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5 22:53:46

CZ247

CZ 247
Česká Zbrojovka 247
파일:samopal_cz247__prava_25kb.jpg
CZ247
파일:CZ_347.webp
CZ347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기관단총
원산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체코슬로바키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슬로바키아}}}{{{#!if 출력 != null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45년~1980년대
개발 스트라코니체 체코 조병창
개발년도 1945년
생산 우헤르스키브로트 체코 조병창
생산년도 1945년~1949년
생산수 10,814정
사용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체코슬로바키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슬로바키아}}}{{{#!if 출력 != null
}}}}}}]]



사용된 전쟁 나이지리아 내전
기종
파생형 CZ347
제원
탄약 9×19mm 파라벨룸
7.62×25mm 토카레프 (CZ347)
급탄 40발 박스 탄창
작동방식 단순 블로우백
오픈 볼트
총열길이 200mm
전장 785mm
중량 2.9kg
발사속도 560RPM (조절 가능)
탄속 400m/s
유효사거리 250m }}}}}}}}}
1. 개요2. 상세3. 참고 자료4. 둘러보기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기관단총.

2. 상세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체코슬로바키아 국방부(이하 MNO)는 9×19mm 파라벨룸 탄을 사용하는 새로운 기관단총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스트라코니체 체코 조병창은 전쟁 이전에 개발된 KP Vz.38 기관단총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관단총을 개발하였다. CZ 내부에서 CZ 47/1 및 CZ 47/2라는 코드명으로 불렸고 브르노 조병창ZB-47과 경쟁하며 제식 채용 테스트까지 치뤘으나, 결국 Vz.23에 밀려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에게 채택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9년까지 생산되었으며, CZ247이라는 명칭으로 볼리비아나이지리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 일부 국가에 상당수가 판매되었다. CZ347이라는 7.62×25mm 토카레프 탄을 사용하는 파생형도 있으나 결과적으로 대량생산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집트 왕국 또한 해당 기관단총에 큰 관심을 가져 약 10,500정의 CZ247이 수출될 뻔했으나 정치적 이유로 무산되었다.[1]

CZ247 기관단총의 가장 큰 특징은 탄창 삽탄구를 회전시킬 수 있다는 점이었다. MP40처럼 탄창을 총과 수직 방향으로 꽂아 넣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아니면 삽탄구를 돌려서 MP18처럼 수평으로 탄창을 꽂아 넣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었다. 사격하는 자세에 따라 편한 파지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었다.

3. 참고 자료

4. 둘러보기

냉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보병장비
파일:체코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ČSA)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ff,#393b42>Vz.24, Vz.33, Kar98k, Vz.91/38, Vz.54
반자동소총 Vz.52, Vz.52/57, SVD
자동소총 ZB-530, Vz.58, LADA
기관단총 ZK-383, MP40, ZB-47, CZ247, Vz.24, Vz.26, Vz.61
권총 Vz.27, Vz.38, Vz.52, Vz.82
지원화기 기관총 Vz.26, Vz.30, Vz.37, Vz.52, Vz.59, PKM, DShK, KPV
유탄발사기 AGS-17
로켓발사기 T21, RPG-2, RPG-7, RPG-7V
미사일발사기 9K14, 9K111, 9M113, 9K32, 9K310
무반동총 RPG-75
박격포 Vz.36, PM-43
유탄 F1, RPG-6
지뢰 PP Mi-SK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체코 조병창 아이콘.svg파일:체코 조병창 아이콘 화이트.svg 우헤르스키브로트 체코 조병창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fff,#1f2023> 우헤르스키브로트 체코 조병창 제품 라인업
자동권총 CZ52 · CZ75 · CZ82 · CZ100 · P-10C
기관단총 CZ247 · Vz.23 · Vz.61 · 스콜피온 EVO 3
소총 <colbgcolor=#ffffff,#1f2023> 볼트액션 / 반자동 Vz.52 · Vz.54 · CZ550
자동 Vz.58 · CZ2000 · CZ-805 브렌 · 브렌 2
}}}}}}}}}}}} ||


[1] 당시 체코슬로바키아는 유대인들이 주 고객이었고 이스라엘 건국에 호의적인 입장이었던 반면 이집트 왕국은 팔레스타인에 호의적인 아랍 연맹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제1차 중동전쟁을 앞둔 상황에서 이집트와의 거래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였다. 때문에 (당시에는 산하 공장이었던) 우헤르스키브로트 체코 조병창에서 기껏 생산한 초도품 200정이 선적 직전까지 갔으나 끝내 선적이 허가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