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Československá lidová armáda Československá ľudová armáda Чехословацкая народная армия Czechoslovak People's Army | ||
| ||
<colbgcolor=#910000> 기 | ||
강토를 위해–사회주의를 위해 Za vlast–za socialismus Za vlasť–za socializmus | ||
창군일 | 1954년 6월 1일 | |
해산일 | 1989년 12월 | |
국가 | ||
소속 | 국방부[1] | |
구성 | 지상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방공·대공군[2] 국가방공군[3] 체코슬로바키아 해군(~1959)[4] | |
통수권자 | 바츨라브 하벨 (말대 대통령) | |
지휘·감독권자 | 지상군 대장[5] 밀란 바츨라빅 (말대 국방장관) | |
군인 최선임자 | 지상군 상장 안톤 슬리막 (말대 총참모장)[6] | |
상비군 | 약 200,000명 (1989년) | |
예비군 | 불명 | |
병역제도 | 징병제[7] | |
참전 | 프라하의 봄 | |
전신 | 제1체코슬로바키아 군단[8] | |
후신 | 체코군 슬로바키아군 |
[clearfix]
1. 개요
|
Československá lidová armáda Československá ľudová armáda |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자체가 육군에 전력이 집중되어 있었지만,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의 많은 투자와 소련의 지원으로 MiG-23, Su-22 등 도입 기준 소련에서도 현역으로 굴리던 최신 기종의 전투기와 S-75, S-125 등의 방공 미사일을 운영하며 동유럽 내에서 손꼽히는 정예화된 공군·방공군 전력을 보유하였었다.
1.1. 수뇌부
총사령관 | 국방장관 | 총참모장 겸 지상군 사령관 | |
총사령관 | 국방장관 | 총참모장 | |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 | 밀란 바츨라빅 대장 | 안톤 슬리막 보병상장 | |
서부군관구 사령관 | 동부군관구 사령관 | 공군 사령관 | 방공군 사령관 |
서부군관구 사령관 | 동부군관구 사령관 | 공군 사령관 | 방공군 사령관 |
모이미르 자하리아시 보병중장 | 임리흐 안드레이착 보병중장 | 요제프 레멕 항공중장 | 야로슬라브 마트야시 항공중장 |
2. 편성
2.1. 지상군
2.1.1. 서부군구
2.1.1.1. 제1군
2.1.1.2. 제4군
2.1.2. 동부군구
2.2. 방공·대공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의 공군이였다.2.3. 국가방공군
2.3.1. 제2국가방공사단
2.3.2. 제3국가방공사단
3. 사용 장비
냉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ČSA)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Vz.24, Vz.33, Kar98k, Vz.91/38, Vz.54 | |||
반자동소총 | Vz.52, Vz.52/57, SVD | |||||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ZK-383, MP40, | |||||
권총 | Vz.27, Vz.38, Vz.52, Vz.82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Vz.30, Vz.37, Vz.52, Vz.59, PKM, DShK, KPV | ||||
유탄발사기 | AGS-17 | |||||
로켓발사기 | T21, RPG-2, RPG-7, RPG-7V | |||||
미사일발사기 | 9K14, 9K111, 9M113, 9K32, 9K310 | |||||
무반동총 | RPG-75 | |||||
박격포 | Vz.36, PM-43 | |||||
유탄 | F1, RPG-6 | |||||
지뢰 | PP Mi-SK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1457e>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1954~1990)의 기갑차량 | ||||
기타 전차 | T-36, LT-38/37, T-40/75, IS-2, | ||||
MBT | <colcolor=#373a3c><colbgcolor=#11457e> 1세대 | T-54(A/AM/AR Reika), T-55(A/AM1 · M1B/AM2 Dyna-1 · M2B/AMB) | |||
2세대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SKOT (A/C), OT-65, BRDM-2 | |||
궤도장갑차 | OT-810, BPzV, OT-62(A/B/Vydra), BVP-1 · OT-90, BVP-2 | ||||
차량 | 소형 | 스코다 1101 VO, UAZ-469 | |||
트럭 | 타트라 148 · T-813 · T-815, 스코다 6L · RSO · 706, 프라가 V3S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T-II, ShKH vz.77 Dana, 2S1 Karafiát, 2S7 Pivonka | |||
자주박격포 | 2S4 튤판 | ||||
대전차 자주포 | ST-I, ST-III, SD 75/40N, SD-100, TSD-152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Vz.53/59 PLDvK, STROP-(1/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PLRK S-1M2, PLRK S-10M, 9K33(M2/M3) 오사 | ||||
다연장로켓 | BM-24, RM vz. 70 | ||||
※ 이텔릭체: 외산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4. 관련 문서
5. 외부 링크
- 체코슬로바키아군 정보 사이트
http://www.csla.cz/armada/druhyvojsk/csla.htm
https://www.armedconflicts.com/Czechoslovakia-CZK-c500243
https://www.valka.cz/Ceskoslovenska-armada-1951-1992-c500297 - 편제
[1] Ministerstvo národní obrany Československá socialistická republika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방부[2] Síly vzdušné obrany a protivzdušné obrany ČSLA
체코슬로바키아의 공군이였다.[3] Vojska protivzdušné obrany státu (PVOS)[4] 체코슬로바키아가 내륙국인 만큼 일부 강이나 호수를 보호하는 소규모 선단에 가까웠다.[5] General of the Army[6] Chief of the General Staff[7] 의무복무기간은 2년으로, 남성만 징병하고 여성은 징병대상이 아니였지만, 의료, 통신 등의 직군에 자원 입대할 수 있었다.[8] 1. československý armádní sbor
제1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기 노농적군과 함께 동부전선에서 싸운 체코슬로바키아 외인부대였다. 60,000명의 남녀가 군단에서 복무했고, 3개 보병여단, 전차여단, 낙하산여단으로 구성된 약 22,000명의 실질적인 전투병을 보유하였다.[9] 공식적인 당군은 아니지만,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많은 부분을 통제하고 관리했기에 실질적인 당군에 가까웠다.[10] StB, VB
체코슬로바키아의 공군이였다.[3] Vojska protivzdušné obrany státu (PVOS)[4] 체코슬로바키아가 내륙국인 만큼 일부 강이나 호수를 보호하는 소규모 선단에 가까웠다.[5] General of the Army[6] Chief of the General Staff[7] 의무복무기간은 2년으로, 남성만 징병하고 여성은 징병대상이 아니였지만, 의료, 통신 등의 직군에 자원 입대할 수 있었다.[8] 1. československý armádní sbor
제1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기 노농적군과 함께 동부전선에서 싸운 체코슬로바키아 외인부대였다. 60,000명의 남녀가 군단에서 복무했고, 3개 보병여단, 전차여단, 낙하산여단으로 구성된 약 22,000명의 실질적인 전투병을 보유하였다.[9] 공식적인 당군은 아니지만,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많은 부분을 통제하고 관리했기에 실질적인 당군에 가까웠다.[10] StB, V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