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movente da 75/34 |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왕국군의 세모벤테 M42자주포 중 세모벤테 75/18의 포신을 교체한 개량형 자주포.2. 제원
세모벤테 75/34 | ||||
운영국가 | 이탈리아 왕국, 나치 독일 | |||
운영년도 | 1941년~1950년 | |||
전장 | 4,915 m | |||
전폭 | 2,2 m | |||
전고 | 1,85 m | |||
중량 | 13.1 t | |||
엔진 | M40:M40: Fiat-SPA 8T 디젤엔진 M41: Fiat-SPA 15TB 디젤엔진 | |||
마력 | M40: 125hp M41: 145hp | |||
탑승인원 | 3명(전차장/포수, 조종수, 탄약수/무전병) | |||
장갑 | 정면 장갑 50mm 측면 25mm 후방 15mm | |||
현가장치 | Semi-elliptical leaf spring bogies | |||
무장 | 1 x obice da 75/34 Mod. S.F. , 1 x Breda Mod. 30 da 6,5 mm | |||
항속거리 | 200 km | |||
속도 | M40: 31,8 km/h M41: 33,3 km/h | |||
장갑 방식 | 리벳 결합 방식 |
75/34 Mod. S.F. 대전차포의 관통력 30° 기준 | |||||||||
탄종 | 무게 | 포구초속 | 100 | 500 | 1000 | 1500 | 2000 | ||
철갑탄 | 5.2 kg | 557 m/s | 90 | 70 | 51 | 37 | 28 | ||
대전차고폭탄 | 4.2 kg | 310 m/s | 120 | 120 | 120 | 120 | " |
3. 개발사
1941년 6월, 세모벤테 75/18 자주포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이 시작되었고 처음 만들어진 프로토 타입은 안살도 사에 의해서 생산되었다. [1] 하지만 이는 P26/40에 이유와 마찬가지로 75/34 Mod. S.F.로 변경된다.1942년 10월에 주포의 반동을 고려하여 앞으로 11cm 확장하고 포방패와 지붕 덮개를 개량했다. 1943년 3월 15일 프로토타입의 사격 시험을 시작했고 618 m/s의 포구 속도와 12km의 최대 사거리를 가질 수 있었다.
1943년 4월 29일 Semovente 75/34는 육군에 의해서 채택되었고 280대 생산을 의뢰해 휴전 전까지 8대가 생산된다.
생산은 휴전 후 독일 국방군에 의해서 계속되었고 1943년 9월 8일 독일은 StuG M42 M 851 (i)라는 이름으로 80대의 전차를 생산해 항복할 때까지 36대를 생산하여 사용하였고 1944년 9월 9일 부터 12월 31일까지 독일 내부에서 생산되었다. 1945년 4월에는 세모벤테 M43에 75/34 대전차포를 장착하여 StuG M43 mit 75/34 851 (i)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75/46 C.A. Mod. 1934의 생산이 늦었기 때문에 대비책으로 사용한듯 하다.
4. 실전
4.1. 제2차 세계 대전
4.1.1. 이탈리아 전역
|
독일 국방군 소속 StuG M42 M 851 (i) |
5. 미디어
5.1. 게임
5.1.1. 월드 오브 탱크
이탈리아 구축전차 트리 5티어 차량으로 출시되었다.5.1.2. 워 썬더
|
75/34 M42 |
5.1.3. 스틸 디비전 시리즈
이탈리아 왕국이 항복한 후에 독일군 기갑사단이나 보병사단에게 압류된 차량으로 등장한다. 주포의 위력은 독일 50mm와 비슷하며 근접전에서 셔먼이나 T-34의 전면장갑 관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거리 전투시에는 관통력이 부족해서 뚫질 못하며 차체가 종이장갑이라 쉽게 죽어버린다.6. 모형
6.1. 프라모델
7. 둘러보기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위에 사진이 다른 사진과 포신이 다른 이유는 초기에 75/32 Mod 37 대전차포를 장착하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