아유하라 나츠 - 사립 저스티스 학원
- 아이카와 마키노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 아키에 유즈루 - 데빌 서바이버 2
- 앙리 루카스 - 꿈빛파티시엘
- 애쉬 크림슨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 야나세 마이 - 도사의 무녀
- 야마가타 하야토 - 하이큐!!
- 여우노 - 천지해
- 에리카 무라사키 - 다카포 시리즈2
- 오기소 세츠나 - 화이트 앨범 2
- 오리하라 쿠루리, 오리하라 마이루 - 듀라라라!![8]
- 요시모토 히카루 - 프린세스 나인
- 유니 - VOCALOID
- 이시즈에 카나타 - D.D.D
- 이안 - 스타프로젝트
- 이쥬인 호쿠토 - 아이돌 마스터 2, 아이돌 마스터 SideM
- 제노비아 쿠아르타 - 하이스쿨 D×D
- 진 키사라기 - 블레이블루
- 진구지 렌 - 노래의☆왕자님♪
- 천태인 - 미래의 여친님이 나에게 인사를 건네왔다
- 츠루기베 시바라쿠 - 마신영웅전 와타루 시리즈
- 츠루기노 카유라 - 하야테처럼!
- 츠지도 마코토 - 츠지도씨의 순애로드
- 켄 마스터즈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코가미 아키라 - 러키☆스타
- 콜린 - 스트리트 파이터 5
- 키사라기 모모 - 카게로우 프로젝트
- 키요우라 세츠나 - School Days
- 클레어 루주 - 정령사의 검무
- 토츠카 타타라 - K
- 테데자 리제 - 주문은 토끼입니까?
- 페미엔 - 알드노아. 제로
- 필 프리츠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 하루미 카지카 - Tokyo 7th 시스터즈
- 하이타 - 프린세스 메이커 3
- 후지와라 하즈키 - 오쟈마녀 도레미
- 히우라 키리나 - 이나즈마 일레븐 아레스의 천칭
- 히카리 - 디바인 게이트
- C. 발렌타인 - 커피우유신화
6. 기일
6.1. 실존 인물
- 269년 - 성 발렌티노: 고대 로마의 사제, 의사, 순교자. 발렌타인 데이의 유래가 된 성인
- 1400년 - 리처드 2세(1367년~): 영국의 왕
- 1624년 - 이괄(1587년~): 조선 중기의 무신, 이괄의 난 지도자
- 1779년 - 제임스 쿡(1728년~): 영국의 군인, 탐험가
- 1831년 - 헨리 모즐리(1771년~): 대영제국의 기술자
- 1891년 - 윌리엄 테쿰세 셔먼(1820년~): 남북전쟁 시기 북부군의 장군
- 1943년 - 다비트 힐베르트(1862년~): 독일의 수학자
- 1960년 - 기무라 마사토미(1891년~): 구 일본군 해군 제독
- 1962년 - 후쭝난(1896년~): 중화민국의 군인.
- 2004년 - 마르코 판타니(1970년~): Mirco Pnatani,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힐클라이머
- 2008년 - 이영훈(1960년~): 한국의 음악가
- 2011년 - 조지 시어링(1919년~): 영국의 피아니스트
- 2012년 - 마이크 베르나르도(1969년~): K-1의 종합격투기선수
- 2013년 - 로널드 드워킨(1931년~): 미국 법철학의 권위자
- 2015년 - 미켈레 페레로(1925년~): Michele Ferrero, 이탈리아의 제과업체 페레로 그룹[9]의 창립자인 피에트로 페레로의 아들이자 페레로 그룹의 전 오너
- 2016년 - 영국의 인디 밴드 비올라 비치의 멤버 전원
- 2018년 - 이호연(1954년): 한국의 기업인, DSP 미디어의 창립자 및 초대 사장.
6.2. 동물
6.2.1. 화성탐사선
6.3. 가상 인물
- 레노아 자라 - 기동전사 건담 SEED
- 미야나기 유키 - 역전재판 시리즈
- 아마네 미사 - 데스노트
[1] 발렌타인 데이는 일본에서 시작된 게 아니다. 초콜릿을 주는 관습은 19세기 영국에서 캣버리(cadbury)란 인물이 발렌타인 데이 선물 중 하나로 시작했고 캣버리는 현재 초콜렛 회사로 아직도 남아 있다. 구글에서 cadbury valenties라고 검색하면 선물들이 나온다. 그 후 일본에서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이 캣버리의 이 전략을 흉내내 유명해진 것이지 서구에서도 선물 교환은 한다. 서구에서도 충분히 상업적이다.[2] 당시 흑사병의 광풍이 몰아닥치던 시기였는데 유대인이 흑사병을 퍼뜨린다는 유언비어가 나돌아 유대인이 학살의 대상이 된 것.[3] 2014년 경기도교육청은 2월 14일이 안중근 의사가 사형선고 받은 날임을 상기시키는 광고를 주요 일간신문과 SNS에 게재했다. 다만, 이것은 6월 지방선거(교육감도 뽑는다.)를 겨냥한 간접 선거운동이란 얘기도 있다.#[4] 현실에서의 또다른 피의 발렌타인은 소련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사건이라고 한다.[5] 리부트 이전에는 1968년생이고, 리부트 이후로는 1992년생이다.[6] 생일이 발렌타인데이다[7] 생일에 캐릭터성을 부여한 사례 중 하나[8] 쌍둥이 자매로, 위로는 최고 최흉의 정보상 오빠가 있다.[9] 페레로 로쉐, 누텔라, 킨더 초콜렛으로 유명한 그곳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