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 프랑스 기갑차량 | ||||||||||||||||||||||||||||||||||||||||||||||||||||||||||||||||||||||||||||
|
AMC 1935 S |
[clearfix]
1. 개요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Pz.Kpfw. 35-S 739(f) 기동 영상 |
프랑스 대혁명 기념일(바스티유 데이) 퍼레이드에서 B1 bis와 함께 기동중인 Pz.Kpfw. 35-S 739(f) |
2. 제원
AMC 1935 S | |
전체길이 | 5.38m |
전체너비 | 2.12m |
전체높이 | 2.62m |
전비중량 | 19.5t |
장갑두께 | 47mm |
탑승인원 | 3명 |
엔진 | SOMUA V-8 가솔린 엔진, 190hp(140kW) |
최고속도 | 40.7km/h(도로), 32.2km/h(야지) |
항속거리 | 230km(도로), 130km(야지) |
무장 | 32구경장 47mm SA35 전차포 ×1(118발 적재) |
7.5mm 레이벨 기관총 2문(2,250발) |
3. 개발사
1934년도에 프랑스군은 기존의 전차를 대체할 새로운 전차를 요구하게 되었고, 그에 따른 계획이 수립되어 개발이 시작되었다. 계획의 목적은 그 당시 사용되던 전차보다도 무겁고 방어력도 뛰어난 새로운 중형전차 개발이었는데, 개발 주체로서 소뮈아(Somua) 사(社)[2]가 선정되어 이에 소뮈아에서는 1934년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에 들어가 1935년 4월에 첫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이후 몇 차례 더 프로토타입을 개선하고 여러가지 테스트가 이루어졌으며, 마침내 1936년 3월에 프랑스 기갑부대의 표준 중형전차로써 제식 채용되어 완전히 자리잡았다. 이후 첫 인도분으로 40대가 납품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총 430여 대가 제작되었다. 원래의 수주 물량은 2,000여 대 가량이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인해서 원래의 1/5 정도밖에 안되는 저조한 양만이 도입되었다.
4. 분류
프랑스의 경우 영국 전차 설계사상의 영향을 받아 전차를 크게 보병전차(infantry tank)와 기병전차(cavalry tank)로 구분하고 이 양자 사이의 엄격한 '분업'을 전제로 전술을 운용하였다. 보병전차로써 개발된 르노 B1이나 르노 R35와 달리, S35 전차는 경쾌한 기동성을 지닌 기병전차로써 개발되었다.보병전차는 통상의 전차보다 무겁고 중무장과 중장갑을 지닌 중전차(heavy tank)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병 사단이 방어망이 촘촘히 이루어진 적의 진지를 돌파할 때 이를 엄호하여 적의 수비선을 깨는 용도로 개발된 전차를 의미하며 따라서 속도는 다소 떨어지더라도 보다 강력한 화력과 두꺼운 장갑을 필요로 한다. 소련의 중전차 개념과 같다.
반면 기병전차라는 것은 무게가 보다 가볍고 속도가 빠른 전차로서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한 전차들을 말한다(medium tank). 따라서 기병용 전차의 경우, 가장 중요한 점은 속도이고 따라서 무장이나 장갑을 희생시켜 비교적 소구경의 화포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이는 이 기병용 전차의 경우 주요 상대가 적의 단순한 보병부대나 장갑차라는 전제에서 나온 것이다. 즉, 일단 보병과 무거운 보병전차(heavy tank)에 의하여 적의 수비라인이 뚫리게 된 이후에 이들 가볍고 빠른 기병전차들이 적의 후방까지 순식간에 진격하여 적이 대열을 정비하기 전에 적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적의 통신망을 파괴하는 것 등이 그 주된 임무라는 것이다.
물론 개념은 이렇지만 현실 상황은 전혀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 이러한 보병전차와 기병전차의 구분법의 중요한 문제다. 예를 들어 당장 스페인 내전에서도 원래 패주하는 적의 보병을 상대로 하기로 하였던 기병전차의 경우 실제로는 온전히 은폐하고 매복중인 적의 전차와 마주치는 일도 많았고, 또 보병들의 대전차포와 대전차 소총의 십자포화를 신나게 두드려 맞게 됨으로써 많은 피해를 봤다. 즉, 실제 전장에서 보병전차와 기병전차를 엄격히 구별하여 각각 다른 전술을 적용하기가 곤란해진다는 것이다.[3]
5. 파생형
5.1. 프랑스
5.1.1. 자주포 개수형
5.1.1.1. 소뮤아 SAu40
Somua SAu 40 |
5.1.2. 현대화 개수형
5.1.2.1. 소뮤아 S40
S40 |
프랑스 점령 이후 당시 프랑스 주재 독일 대사였던 오토 아베츠가 비시 프랑스 정부와 합의하여 800대의 소뮤아 S40를 생산하고, 200대를 비시 프랑스에, 600대를 독일과 이탈리아에게 보낼 계획도 세웠지만 프랑스 재무장에 회의적이었던 아돌프 히틀러가 이를 거부하였다.[4]
일본 제국 측에서 이 전차에 관심을 보여서 1942년쯤 비시 프랑스가 약 250대를 생산해서 보내주기로 약속이 잡혀 있었지만, 비시 프랑스가 연합군과 내통하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한 독일이 같은 해 11월경에 전격적으로 프랑스를 재침공하며 무산되었다.
5.2. 나치 독일
5.2.1. 현대화 개수형
5.2.1.1. Pz.Kpfw. 35-S 739(f)
Pz.Kpfw. 35-S 739(f) |
독일군의 경우 이 S35 전차 등의 프랑스 전차들로 211전차연대(211 Panzerregiment)를 구성하여 이후 핀란드 등지로 보내어 소련군과의 전투에 사용했다. 물론 이 S35 전차는 동부 전선에서의 치열한 전투 등으로 많이 파괴되었고 따라서 1944년 12월경에는 독일측에 약 11대 정도만 남았다.
일부 S35 전차는 이탈리아 왕국과 불가리아 왕국 등에도 공여되었다.
독일군이 개수한 S35 중 프랑스 내에 남겨진 전차는 프랑스 주둔 독일군이 계속 사용하여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도 참가하였으며, 1944년 8월 파리 해방 직전에 동원되기도 했다. 당시 파리는 연합군의 파리 진주를 눈앞에 두고 파리 시민들이 봉기, S35는 이 과정에서 진압을 위해 전투에 동원되었다.
자유 프랑스군 소속 Pz.Kpfw. 35-S 739(f) |
5.3. 유고슬라비아
5.3.1. 무장 교체형
5.3.1.1. SO-57
SO-57 |
6. 장점
- 경사각이 주어진 전면 47mm 장갑은 1936년 독일의 1호 전차와 2호 전차, 체코슬로바키아제 LT vz. 35보다 훨씬 두꺼운 중장갑이었으며, 당대 독일의 전차포로는 격파가 불가능했다. 또한 32구경장 47mm 주포는 독일의 모든 전차를 전면에서 한 방에 파괴 가능했다. 이러한 중무장에 중장갑을 자랑했음에도 기동성 역시 매우 좋아서 최고 속력은 40.7km/h, 항속거리는 230km이나 되는 등 공격, 방어, 주행의 3박자가 조화를 이루면서 각각의 성능도 매우 좋았다.
- 방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요 부분을 주조장갑으로 제작했다. 부착 위치는 전차의 밑부분(이 위에 엔진과 트랜스미션 등이 위치), 앞부분(승무원들이 탑승하는 공간으로 포탑 등을 커버), 뒷부분(엔진을 커버하는 부분)의 중요한 세 군데 지점이며, 그 당시 전차로는 드물게 주강으로 된 장갑에 경사각을 채용하여 방어력을 더욱 증강시켰다. 게다가 주강장갑을 분할하여 제작한 후 볼트로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해서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을 주었다.
- 그 당시의 신기술인 differential steering 시스템을 채용하여 각 무한궤도들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한쪽은 빨리, 다른 쪽은 느리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여 차체가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했다. 이러한 기능을 추가한 변속장치는 전진 5단, 후진 1단으로 실사용에 문제는 없었다. B1 전차의 주포가 차체에 완전히 고정되어 제자리 선회로 조준하게 되어 있었는데 이와 마찬가지였던 것. 조향장치 역시 핸들식으로 되어 있었다.
- 엔진과 전투실을 방화격벽으로 분리시켰고 자동소화장치를 장비하였다. 작동 방식은 전차 내부의 엔진, 연료탱크, 운전석 뒤 등 중요한 부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탱크 안의 스프링클러가 자동 작동하는 방식으로, 소화액으로는 메틸화 브롬(CH3Br)이라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빠른 소화 및 소화 후에도 기기가 정상작동되도록 한다.[5]
- 현가장치의 재질은 철제인데, 우선 전차 앞쪽에 커다란 롤러형 유동륜(idler pulley)이 앞쪽에 위치하고 전차 뒷편에는 커다란 톱니바퀴 형태의 기동륜(sprocket)이 장착되며, 이들 아이들러와 스프로켓 사이에는 작은 형태의 9개의 바퀴가 장착되었는데, 그 중 8개는 (2개씩 짝을 이루는) 로드 휠(eight road wheels paired on four bogies)이었고 나머지 1개는 텐션 휠(tension wheel)로 구성된다. 약간 복잡한 방식이지만 B1과는 달리 고속주행이 가능하며, 그 당시의 프랑스 전차들이 그렇듯이 이 바퀴를 보호하기 위하여 철판으로 사이드 커버를 씌워서 적의 사격으로 인한 파손에 대비하였다.
- 무한궤도는 초기형의 경우 144개의 트랙(track link)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트랙의 경우 길이가 75mm이지만, 후기형의 경우는 103개의 트랙에 각 트랙 길이 105mm의 것으로 바뀐다. 초기형이건 후기형이건 고속주행에 문제는 없었다.
7. 단점
- 당시 기준으로 상당한 고속주행이 가능하지만 현가장치가 너무 약하고 수리하기가 아주 어려워 분해에만 하루가 걸릴 정도로 유지 보수가 힘들었다. 이 부분은 전쟁 직전인 39년에 와서 개선된다.
- 연료 탱크가 100리터와 410리터의 2개로 나뉘어 있었다. 문제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대로 된 교육도 잘 이루어지지 않아 100리터짜리에만 연료를 채우고는 기름을 가득 채웠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나왔던 것. 덕분에 항속거리가 수십 킬로미터도 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했다. B1과 유사하게 견인식 연료 트레일러가 달린 전용 연료 보급차량도 계획되어 있었으나 정작 이 차량은 제대로 배치가 되지 않아 실전에서는 더욱 장거리 이동에 문제가 많았다.
S35의 APX-1 포탑 구조도 |
- APX-1 1인용 포탑을 채택하여 전차장 1인이 좁은 포탑 안에 들어가서 방향지시, 전투 준비명령, 포탄 장전 및 탄피 배출 등 전차장, 포수, 탄약수의 역할을 혼자서 다 해야 한다. 즉 1인 3역인 셈인데 이렇게 되면 당연히 방향지시를 할 때는 사격을 못하고, 주포를 조준할 때는 주변 관찰을 못하며, 장전할 때는 전투 지시를 못 하는 등의 애로사항이 발생하므로 항상 독일의 전차보다 매우 굼뜨고 반응속도가 느리게 된다. 개량형에서는 그나마 포탑을 조금 크게 만들어 차체 오른쪽의 무전수가 약간의 보조를 할 수 있는 APX-1 CE 1.5인승 포탑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이건 S35의 문제만은 아니고 1인승 포탑을 채택한 모든 초기형 전차들의 문제이다.
- 주강으로 된 장갑판을 연결하는 방식은 몇 개 안되는 볼트. 그래서 설령 포탄이 장갑을 관통하지 않더라도 몇 번 집중적으로 포격당하다 보면 볼트가 부서진다. 일단 그렇게 되면 장갑이 알아서 분리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역시 프랑스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용접 기술이 부족했던 초기형 전차들이 겪던 문제.
- 모든 전차에 무전기를 지급하기로 했지만 보급이 늦어서 무전기는 소대장 전차에만 지급했기 때문에 4대 중 한대 꼴이였다. 그래서 모든 전차가 안테나를 가지고 있지만 실상 쓸 수 있는 차량은 일부에 불과했다.
이렇게 겉으로만 멀쩡하고, 속으로 감추어진 단점이 많이 나타난 이유는 프랑스 군부에서 개발 제원을 제시하고 전차 개발을 민간 업체에 맡기는 과정에서 군부의 감독과정이 철저하지 못한 데 있었다. 우선 군부의 요구사항(개발 제원)이 상세하지 못하고 모호한 부분들이 많았으며, 이에 따라 각 개발업체에서는 세부적인 부분들의 상당수가 공백으로 남겨져 있는 상황이어서 그들의 입맛에 맞게 제조 단가를 줄이려는 온갖 방법을 쓰게 되는데 이에 대한 통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원가 절감의 대표적인 사례인 해치 없는 단차장 전망탑과 후방 포탑 해치 |
8. 총평
이 정도 스펙과 장점이라면 그 당시 실전에 배치된 그 어느 전차(기병용 전차로서)보다도 우수하면 우수하지 절대로 밀리지 않는다. 일단 경쟁자로 소련의 BT-7과 독일의 3호 전차가 있는데, 전자는 장갑이 종잇장같이 얇은데다가 주포 및 조준장치가 부실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도 장갑이 얇은데다가[6] 상당수의 형식이 37mm 전차포를 장착해서 화력에서도 열세를 보였다.그래서 스펙상으로는 1930년대 최고의 전차라고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전간기 기준이다. 2차 대전에는 사실상 구식에 운용 능력까지 떨어져서 공격, 방어, 주행의 삼박자가 잘 맞았지만, 그 삼박자에만 집중을 했기에 다른 것들은 엄청 열세 였다.
8.1. 운용 당시의 문제점
이런 사태가 발생한 이유중 일단 전차 자체의 문제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이유를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원래 프랑스군이 요구한 수량은 약 2,000대에 육박했지만 턱없이 부족한 450대만 공급되어 프랑스군이 원하는 소위 '집중적인 운용'을 할 수 없었다.
- 프랑스군의 지나치게 구태의연한 소극적인 전략, 즉 마지노선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식의 안이한 수세적인 전략으로 전차 운용에 있어서도 일단 시간적으로 버티기만 하면 된다는 식의 안이한 전술과 이를 역이용한 독일 국방군의 허를 찌르는 전격전에 말려들어 프랑스 전차부대가 우왕좌왕하다가 독일군의 공격에 맥없이 무너졌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랑스군이 독일 국방군의 공격 예상 지점으로 판단한 곳에서의 독일군의 공격은 종종 속임수(feint: 위장 공격)로 판명되었고 반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독일군의 전차 부대가 프랑스 전차 부대를 포위하는 상황이 벌어지므로 이 포위된 전차 부대를 구원하기 위하여 다른 곳에 포진한 전차 부대들이 급히 이동하게 되는데 독일군은 이러한 우왕좌왕하는 틈을 노려서 대대적인 역습에 나서게 된 것 등이다.
- 일부 운용상의 미스가 있었는데, 하나의 예를 든다면, 무전기가 턱없이 부족하여 S35 전차의 80%는 무전기 없이 전투에 임하는 꼴이 되었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프랑스 전차 부대의 경우 5대의 전차로 구성되는 소대급에서 보면, 선두 지휘차량에게만 본대와 연락할 무전기(ER-29)가 주어져 직접 본대에 보고하고 그 지시사항을 휘하 전차들에 다시 사실상 내부 교신용 무전기(ER-28)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 자체가 각 전차마다 본대와 연락할 수 있는 무전기를 각각 지급한 독일에 비하여 아주 열악한 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그나마 이 사실상 내부 교신용 무전기들이 제대로 지급되지 못하여 선두 지휘차량을 제외한 후미의 전차들의 경우 무전기가 전혀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7]
9. 실전
9.1. 제2차 세계 대전
9.1.1. 서부전선
9.1.1.1. 프랑스 침공
프랑스 침공 당시의 프랑스 육군 소속 소뮤아 S35 |
하지만 숙련병들이 운용할 때는 제법 활약했는데 장블루, 아뉘 전투가 그것이다. 겨우 10대의 S35가 약 120대의 독일 전차 부대와 전투를 벌여서 어떠한 지원도 없이 숫적 열세를 극복하고 26대를 격파했는데 그 상대가 대부분 4호 전차였다. 초기형 4호 전차가 대전차전보다는 보병 지원을 염두에 둔 전차이기는 해도 독일 국방군 입장에선 전차다운 전차인 4호 전차를 다수 상실한 독일군의 속이 꽤나 쓰렸을 것이다. 독일군은 이어진 전투에서도 50대의 전차를 추가로 잃었다. 이것은 숙련된 프랑스 전차 승무원들이 운용할 때는 훌륭한 무기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9.1.1.2. 노르망디 상륙 작전
9.1.2. 북아프리카 전역
1940년 프랑스가 독일에게 항복한 후에는 일부의 S35 전차들이 북아프리카에 있는 프랑스 식민지로 배치되는데, 이 전차들은 이탈리아 왕국군과 독일 국방군의 북아프리카 작전 때 함께 동원되었다. 물론 북아프리카에서 독일군이 궤멸된 이후에는 샤를 드골 장군 휘하의 자유 프랑스군의 장비로 편입되지만, 그 시점에서는 이미 구식장비화하여 제대로 운용되지 못했다.9.1.3. 독소전쟁
1943년 러시아에서의 제3SS기갑사단 "토텐코프" 소속 Pzkpfw 35-S 739(f) 200호차 |
10. 운용국
10.1. 유럽
10.1.1. 프랑스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Pz.Kpfw. 35-S 739(f) |
10.1.2. 나치 독일
독일 국방군 소속 Pz.Kpfw. 35-S 739(f) |
10.1.3.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군 소속 S35 |
10.1.4. 불가리아 왕국
10.1.5. 유고슬라비아
10.1.6. 소련
애국공원 소장 Pz.Kpfw. 35-S 739(f) |
11. 미디어
11.1. 게임
11.1.1. 월드 오브 탱크
Pz.Kpfw. S35 739 (f) |
Somua S35 |
S35 CA |
11.1.2. 강철의 왈츠
파생형인 S40이 3성 4도면 중형전차로 2017년 7월 27일 업데이트로 등장했으며 S35가 동년 9월 21일 업데이트때 3성3도면 중형전차로 등장했다.CA버전은 2023년 6월 26일부터 2023년 7월 23일까지 이벤트로 얻을 수 있는 특전부대의 장갑차로 등장한다.
11.1.3. 도미네이션즈
자세한 내용은 중장갑 기병(프랑스) 문서 참고하십시오.글로벌 시대의 두 번째 프랑스 고유 유닛인 S-35 전차로 등장한다.
11.1.4. 워 썬더
S35 |
11.1.5. 스틸 디비전 시리즈
독일군, 유고슬라비아, 헝가리군에서 노획전차로 등장한다. 1944년이 배경이라 보병이나 장갑차 정도만 제압 가능한 하급 유닛이다.11.2. 만화
11.2.1. 걸즈 앤 판처
걸즈 앤 판처의 S35 |
12. 모형
12.1. 프라모델
타미아에서 1/35스케일로 나왔다. 궤도 같은 경우 연결식 가동 궤도라고 한다.
13. 둘러보기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 대전의 불가리아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2e8b57,#74d09d>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Sdkfz221, Хорх M.222 и M.223, Sd.Kfz. 232, Sd.Kfz. 250, Sd.Kfz. 251G/S, AB 41S, Sd.Kfz. 260/261S | |||||
전차 | <colcolor=#2e8b57,#74d09d> 탱켓 | "Ансалдо-Фиат"/"Ансалдо" | ||||
경전차 | Рено, 호치키스 H35, Викерс, , T-11 Шкода, Прага, 1호 전차 | |||||
중(中)형전차 | 소뮤아 S35, Майбах T-IV GG, Майбах T-IV HS/G, 5호 전차 판터S, T-34-85S, ВенгерS, T-34-85S | |||||
구축전차 | 헤처S, 4호 구축전차S, 4호 구축전차 70구경장S | |||||
돌격포 | Майбах T-III, StuH 42, stormovo orvdie Maybach T-IVS, | |||||
자주포 | 세모벤테 L40 47/32S, 훔멜 자주포S, 베스페S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S | |||||
차량 | 퀴벨바겐, R-75, 오펠 블리츠 | |||||
노획차량 | SU-76M, T-34-76, M.2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윗첨자S: 소련군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윗첨자G: 나치 독일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 왕국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35M 안살도, 37M 안살도, TKS, C2P, 르노 UE, 1호 전차, 38M 톨디, 42M 톨디 II, 42M 톨디 IIA, 43M 톨디 III, T-38, 호치키스 H35, 호치키스 H39, V-3, V-4 | |||
중형전차 | 40M 투란, 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소뮤아 S35 | ||||
중전차 | 44M 타스, 6호 전차 티거 | ||||
노획전차 | T-27, T-34-76, T-34-85, T-28, T-70, T-26S, BT-7, BA-6, T-20 콤소몰레츠, M3 스튜어트, M3 리 | ||||
장갑차 | 39/40M 처버, AB41 | ||||
자주포 | AHD, 마르더 II, 톨디 판셀바다즈 | ||||
돌격포 | 43M 즈리니 II, 44M 즈리니 I, 3호 돌격포 | ||||
구축전차 | 헤처 | ||||
차량 | 38M 보톤드, 오펠 블리츠, Kfz 70, 37M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파르티잔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AEC Mk.II | ||||
전차 | 탱켓 | Брза борна кола T-32 | |||
경전차 | 르노 FT, M.28, 르노 R35,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 ||||
중(中)형전차 | T-34-85 | ||||
대전차자주포 | SO-75 M-3A3 | ||||
자주대공포 | M3A3 스튜어트 20mm 플라크피어링38 대공포 장착형 | ||||
자주포 | M8 "캐딜락" | ||||
노획 및 개조차량 | L3/35, L6/40, 소뮤아 S35, SO-57, 3호 전차, 38(t) 경구축전차 헤쳐, Pz.Kpfw. T-34 747(r) "판터", 4호 전차, 3호 돌격포 G형, Sd.Kfz. 251, 40M 투란, PaK38 탑재 Sd.Kfz. 250, AB 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AutoMitrailleuse de Combat[2] Société d'outillage mécanique et d'usinage d'artillerie; 유명한 무기류 제작 회사인 슈네이더(Schneider) 사의 자회사이다.[3] 다만 이 기술에는 작은 오류가 있는데 문서에서 언급한 '스페인 내전의 기병 전차'는 영국이나 프랑스제 순항/기병 전차가 아니라 대부분 소련제 '경전차'였다. 심지어 운용법도 소련에서 파견한 고문관들이 가르쳐 준 대로 했지만 결과는 영 좋지 않았다.[4] Stéphane Ferrard (2010). "Les SOMUA de l'Ombre (I) — Le S 40 à tourelle FCM, char de la défense de l'Empire", Histoire de Guerre, Blindés & Matériel N° 89, p. 44-49[5] 월드오브탱크 기술자문 니콜라스 모런의 동영상에 따르면 수동 작동이다. 출처: https://youtu.be/VfaVeZ_xjIc?t=437[6] 개선형에서는 장갑 두께가 비슷해졌지만, 3호 전차의 장갑은 수직장갑이라 같은 두께라 해도 S35의 경사장갑보다 방어력이 떨어졌다.[7] 지금 보면 정말 이상하겠지만 당시 프랑스군은 총사령부에서조차 무전기를 쓰지 않았다.[8] 다만 전차장에 역할이 몰려 있으므로 승무원 스킬을 찍을 때 심각한 애로사항이 꽃피게 된다. 물론 전투 자체가 힘들었던 현실에 비하면 이 정도 어려움은 아무것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