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2S7 피온| | }}} | |||||
| |
| 2С7 «Пион» (Объект 216) |
1. 개요
| 2S7 운용 영상[1] |
소련군에 1975년에 채용되어 NATO에선 2S4 튤판과 같이 M-1975로 불렸다.
2. 제원
| 2С7 Пион | |
| 개발사 | OKB-2, KB-3 |
| 제조사 | 키로프 공장 |
| 중량 | 46.5t |
| 전장 | 10.5m |
| 전폭 | 3.38m |
| 전고 | 3m |
| 엔진 | V-46-1 4행정 12기통 디젤 엔진 |
| 변속기 | ??? 수동변속기 |
| 현가장치 | 토션 바 |
| 최대출력 | 780마력(2000 rpm) |
| 최고속도 | 50km/h (도로) |
| 톤당 마력 | 17.25hp/t |
| 항속거리 | 650km |
| 도섭 가능 심도 | ?m |
| 주포 | 2A44 203mm 56.2구경장 평사포 1문 |
| 발사 속도 | 분당 1.5발 |
| 포각도 | 부양각 0°~+60° 방위각 -15°~+15° |
| 사거리 | 8.4km~47.5km |
| 조준기 | PG-1M, OP-4M |
| 부무장 | NSVT 12.7mm 중기관총 1정 |
| 탄약 적재량 | 203mm 포탄 4발
|
| 탑승인원 | (단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2, +탄약 운반수 2) 7명 |
| 방어력 | 방탄 |
| 장갑 | 균질 압연 장갑 |
| 차체 전방위 약 10mm 차체 제외 비장갑 | |
3. 개발
1949년 8월에 소련에서 RDS-1의 핵실험을 성공하면서 소련도 핵폭탄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나라가 되었다. 이에 미국을 위시로 한 서구권과 소련을 위시로 한 동구권 진영 사이에서 경쟁적으로 핵무기가 늘어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고, 전면적인 핵전쟁보다는 전술 핵무기를 통한 제한적인 핵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늘어났다.1950년대 초반에 미국과 소련 양측은 전술 핵무기 투발 수단에 대한 문제가 생겼다. 당시 핵무기 운반 수단으로 미국은 B-29, 소련은 Tu-4 전략 폭격기를 썼지만 폭격기로는 전력이 밀접한 전방의 적을 타격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전방의 적을 타격하기 위해서는 군단과 사단의 포병, 전술 미사일 체계, 무반동포 등이 적합했다. 소련에서는 T-10 중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한 전술핵 운용이 가능한 420mm 구경의 2B1 오카 를 1955년도에 개발 시작, 57년 11월에 공개하였으며, 406mm 구경의 2A3 콘덴사토르-2P 자주포 또한 개발해서 운용했지만, 상당히 크고 무거운 포를 올려놓은 만큼 기동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당시 소련의 신형 자주포 개발은 미사일 개발에 더 집중하려던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의 지시에 따라 중단되었다.
한동안 소련에서는 신형 자주포가 개발되지 않다가 1964년 10월에 흐루쇼프가 물러난 뒤로 다시 시작되었다. 1967년 봄까지 오비옉트 434(T-64A)의 차체를 기반으로 신형 자주포를 설계했다. 신형 자주포의 설계는 코닝타워를 갖춘 형태였지만, 국방부가 이를 부정적으로 보면서 취소되었다.1967년 12월 16일, 방위산업성의 제801 명령에 따라 새로운 자주포 형상과 기본적인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자주포에 대한 주요 요구 조건은 최대 사거리 25km였다. 미사일 포병총국(GRAU)의 지시에 따라 장착할 포의 구경을 선택하는 작업은 칼리닌 군사 포병 학교에서 진행했다. 당시 주무장으로는 210mm S-72포, 180mm S-23포, 그리고 180mm MU-1 해안포 등이 고려되었고, 이 중에서 S-72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볼고그라드에 위치한 바리카다 공장의 OKB-3 설계국에서 이전에 개발한 203mm 구경의 B-4 곡사포에 사용된 설계와 제조 기술을 쓸 수 있도록 구경을 210mm에서 203mm로 줄이자는 제안을 했고, GRAU가 이를 승낙힜다.
포 구경이 선정됨과 함께 차체 결정 작업이 진행되었다. 당시 제안된 설계 중 하나는 T-64A 전차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MT-T 다목적 트랙터를 섀시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오비옉트 429A라는 코드명이 붙었고, 동시에 T-10 중전차를 기반으로 만든 차체도 만들어져서 216.sp1이라는 형식명을 부여받았다. 연구 결과, 포탑 없이 포를 차체 위에 바로 올리는 방식이 적합하다는 결론이 내려졌지만, 기존에 개발된 차체 중에는 발사 시 반동을 견딜 수 있는 것이 없다는 문제가 생겼다. 결국에는 기존에 운용 중인 차량과 최대한의 통일성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자주포 차체를 T-80 기반으로 만드는게 정해졌다. 그리고 새 자주포의 이름도 피온으로 정해졌으며, 기존에 운용중이던 구형 B-4 견인포들을 대체하는 목적을 가졌다.
이렇게 신형 자주포 개발은 1970년 7월 8일에 중앙군사위원회와 각료 회의 명령 제427-161에 의해 승인되면서 시작했다. 키로프 공장에서 신형 자주포 2S7의 개발을 주도하면서 차체는 키로프 공장의 KB-3 설계국이 맡았고, 볼고그라드의 바리카다 공장의 OKB-3 설계국이 자주포의 주무장으로 쓰일 2A44 203mm 평사포의 개발을 담당했다. 포를 장착할 새로운 차체는 216.sp2로 명명되었다.
1971년 3월 1일, 새로운 2S7 자주포를 위한 전술 및 기술 요구사항이 승인되었다. 요구 사항은 110kg의 고폭파편탄을 8~35km 거리에서 발사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기존의 B-4M 곡사포를 위해 개발된 3VB2 전술 핵무기를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이었다. 고속도로에서의 이동 속도는 최소한 50km/h가 요구되었다.
프로토타입은 1973년에서 1974년 사이에 2대가 제작되었고, 첫 차량은 스트루기크라스니에 보내져서 시험을 받았고, 두번째 차량은 사격 테스트를 받았다. 두번째 차량이 사격테스트에서 요구된 사정거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생겼는데, 장거리 사격에 최적화 된 추진 장약과 탄두 구성을 고르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 여러 테스트를 거친 후, 피온 자주포는 1975년에 소련군에 채택되었고 피온의 203mm 포에서 발사될 수 있는 전술핵 포탄은 1977년에 소련의 VNIITF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
4. 상세
동시기 서방의 자주포들인 M107과 M110이 겪은 문제를 긴 포신과 무거운 차체를 채용하여 해결했다. 203mm 평사포 구경장을 10m 가깝게 늘려 정확성과 사거리를 모두 개선한다. 과다한 반동에 의한 차체 밀림 현상은 무거운 포신을 버티는 무거워진 차체로 받아내며, 처음부터 경량 궤도형 플랫폼을 사용한 M110과는 다르게 주력 전차의 차체를 유용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차체는 T-80을 기반으로 하나 길이가 길어지면서 보기륜이 한쌍 더 늘어난 것과 같이 상당히 재설계 되었다. 엔진은 T-72의 V-46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V-46-1을 사용한다. 통상적인 고폭탄 사격 이외에도 특수 핵포탄을 이용하는 핵투발 능력도 있다.그렇지만 분리장약식 포탄을 4발만 적재하여 후행 탄수가 모자란다. 운반차량[4]이 따라붙어도 8발밖에 되지 않아 지속적인 화력 투사는 어렵다. 수동 장전은 운용 인원이 내려서 포탄 크기로 만들어진 리어카로 하나하나 옮기거나 아니면 4~5명이서 포탄을 낑낑 들어옮겨서 자동화된 기계팔에 얹는 방식이다. BM-30 같이 크고 아름다운 대구경 다연장로켓에 비해 이점이 적고, 오픈탑 형태여서 대포병사격에 의해 쉽게 무력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러시아군에서도 운용 대수가 줄어드는 형편.
북한의 M-1989 주체 자주포가 비슷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2S7의 영향을 받았다는 예상이 많다.
5. 개량형
5.1. 2S7M 말카
| |
| 2С7М «Малка» |
2017년~2018년부터 2020년까지 2S4 튤판과 더불어 러시아군에서 추가적인 현대화 개량을 받았다. MT-LB 기반의 1V12M 지휘차량을 통해서 글로나스 항법 시스템과 연동되는 기능도 생겼다고 한다.
6. 파생형
6.1. S-300V
| |
| 9M82/9M83 С-300В |
6.2. BTM-4M 툰드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TM-4M 툰드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TM-4M 툰드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실전
7.1. 냉전
7.1.1.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7.2. 현대
7.2.1. 제1차 체첸 전쟁
7.2.2. 제2차 체첸 전쟁
7.2.3. 남오세티야 전쟁
7.2.4. 돈바스 전쟁
7.2.5.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7.2.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 러시아 육군 소속 2S7M 말카 |
| |
|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2S7 피온 |
키이우 전투 개시 직후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상장은 전쟁이 발발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키이우 주변의 주둔지와 훈련소에서 가용 가능한 피온 포대들을 긁어와 수도 방위 목적으로 투입했다. 피온이 주둔했던 기지들은 자주포가 외부로 배치된 직후 러시아군의 순항미사일 타격을 받았지만 피온 자주포는 무사했고, 고속도로를 타고 남하하는 러시아군에게 포격을 가해 작전 초기의 중요한 순간에 키이우를 지켜냈다.[5]
'Bonk' 인터넷 밈을 테마로 꾸민 우크라이나군의 2S7이 등장하기도 했다.(링크)
8. 운용국
8.1. 유럽
8.1.1. 소련
원조 사용국. 보유 차량들은 소련 해체 당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등으로 넘어갔다.8.1.2. 러시아
| |
| 러시아 육군 소속 2S7M 말카 |
8.1.3. 우크라이나
99대를 보관하고 있다가 돈바스 전쟁 이후 재취역했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탄약 부족으로 인해 B-4 곡사포용 포탄이나 미국에서 지원된 것으로 추정되는 M115 8인치 곡사포의 포탄을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8.1.4. 벨라루스
2010년 당시 36대.8.1.5. 조지아
2023년 기준 1대.8.1.6. 폴란드
1989년에 8대를 보유했다. 2006년에 전량 퇴역했으며 한 대가 체코에 위치한 레샤니 군사 기술 박물관에 전시되었다.8.1.7. 헝가리
8.1.8. 체코슬로바키아
1984년부터 1994년까지 잠베르크의 제17 대구경 포병 사단에서 12대를 운용했다. 지금 체코에서는 레샤니 군사 박물관에서 한 대를 보관되어 있다 .8.1.9.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3군이 체코슬로바키아군으로부터 이전받았다. 그 중 한대는 피에스차니 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하나는 군사 기술 및 시험 기관인 Záhorie에 보관되었다.8.2. 아시아
8.2.1. 우즈베키스탄
8.2.2. 아제르바이잔
2008-2009년에 러시아로부터 최소 12대를 인수했다.8.3. 아프리카
8.3.1. 앙골라
| |
| 앙골라 육군 소속 피온 |
9. 미디어
- 워게임: 레드 드래곤/소련 중자주포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물론 분당 3발 사격 속도와 거지같은 조준 속도로 이걸로 대포병 사격이나 통상타격은 무리고 그냥 FOB 타격이나 정찰병을 이용한 정지 타겟에 장거리 저격만 써먹을 수 있다. 물론 203mm 구경에 맞게끔 he도 10이라 맞기만 한다면 불벼락을 내려줄 수 있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소련의 헤비 아틸러리로 나온다. 미국의 헤비 아틸인 M270 MLRS나 NATO의 헤비 아틸인 LARS는 다연장로켓이어서 발사 시의 후폭풍 탓에 위치가 발각되기 쉽고 적이 멀리서 날아오는 수많은 로켓들을 보고 피해버리는 경우가 잦아서 보통 건물이나 방어 진지에나 쓰는 편이지만 이 녀석은 포탄을 쓰는 중자주포여서 저 둘에 비해 위치를 숨기기가 쉽고, 날아올때 마다 장관을 연출하는(...) 로켓들과는 달리 한발의 포탄이 적을 향해 날아갈 뿐인지라 적 유닛을 상대하는 용도로는 더 적합한 편.
- BROKEN ARROW - 러시아 팩션의 자주포 유닛으로 2S7M 말카가 등장한다.
- WARNO - 피온과 말카 모두 등장한다. 38km의 엄청난 사거리와 강한 공격력을 지녔지만 연사력이 매우 낮다.
10.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ff55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ff5500>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colbgcolor=#FF3300> 전차 | - | T-28 · KV-1 · IS-2 · IS-3 · T-10 · PT-76 · T-80 · 오비옉트 279 | |
| 장갑차 | - | 오스틴-푸틸로프 · 가포드-푸틸로프 장갑차 | |
| 자주포 | - | ISU-152 · ISU-122 · 2A3 콘덴사토르-2P · 2B1 오카 |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1457e>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1954~1990)의 기갑차량 | ||||
| 기타 전차 | T-36, LT-38/37, T-40/75, IS-2, | ||||
| MBT | <colcolor=#373a3c><colbgcolor=#11457e> 1세대 | T-54(A/AM/AR Reika), T-55(A/AM1 · M1B/AM2 Dyna-1 · M2B/AMB) | |||
| 2세대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SKOT (A/C), OT-65, BRDM-2 | |||
| 궤도장갑차 | OT-810, BPzV, OT-62(A/B/Vydra), BVP-1 · OT-90, BVP-2 | ||||
| 차량 | 소형 | 스코다 1101 VO, UAZ-469 | |||
| 트럭 | 타트라 148 · T-813 · T-815, 스코다 6L · RSO · 706, 프라가 V3S |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T-II, ShKH vz.77 Dana, 2S1 Karafiát, 2S7 Pivonka | |||
| 자주박격포 | 2S4 튤판 | ||||
| 대전차 자주포 | ST-I, ST-III, SD 75/40N, SD-100, TSD-152 |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Vz.53/59 PLDvK, STROP-(1/2) |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PLRK S-1M2, PLRK S-10M, 9K33(M2/M3) 오사 | ||||
| 다연장로켓 | BM-24, RM vz. 70 | ||||
| ※ 이텔릭체: 외산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바그너 그룹 (2013~현재) ЧВК «Группа Вагнера» | |||||
| 전차 | <colbgcolor=black> 3세대 | T-72B3M, T-80BV | ||||
| 3.5세대 | T-90M 프로리프-3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82A, BRDM-2 | ||||
| 궤도장갑차 | BMP-3M, BMP-2 | |||||
| MRAP | 체칸 | |||||
| 차량 | 소형 | UAZ 패트리어트, GAZ 티그르C | ||||
| 트럭 | UAZ 픽업, 우랄-4320 | |||||
| 자주포 | 자주평사포 | 2S5 기아친트-S, 2S7M 말카 | ||||
| 다연장로켓 | BM-21, BM-27 | |||||
| 자주대공포 | 판치르-S1, 9K35 스트렐라-10M |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조지아군| 조지아 방위군 (1991~현재) ]]'''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თავდაცვის ძალები | ||
| <colbgcolor=#FFF> '''[[주력 전차| MBT ]]''' | <colbgcolor=#FFF> '''[[1세대 전차| 1세대 ]]''' | T-55AM2 | T-54 | |
| '''[[2세대 전차| 2세대 ]]''' | T-72B | ||
| '''[[3세대 전차| 3세대 ]]''' | T-72SIM1 |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BTR-80 | BTR-70 | 에이데르 | 디드고리-3 | 디드고리-2 | 쿠거 HE | 부란 | BRDM-2 | BTR-60 |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BMP-2 | BMP-1(P/U) | MT-LB | ||
| 차량 | 소형 | [[소형 전술차량| IMV ]] 디드고리-1 | 오토카르 코브라 | 험비 | 랜드로버 디펜더민수용 포드 레인저 | 현대 스타렉스 | 토요타 하이럭스 · 랜드 크루저 | |
| 트럭 | 군용 우랄-375 | KrAZ-6322 | KrAZ-255 | M35(A2/A3) | M939 | ZiL-131 | GAZ-66상용 MAN TGS | 이베코 트래커 |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2S1 그보즈디카 | 2S3 아카치야 | ShKH vz. 77 다나 | |
| '''[[자주평사포| 자주평사포 ]]''' | 2S7 피온 | ||
| 다연장로켓 | BM-21 | RM-70 | LAR-160 | RS-122 |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ZSU-23-4 쉴카 |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조지아 유도무기 | ||
| 지원차량 | 공병차량 | IMR-2 | BAT-2 | GMZ-2 | |
| 교량차량 | MT-55 | MTU-20 | TMM-3 | ||
| ※ 갈색 글자: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둘러보기 :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우크라이나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сили України | ||||
| 기타전차 | T-34-85R, T-34-85MR, T-40/75R, IS-3C/R | ||||
| MBT | 1세대 | T-55MR, M-55S | |||
| 2세대 | 오비옉트 169C, T-62MC, T-64(AS/AV/RR/BS/BV), T-72(uralC/AMC/AV/M1/BC/B1C), 레오파르트 1A5(DK/BE/{C3105}) | ||||
| 3세대 | T-64(BM/BM2 "불라트/크라브")M, T-72(B3C/B3MC/UA1/AMTM/M(R)M/M1(R)M/어벤져M), T-80(BS/BV/ | ||||
| 3.5세대 | T-84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1RC, BRDM-2DI 하자르, R-156BTR · R-145BMRC, BTR-60(DM)RC, TAB-71M, 호룬지, BTR-70RC, BTR-80 · R-149(MA1,MA3)C, BTR-3(E/DA), BTR-4(E/KSh), BTR-7, 부시마스터 PMV, AT105C 색슨, KrAZ-슈렉 1, 맘바 APC, Varta IMV, VAB, FV701 페렛, XA-180/185, BTR-82AC, BPM-97C, OT-64, BATT UMG, 판테라 T6, ACMAT 바스티온, 로셸 세네터 ARV, INKAS 타이탄-S, 페넥, AMX-10RC, ACSV, {LAV III}, LAV-2, 피라냐 III, M1126 스트라이커, LKOV 발루크, BMR VRAC, KTO 로소막, 파트리아 XA-300, Gurkha, M1117, 푸마 6×6, BOV, 복서 RCT30, {음봄베 6}, {그리즐리} | |||
| 궤도장갑차 | PT-76R, M113(G3DK/G4DK/AS4), NM199, M577, VCC-2, LPG WDszD, GT-MUS , BMP-1S(KSh/U/TS/PC) · BRM-1K, BWP-1, BVP-1, Pbv 501, OT-90, BMP-2(K), BMP-2C(MC), BMP-3, DT-30C/R, BPzV, BVP M-80A, BMP-55, BMPT-62M,BMO-TC, BMD-1, BMD-2, BMD-3C, BMD-4MC, BTR-D*, MT-LB(u), MT-LB-12M, MT-LB(ZU-23-2)M, 9P149 슈투름-S(SM), BMP-1LBM, BTR-50, PTS-2, PTS-3C, AB-13, BMP 케블라-E, CVR(T)(FV101 스콜피온, FV103 스파르탄, FV104 사마르탄, FV105 술탄, FV107 시미터), YPR-765, BMP M2, M7 BFIST, SPz 마르더, Bv 202, Bv 206(S), BvS 10, 브롱코 ATTC, FV432, FV4333 스토머 HVM, FV430 Mk3 불독, CV90, M992A2, TZM-TC, Pbv 302, 모로오카 자재운반차, KF41 링스 | ||||
| 차량 | 소형 | 퀴벨바겐, 험비, SCTV, ZAZ-11055 타우리아 픽업, LuAZ-967, 이베코 LMV, 토요타 랜드 크루저(LC79 APC-SH 파이터 2), UAT-TISA, 타르판 혼커, KrAZ 스파르탄, KrAZ 피오나, 코자크-2, 도조르-B, UAZ-469R, UAZ-452(A)R, UAZ 헌터, GAZ-2975 티그르C, 티그르-MC, GAZ-3937 보드닉C, 허스키 TSV, 스내치 랜드로버, 산타나 아니발, MLS SHIELD, BMC 키르피(-2), M1224 MaxxPro, 쿠거(마스티프, 울프하운드), RG-31 Nyala, GAIA amir, ATF 딩고, Novator(-2), UAT-D Gyurza(-2), 기아 스포티지, 폭스바겐 아마록, 닛산 나바라, 닛산 엑스트레일, 보흐단-2251, Bars-6, Bars-8, K-53949 타이푼-KC, KamAZ-53949 린자C, AMN-590951C, Z-STSC, MOWAG 이글, 도요타 하이럭스, M-ATV,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푸조 P4), 카라칼, 에녹 MBB, {KM420}, 메르세데스-벤츠 비토, BMW X3, 미쓰비시 트라이톤, 스즈키 짐니, 오토카르 코브라 II, 지프 랭글러, URO VAMTAC,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폭스바겐 크래프터, 미쓰비시 파제로, 현대 갤로퍼, 현대 산타페, 현대 테라칸, 랜드로버 프리랜더, 지프 그랜드 체로키, 쉐보레 서버번, 포르쉐 카이엔, 73식 1/2t 트럭, HMV 하야테,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코요테 Extendar Mk2, 폴라리스 RZR, 페트라, 시트로엥 베를링고, TAHA, {Inguar-3}, {Ermine} | |||
| 트럭 | ZIS-164R, AT-T, MT-T, ATS-59G, STZ PR-14SC, IFA W50, 프라가 V3S, KrAZ-7140, KrAZ-6446, KrAZ-6316, KrAZ-6322, KrAZ-6333RE, KrAZ-5233BE, KrAZ-260, KrAZ-255, MAZ-537, MAZ-5337, MAZ-6317, KamAZ-6350, KamAZ-5350, KamAZ-4310, KamAZ-4350, GAZ-3307, GAZ-3308, GAZ-51R, GAZ-66, GAZ-53, GAZ GAZelleC, 우랄-4320 · 우랄-375D, ZiL-130, ZiL-131, Star-266, SA-10U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435(U1300L) · 437, 메르세데스-벤츠 제트로스, 메르세데스-벤츠 악소르, 메르세데스-벤츠 아록스, 이베코 VM90 · ACM90 · ACL90 · 트래커 · 스트라리스 · 유로카고 · 아스트라 SM 66.40 · M320, RMMV HX40M · HX77 · HX81, 핀츠가우어, 사우어 M8, 르노 D, 르노 TRM-2000 · 10000, 르노 GBC-180, M939, FMTV, MTVR, HEMTT, MAN LKW · KAT1 · TGS, 볼보 N10, 볼보 FM, M1070 HET, M1297 A-GMV, KamAZ 타이푼C, KamAZ 무스탕C, DAF YAZ-2300 · YA-4442 · YA-328, 타트라 T-185, 타트라 813, 타트라 피닉스, Jelcz P882 D53, AT42, 스카니아 P92, 스카니아 P113, 스카니아 P124, 울프람, KM450, K-711A1, 포드 F-250, 포드 F-150 랩터, 램 픽업, 피아트 풀백, 타타대우 노부스, 타타 텔코라인, 슈타이어 91, JAC J8, 이베코-마기루스 120-23, 푸조 랜드트렉, 지프 코만치, 이스즈 D-맥스 | ||||
| <colbgcolor=#ffd500> 자주포 | <colbgcolor=#ffd500> 자주곡사포 | 2S1RC, 2S3C, 2S19, 2S33C, 2S22 보흐다나, PzH2000, CAESAR, M109(A3GN/A4BE/A5Ö/L), M109A6 팔라딘, AHS 크라프, ShKH vz.77 Dana, 155mm ShKH Zuzana, RCH 155, AS90, 아처, 호크아이 | |||
| 자주평사포 | 2S5RC, 2S7 | ||||
| 자주박격포 | 2S9(2S17-2C, 2S23C)RC/M, Bars-8MMK, 알라크란, Panzermörser 120, M1064, 2S34C, KTO Rak, SMM 74 B1.10 |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Vz.53/59 PLDvK, ZSU-23-4 쉴카RC/C, 2K22M1 퉁구스카, ZSU 게파트, 스카이넥스, 빅토르 방공시스템, 히브네리트, {Tridon Mk.2} |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CA-95, 9K33M2 오사, 9K35 스트렐라-10M, 9K330 토르RC, 판치르(S1, S2)C, 스토머 HVM, NASAMS, 크로탈, AN/TWQ-1 어벤저, RIM-7 시스패로우, IRIS-T SLS, 레이븐, 그레이브호크, 뱀파이어, {래피드레인저} | ||||
| 중장거리 대공미사일 | S-125M, S-300(V1/PT/PS/PMU), 9K37 BUK-M1, 2K12 KUB, IRIS-T SLM, 스파다, 아스파이드 2000, MIM-23 호크, MIM-104 패트리어트, SAMP/T | ||||
| 지대함 미사일 | R-360MC, HCDS | ||||
| 레이더 기기, 차량 | P-14, P-18, P-19, P-35, P-37, 베라 레이더, 79K6, ST-68, 80K6M, MR-18, AN/TPQ-36, AN/TPQ-48, AN/TPQ-49, AN/MPQ-61/62/64 센티넬, Zoopark-1C, TRML-4D, COBRA, MAMBA ARTHUR, Thales SQUIRE, PRV-11·13·16, Ground Master 200, 지라프, 1S91, 36D6, ieMHR, GO12, Arabel, 112L4, NEVA-BC, SurveilSPIRE, {SPEXER 2000 3D Mk3}, {Amber 1800} | ||||
| RWS, CUAS, EW | 슬링어, 뱀파이어, CROWS, {CORTEX Typhoon}, {Terrahawk Paladin}, EDM4S, 부코벨-AD, NOTA, Moruś, DroneDefender, KVS G-6, R-330 | ||||
| 다연장로켓 | BM-21(V/U/K/A/B/MT) 그라드, 바스티온-2M, APR-40D, BM-27 우라간RC, 부레비, 빌하, BM-30 스메르치, TOS-1 부라티노C, RM-70, M270 MLRS, LRU, MARS II, M142 HIMARS, TRG-230, RAK-12, 63식, VM-5M, VM-8M, M93A3 | ||||
| 무인 차량 | UGV | 테미스, {Bozena-4}, Bozena-5, GCS 200, DOK-ING MV-4, D-250, Revival P, 류트, Sigyn Mk1, 프로텍터, {Hermelin} |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BREM-4K, BREM-2S, BREM-1, VT-72B, BTS-4, BTS-5B, REM-KLC, FV106 삼손, BPz 2, BPz 3, M984A4 HEMTT, CRARRV, 오시코시 Mk36, FV434, NM217, M88(A2), Bärgningsbandvagn 90, 위센트 1, Zhuk | |||
| AEV | BAT-2RC, IMR-2S, IMR, IRM, 닥스, WZT, NM189, MiRPz Keiler, 레오파르트 2R, Hydrema 910, BTM-3, FV180, M1150 ABV, BM307-V16, ScanJack 3500, 코마츠 D85MS, {SDZ} | ||||
| 교량 차량 | MTU-72S/C, MTU-20, MT-55, MTU-12, PMP, TMM-3, 비버, M60 AVLB, {M3 자주도하장비}, {EFA} | ||||
| 기타 | UR-77, M58, ZB-WLWD, MDK-2M, MDK-3, GMZ-3, HEP-70, PMZ-4, KTA-25, 쉴더, I-52, KhTZ T-150K, EOV-4421 |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BMD-1 차체를 이용한 APC. BTR 시리즈가 아님.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우즈베키스탄군 (1992~현재) Oʻzbekiston Respublikasi Qurolli Kuchlari | ||||
| 기타전차 | <colbgcolor=#0099b5> 중형전차 | T-44 | |||
| MBT | 1세대 | T-54 | |||
| 2세대 | T-62M, T-62MV, T-64B, T-72, T-80BV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60, BTR-70, BTR-80, BTR-82A, BRDM-2M | |||
| 궤도장갑차 | BMP-1, BRM-1K, BMP-2, BMD-1, BMD-2, BTR-D | ||||
| 차량 | 소형 | 타이푼-K, VP11, 쿠거 |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 |||
| 자주평사포 |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 ||||
| 자주박격포 | 2S9 노나-S |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
| 다연장로켓 | BM-21, BM-2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앙골라군 (1991 ~ 현재) Forças Armadas Angolanas | |||||
| 기타 전차 | T-34-85R | |||||
| MBT | <colbgcolor=#cc092f> 1세대 | T-55AM2 | ||||
| 2세대 | T-62, T-72M1 | |||||
| 경전차 | PT-76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RDM-2, BTR-152, BTR-60, BTR-80, OT-62 TOPAS, EE-11, WZ-551 | ||||
| 궤도장갑차 | BMP-1, BMP-2, BMP-3, MT-LB | |||||
| 차량 | 소형 | 카스피르 NG2000B | ||||
| 트럭 | 우랄-4320, 우랄-375, 스타 266, 볼보 C303, KrAZ-6322 |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 ||||
| 자주평사포 | 2S7 피온 | |||||
| 대전차 자주포 | PTL-02 | |||||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ZSU-57-2 | |||||
| 다연장로켓 | BM-21, BM-24, RM vz. 70, M1989 |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colbgcolor=#000000>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2014~2022) Народная милиция ДНР | ||||
| MBT | <colbgcolor=#000000> 기타 전차 | IS-3D | |||
| 1세대 | T-54, 오비엑트 169rus, T-62Mrus | ||||
| 2세대 | T-72B1, T-64 | ||||
| 3세대 | T-72B3rus, T-90rus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4C, BTR-60C, BTR-70C, BTR-80C/rus | |||
| 궤도장갑차 | BMP-1, BMP-2, BMD-1C, BMD-2D, MT-LBC/rus, BRDM(K111-1)C, YPR-765C | ||||
| 차량 | 험비C, 테크니컬 | ||||
| 포병장비 | 자주박격포 | 2S4 튤판, 2S9 노나-S | |||
| 자주포 |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2S7 피온 | ||||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ZPU-4 | ||||
| 다연장로켓 | BM-21, BM-27, BM-30 스메르치, 체부라시카 | ||||
| ※ 윗첨자D: 전량 격파되거나 손실함 ※ 윗첨자C: 노획 장비 ※ 윗첨자rus: 의용군 및 러시아 지원 장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영상 중간에는 2S4 튤판, 2S5 기아친트-S 운용도 들어가 있다.[2] Пион(피온; 삐온), 러시아어로 모란 또는 작약을 뜻한다.[3] 연막탄, 생화학탄, 대인 화살탄 (일명 벌집탄) 등등[4] 이 운반차량의 정체에 대해서는 다소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2S7 의 운용요원이 14명이나 되며 그중 7명이 운반차량에 4발의 포탄과 함께 탑승한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사격훈련 영상을 보면 2S7에 탑승해 있는 인원만으로 사격훈련을 하는 영상이 많다. 뿐만 아니라 이 운반차량이 같이 잡히는 영상이나 사진 자료를 찾을 수가 없으며 그나마 찾을 수 있는 내용은 우크라이나에서 Ural-4320과 MT-LBu 와 같이 이동중인 모습이나 3D 영상으로 LT-LBU 계열차량과 연결된 상태로 사격중인 모습 뿐이다.[5] Battle for Kyiv: Ukrainian valor, Russian blunders combined to save the capital, Washington Post, Aug. 24,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