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밸런타인 전차| ]] | [[밸런타인 전차|Tank, Infantry, Mk III 밸런타인 보병전차 관련 문서]] | }}}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Tank, Infantry, Mk III, "Valentine" |
1. 개요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밸런타인 Mk.IX "버캐니어" 주행 영상 |
프랑스 침공에서는 그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고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당시 기준으로 나쁘지 않은 장갑과, 높은 신뢰성, 그리고 선임인 마틸다 II보다 더 높은 보병지원 능력 등, 여러 전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사용되었으며, 특히 영국 본국보다 소련에서의 활약상이 더 유명하다.
트럭용 엔진에 항공기용 기관포를 올린 수준의 T-60 따위를 최전선에 대량 투입할 지경으로 상황이 좋지 못하던 소련에서 밸런타인 전차는 경전차로서 아주 고평가를 받았으며, 소련 당국에서도 즉석에서 금을 대가로 더 많은 밸런타인을 요구하기도 하였을 정도였다.
밸런타인 전차는 2인승 포탑, 리벳과 볼트를 이용한 차체/포탑의 조립 등 구식인 티가 여기저기 나는 데다가 방어력도 마틸다 II보다 떨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어 영국 육군 참모부에서 이 전차의 제식채용을 고민했지만 마틸다 전차가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전차였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막 발발하려는 찰나였던 데다가 영국 최대의 군수 기업이었던 빅커스 사의 물건인지라 대량생산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제식채용되었다.
1941년까지는 쓸 순항전차가 부족했기 때문에 일부 밸런타인은 급한대로 순항전차 운용부대에도 배치되기도 했지만 실상은 마틸다보다 약간 빠른 속도와 선회능력을 가졌을 뿐 기동력이 중요한 순항전차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기동력에서는 독일 국방군의 주력인 3호 전차나 4호 전차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런 단점들이 있었음에도 밸런타인 전차는 기존의 전차를 재설계한 물건이라 일단 당시 영국 전차 중에서 신뢰성[1]과 정비성은 가장 나았고 제조사인 빅커스 사가 대형군수업체이다 보니 대량생산이 가능했다.[2]
밸런타인은 방어력이 부족한 보병전차라는 편견을 벗고 경전차의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속도가 느리고 내부가 좁다는 것만 빼면 준수한 성능의 전차로, 내부가 좁다는 것은 그만큼 전차의 크기도 작았다는 뜻이기에 전략 수송의 편의성과 험지 기동력 면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소련은 중형전차, 중전차의 임무를 맡을 다른 전차들도 있었으므로 밸런타인에 경전차 이상의 임무를 맡길 필요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방어력과 신뢰성이 우수한 경전차로 평가했다.
특히 밸런타인 Mk.IX를 필두로 한 6파운더 장착형의 경우, 그 화력은 결코 주적이었던 4호 전차에도 밀리지 않았던데다가, 밸런타인급의 장갑을 지닌 경전차는 전쟁 후반기인 1944년에야 미국이 M24 채피를 만들며 등장했고, 그 M24 채피도 장갑 수치가 밸런타인 전차보다 열등했던 것을 감안하면 시대를 앞서간 전차라고도 볼 수 있다.
전후에도 여러 각국에서 사용되었던 밸런타인 시리즈는 현재도 영국 및 러시아 등지에서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2. 제원
<colbgcolor=#000066> Tank, Infantry, Mk III, Valentine 3형 보병전차 "밸런타인" | |
제원 | |
개발 기관 | <colbgcolor=#fff,#191919>빅커스-암스트롱 |
개발 연도 | 1938년 |
생산 기관 | 빅커스-암스트롱, 캠맬 철도공사, 버밍햄 철도차량 제작소, 캐나다 태평양 철도공사 |
생산 국가 | 영국, 캐나다 |
생산 연도 | 1940년 ~ 1944년 |
생산 대수 | 파생형 포함 8,275대 |
운용 연도 | 1940년 ~ 현재[3] |
운용 국가 | 영국 포함 도합 10개국 사용 |
장갑 | 최소 8mm, 최대 65mm |
전장 | 5.41m |
전폭 | 2.629m |
전고 | 2.273m |
전비 중량 | Mk I,II, III, IV, V, VI, VII, VIIA: 15.7t Mk VIII, IX, X: 17.3t Mk XI: 18t |
탑승 인원 | Mk I,II, IV, VI, XI :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Mk III, V : 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
엔진 | Mk I : AEC A189 가솔린 엔진 Mk II, III, VI : AEC A190 디젤 엔진 Mk IV, V, VII, VIIA, VIII, IX, X, XI : GMC 6004 디젤 엔진 |
최대 출력 | Mk I : 135마력 Mk II, III, VI : 131마력 Mk IV, V, VII, VIIA, VIII, IX, X, XI : 165마력 |
출력비 | 12.4hp/t |
변속기 | 전진 5단, 후진 1단 미도스 22식 싱크로매시 변속기 |
현가 장치 | 홀스트만 3륜 슬로우 모션 현가장치 |
최고 속도 | 26km/h |
항속 거리 | 140km (도로) |
주무장 | Mk.I II, III, IV, V, VI, VII, VIIA : QF 2-pounder Mk.IX Mk.VIII ~ IX : QF 6-pounder Mk.III, QF 6-pounder Mk.V Mk.X : QF 6-pounder Mk.V Mk.XI : QF 75mm Mk.V |
부무장 | Mk.I~Mk.VI 초기형Mk.X, Mk.XI: 7.92mm BESA 기관총 Mk.VI 후기형, Mk.VII, Mk.VIIA: M1919A4 동축기관총 |
3. 내부
밸런타인 Mk. II 내부 구조도 |
초기 밸런타인 전차의 주무장은 2파운더 대전차포로, 고저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대신에, 마틸다 II와 같이 포수가 직접 어깨에 견착하고 상하를 조절하는 방식의 구조를 지니었다. 이후, 6파운더로 무장이 교체되고, 포탑이 대형화된 후로는 고저장치와 선회장치 모두 장착되었으나, 내부 용적의 한계로 고저장치는 포수가 제어, 선회장치는 전차장이 제어하도록 하였다.
기존 2파운더 대전차포는 등장 당시부터 화력이 불충분하다는 지적을 받았고, 이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같은 시기 적국인 나치 독일이 KwK 36 전차포를 퇴출시키고 KwK 38을 장착한 3호 전차와 PaK 38 대전차포, 그리고 아예 대전차전을 위해 7,5cm KwK 40 포를 장착한 4호 전차 중기형 등을 투입하기 시작하면서 더 이상 2파운더의 일선 사용이 어렵다고 판단, 개선 여지가 없던 마틸다 대신 신뢰성 좋고, 가볍고, 튼튼한 밸런타인의 업건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6파운더로 업건을 마친 밸런타인은 원거리에서도 쾌적하게 3호 전차와 4호 전차를 격파하는 활약을 보였으나, 막상 해당 밸런타인은 기관총이 없었기 때문에 고폭탄을 소지하지 않는다면 보병 진압에 진땀을 빼는 일이 자주 있었다.[4]
장갑의 경우, 당시의 독일군의 3호 전차와 4호 전차보다 두꺼웠는데, 3호와 4호 중기형 모델들 기준으로 정면장갑은 3호와 4호의 50mm보다 두꺼운 65mm였으며, 측면도 3호와 4호의 35mm보다 한참 두꺼운 60mm였다.
밸런타인의 구동계는 처음에는 자국에서 생산된 AEC 사의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해당 엔진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결국 영국군은 GM에서 생산된 GM 6004 디젤 엔진으로 구동계를 교체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구동계의 신뢰성이 올라간 것은 물론, 셔먼 III와 유사한 엔진이었으므로 수리를 진행할 때에도 정비창에서 혼동을 겪지 않았으며, 추가로 디젤엔진을 사용한 것 덕분에 소소하지만 연료 유폭 확률이 줄어들었다는 장점도 생겨났다.
또한, 백미러 또한 장착할 수 있어 시가지에 진입하거나, 혹은 혼잡한 구역에서도 편리하게 조종수가 후방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었다.
통신장치는 매우 훌륭하였는데, 영국제 무전기는 소련군으로부터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받은 장비였으며, 이와 같은 성능을 보여 준 덕분에 보병과의 제병협동은 물론 작전 진행에도 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패리쉬-레이크만 마운트 장착 밸런타인 Mk.V |
4. 개발사
밸런타인 Mk. I 프로토타입 |
당연하게도 빅커스사는 영국 육군으로부터 보다 고성능인 마틸다 II를 생산하라는 압력을 받았으나 A10의 개량형 보병전차를 내놓기로 하고 A10의 차체를 기본으로 개량한 설계를 마감날인 1938년 2월 14일(발렌타인 데이)에 맞춰 제출하는 데 겨우겨우 성공했고 이 때문에 밸런타인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5]
5. 형식
5.1. 초기형 (Mk. I ~ II, Mk. IV, Mk. VI ~ VIIA)
Valentine Mk. II |
형식 | 변경 사항 |
Mk. I | 밸런타인 전차의 첫번째 모델로, 리벳 접합식 차체를 사용했으며, 도합 총 350량이 생산되었다. |
Mk. II | 밸런타인 전차의 2번째 모델으로, AEC A190 6기통 디젤 엔진을 장착했다. |
Mk. IV | Mk.II의 구동계를 GMC 6004 디젤 엔진과 미국제 변속기로 교체한 사양으로 종전과 다르게 악지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
Mk. VI | Mk.IV를 기준으로 캐나다에서 생산된 밸런타인으로, Mk.IV와 대동소이하다. 후기 생산분은 BESA 기관총을 M1919A4로 교체했다. |
Mk. VII | 캐나다에서 개량한 밸런타인으로 무전기를 교체하였으며, M1919A4 브라우닝 기관총을 장착하였다. |
Mk. VIIA | 밸런타인의 전면과 포탑을 주조로 만든 형식이며, Mk.VII과 같이 캐나다에서 생산되었다. |
초기형 밸런타인은 북아프리카 전역 당시 마틸다 II보다 빠르면서 이와 유사한 견고한 방호력으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가격도 저렴했던데다 운용 교육도 간편했기에 수많은 차량들이 생산되어 최전선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1942년 이후로 중기형과 동일하게 화력 부족이라는 문제점에 당면하며 다수의 개체가 2선급으로 돌려지게 되었다.
이 밖에도, 초창기 Mk. I 시절의 밸런타인은 포크형 보기륜을 채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가공하기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었기에 Mk. II 형식부터는 접시형 보기륜을 사용하게 되었다.
5.2. 중기형 (Mk. III, Mk. V)
Valentine Mk. V |
형식 | 변경 사항 |
Mk. III | 최초의 3인용 포탑을 장착한 밸런타인이며, AEC 엔진을 장착하였다. |
Mk. V | Mk.III의 구동계를 Mk.IV와 동일하게 GMC 6004 디젤 엔진과 미국제 변속기로 교체한 파생형이며, 마지막으로 3인용 포탑을 장착한 밸런타인이다. |
중기형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까지의 2인승 포탑에서 마틸다 II의 포탑과 유사하게 생긴 3인승 포탑을 채용하며, 포탑전면부와 후면부를 이전의 포탑보다 돌출시켜 포탑 내 공간을 확보 후, 무게를 절약하기 위해 측면장갑의 두께를 60mm에서 50mm로 감소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 된지 얼마 안되어 라이벌인 3호 전차, 4호 전차의 화력 증강 및 6호 전차 티거의 실전 투입으로 인해 더 이상 2파운더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Mk. V를 마지막으로 단종되었으며, 이후 하단의 후기형으로 이어지게 된다.
5.3. 후기형 (Mk. VIII ~ XI)
Valentine Mk. IX |
형식 | 변경 사항 |
Mk. VIII | 2인용 대형 포탑을 장착한 최초의 밸런타인이며, AEC 디젤엔진을 탑재하였다. |
Mk. IX | Mk.V를 기반으로 6파운더를 얹은 물건으로, Mk.III 수준의 장갑을 가지고 있다. 구동계는 상술한 GMC 6004 디젤 엔진과 미국제 변속기로 개량되었다. |
Mk. X | 후기형들의 공축기관총 부재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축기관총을 장비한 신형 포탑을 장착했다. |
Mk. XI | Mk.X를 기반으로 오드넌스 QF 75mm Mk.V 전차포를 장착한 사양이며, 지휘전차 한정으로 사용되었다. |
후기형들의 공통점은 우선 중기형에서 채용했던 3인용 포탑에서 2인용 포탑으로 회귀했다는 것으로, 6파운더 포의 포미가 포탑에 비해 너무 거대해서 다시 포탑에 2명이 탑승하게 되었다는 사유가 있다.
그러나 무장의 증강을 위하여 포탑의 크기는 오히려 더 커졌으며, 고관통을 자랑하는 6파운더와 75mm Mk.V 전차포를 채용했기에 티거나 판터와 같은 중장갑 전차에게도 대응이 가능해졌다.
6파운더를 장착하면서 화력은 개선되었지만, 포탑을 6파운더에 맞춰서 새롭게 설계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공간이 부족해 공축기관총이 사라지는 등 문제가 발생했는데, 이는 상술한 패리쉬-레이크만 마운트를 장착하여 전차장이 포탑 상부의 기관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임시방편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유탄이 빗발치는 전투 중에 전차장이 무리하게 해치를 열고 기관총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결국 Mk. X 형식에서 겨우 다시 공축기관총을 장비하며 해결되었다.
6. 평가
6.1. 장점
- 견고한 장갑
밸런타인 전차는 초기 전선에 등장했을 당시부터 마틸다 II와 유사한 수치의 장갑을 지니고 있어 독일 국방군 및 이탈리아 왕국군을 상대로 압도적인 전력차를 보여줬다.
- 높은 기동력
속력은 느렸지만, 무게가 가벼웠던 덕분에 악지나 산지에서의 기동이 상대적으로 타 전차들에 비해 유리했다는 점이 있었으며, 현가장치와 차체의 간격이 넓은 덕분에 궤도에 무언가가 끼는 일도 적었다고 한다.
- 고품질의 통신 장치
영국제 전차들의 공통적인 장점으로, 소련제나 독일제보다 더 높은 품질의 무전기를 보유하고 있어 합동 작전에 굉장히 유능하였다는 장점이 있었다.
- 고화력의 주포
Mk. VIII, XI 형식부터 생긴 장점으로, 종전의 2파운더 포보다 훨씬 강력한 6파운더 주포와 QF 75mm 주포를 주무장으로 채용하게 되면서 6호 전차 티거나, 5호 전차 판터도 통상 교전거리에서 격파할 수 있었다. 해당 주포를 장착한 형식은 고폭탄을 쓸 수 있어서 대보병, 대진지 임무도 문제 없이 수행할 수 있었다.
6.2. 단점
- 복잡한 구조의 현가장치
코일 스프링 현가장치의 구조가 복잡한 탓에 보기륜 1개가 파손되어도 나머지 보기륜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 느린 속력
속도가 평균 25~26km/h 정도에 불과한데다, 후진은 2km/h였기에 방어력은 괜찮았지만 빠르게 기동해서 적의 측면을 타격하는 등의 전술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6.3. 총평
(중략)...이 3종류의 영국 전차 중 최고는 단연 캐나다에서 생산된 발렌타인 전차였습니다. 장갑도 튼튼했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장포신의 57mm 주포를 장착했다는 것입니다.
-드미트리 로자. 전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드미트리 로자. 전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밸런타인 전차는 마틸다 II 전차의 후계로 제작되었으며, 그로 인해 마틸다 전차보다 선진적인 면도 다수 있었으나, 당시 영국의 시대상 및 시대착오적인 오판에서 기인한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개발사의 지속적인 개량 작업과 이를 토대로 한 북아프리카 전역과 동부전선에서의 활약에서 알 수 있듯 그 단점을 극복해낸 전차로 평가받는다.
사실 밸런타인 전차의 고평가는 자국인 영국보다, 되려 소련 및 러시아에서 더욱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계획적 구식화로 인한 전체적인 소련제 차량들의 신뢰성의 부족으로 인해 생긴 것이다.[6] 특히 상단 소련 전차 에이스였던 드미트리 로자의 평가를 보면 알 수 있듯, 자국보다 외국에서 보병전차라는 자신의 본분에 맞게 활약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무장 증강도 전훈에 따라 빠르게 진행하면서 시대에 뒤쳐지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높인 훌륭한 전차라 볼 수 있다.
7. 파생형
자세한 내용은 밸런타인 전차/파생형 문서 참고하십시오.8. 실전
자세한 내용은 밸런타인 전차/실전 문서 참고하십시오.9. 운용국
자세한 내용은 밸런타인 전차/운용국 문서 참고하십시오.10.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밸런타인 전차/미디어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모형
자세한 내용은 밸런타인 전차/모형 문서 참고하십시오.12. 참고 문헌
- 밸런타인 전차 생존 개체 목록
- 데이비드 엑스 작성 소련 밸런타인 기록
- 소련군 밸런타인 사용기 1
- 소련군 밸런타인 사용기 2
- 소련군 사용 영국 전차 목록
- 탱크 아카이브 "소련의 밸런타인 개조
- 밸런타인 Mk.IX "발톱을 지닌 구축전차"
- 소련 전차 에이스 목록
- 북코카서스 전선 당시의 기록 및 랜드리스 밸런타인 평가
- 탱크 아카이브 "3인용 포탑"
- 위키리딩 소련 렌드리스 전차들 기록
- 위키피디아 밸런타인 전차 문서 러시아어판
- 위키피디아 밸런타인 전차 문서 영어판
- 월드 오브 탱크 밸런타인 전차 탐구
- 월드 오브 탱크 역사 웹툰 밸런타인 편
- 러시아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밸런타인 V 외부 내부 관찰
- 캐나다제 밸런타인
- 탱크 언사이클로피디아 밸런타인 문서
- 밸런타인 주요 파생형
- 위키피디아 그린 섬 전투 문서 영어판
- 뉴질랜드 육군 제3기갑사단 사진집
- Tank encyclopedia 키프로스 방위군의 밸런타인 Mk. II
13. 둘러보기
소련의 경전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556b2f><colcolor=white> 경보병 전차 | <colbgcolor=#556b2f><colcolor=white> 경전차 | 르노 KS, T-16P, T-18, MS-1(T-18M), T-19, T-20, T-12P, T-24, V-26, T-26, T-46P, T-46SP, T-50 |
자주포 | SU-18, AT-1P, AT-26, T-26-4, SU-26, SU-5P, SU-6 | ||
화염방사전차 | OT-26, OT-130, OT-133, OT-134, OT-46 | ||
가교전차 | ST-26 | ||
미분류 전차 | T-26TU, T-26T, NI 전차 | ||
수륙양용 계열 전차 | 경전차 | T-33, T-41, T-37A, PT-43-1, T-43-2P, T-38, T-38M1, T-38M2, T-38RT, T-40, T-30(T-40S), T-60, T-70 «세미데샤트카», T-70B «세미데샤트카», T-80 | |
자주포 | SU-45, SU-76, SU-76M, ZSU-37, SU-85A/BP | ||
대공전차 | T-90, ZUT-37P | ||
화염방사전차 | OT-38 | ||
미분류 전차 | T-38TT, T-38TU, 안토노프 A-40P | ||
쾌속진격 전차 | 경전차 | BT-1, BT-2, BT-5, BT-7, BT-SVP, BT-SV-2P, A-20P, A-32P | |
자주포 | BT-7A | ||
탱켓 | 카든-로이드 Mk.VI, T-17, T-20, T-21, T-22, T-23, T-25, T-27 | ||
랜드리스 | M3/M5 лёгкий, MK-III «Валя-Таня» | ||
노획 차량 | Т-I, Т-II, Т-2595, 르노 R35 | ||
※ 윗첨자P: 프로토타입 또는 페이퍼플랜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모리스-커머셜 LRC, 다임러 장갑차, 험버 Mk. IV 장갑차, 폭스 장갑차 | ||||
정찰차량, 기타 차량 | 링스 정찰장갑차, 모리스-커머셜 LRC,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험버 Mk. I 정찰차, 오터 LRC 경정찰차량,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C15TA 장갑 트럭, 브렌건 캐리어 | ||||
전차 | 경전차 | M2A4, M3 스튜어트, 경전차 Mk.VI, M24 채피 | |||
중(中)형전차 | M3 리/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V, 셔먼 VC | ||||
중전차 | Mk.VI | ||||
순항전차 | 센토어 IV, 그리즐리 I, 램 Mk.I, 램 Mk.II | ||||
보병전차 | 처칠 Mk.I, 처칠 Oke, 마틸다 II, 밸런타인 Mk.VII, Mk.VIIA | ||||
화염방사전차 | Ram Badger flame tank | ||||
자주포 | 비숍, 섹스턴, M7 프리스트 | ||||
대전차 자주포 | M10 GMC, M10 아킬레스, 아처 | ||||
자주대공포 | Crusader III, AA Mk.I, Mk.II/III, 스킹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뉴질랜드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뉴질랜드군의 지상장비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00008b>유니버설 캐리어, 링스 장갑차 | ||||
전차 | 경전차 | 밥 셈플 전차, 스코필드 전차, Mk.6 경전차, M3 스튜어트 | |||
중형전차 | 크루세이더 Mk. III, 마틸다 Mk. IV, 밸런타인 Mk. III, M3 리/그랜트, 셔먼 III, 셔먼 파이어플라이 | ||||
노획 전차 | Pz.Kpfw. T-34 747(r), Pz.Kpfw. M4 748(a) | ||||
자주포 | 비숍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의 지상장비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Mk.6 경전차, 르노 R35, M3 스튜어트, M24 채피 | |||
중형전차 | M3 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 셔먼 II | ||||
순항전차 | A.C.I "센티넬", A.C.II, A.C.III, A.C.IV "썬더볼트" | ||||
보병전차 | 밸런타인 전차, 마틸다 II, 처칠 IV, 처칠 V, 처칠 VII | ||||
노획전차 | M.11/39, M.13/40, 치하 개량형 | ||||
장갑차 | 다임러 딩고, 라이노 중장갑차, 로버 경장갑차(LAC), S1 스카웃, T17E1 장갑차, 유니버설 캐리어 | ||||
오토바이 | BSA WM20 | ||||
트럭 | 포드 F1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간기 및 2차 세계대전 체코슬로바키아군(ČSA)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fffff,#d80c13>OA vz. 23, OA vz. 27, OA vz. 30, PA-ll | ||||
전차 | 경전차 | KH 전차, Tančík vz. 33, AH-IV, LT vz. 34, LT vz. 35, T-12 경전차, T-15, M5 스튜어트O | |||
순항전차 | 크롬웰O, A30 챌린저O | ||||
중형전차 | ST vz. 39, LT vz. 38S, T-21 전차, T-24, T-25, T-34-76O,T-34-85O, Pz.Kpfw. T-34/85 747(r)O, 파이어플라이O, 투란 중형전차O, 밸런타인 IIIO | ||||
중전차 | IS-2O | ||||
자주포 | Zb 16051/53/57/63/64, LSD 76/42SO, SU-85O, SU-100O, ISU-152O, 43M 즈리니IIO | ||||
※ 윗첨자O: 타국에서 노획 및 지원 ※ 윗첨자S: 제식명을 부여받았으나, 정식 채용되지 못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튀르키예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afeeee,#114f4f> 2차 세계대전의 튀르키예군 기갑차량 | ||||
장갑차 | BA-6, 다임러 딩고 | ||||
탱켓 | Mk.VIB, T-27, 유니버설 캐리어 | ||||
전차 | <colbgcolor=#afeeee,#114f4f> 경전차 | T-26A, T-26B, T-37A, 르노 FT, M3 스튜어트, 르노 R35, 호치키스 H39 | |||
중형전차 | T3, T4, 5호 전차, M4 셔먼, 밸런타인 Mk. III | ||||
중전차 | T-35 | ||||
※ 윗첨자R: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포르투갈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포르투갈군의 기갑장비 | ||||
<colbgcolor=#006600> 전차 | <colbgcolor=#006600> 탱켓 | 카든-로이드 탱켓 | |||
경전차 | 빅커스 Mk. E | ||||
중형전차 | M4 셔먼 | ||||
보병전차 | 밸런타인 II | ||||
장갑차 | 다임러 딩고, 험버, M8 그레이하운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colbgcolor=#b22222> 경전차 | 스튜어트 I, 하고 | |||
중형전차 | 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셔먼 V, 신포탑 치하 | ||||
보병전차 | 밸런타인 전차 | ||||
자주포 | StuG mit 75/18 850(i), 섹스턴 | ||||
장갑차 | ACV-IP Mk.I, Mk.II, Mk.IIA, Mk.IIB, Mk.IIC, Mk.III, Mk.IV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 방위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크루세이더, M3 스튜어트 | |||
중형전차 | 셔먼 Mk.IV, 셔먼 IIA, 셔먼 V, 셔먼 VC, 셔먼 IB, 밸런타인 Mk.I | ||||
장갑차 | SARC Mk.I, SARC MK.II, SARC Mk.III, SARC Mk.IV, SARC MK.V, SARC Mk.VI(2파운더), SARC MK.VI(6파운더), SARC MK.VII, SARC MK.VII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프리카 연방ㆍ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자유 프랑스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color=#001489> 제2차 세계 대전 자유 프랑스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color=#ef3340> 차륜형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팡하르 165/175, 팡하르 178 | ||||
전차 | 경전차 | 르노 R35, R39, R40 | ||||
기병전차 | 오츠키스 H35, H38, H39, 소뮈아 S35 | |||||
전투전차 | 르노 B1, B1 bis, B1 ter, 르노 D2 | }}} | 랜드리스 | 브렌건 캐리어, 크루세이더 Mk.II, 크루세이더 Mk.III, 밸런타인 Mk.IV, 센토어 Mk.VII, M3A3 스튜어트, M5 스튜어트, M2, M2A1, M3, M3A1, M5, M5A1, M9, M9A1 하프트랙, M8 그레이하운드, M20 스카웃 카, M4A2, M4A3, M4A3(76), M4A3E8, M4A1, M4A4, M8 스콧, M4 (105), M4A3 (105), M10 GMC, M7 프리스트, M36 GMC, M24 채피 | ||
노획차량 | Sd.Kfz. 251, 4호 전차, 3호 돌격포, 마르더, 헤처, 4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티거 2, Skoda 76,2mm 치하, 하고, 치로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현대 호주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12169> 호주 국방군 (1945~현재) Australian Defense Force | ||||
기타전차 | <colbgcolor=#012169> 경전차 | M24 채피R | |||
중형전차 | 그랜트 IXR | ||||
보병전차 | 마틸다 Mk. IVR, 마틸다 Mk. VR, 마틸다 Mk. IV CSR, 마틸다 Mk. V CSR, 마틸다 헤지호그R, 마틸다 도저R, 마틸다 프로그R, A22 처칠R, 밸런타인 전차R | ||||
MBT | 1세대 | 센추리온 Mk.5/1R, 59식 전차C/R | |||
2세대 | 레오파르트 AS1R | ||||
3세대 | M1A1 AIM 에이브람스 | ||||
3.5세대 | {M1A2 SEP v3 에이브람스}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복서 CRV, ASLAV-(25/PC), 부시마스터 PMV, LARC-V, FV601 살라딘R | |||
궤도장갑차 | {AS-21 레드백}, M113 76mm FSV/MRVR · M577A1 · M113AS4 | ||||
차량 | 소형 | 나리 HMT, G 바겐 300 · 6x6, 랜드 크루저 6x6, 랜드로버 페런티, 랜드로버 FFR/GS, 호카이 PMV | |||
트럭 | Mack MC3, MAN KAT I, RMMV HX40M · HX77, 유니목 U 1700 L,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SF2670, HMT 익스텐다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8R, 25Pdr 예람바R, {AS-9 헌츠맨} | |||
자주박격포 | M125R | ||||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 ||||
대공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호카이 NASAMS 2}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R, M88A2 허큘리스, M113 피터 ARV | |||
전투공병차량 | HMEE, 허스키 VMMD Mk.3, MWL, {M1150 ABV} | ||||
교량차량 | FSB, IRB, {M1074 JAB} | ||||
기타 | 캐터필러 D3 불도저, DJ 850J 불도저, 히타치 LX120 로더, 코마츠 PC50MR-2 굴착기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뉴질랜드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뉴질랜드 방위군 (1945~현재) New Zealand Defense Force | Te Ope Kātua o Aotearoa | ||||
<colbgcolor=#AEC4EE> 기타 전차 | <colbgcolor=#AEC4EE> 경전차 | M41 워커 불독R | FV101 스콜피온R | M3(A1/A3) 스튜어트R | |||
보병전차 | 밸런타인 (II/III/V)R | ||||
MBT | 1세대 | 센추리온 Mk.(3 · 5/1)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NZLAV | 부시마스터 PMV | FV701 페렛 Mk.(1/2)R | ACV-IPR | 다임러 Mk.II 딩고 Mk.IIR | |||
궤도장갑차 | M113A1R | ||||
차량 | 소형 | ATV 폴라리스 MRZRIMV 수파캇 HMT 익스텐다 | 험비L/R | 랜드로버 S3 109R · S2 (88/109)R · S1 80R민수용 닛산 나바라 | 미쓰비시 트라이톤 | 토요타 라브4 | 이베코 데일리 | |||
트럭 | 군용 RMMV HX(58/60/77) | 핀츠가우어 | 벤츠 유니목 | 랜드로버 101FCR | 베드포드 RLR상용 벤츠 악트로스 | ||||
자주포 | 대전차 자주포 | M10 · M10C 아킬레스R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RMMV HX44M 견인차 | M1089 견인차 | |||
교량 차량 | RMMV HX REBS | 커버넌터 AVLBR | ||||
기타 | JCB HMEE 백호로더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임대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포르투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006600> 기타 전차 | <colbgcolor=#006600> '''[[경전차| 경전차 ]]''' | M24 채피R | M5(A1) 스튜어트R | |||
순항전차 | 밸런타인 Mk.IIR | ||||
중형전차 | M4A3E4 셔먼R | 그리즐리 I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M47 패튼R | M48A5 패튼R | |||
'''[[2세대 전차| 2세대 ]]''' | M60A3 TTS 패튼R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6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판두르 II | V-150 | 헨셸 콘도르 | 차이마이트 V-200R | 파나르 EBR-(75 FL10/ETT)R | 파나르 M3R | FV601 살라딘R | FV701 페렛R | M8 LACR | 험버 장갑차 | 다임러 딩고R | M3A1 스카웃 카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M113A1 | M901A1 ITV | M577A2 | M548 | M2 · M3A1 · M5 하프트랙R | ||||
차량 | 소형 | ATV Q-150D | 폴라리스 MRZR · 스포츠맨 · 레인저 크루IMV URO VAMTAC ST5 | 험비 | VBL | 디펜더 (90/110)TDi · RSOV민수용 토요타 하이럭스 · 랜드 크루저 | 미쓰비시 L200 | 쉐보레 서버번R | UMM 얼터R | |||
트럭 | 군용 MAN 10.224 | 벤츠 유니목 U1750L | 이베코 40.10WM · 90.17WM | M809 | DAF YA 4440D | 벤츠 유니목 S416R | 발리에 GBC 8KTR상용 MAN TGM · TGA | 벤츠 아테고 · 1017 · 1222A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박격포| 자주 박격포 ]]''' | M106A2 | M125(A1/A2) | |||
'''[[자주곡사포| 자주 곡사포 ]]''' | {CAESAR} | M109(A2R/A5) | 섹스턴 Mk.IIR | ||||
대공 차량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MIM-72(A2E1/A3) 채퍼럴 | 크로탈R | |||
지원차량 | 구난차량 | M88(A1/A2G) 허큘리스 | M578 LRV | |||
공병차량 | M728 CEVR | ||||
교량 차량 | M60 AVLB | MAN KAT1 EWK 부교운반차 | M48 AVLBR | ||||
건설기계 | 캐터필러 D6H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 ||||
기타전차 |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 ||||
MBT | <colbgcolor=#198019> 1세대 | M47 패튼R | |||
2세대 |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 ||||
3세대 | C1 아리에테 | ||||
3.5세대 | {아리에테 AM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 |||
궤도장갑차 |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 ||||
차량 | 소형 | VM-90, AR-90, VTLM 린체 | |||
트럭 |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B1 HMCR, 섹스턴R, M44R, | |||
자주박격포 |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 ||||
대전차 자주포 |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113 SIDAM-25*, | |||
다연장로켓 | M270 MLRS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M74 TRVR, M32B1 TRVR, BPz 2 | |||
전투공병차량 | PiPz 2 닥스 | ||||
교량차량 | 밸런타인 가교전차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키프로스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키프로스 방위군 (1960~현재) Εθνική Φρουρά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T-34-85CZR | ||||
MBT | 2세대 | AMX-30R, AMX-30B2 | |||
3세대 | T-80U, T-80UK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152R, EE-3 자라라카, EE-9 카스카베우, EE-11 우루투, ELVO 레오니다스-2, VAB | |||
궤도장갑차 | 밸런타인 장갑차R, BMP-3 | ||||
차량 | 소형 | BOV M16 밀로슈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NORA B-52, SpGH 수사나, M107, M110A2, Mk F3 155mm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31 토르-M1, 9K37M1-2 부크-M1-2 | ||||
구난 차량 | BREM-1 | ||||
다연장로켓 | M-63 플라멘, M-77 오간R, BM-21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키프로스 방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튀르키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 ||||
기타전차 | T-26R, T4R, 5호 전차R, M4 셔먼R, M24 채피R, M3 스튜어트R, 밸런타인R T-34-85CZC/R | ||||
MBT | <colbgcolor=#e30a17> 1세대 | M48A5T2 | |||
2세대 | M60(A1/A3 TTS), 레오파르트 1A3 · 1T | ||||
3세대 | M60T 사브라, 레오파르트 2(A4TR/A4T1) | ||||
3.5세대 | 알타이 T1 | ||||
중형전차 | 카플란E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80, UR-416, BMC 키르피 I/II MRAP | |||
궤도장갑차 | 케말 투랄 APCR, M113A3T1/T2, ACV-15, FAARV, ZAHA | ||||
차량 | 소형 | 오토카르 코브라/ Engerek, ZPT, 디펜더, M151, 지프 랭글러 | |||
트럭 | 벤츠 악트로스 · 악소르 · 유니목 · NG, M977 HEMTT, BMC 185-09 · 235-16 · 380-26 · Fatih 280 · M35, M939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44TR, M52T, M55 SPHR, M107R, M108TR, M109*, M110A2R, T-155 (프르트나/프르트나 2) | |||
자주박격포 | M106A1, M125A1, ACV-AMV-81 | ||||
대전차 자주포 | M36B2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42A1 더스터R, ACV-30 코르쿠트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아틸간 PMADS, Zıpkın PMADS, HISAR-A | ||||
다연장로켓 | M270A1 MLRS, T-122 사카리아, T-300 카쓸가 | ||||
구난전차 | M74, BPz 2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터키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북아프리카 전역 동안 3000마일(4800km)의 주행거리를 기록한 적도 있으며, 정비없이 500마일(800km)를 운행한 기록도 존재한다.[2] 1940년부터 1944년까지 도합 8,000대 이상 생산되어 2차대전 시기 영국 전차 중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나 3,332대는 소련군에 인수되어 사용되었다.[3] 영국 및 러시아가 의장용으로 운용 중.[4] 이 탓에, 패리쉬-레이크만 마운트를 장착하도록 했으나, 구조가 복잡했고 전차장이 전차 내부에서 나와 사용해야 했기에 피격 확률이 높았다. 이 탓에 Mk. X 형식으로 개선되게 된다.[5] 다만 이는 이름에 관한 여러가지 설 중 하나일 뿐이다. A9 / 10 전차 등 빅커스-암스트롱 사에서 여러가지 기갑차량을 개발한 존 발렌타인 카든의 중간 이름을 따서 붙였다는 설도 있다.[6] 소련제 T-34-76의 예만 봐도 그렇다. 해당 전차는 전장에서 생존 시간이 극도로 줄어든다는 판단 하에 최대 200시간 정도만 굴러갈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신뢰성을 낮춰버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