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genheiros Especializados 11 Urutu |
1. 개요
"EE-11 우루투"는 EE-9 기반의 병력수송장갑차다.2. 제원
| |
제원 | |
중량 | 14t |
전장 | 6.15m |
전폭 | 2.65m |
높이 | 2.12m |
부무장 | M2HB 12.7 mm 대공기관총 x1 |
탄약 | 12.7 mm 800발 |
장갑 | 6~12mm 2중 강철도금 |
최대기동거리 | 850km |
엔진 | 6V-53T 6기통 수랭식 디젤엔진(260마력) |
톤당 마력 | 18.5hp |
기동속도 | 105km/h 8km/h(해병대용)[1] |
승무원 | 1명 |
하차조 | 12명[2] |
3. 상세
브라질군 최초 자국산 장갑차이기 때문에 파생형 차량들이 다양한 편으로 장갑구급차, 90mm 포탑형, 105mm 저반동포 장착형, 자주박격포 등이 있다. 또한 EE-9과 함께 남미와 중동, 아프리카에 수출실적을 거둔 브라질 효자상품이기도 했다. 하지만 워낙 오랜시간 운용해온 탓에 많이 노후화되어있으며 경찰용 장갑차도 빠른 대체를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다. 브라질군에서는 이미 2014년부터 VBTP-MR 과라니로 대체를 시작했지만 경찰은 아직 미지수라고 한다.EE-11도 기본베이스는 M8 그레이하운드와 다를게 없지만 EE-9과 달리 병력수송이 목적이다보니 차체가 상당히 대형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부는 M8 그레이하운드에 포탑을 제거하고 병력수송능력을 향상시킨 M20을 닮았다는 의견이 있다.[3]
오랜시간 브라질 육군의 주력 기계화보병의 핵심 기갑차량으로서 활동하였다. 육군용에는 수륙양용이 아니지만 해병대에서는 수륙양용으로 개량되었다고 한다.
4. 실전
4.1.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
|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에 투입된 브라질 유엔평화유지군 소속 EE-11 |
5. 사용 국가
5.1. 아메리카
5.1.1. 남아메리카
5.1.1.1. 브라질
|
브라질 육군 소속 M8 LAC & EE-9 & EE-11 |
5.1.1.2. 콜롬비아
|
콜롬비아 육군 소속 AM8 & EE-9 카스카베우 II & EE-11 |
5.2. 아프리카
5.2.1. 중앙아프리카
5.2.1.1. 가봉
|
가봉 육군 소속 EE-11 |
6. 참고문헌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콜롬비아군 (1945~현재) Fuerzas Militares de Colombia | |||
<colbgcolor=#FCD116> 기타 전차 | <colbgcolor=#FCD116> '''[[경전차| 경전차 ]]''' | M3A1 스튜어트R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LAV III | M1117 가디언 | RG-31 니알라 | BTR-80 카리브■ | EE-11 우루투 | EE-9 카스카베우 | 헌터 TR-18 | EJC 타이탄(A~C) | ISBI 메테오로 | 버펠R | M20 에스카라바호M/R | M8 LACR | M3 스카웃 카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M113(A1/A2 → A3) | |||
차량 | 소형 | [[ATV| ATV ]] 캔암 커맨더 MAX · 디펜더 HD8 · 매버릭 X3 · 아웃랜더(XT/800R)[[소형 전술차량| IMV ]] 험비 | 샌드캣 | M-462 아비르 | M715민수용 쉐보레 콜로라도 CSLS | ||
트럭 | 군용 M35(A1/A2) | M939 | 나비스타 MV 7400■ | 우랄-4320상용 쉐보레 코디악■■ | 이스즈 엘프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ATMOS 2000} | 호야 SAA-1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AM8M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dd00> 에콰도르군 (1830~현재) Fuerzas Armadas del Ecuador | |||
경전차 | AMX-13 | |||
장갑차 | <colbgcolor=#ffdd00> 차륜장갑차 | M3 하프트랙, AML 245 H60/90, BTR-3U, EE-3 자라라카, EE-9, EE-11, UR-416 | ||
궤도장갑차 | AMX-VCI, M113A2+ | |||
차량 | 소형 | AM10, AM20, 험비, AIL 스톰, UR-53AR50, BLR | ||
트럭 | CUCV II, M939, M35,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EE-25, 시노트럭 HOWO 336 · A7 · 371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AMF3 | ||
대공 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3 오사 | ||
지원 차량 | 구난 차량 | MT-55, AMX-13 ARV | ||
교량차량 | AMX-13 ALB | |||
다연장로켓 | BM-21, RM-70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B40A2D><colbgcolor=#377E3F> 수리남 국군 (1975 ~ 현재) Nationaal Leger | ||
장갑차 | <colcolor=#B40A2D><colbgcolor=#B40A2D> 차륜장갑차 | EE-9, EE-11, YP-408 | |
차량 | 트럭 | DAF YA 4440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2e8b57> 사우디아라비아 왕립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 ||||
MBT | <colbgcolor=#2e8b57> 1세대 | M47 패튼R | |||
2세대 | AMX-30SAS, M60A3S | ||||
3.5세대 | M1A2S | ||||
경전차 | M41 워커 불독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UR-416, TPz 푹스, 파나르 M3, 넥스터 아라비스, Al-Masmak MRAP, LAV 6.0SANG, 피라냐 IISANG, V-150SANG, EE-11SANG | |||
궤도장갑차 | M113, AMX-10PS, M2A2 | ||||
차량 | 소형 | M151R, 험비, M-ATV, URO VAMTAC, CUCV | |||
트럭 | M939, M35, HET/HEMTT, FMTV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9(A3/A5), AU-F1, PLZ-45, CAESARSANG | |||
자주박격포 | LAV II AMS-II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AMX-30 SA, 크로탈, HQ-17AE | ||||
레이저 | 사일런트 헌터 | ||||
다연장로켓 | M270 MLRS, ASTROS II, K-239 천무, TOS-1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SANG: 사우디아라비아 국가경비대(Saudi Arabia National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짐바브웨 방위군 (1980~현재) Mauto eZimbabwe | ||||
기타 전차 | T-34-85MR | ||||
MBT | 1세대 | 59식 | |||
2세대 | 69식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페렛, UR-416, EE-9 카스카베우, EE-11 우루투 | |||
궤도장갑차 | 89식 | ||||
차량 | 소형 | 둥펑 EQ-2050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 |||
다연장로켓 | RM-7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앙골라군 (1991 ~ 현재) Forças Armadas Angolanas | |||||
기타 전차 | T-34-85R | |||||
MBT | <colbgcolor=#cc092f> 1세대 | T-55AM2 | ||||
2세대 | T-62, T-72M1 | |||||
경전차 | PT-76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2, BTR-152, BTR-60, BTR-80, OT-62 TOPAS, EE-11, WZ-551 | ||||
궤도장갑차 | BMP-1, BMP-2, BMP-3, MT-LB | |||||
차량 | 소형 | 카스피르 NG2000B | ||||
트럭 | 우랄-4320, 우랄-375, 스타 266, 볼보 C303, KrAZ-6322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 ||||
자주평사포 | 2S7 피온 | |||||
대전차 자주포 | PTL-02 |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ZSU-57-2 | |||||
다연장로켓 | BM-21, BM-24, RM vz. 7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육군용은 2km/h[2] 최대 14명까지 탑승 가능[3] 애초에 베이스인 EE-9 부터가 사실상 M8의 자국산화 버전에 가까운 차량임을 감안하면 M20과 닮아지는 것이 당연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