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7 21:44:00

토요타 라브4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세계 10대 최다 판매 자동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4년 브랜드 차종별 판매량 순위
순위 국적 브랜드명 차종 판매량/전년 대비 판매율
1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테슬라 로고.svg파일:테슬라 로고 화이트.svg
테슬라
파일:tesla-model-y.jpg
모델 Y
109만 대
-1.2%
2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2022_Toyota_Corolla_JP_01.jpg
코롤라/레빈
108만 대
-3.1%
3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2022-Toyota-RAV4-16.jpg 라브4 102만 대
+10.7%
4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포드
파일:2024-ford-f-150-platinum-exterior.jpg
F-150
90만 대
+1.5%
5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혼다 로고.svg파일:혼다 로고 화이트.png
혼다
파일:2023 혼다 CR-V_(1).jpg
CR-V
74만 대
+4.2%
6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쉐보레 로고(신규).svg
쉐보레
파일:AwAW1631222652_2136767072.jpg
실버라도
64만 대
+1.5%
7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svg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현대
파일:투싼 NX4 페이스리프트 전면.jpg
투싼
61만 대
-2.8%
8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파일:11세대 캠리 XLE 전면.jpg
캠리
58만 대
-9.1%
9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비야디 자동차 CI.svg
BYD
파일:byd song dm-i.jpg
57만 대
+45.3%
10위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폭스바겐 로고.svg파일:폭스바겐 로고 화이트.svg
폭스바겐
파일:3세대 티구안 전면 2.jpg
티구안
54만 대
+10.5%
출처
162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공식 당국에서 제공하는 등록 수치를 기반으로 조사됨.
틀:세계 10대 자동차 그룹 | 틀:세계 10대 자동차 브랜드
}}}}}}}}} ||
파일:토요타 로고.svg
파일:2025_Toyota_RAV4_Main.jpg
파일:토요타 라브4 로고.svg
Toyota Robust Accurate Vehicle With 4 Wheel Drive / Wildlander

1. 개요2. 역사
2.1. 1세대 (XA10, 1994~2000, 2003)
2.1.1. 라브4 EV(전기차)
2.2. 2세대 (XA20, 2000~2005)2.3. 3세대 (XA30, 2005~2016)
2.3.1. 라브4 EV(전기차)
2.4. 4세대 (XA40, 2013~2019)
2.4.1. 국내판매용 차별 논란
2.5. 5세대 (XA50, 2018~2025)
2.5.1. 라브4 GR 스포트
2.6. 6세대 (XA60, 2025~예정)
2.6.1. 라브4 GR 스포트2.6.2. 라인업
3. 파생 모델4. 제원
4.1. 5세대
5. 경쟁 차종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7.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 토요타에서 1994년부터 생산중인 준중형 SUV로, 세계 최초의 도심형 크로스오버 SUV이자[1], 토요타 최초의 컴팩트 크로스오버 SUV이다.

컴팩트카의 기동성과 연비를 원하지만 또한 SUV(큰 짐칸, 높은 시야, 그리고 항시 사륜구동 등)의 장점을 누리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라브4를 개발했다. 모든 라브4가 4륜구동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차명이 라브4였던 이유는 앞서 언급된 장비들이 소수의 나라에서는 옵션이었기 때문이다. 라브4의 이른 성공은 컴팩트 크로스오버 SUV 시장의 길을 탄탄하게 다져 놓았으며, 이는 포드 이스케이프스바루 포레스터 등의 경쟁자가 나오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초창기에는 일본과 중국에서 생산하다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SUV[2]로 등극하여 북미(캐나다, 미국)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누적 1,000만대가 넘는 판매량을 달성했다. 2025년 2월에는 약 40년 동안 미국에서 판매 1위를 지켜온 포드 F-150을 제치고 라브4가 미국 내 판매 1위 차량에 올랐다.

대한민국 시장의 토요타가 100대 한정 판매했던 FJ 크루저와 잠깐 판매됐던 벤자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판매한 SUV이기도 했으며, 대한민국 물량은 전량 일본에서 생산되어 수입된다. 라브4가 지금은 한국에 판매중인 유일한 SUV는 아닌데, 2023년부터 하이랜더가 한국 시장에 추가로 투입됐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시장에서 라브4는 유일한 토요타의 컴팩트 SUV였다. 대부분이라 한 이유는 일부 국가의 시장에서는 FJ 크루저도 있었기 때문이다.

5세대에 이르러 일본 내수에도 재 진출했으며, 결코 저렴하다고 할 수 없는 가격대와 일본 도로 환경에 비해선 전폭 1855mm부터 시작하는 거대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다방면에서 뛰어난 성능이 높이 평가되어 무려 5개월 동안 일본 월간 SUV 판매량 1위를 유지했다. 또한 2019-2020 일본 올해의 차(Car of the Year)도 수상했다.

2. 역사

2.1. 1세대 (XA10, 1994~2000, 2003[3])

파일:Toyota_RAV_Four_Prototype_01.jpg 파일:Toyota_RAV_Four_Prototype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Toyota_RAV_Four_Prototype_Int.jpg
<rowcolor=#fff> 라브-Four
파일:1997_Toyota_RAV4_01.jpg 파일:1997_Toyota_RAV4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7_Toyota_RAV4_In.jpg
5도어
파일:1997_Toyota_RAV4_03.jpg 파일:1997_Toyota_RAV4_04.jpg
3도어
<rowcolor=#fff> 전기형

1989년 공개된 라브-FOUR 콘셉트카를 기반으로 코드명 153T로 개발에 들어가 E100 코롤라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1세대 라브4는 1994년부터 일본유럽 시장에서 3도어 모델을 시작으로 판매를 시작했고, 1995년에 5도어 모델이 추가된다. 1996년 1월 미국 시장에도 진출하면서 듀얼 에어백을 기본 장착하였다.

3도어와 5도어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되었고, 미국 시장에는 2.0리터 직렬 4기통 엔진(출력 121PS)이 탑재되었다. 전륜구동을 기본으로 사륜구동 모두 선택 가능했으며, 5단 수동 변속기와 4단 자동 변속기 중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차량은 1997년 《오토모빌 매거진》에서 '올해의 자동차'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6~1997년형 모델은 브래킷 방식의 듀얼 필라멘트 전조등과 구형 원형 소켓 방식의 전면 방향지시등/주행등을 사용했다. 후미등도 원형 소켓 타입이 적용되었다.
파일:1998_Toyota_RAV4_5D_01.jpg 파일:1998_Toyota_RAV4_5D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8_Toyota_RAV4_5D_Int.jpg
5도어
파일:1998_Toyota_RAV4_3D_01.jpg 파일:1998_Toyota_RAV4_3D_02.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998_Toyota_RAV4_03.jpg 파일:1998_Toyota_RAV4_04.jpg
3도어 소프트탑 }}}}}}}}}
2도어
<rowcolor=#fff> 후기형

1997년에는 1998년형 모델로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어 전후 범퍼 디자인이 소폭 변경되었고, 소프트탑 3도어 모델이 새롭게 출시되었다. 이때 엔진 출력도 소폭 향상되어 129마력으로 증가하였다. 1999년에는 2도어 하드탑 모델이 북미시장에서 단종되었으며, 5도어 소프트탑 모델이 이 포지션을 대체하게 된다. 일본에서는 179마력을 내는 고성능 2.0L 3S-GE BEAMS engine도 선택 가능했다.

실내 디자인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으며, 시트와 도어 패널의 색상이 달라지고, 일부 모델에는 추가 컵홀더(시가잭 겸용 포함)와 디지털 계기판이 적용되었다. 1998년형 라브4의 일부 모델은 'SXA11'이라는 모델명과 함께 'RAV 4.1'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999년 6월에는 미국 시장에서 2도어 하드탑 모델이 단종되었고, 5도어와 소프트탑 모델만 남게 되었다. 1998~2000년형 모델은 듀얼 필라멘트 방식이 아닌 단일 필라멘트 전조등을 사용했으며, 각각의 하우징에 하향등과 상향등이 구분되어 탑재되었다. 후미등은 직사각형 형태의 최신형 전구(7440/7443)를 사용했다.

2.1.1. 라브4 EV(전기차)

파일:1998_Toyota_RAV4_EV_01.jpg 파일:1998_Toyota_RAV4_EV_02.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998_Toyota_RAV4_EV_Int.jpg 파일:라브포1-5.jpg
내부 3도어 }}}}}}}}}
<rowcolor=#fff> 라브4 EV(5도어)

흥미롭게도 이 세대부터 전기차 버전이 있다. 하이브리드가 아닌 완전한 전기차로 1997년부터 2003년동안 오로지 리스형태로 판매되었다.[4] 다만, 2002년에 딱 한번 일반인에게 7달 동안 짧게 오직 캘리포니아 안에서만 판매된 적은 있다. 리튬 이온 전지(27 kWh)에 의해 파워를 공급받고 한번 충전시 193km를 갈 수 있었다. 토요타 측에서는 약 97,000km(60,000마일)의 배터리 워런티를 제공하였다. 총 1,484대가 리스되거나 캘리포니아 안에서 판매되었다. 초기 생산분은 모두 리스 판매했으며, 이들은 모두 회수해 폐차했으나 막판에 일반 판매가 이루어져, 2012년 중반에 들어서도 500대 정도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외에도 중국 광둥성에서 생산된 적이 있었다.

2.2. 2세대 (XA20, 2000~2005)

파일:2000_Toyota_RAV4_5D_01.jpg 파일:2000_Toyota_RAV4_5D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0_Toyota_RAV4_Int.jpg
5도어
파일:2000_Toyota_RAV4_3D_01.jpg 파일:2000_Toyota_RAV4_3D_02.jpg
3도어
<rowcolor=#fff> 전기형

2세대 모델인 코드명 XA20은 2000년 5월부터 생산을 시작하여 동년 7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1세대처럼 3도어 및 5도어 모델로 나뉘었고, 카리나코롤라와 플랫폼과 여러 부품을 공유했다.

2세대 라브4는 여러 트림으로 판매가 시작되었는데 NV 트림은 2륜 전륜구동, 그 외 NRG, GX, VX는 항시 사륜구동이었으며 옵션을 달리해 트림을 나누었다. 유럽 및 호주에서는 3도어 모델과 5도어 모델 둘 다 판매되었으나, 그 외의 시장에는 오로지 5도어 모델만 판매되었다. 125마력을 내는 1.8L 직렬 4기통 엔진(2WD에서만 선택가능) 및 150마력 2.0L 가솔린 엔진 이외에도 2.0L 디젤엔진도 판매되었다. 옵션으로 라브4에 ABS, ESC, 에어컨,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석, 크루즈 컨트롤, 6 스피커 CD 스테레오와 파워 윈도우, 사이드미러, 좌석 등이 있었다. 스포트 패키지를 선택 시에 메쉬 그릴, 본넷 스쿠프, 별도 도색된 도어 핸들, 루프랙, 은색 스포츠 페달, 열선 사이드미러, 회색으로 칠해진 범퍼와 펜더 그리고 스포트 섬유 시트가 추가되었다. 다른 옵션에는 알로이 휠, 열선 시트, 선루프, 키리스 엔트리 등이 있었다. 경쟁차량인 혼다 CR-V보다 한 치수 높은 16인치 휠을 기본으로 장착했으며, 사륜구동 옵션 추가시 더 큰 타이어를 끼울 수 있었다.

호주에서는 엣지(Edge)와 크루저(Cruiser) 두 트림으로 판매되었고, 이 트림은 3도어와 5도어 사양 모두 다 갖추고 있었다. 두 사양의 가장 큰 다른 점은 외관이었다. 엣지 모델은 회색으로 범퍼, 측면, 사이드미러와 도어핸들을 칠한, 스틸휠을 장착한 트림이었고, 크루저 모델은 차레 색상과 모두 통일 된 범퍼와 사이드 미러 등을 가지고 있었고 ABS와 알로이 휠이 기본 장착되었다. 모든 모델은 2.0L 직렬 4기통 VVT 엔진을 장착하였고, 이로 인해 파워와 토그가 올라감과 동시에 연비효율도 좋아졌다. 2세대 라브4는 호주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뒀고, 마침내 2001년, 라이벌 혼다 CR-V를 처음으로 제치고 베스트셀링 SUV가 되었다.
파일:2004_Toyota_RAV4_5D_01.jpg 파일:2004_Toyota_RAV4_5D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4_Toyota_RAV4_Int.jpg
5도어
파일:2004_Toyota_RAV4_3D_01.jpg 파일:2004_Toyota_RAV4_3D_02.jpg
3도어
<rowcolor=#fff> 후기형

2003년 하반기에 2004년식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내놓았다. 새로운 엔진과 스타일링 변화 등 여러 군데 업데이트가 되었다. 미국에서는 차체 구조가 강화되었으며, VSC가 기본으로 탑재되었다. 엔진은 2.4L로 더 커졌으며 161마력과 22.4 토크를 내었다. 단,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기존의 1.8L와 2.0L 엔진이 계속 장착되었고, 5도어 한정으로 2.0L 엔진에 가변 밸브 타이밍인 VVT-i를 탑재해 최고출력을 155마력으로 향상시키는 개량을 거쳤다. 유럽형 모델에는 전자식 오토 에어컨도 선택가능하게 되었고,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맞춰 새로운 촉매 변환기가 장착되었다. 또한 전자식 스로틀도 적용되었다.

호주에서는 부분 변경에 따라 기존의 기본 트림 '엣지(Edge)'가 'CV'로 명칭이 바뀌었고, 이전에는 옵션이었던 에어컨이 기본 사양으로 포함되었다. CV 모델은 차체 색상에 따라 실버 또는 바디컬러로 도색된 범퍼가 적용되었다. 전체 모델 라인업에는 원형 안개등과 기존의 오렌지색 방향지시등 대신 흰색 방향지시등이 포함된 새로운 전면 범퍼 등 소폭의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2005년에는 호주에서 'CV 스포츠' 모델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장식용 보닛 스쿱이 장착되어 더욱 공격적인 외관을 갖추었다. 이 CV 스포츠 모델은 단 1년만 판매되었고, 2006년 초 새로운 모델이 출시되기 전까지 판매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한다.

주목할만한 점은 2세대 라브4는 2003~2004년 등록 및 설문조사 자료에 따르면, 폭스바겐 비틀을 제외하고 북미에서 여성운전자 비율이 가장 높은 차였다.

2.3. 3세대 (XA30, 2005~2016)

파일:라브포3-1.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_Toyota_RAV4_In.jpg
롱 휠베이스(좌), 스탠다드(우)
<rowcolor=#fff> 전기형

새로운 섀시와 플랫폼을 이용한 2006년식 3세대 라브4가 2005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이 모델부터 유압식이 아닌 전자식 스티어링 휠 조향 시스템을 도입했다. 토요타 특유의 무난한 스타일링이 잘 드러난다.

일본 아이치현의 타하라 공장에서 조립되었고, 또한 토요타 산업의 계약에 따라 아이치현의 다른 공장에서도 조립되으며 중국 장춘과 캐나다 온타리오에서도 생산되었다.

3세대 라브4는 3도어가 없어지고 5도어만 남은 대신, 스탠다드(숏 휠베이스)와 라브4 L(롱 휠베이스) 두 가지 버전이 존재했다. 숏 휠베이스 버전은 일본, 유럽 그리고 뉴질랜드(디젤은 뉴질랜드에서만)에서 판매되었다. 롱 휠베이스 모델은 오세아니아 지역과 북미 지역에서만 판매되었다. 롱 휠베이스 모델의 내부 부피는 저번 세대보다 21%나 컸으며 작은 아이 두 명이 탑승가능한 3열시트(일본과 북미시장 한정)도 구비하고 있었다. 숏바디와 롱바디의 가장 큰 구분점은 리어해치에 스페어타이어가 달려 있으면 롱바디, 없으면 숏바디이다. 여전히 4륜과 2륜구동 둘 다 판매하였지만, 북미와 일본시장을 제외하고는 대개 4륜구동만 판매되었다. 일본 내수용 사륜구동 모델의 경우, 주행 중 97~98%의 동력이 전륜에 전달되며, 미끄러짐을 감지하면 최대 45%까지 후륜으로 동력이 분배된다. 유럽 사양은 50:50 구동력 고정이 가능하다. 이전 세대와 비교했을 때, 숏 휠베이스 모델의 휠베이스는 70mm 증가했고, 전장은 145mm, 전폭은 80mm 늘어나 차량 크기가 전반적으로 커졌다. 롱 휠베이스 모델은 실내 공간이 이전 세대보다 21% 확대되었으며,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는 3열 좌석 옵션도 제공되어 최대 7인승 구성이 가능했다.

또한,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EPS), 스마트 키 및 시동 시스템(스마트 엔트리 & 스타트), 그리고 라브4 최초로 9개의 에어백이 적용되었다. 실내에는 2단 계기판 디자인이 도입되어 입체감을 주었다.

엄청난 엔진 바리에이션을 갖고 있는데, 2.0L 모델은 페이스리프트되거나 연식이 바뀔 때에 계속 업데이트되어 초기 145마력에서 158마력까지 출력이 증가하였다. 2.2리터 디젤엔진도 업데이트를 거쳤는데 초기 136마력에서 177마력(30 kg.m)으로 비약적인 출력 향상이 있었다. 2.5리터 엔진은 출력향상은 미미했고, 연비개선과 토크밴드에 신경을 써서 단 한번 업데이트되었다. 끝판왕으로 북미에서 V6 3.5L 가솔린 273마력 모델이 판매되었다. 이 모델은 정지 상태에서 시속 97km(0–60mph)까지 약 6초 만에 도달할 수 있는 성능을 지녔다.

일본 내수시장용 모델은 2005년 하반기부터 넷츠 딜러에서 판매가 개시되었으며, 3도어 모델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이로써 토요타의 미니 SUV 계보는 어반 크루저(유럽과 북미에도 판매)가 2009년에 출시되기 전까지 끊기게 된다. 어반 크루저는 북미에서 사이언 xD로 판매되었다. 한편 2007년부터는 롱 휠베이스 버전도 일본에서 "뱅가드(Vanguard)"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완전히 같은 모양으로 판매된 것은 아니고 일본 내수시장에 맞게 전체적인 프론트 마스크의 수정이 있었다. 2016년 7월까지 판매되었고, 그 이후 4세대부터 일본에 출시되지 않았다가 5세대로 다시 판매된다. 뱅가드는 2013년 11월, 새롭게 출시된 XU60 토요타 해리어의 출시로 단종되었다.
파일:2009_Toyota_RAV4_Limited_01.jpg 파일:2009_Toyota_RAV4_Limited_02.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2009_Toyota_RAV4_Limited_In.jpg
북미 사양 리미티드 내부
파일:2009_Toyota_RAV4_Sport_01.jpg 파일:2009_Toyota_RAV4_Sport_02.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2009_Toyota_RAV4_Sport_In.jpg }}}}}}}}}
북미 사양 스포트 }}}}}}}}}
북미(리미티드) 및 한국 사양
파일:2009_Toyota_RAV4_EU_01.jpg 파일:2009_Toyota_RAV4_EU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9_Toyota_RAV4_EU_In.jpg
유럽 사양
<rowcolor=#fff> 중기형

2008년에 2009년형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으며, 시장에서의 모델 수명이 중반을 넘어감에 따라 많은 변화를 주게된다. 새로운 4기통 엔진, 새로 디자인된 프론트와 수정된 리어 디자인이 대표적이다. 리미티드 트림에 한해서 프론트 그릴과 범퍼가 다른 트림과 차별화된다. 스포트 모델은 더 큰 스포일러와 빨간 뱃지가 달리며, V6 모델의 옵션인 스페어타이어를 삭제하는 대신 런플랫 타이어가 장착되었다. 또한 턴시그널이 사이드미러에 내장되었으며, 후방카메라, 위성 내비게이션, 스마트키, 스타트버튼, 멀티펑션 디스플레이 등이 달리게 되었다. 그 외의 인테리어는 큰 변화가 없었다. 2009년에는 처음으로 캐나다 시장에 2WD 모델이 도입되었다. 2008년 11월 초부터는 북미형 모델들이 토요타 캐나다 공장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2009년 3월 초에는 중국시장 확대를 위해 중국 텐진의 공장에서도 생산이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토요타가 2009년 10월에 정식으로 진출하면서 3세대 페이스리프트부터 들여오기 시작했는데, 2.5L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고 뒤에 스페어타이어가 달린 롱바디 모델이 수입되었다.

이 모델은 일본 아이치현 다하라 공장에서 생산되었고, 토요타산업 주식회사가 아이치현 오부시 나가쿠사 공장에서 위탁 생산하였다. 북미 시장용 차량은 2008년 11월부터 캐나다 온타리오주 우드스톡에 새로 설립된 토요타 캐나다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2009년 3월부터는 중국 톈진의 톈진 FAW 토요타 합작 공장에서 현지 생산이 시작되었다.

2008년에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일본 토요타 넷츠점 딜러에서 광고로 나왔던 라브4 광고 모델로 한류스타 배우 이병헌이 출연하였다. 관련 영상
파일:2010_Toyota_RAV4_01.jpg 파일:2010_Toyota_RAV4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_Toyota_RAV4_In.jpg
<rowcolor=#fff> 후기형

2011년 말에 숏바디 모델 한정으로 뱅가드와 같은 전면부 형태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4세대 모델로 풀체인지가 된 이후에도 일본에서는 기존 3세대를 병행 판매했다. 이후 가지치기 모델인 뱅가드를 2013년 말에 판매를 중단했으며, 2016년에 판매가 완전히 중단되었다.

2015년에는 XA30 시리즈 RAV4가 미국의 WheelsTV에서 선정한 '중고차 올해의 차량'에 선정되었다.

2.3.1. 라브4 EV(전기차)

파일:2010_Toyota_RAV4_EV_01.jpg 파일:2010_Toyota_RAV4_EV_02.jpg
파일:external/insideevs.com/rav4EV-pricing.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0_Toyota_RAV4_EV_In.jpg
<rowcolor=#fff> 라브4 EV

토요타는 테슬라와 2세대 라브4 EV를 만들기 위해 협력했었다. 2012년 3분기에 출시되었고 3년간 2,600대만 생산할 예정이었으며 캘리포니아주 한정으로 판매하고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샌디에이고에서 처음 판매가 이뤄졌다. 생산은 2014년 9월까지 이뤄졌으며 2015년 4월까지 미국에서 도합 2,489대가 판매되었다.

2세대 라브4 EV는 154마력을 내며 파나소닉테슬라가 개발하고 생산한 41.8 KWh의 리튬 이온 배터리 팩이 장착되었다. 토요타는 EPA 측정에서 한번 충전으로 142km, 최대 182km를 갈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휘발유와 비교해 측정환산하면 갤런당 76마일, 리터당 33.3km를 가는 것이다. 2세대 EV의 배터리팩 구조와 구성은 2012년 6월에 출시된 테슬라 모델 S와 매우 흡사하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이 테슬라에서 파워트레인을 공급했기 때문이다.

토요타는 라브4 EV 이후 2017년에 테슬라 지분을 모두 매각하고 자체적인 전기차 시리즈를 개발해왔으며 이는 토요타 bZ 시리즈로 출시되었다.

2.4. 4세대 (XA40, 2013~2019)

파일:2013_Toyota_RAV4_01.jpg 파일:2013_Toyota_RAV4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3_Toyota_RAV4_In.jpg
프리미엄
파일:2013_Toyota_RAV4_A_01.jpg 파일:2013_Toyota_RAV4_A_02.jpg
어드벤처
<rowcolor=#fff> 전기형
2013년 대한민국 광고
인생, 재미있어지기 시작한다

4세대 라브4는 2012년 11월 LA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북미 판매는 2013년 1월에 시작되었으며, 나머지 국가에서는 2월부터, 대한민국 시장에는 5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이례적으로 4세대 라브4는 일본에서 생산만 하고 팔지 않았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우드스톡 공장에서도 생산되었지만, 차량의 부품 중 약 50%는 일본산 부품이 포함되었다. 일본 시장에서는 수출 전용 모델이 되어버린 4세대 대신 이전 세대의 숏 휠베이스 모델을 2016년까지 계속 판매했었고, 기존 롱 휠베이스 모델의 후속은 해리어가 담당하게 되었다. 파워트레인은 2.0L와 2.5L 가솔린 엔진 사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럽과 일부 아시아 시장에 한해서 2.0L와 2.2L 디젤 사양도 판매되었다. 따라서 이전 세대에 있던 V6 엔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전 라인업이 직렬 4기통 엔진들로만 구성되었다. 변속기로는 6단 수동과 CVT, 6단 자동 3가지가 선택 가능했다. 6단 수동변속기는 추후에 7단 수동변속기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또한 전통적으로 숏 휠베이스, 롱 휠베이스로 나뉘어 판매되었지만, 4세대에 들어서는 오직 한 종류의 휠베이스 모델만 판매하게 되었다. 또한 위로 열리는 단계식 전동 테일게이트가 최초로 도입된 세대이며, 리어 도어에 장착되어 있던 스페어 타이어는 제거되었다.

전 세대에 비해 상당히 유려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데, 토요타 측에서는 수영선수의 역동적인 모습을 오마쥬 삼아 디자인했다고 한다. 토요타 특유의 고리타분한 이미지 탈피에 많이 신경썼다고 한다.

이번 세대부터 하이브리드 모델이 추가되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2.5L 앳킨슨 사이클 가솔린 엔진, 고출력 전기 모터와 고전압 발전기로 2개의 모터를 구성했고, 뒷좌석 아래에 위치한 204개의 셀을 포함한 니켈-수소 배터리, 파워 컨트롤 유닛(PCU), 그리고 유성 기어 세트인 파워 스플릿 디바이스(PSD)가 결합된 직병렬 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췄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버전이 제공되었으며, 사륜구동 모델에는 50kW 출력의 고전압 후륜구동용 전기 모터가 별도로 장착되어 있어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최대 790kg(1,750파운드)의 견인력을 제공한다. 이 후륜 전기 모터는 전면 하이브리드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뒷바퀴만 구동시킨다. 미국에서는 2013년 1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형제차이자 차급을 더 키운 렉서스 NX가 있으며, NX도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2013년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라브4 어드벤처와 프리미엄이 공개되었다. 어드벤처는 오프로드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차량의 외관을 강조한 콘셉트 카 이다. 짙은 빨간색 차체 색상, 확장된 펜더 플레어, 20인치 알로이 휠, 그리고 무광 도색된 앞뒤 범퍼가 특징이다. 2017년 9월에 양산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미국시장에도 라인업에 추가해 판매되었다. 프리미엄은 딥 브론즈 차체 색상, 딥 브론즈 범퍼, 크롬 마감 스포일러, 리어 범퍼의 크롬 인서트, 브러시드 알루미늄 스키드 플레이트, 뒷 범퍼에 통합된 테일 파이프, 20인치 휠, 토요타의 칸세이 디자인 부서가 디자인한 가죽 실내 장식, 검은색 파이핑과 V자형 자수가 새겨진 시트, 투톤 더블 스티칭, 계기판과 도어 패널의 회색과 검은색 가죽을 특징으로 하는 콘셉트 카 이다. 유럽시장에 한정판 모델로 출시되었다.

2013년, 2014년 모델에 대한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의 평가에서는 머리 지지대 및 좌석, 지붕 강도, 측면 충돌, 중간 정면 충돌 테스트에서 '우수(Good)' 등급을 받았으나, 스몰오버랩 Poor를 받았다. 이에 따라 2015년형 모델부터는 해당 충돌 테스트에서 '우수'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었다. 실제로 2015년 모델(2014년 11월 이후 생산차량)에 대해 구조 변경을 시도하여 모든 대항목 GOOD을 달성하였다. IIHS의 스몰 오버랩 충돌 테스트는 2012년에 도입된 평가 항목으로, 차량 전면 운전석 측 25% 영역에 대한 충돌을 시뮬레이션한다. 이 테스트가 도입된 이후,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이 운전석 쪽에만 구조적 보강을 하는 비대칭적 개선을 실시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라브4를 비롯한 토요타 차종들도 그 중 하나였고, 이는 현대 기아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IIHS는 2015년형 라브4를 포함한 여러 차량을 대상으로 조수석 측 스몰 오버랩 충돌 테스트도 시행했으며, 이 테스트에서 라브4는 가장 나쁜 결과(Poor 등급)를 보였다. 만약 조수석 보호에 대해서도 등급을 부여했다면 '미흡(Poor)' 등급을 받았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제 충돌 시 조수석 쪽 차량 침입량은 운전석보다 330mm(13인치) 더 컸으며, 충격으로 인해 조수석 도어가 열리기도 했다. 라브4는 IIHS에서 소형 SUV로 분류되는데, 이 분류의 자동차로서 국산 또는 한국에 정식 수입되는 자동차 중 모든 대항목 GOOD을 받은 자동차는 2016년 2월 현재 현대 투싼혼다 CR-V와 라브4밖에 없다.

다만, 유럽 시장용 표준 사양 라브4는 2013년 Euro NCAP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획득했다. 때문에 북미에선 북미 사양만 차별이 이뤄진게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기도 했었다.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였으며, 실제로 한국 사양에서 여러 차별이 일어났다는 것이 발각되어 보상이 이뤄지기도 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해 구조를 다시 재검토하여 일본에서 생산된 라브4는 라틴 아메리카 시장용 기본 사양 모델(에어백 3개 장착 기준)로 2015년 Latin NCAP 충돌 테스트에서 각각 5점 만점에 성인 탑승자 보호 5점, 유아 보호 4점을 받아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다.
파일:2015_Toyota_RAV4_01.jpg 파일:2015_Toyota_RAV4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5_Toyota_RAV4_In.jpg
하이브리드
<rowcolor=#fff> 후기형
2016년 대한민국 광고
이제 당신의 생활에 놀라운 반전이 시작된다

2015년 4월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공개되었다. 페이스리프트[5]를 거치면서 토요타의 최신 디자인 아이콘인「킨룩」을 적용한 새롭게 디자인된 LED 전조등과 후미등, 풀컬러 TFT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계기판 등이 추가되었다. 2016년 3월 8일에는 라브4 하이브리드가 대한민국에 정식 출시됐다. 라브4 4WD 하이브리드의 연비는 13km/L.

가솔린과 하이브리드의 트렁크 사이즈가 다르다. 하이브리드는 배터리 때문에 트렁크가 좁아지고 2열 시트가 약간 위로 올라왔다. 그래서 2열을 폴딩해도 상당히 튀어나온다. 가솔린은 풀플랫 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평평하다. 단순 트렁크 깊이로만 보면 가솔린이 96cm 정도, 하이브리드는 76cm정도. 이 차이를 모른 상태에서 연비 때문에 하이브리드 샀는데, 라브4는 트렁크가 별로 크지 않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구매할 계획이라면 참고하자. 차 구경은 가솔린으로 하고, 연비 때문에 구매는 하이브리드 선택했는데, 자녀가 둘이라 유모차가 두대인 경우, 하이브리드는 유모차 두대가 안들어가는 참사가 발생할 수 있다.

2.4.1. 국내판매용 차별 논란

위에 4세대 문단에서 보다시피, IIHS에서 투싼CR-V와 더불어 동급 차종들 중 모든 항목을 GOOD을 받았고 토요타는 이것으로 국내에서도 라브4의 안정성이 좋다고 광고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국내에 시판되는 라브4에는 전혀 해당되지 않는 사항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북미 시장 판매용과 달리 대한민국 판매용을 차별했다는 것이 적발되었기 때문이다. 이 사례도 한 소유주가 수리를 하면서 알게 된 경우라서 알려진 케이스일 뿐, 모든 토요타 차종의 범퍼를 뜯어보지 않는 이상 확인하기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모든 토요타 차량들이 보강재를 넣었는지 알 수 없지만 국내 안전도 테스트는 IIHS나 유로앤캡에 비하면 터무니 없을 정도로 난이도가 낮은 수준이라 이 부분을 직접 확인하기도 어려운 부분일 뿐더러 메이커에겐 가장 중요한 원가절감을 하기 위해 사실상 모든 차종에서 뺐다고 봐야 할 부분이다.

결국 토요타의 보상이 이뤄졌다. 그동안 차별에 분노한 소유주들의 소송이 진행되었었는데 소송을 넣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광고가 있었던 시기에 구입한 구매자들도 보상을 받게 되었다. 사실상 차별을 인정한 셈이다.

2.5. 5세대 (XA50, 2018~2025)

파일:2019_Toyota_RAV4_H_01.jpg 파일:2019_Toyota_RAV4_H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9_RAV4_In.jpg
하이브리드
파일:2019_Toyota_RAV4_A_01.jpg 파일:2019_Toyota_RAV4_A_02.jpg
어드벤처
<rowcolor=#fff> 전기형

2018년 4월 뉴욕 모터쇼에서 공개됐으며, 2017년 12월 LA 오토쇼에서 선보인 FT-AC 콘셉트 카를 통해 디자인을 미리 선보였었다. 동년 12월부터 북미 시장을 시작으로 판매를 시작했고, 일본에서도 다시 판매를 시작했다.

외형은 4세대가 곡선을 많이 사용한 동글동글한 느낌이었다면, 이번 라브4는 직선을 많이 사용한 각진 느낌을 준다. 라브4 4세대가 2013년 출시라 2015년 출시인 스포티지 QL이나 투싼 TL에 비해 옵션이 상당히 부족했었는데, 많이 좋아졌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나 비상제동 시스템 같은 것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일단 어지간한 옵션은 다 있는데, 문제는 넣을 거 다 넣으면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는 것. 그야말로 비싸서 사기 힘든 외제차가 되어버렸다. 반대로 국산차와 가격 경쟁력이 있는 최하위 트림을 보면 옵션이 참 부실하다.[6] 심지어 운전석 열선 시트조차 없다. 황당한건 이런 필요한 옵션은 상위 트림으로 올려놓고, 카페트 매트 같은 애프터마켓 제품이 충분히 있는 옵션을 넣어 놨다는 것.

파워트레인은 2.5L 4기통 가솔린 엔진을 주력으로 사용하며, 일반 가솔린 모델은 8단 다이렉트 자동변속기, 하이브리드는 유성기어 타입 e-CVT와 맞물린다. 기존처럼 4륜구동(일반 가솔린은 드라이브 샤프트, 하이브리드는 전기모터로 분배)도 선택할 수 있다.

가장 크게 바뀐 부분은 바로 캠리와 공유하는 TNGA-K 플랫폼[7]으로 변경했는데,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바뀌고 많은 옵션이 기본으로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많이 오르지 않았다.

8단 다이렉트시프트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4기통 가솔린 엔진 모델과 eCVT가 포함된 직병렬 하이브리드 시너지 드라이브(Hybrid Synergy Drive) 시스템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모델이 함께 출시되며, 디젤 엔진은 제공되지 않는다.

개발은 사에키 요시카즈 수석 엔지니어가 주도했다. GA-K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모노코크 바디 구조는 이전 세대보다 57% 더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새로운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핸들링 성능 향상, 실내 소음 감소, 승차감 개선 등이 이루어졌다.

A필러 주변 전방 시야 개선을 위해 사이드 미러는 도어 하단으로 내려 배치되었고, 벨트라인을 낮추고 리어 쿼터 글라스를 키워 측면 시야도 개선되었다. 또한, 대시보드 하단 위치와 안쪽으로 들어간 와이퍼 설계로 전방 시야 역시 향상되었다.

5세대 라브4는 새롭게 개발된 사륜구동 시스템인 '다이내믹 토크 벡터링 AWD(Dynamic Torque Vectoring AWD)'를 처음으로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주행 조건에 따라 좌우 리어 휠에 토크를 독립적으로 배분하는 방식으로, 세계 최초의 기술로 소개되었다. 또한,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전륜에만 구동력을 전달하는 ‘리어 드라이브라인 디스커넥트(Rear Driveline Disconnect)’ 기능도 탑재되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E-Four’ 또는 ‘AWD-i’ 시스템이 적용되며, 기존 세대보다 후륜에 전달되는 전기 토크가 30% 증가했다. 새로운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전후륜 토크 배분을 100:0에서 20:80까지 조절할 수 있다. 가솔린 모델의 경우, 토크 벡터링 기능이 없는 일반 AWD 시스템도 제공된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기본적으로 사륜구동이 적용되며, 1.6 kWh 니켈-수소 배터리(AHAH54L) 또는 0.9 kWh 리튬이온 배터리(AHAL54L)를 사용한다.

북미 기준 25,500달러부터 시작. 한화로 약 2,900만 원쯤 되는데, 국내에 수입되면서 이런저런 세금과 마진이 붙는 걸 생각해도 수입차 치고는 그리 비싼 편은 아니다. 라브4 4세대가 현재 대한민국에서 3,460만 원부터 판매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2019년 3월 서울 모터쇼에 나온 후 동년 5월 1일 사전 계약을 받고 동년 5월 21일에 정식 출시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5L 가솔린은 전륜구동 단일 트림, 2.5L 하이브리드는 전륜구동/4WD 트림 2가지로 들여왔다. 복합연비는 2.5L FF 11.4km/L, 2.5L 하이브리드 FF 15.9km/L, 2.5L 하이브리드 4WD 15.5km/L. 가격은 2.5 FF 3,540만 원, 2.5 하이브리드 FF 3,930만 원, 2.5 하이브리드 4WD 4,580만 원. 모든 트림에 반 자율주행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눈 여겨 볼만한 기능은 스탑앤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유지보조다. 일본차들의 특징 중 하나가 반자율주행에 인색한 편이었는데, 이번 라브4는 혼다의 혼다 센싱에 자극 받아서인지 뒤늦게 장착하였다.

신차 시승회에 험로를 운행을 포함시켜서 라브4의 험로 주파력을 홍보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실제로 5세대 라브4는 초심으로 돌아가는 컨셉으로 만들어진 차량답게 실내 곳곳에 터프미가 공존하고 있으나, 2018년에 나온 차라고는 무색할 정도로 오래된 느낌을 심하게 주는 것도 사실이다. 4륜이 채용되어도 후륜은 모터로 구동되기 때문에 연비가 4륜과 2륜의 큰 차이가 없는 점은 훌륭한 점이다. 타이어 편평비도 최근 트렌드 대비 넓은 편이다.

2019년 9월, 스웨덴의 자동차 전문지 Teknikens Värld[8]는 가솔린 및 하이브리드 버전의 라브4를 무스 테스트(급선회 테스트)에 투입했으며, 두 모델 모두 테스트에서 실패 판정을 받았다. 테스트에서는 전자식 주행 안정 장치가 너무 늦게 개입하여 차량이 여러 차례 외측 타이어를 들썩이며 위험한 동작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토요타는 VSC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했고, 2020년 1월 재시험 결과 통과 판정을 받았다.# 또한 천장 누수, 연료통 이슈 등 고질병으로 인한 이슈가 있어 북미에서 소송을 당한 바 있다.

2019년, 일본 생산분 라브4는 라틴 아메리카 시장의 기본 사양(에어백 7개 기준)으로 Latin NCAP에서 성인 탑승자와 유아 탑승자 모두 별 5개 등급을 획득하였으며, Advanced Award도 수상했다. 같은 해 유럽 시장 기준 모델도 Euro NCAP 충돌 테스트에서 별 5개 등급을 획득했다.
파일:2020_Toyota_RAV4_P_01.jpg 파일:2020_Toyota_RAV4_P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_Toyota_RAV4_P_In.jpg
전기형 후기형
<rowcolor=#fff> 라브4 PHEV(라브4 프라임)
2023년 대한민국 광고
둘 중 하나만 선택 하라는 세상의 질문에 당신의 대답이 하나일 필요는 없다.
하나의 자동차, 두 개의 대답

2019년 12월 LA 오토쇼에서 PHEV 모델이 공개됐다. 이 차량에는 하이브리드 모델에 사용되는 "THS II"를 기반으로 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 "THS II Plug-in"이 적용되었으며, 전면 모터를 고출력화하여 시스템 최고 출력은 225kW(306PS)로 향상되었고, 즉각적인 가감속이 가능하다.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는 차량 중앙의 바닥 하부에 배치되어 낮은 무게 중심과 최적의 무게 배분을 실현하였다. 또한, AC 100V·1500W의 외부 전원 공급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되었으며, 러기지 공간에 마련된 액세서리 콘센트 외에도, 차량 후방 우측에 위치한 일반 충전 포트에 전용 차량 전원 커넥터를 연결함으로써 외부 전력 공급용 콘센트로 사용할 수 있다. 전력 공급 모드는 배터리만 사용하는 EV 전력 공급 모드와,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엔진이 작동하는 HV 전력 공급 모드의 두 가지로 구성된다. 2.5L 가솔린 엔진은 하이브리드 모델과 동일하나 모터 출력이 증대되어 시스템 출력은 일반 하이브리드보다 83마력 더 높은 302마력에 달하며, 18.1kWh의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가 탑재된다. 가속력도 대폭 향상되었으며, 배터리로만 주행 시 북미 기준으로는 최대 67km(42마일) 주행이 가능하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60마일(약 97km)까지 가속 시간은 5.8초, 시속 100km까지는 6.2초로, 당시 북미에서 판매하는 토요타 차량 중 GR 수프라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성능을 자랑했다. 디자인은 하이브리드와 차별화되는 19인치 휠, 유광 몰딩 등이 적용됐다. 일본에는 2020년 6월, 북미에는 2020년 7월 출시되었다. 폭발적인 인기로 인해 일본에서는 1개월만에 연간 판매 목표인 3,600대를 모두 달성해 수주 중지 사태까지 벌어졌으며, 미국 등지에서는 딜러가 웃돈을 요구하는 경우도 발생한다.[9] 북미 시장에서는 'RAV4 Prime'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가 2024년형부터 '라브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변경되었다.

일본에서는 2020년 6월 8일부터 'RAV4 PHV'라는 이름으로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2022년 10월부터는 ‘PHV’라는 명칭이 제거되었다. 2022년 10월의 연식 변경을 통해 라브4 전체 라인업에 통합되었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용 등급으로 "Z" 트림이 추가되었다.
파일:2022-Toyota-RAV4-16.jpg 파일:2022-Toyota-RAV4-19.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2_Toyota_RAV4_H_In.jpg
하이브리드 SE
파일:2021_Toyota_RAV4_A_01.jpg 파일:2021_Toyota_RAV4_A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1_Toyota_RAV4_A_In.jpg
어드벤처
<rowcolor=#fff> 후기형
2022년 대한민국 광고
멀티플한 당신의 삶에 더 새롭고, 더 다양한 능력을.

2021년 9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하였다. 새로운 LED 프로젝터 타입 헤드라이트, 실버 또는 블랙 색상의 알로이 휠, USB-C 충전 포트 등이 추가되었으며, 유럽 시장에는 일본, 미국, 호주 등에서 먼저 선보인 오프로드의 감성을 더해 외장 디자인을 달리한 어드벤처 모델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구동계통을 개선하여 최대 306마력의 출력을 제공하며, 순수 전기(EV) 모드 주행 거리는 최대 75km(약 47마일)로 발표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2년 3월 15일부터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사전 계약을 받은 후 4월 12일에 출시되었다. 2.5L 가솔린 하이브리드만 판매하고, 일반 가솔린 모델은 들여오지 않는다. 가격은 하이브리드 2WD XLE 4,380만원, 하이브리드 AWD LTD 4,950만원부터 시작한다.

2023년 2월 21일에는 대한민국에 PHEV 모델이 출시됐다. 순수 EV 모드로 61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가격은 XSE 단일 트림으로 5,570만원부터 시작한다. 연비는 15.6km/L. 동시에 LCD 계기판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LG U+와 협업하여 네이버 클로바와 연동된 AI 음성인식, 통신형 내비게이션, 차량관리, 무선 통신 등의 운전자 편의기능을 적용했고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에 긴급제동 시 교차로와 맞은편 차량을 보조하는 기능이 새로 적용됐다. 전기 충전구는 조수석 방향 리어 펜더에 있다.

2023년 2월 미국에선 2021년형 라브4 1만6679대가 추운 날씨에 EV모드(무급유 모드)로 급가속하면 차량이 멈추는 문제로 리콜 판정을 받았다.#

2.5.1. 라브4 GR 스포트

파일:라브4 GRS.jpg 파일:202302062394000_1.jpg
파일:rav4-vector-logo.png 파일:gr_sport.png

2022년 10월 공개됐으며, 더욱 단단하게 설계된 서스펜션, 스포티한 외관 및 새로운 19인치 휠과 함께 유럽에 출시되었다.

2.6. 6세대 (XA60, 2025~예정)

파일:2025_Toyota_RAV4_01.jpg 파일:2025_Toyota_RAV4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5_Toyota_RAV4_Int.jpg
코어
파일:2025_Toyota_RAV4_A_01.jpg 파일:2025_Toyota_RAV4_A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5_Toyota_RAV4_A_Int.jpg
어드벤처
<rowcolor=#fff> 글로벌형
파일:2026_Toyota_RAV4_Limited_01.jpg 파일:2026_Toyota_RAV4_Limited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6_Toyota_RAV4_Limited_Int.jpg
리미티드
파일:2026_Toyota_RAV4_Woodland_01.jpg 파일:2026_Toyota_RAV4_Woodland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6_Toyota_RAV4_Woodland_Int.jpg
우드랜드
<rowcolor=#fff> 북미형

2025년 5월 12일, 토요타 미국 프레스룸에서 티저 이미지가 공개됐으며, 5월 20일 미국 텍사스 플레이노에서 정식 공개됐다. # 한국 시각 기준으론 2025년 5월 21일 오전 10시 공개되었다.

이번에 공개된 6세대 라브4는 "Life is an Adventure"라는 콘셉트를 바탕으로 운전자가 보다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5세대에서 한층 향상된 주행 감각은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가속 성능까지 강화되었으며, 어떤 길이든 달릴 수 있을 것 같은 강한 인상을 주는 차량으로 진화했다. 여기에 첨단 지능형 기술이 더해져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토요타 최초의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인 Arene을 도입해 차량의 지능화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 Arene을 활용해 보다 높은 안전성과 안심감을 실현하고, 일상에서의 모빌리티 경험을 풍부하게 하여 도시생활이든 아웃도어 활동이든 어떤 환경에서도 운전자의 삶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차량을 지향하고 있다. 토요타는 이번 신형 라브4를 180여 개국과 지역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라브4만의 감성을 담았다고 한다. 외관 디자인은 대구경 타이어를 강조한 "Big Foot", 오프로드 성능을 떠올리게 하는 "Life-up", 그리고 실용적인 화물 공간을 표현한 "Utility"라는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라브4 특유의 "어디든 갈 수 있을 것 같은 차"라는 이미지를 구현했고 전면부는 최신 패밀리룩인 헤머헤드 디자인을 반영한다.

기어 시프트 레버와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브레이크 홀드 스위치는 한 패널에 집약해 주행 중 조작을 단순화했으며, 새롭게 적용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술은 디자인의 간결함을 더하고 고급스러운 피아노 블랙 마감으로 마무리되었다. 트렁크 용량도 733L에서 749L로 확대되었으며, 뒷좌석을 더욱 평평하게 접을 수 있어 긴 물건도 쉽게 수납할 수 있다.

일반 모델인 코어(Core), 스포츠(Sport), 러기드(Rugged) 스타일의 세 가지 디자인과 총 7가지 트림으로 출시된다. 이번 신형에는 새로운 모습의 어드벤처(글로벌형)/우드랜드(북미형)와 GR 스포트(GR SPORT) 트림도 포함된다.

2026년형 RAV4는 100% 전동화되어 일반 가솔린 내연기관이 사라지고, HEV나 PHEV 두 가지 전동 파워트레인으로만 제공된다. 공통적으로 기존의 2.5L I4 A25A-FXS 앳킨슨 사이클 하이브리드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다. 특히 GR 스포트 모델은 토요타 가주 레이싱(Toyota GAZOO Racing)과 협업해 개발되었으며, 더욱 스포티한 주행 감각을 위해 서스펜션 강화, 트레드 확대, 20인치 블랙 알로이 휠과 GR 고유의 디자인 요소를 적용했다. 실내 역시 스포츠 시트, 알루미늄 페달, GR 로고 및 레드 포인트로 역동성을 강조했다. 어드벤처/우드랜드 트림은 HEV 또는 PHEV 버전으로 제공되며, AWD를 기본으로 탑재하고, 지상고가 높아졌으며, 올터레인 타이어와 스플릿 그릴 등으로 오프로드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한다.

새롭게 개발된 6세대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PHEV 모델은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22.7kWh)를 통해 새롭게 개발되어 최고 약 320마력의 시스템 총 출력과 전기 주행거리 유럽 기준 최대 150km(WLTP 기준), 북미 기준(기존 42마일 대비 약 20% 증가) 50마일(약 80km)을 제공한다. 전기 모터 출력은 12% 향상된 150kW로 증가했고, 시스템 총 출력은 AWD 304마력 기준,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5.8초 만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V2H 기능을 통해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기 구동과 하이브리드 모드 간의 자동 전환이 가능한 지오펜싱(geo-fencing) 기능도 새롭게 추가되어 도심 저배출 구역을 효율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라브4 최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륜구동 모델도 출시되어 보다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 PHEV 전륜구동 모델은 아직 알려진 정보가 없다.

HEV 모델은 개선된 5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변속기, 파워 컨트롤 유닛, 배터리 등 다양한 부품의 개선으로 모터 출력이 향상되어, 보다 민첩한 가속과 직결감 있는 반응을 제공한다. AWD 기준 236마력, FWD 기준 226마력으로 출력이 향상되었다. FWD 모델도 하이브리드 라인업에 추가된다.

GR SPORT 모델은 전용 GR 서스펜션과 스포티한 외관, 고성능 AWD PHEV 시스템을 탑재했으며, 전용 20인치 휠과 프론트 및 리어 윙 타입 스포일러를 포함한다.

PHEV 모델은 기존 SE와 XSE 외에도 GR SPORT, 어드벤처/우드랜드까지 총 4가지 트림으로 확대되며, 모두 AWD가 기본 적용된다. 이 중 XSE와 어드벤처/우드랜드 트림은 DC 급속 충전을 지원하며, 약 30분 만에 10%에서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신형 라브4는 2세대 TNGA-K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며, 구조 강성과 서스펜션 마운트 강화로 핸들링과 승차감이 향상되었다. 고감쇠 접착제를 적용해 미세 진동과 노면 소음을 줄였다. 외관은 SUV다운 비율을 살려 굵은 휀더와 높은 지상고, LED 시그니처 테일램프 등으로 강인하고 현대적인 인상을 준다.

실내는 기능성과 안락함에 초점을 맞췄다. SUV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사용 편의성과 엔터테인먼트를 고려한 공간으로 구성되었으며, 계기판 상단을 약 40mm 낮춰 뛰어난 전방 시야를 확보했다. 디지털 장치들은 연결성과 위치가 최적화되어 스마트폰과의 연동도 강화되었고, 다양한 수납 공간과 함께 간결하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을 통해 실용성을 높였다. 터치스크린, 주행 모드 선택, 수납공간 등이 중앙에 통합되어 실용적인 구성을 보여주며, 일부 트림에는 8세대 렉서스 ES에 탑재된 전자식 기어 셀렉터가 적용된다. 터치스크린은 10.5인치 또는 12.9인치로 구성되며, 모든 트림에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이 기본 탑재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북미 기준 HEV 리미티드와 PHEV XSE 트림에서 제공된다. 오디오 시스템은 기본 6스피커이며, 고급 JBL 프리미엄 9스피커 시스템도 트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시트는 패브릭부터 SofTex®, 브린나우브(BRIN•NAUB®) 소재까지 다양하며, 우드랜드 전용 미네랄 색상, 붉은색 포인트, 전용 매트 등이 적용된다. GR SPORT 트림에는 GR 로고와 패들 시프터, 알루미늄 페달이 포함되어 역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특히 '아일랜드 아키텍처'라는 개념으로 구성된 실내는 각종 기능을 군더더기 없이 일목요연하게 배치해 조작 편의성을 높였고, 내비게이션과 계기판, 송풍구 등의 시선 이동을 최소화했다. 콘솔 박스는 스마트폰 무선 충전 패드와 USB 포트를 편리한 위치에 배치했고, 리버시블 타입의 콘솔 덮개는 팔걸이 또는 트레이로도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외장 색상은 새로운 어반 록(Urban Rock) 전용 컬러를 포함해 메테오 샤워(Meteor Shower), 에베레스트, 스톰 클라우드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고, 투톤 컬러도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된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크게 개선되었다. 토요타 최초로 Woven by Toyota가 개발한 '아린(Arene)'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적용한 차량으로, 토요타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발을 본격화했다. Arene은 단순한 편의성이나 오락 기능을 넘어, 사고 없는 안전한 미래를 위한 기술로 확장된다. 향후 토요타/렉서스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개발의 기반이 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새로운 토요타 오디오 멀티미디어 시스템도 탑재되어 무선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를 기본으로 지원하며, 빠른 응답의 음성 인식 기능과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안전 사양도 업그레이드 되었다. 토요타의 최신 안전 기술인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4.0(TSS 4.0)이 최초 적용되며, 하드웨어 및 감지 능력이 개선되었다. 프론트 크로스트래픽 경고, 새로운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BSM), 후방 차량 접근 알림, 자동 차선 변경 보조, 충돌 후 자동 제동 기능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원격 스마트폰 제어 주차 기능과 3D 파노라마 뷰 모니터도 편리함을 더했다. 또한, 운전 중 의식을 잃었을 때 차량이 스스로 속도를 줄이고 도로 가장자리로 이동해 정차하는 비상 운전자 정지 시스템(EDSS), 과도하거나 실수로 가속 페달을 밟았을 때 급가속을 억제하는 급가속 억제 시스템 등의 기능이 개선 또는 추가되었다. OTA(무선 업데이트) 방식으로 안전 시스템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속적으로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디지털 경험도 한층 진화했다. My Toyota 앱을 통해 원격 서비스, 디지털 키+, 차량 제어,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개인 맞춤형으로 구독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중심 경험도 제공한다.

2026년형 라브4는 2025년 말부터 미국, 유럽에 출시될 예정이다.

당초 북미형 라브4는 내연기관 한정 캐나다와 일본에서 제작해 미국으로 수출할 계획이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가 들어서면서 관세 피해를 줄이기 위해 미국 내에서 생산량을 증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

2.6.1. 라브4 GR 스포트

파일:2025_Toyota_RAV4_GRs_01.jpg 파일:2025_Toyota_RAV4_GRs_0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5_Toyota_RAV4_GRs_Int.jpg
글로벌형
파일:2026_Toyota_RAV4_PHEV_GRs_01.jpg 파일:2026_Toyota_RAV4_PHEV_GRs_02.jpg
북미형 PHEV
파일:rav4-vector-logo.png 파일:gr_sport.png

2.6.2. 라인업

<colbgcolor=#eb0a1e><colcolor=#fff> 등급 CORE RUGGED SPORT
트림 LE, XLE, 리미티드 우드랜드(어드벤처) SE, XSE, GR SPORT
구동방식 LE, XLE: FWD/AWD
리미티드: AWD
AWD SE: FWD/AWD
XSE, GR SPORT: AWD
파워트레인 HEV HEV/PHEV HEV(GR SPORT 제외)/PHEV
엔진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2.5L I4 A25A-FXS 가솔린 엔진
시스템 총 출력(hp) HEV FWD: 226
HEV AWD: 236
HEV AWD: 236
PHEV AWD: 304~320
HEV FWD: 226
HEV AWD: 236
PHEV AWD: 304~320
전장(mm) 4,595 4,620 SE, XSE: 4,595
GR SPORT: 4,620
전폭(mm) 1,855 1,880
전고(mm) 1,700 1,720 SE, XSE: 1,700
GR SPORT: 1,685
휠베이스(mm) 2,690

3. 파생 모델

제너럴 모터스 계열사의 어느 차량 못지 않게 국가에 따라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들이 많다.

3.1. 토요타 와일드랜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요타 와일드랜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요타 와일드랜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요타 와일드랜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토요타 와일드랜더.png
토요타 와일드랜더
중국 시장에서는 앞뒤 디자인을 부분적으로 바꾼 와일드랜더(Wildlander)가 GAC 토요타의 모델로 2020년 2월부터 판매되었다.[10]

3.2. 스즈키 어크로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키 어크로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즈키 어크로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즈키 어크로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2020 스즈키 어크로스.png
스즈키 어크로스
2020년 7월 1일, 유럽 스즈키에서 라브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배지 엔지니어링 버전인 스즈키 어크로스를 공개했다.#

3.3. 미츠오카 버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츠오카 버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츠오카 버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츠오카 버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쯔오카 버디.png
미츠오카 버디
미츠오카에서 앞뒤 디자인을 쉐보레 K5 블레이저 2세대와 유사하게 다듬어 미츠오카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하여 버디라는 이름으로 판매를 시작하였다.

4. 제원

4.1. 5세대

RAV4/5세대
<colbgcolor=#eb0a1e><colcolor=#fff>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이치현 오부시 나카쿠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이치현 토요타시 다카오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린성 창춘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광둥성 광저우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온타리오 주 우드스톡, 케임브리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켄터키조지타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상트페테르부르크
코드네임 XA50
차량형태 5도어 준중형 SUV
승차인원 5명
전장 4,570~4,600mm
전폭 1,855mm
전고 1,660mm
축거 2,690mm
윤거(전) 1,605mm
윤거(후) 1,625mm
공차중량 1,533~1,720kg
연료탱크 용량 55L
타이어 크기 225/60 R18
플랫폼 토요타 TNGA-K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앞엔진-4바퀴굴림(F4)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가솔린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M20A-FXS
M20C-FKS
M20D-FKS)
2.0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986cc 171~173ps kgf·m 6단 수동변속기
8단 자동변속기
K120 CVT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A25A-FKS
A25C-FKS
A25G-FKS)
2.5L 직렬 4기통 2,487cc 205~207ps kgf·m
하이브리드
토요타 다이내믹 포스
(A25A-FXS
A25D-FXS
A25F-FXS)
2.5L 직렬 4기통 자연흡기 2,487cc 178ps kgf·m e-CVT

5. 경쟁 차종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웨폰(영화) - 여주인공 '저스틴 갠디'의 차량으로 3세대 북미형이 등장한다.

7. 둘러보기


파일:toyotalogowhite.png
토요타
차량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EB0A1E><colcolor=#fff><rowcolor=#fff> 분류 승용 · 레이스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19​30​년대
AA형 승용차DA형 버스G1 · GA · GB · DB
19​40​년대
SA형 소형 승용차 · SD형 소형 승용차 · 크라운BL · FLKB · KC · BM · BM · FS
19​50​년대
SF · 슈퍼 RH형 · 마스터 · 코로나 · 마스터라인BY · FY · FR · FB · BB · DB70 · DR10BX · BX · FX · FA · FZ · BZ · SG형 트럭 · RK형 트럭 · 다이나 · FC · 스타우트 · DA형 트럭 · DW15L
19​60​년대
퍼블리카 · 크라운 에이트 · 브리스카 · 스포츠 800 · 코롤라 · 2000GT · 스프린터 · 랜드 크루저 · 1600GT · 센추리 · 하이럭스 · 미니에이스 · 하이에이스 · 마크 Ⅱ · 라이트 에이스 · 셀리카 · 카리나 · 7코스터매시 다이나 · DC80C
19​70​년대
트레노-레빈 시리즈 · 스타렛 · 체이서 · 코르사 · 터셀 · 크레스타 · 크레시다 · 끼장 · 수프라 · 블리자드 · 캠리-타운 에이스 노아
19​80​년대
4러너 · 소어러 · 비스타 · 마스터에이스 서프 · 하이럭스 서프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랜드 크루저(J70) · MR 시리즈 · 델리보이 · 셀시오 · 카리나 ED · 렉센 · 코로나 엑시브 · AE86 · AE85 · 세라 · 87C · 88C · 88C-V · 89C-V-퀵딜리버리
19​90​년대
90C-V · 에스티마 · 91C-V · TS010 · 92C-V · 파세오 · 윈덤 · 아리스토 · 크라운 마제스타 · 스프린터 마리노 · 코롤라 세레스 · 셉터 · 칼디나 · 카렌 · 크라운 컴포트 · 카발리에 · 메가 크루저 · 입섬 · 클래식 · 라움 · 프로그레 · 타즈 · 가이아 · 그란비아 · 타코마 · 라브4 · 나디아 · 듀엣 · GT-원 · 알테자 · 카미 · 칼야 · 플라츠 · 펀 카고 · 윌 시리즈 · 아발론 · 해리어 · 솔루나 · 프리우스 · bB · 시에나(1세대) · 프로나드 · 야리스 · 오파 · 비츠 · 스파키 · 캠리 솔라라 · 오리진 · e콤 · 툰드라--
20​00​년대
콤스 · 세쿼이아 · 코롤라 베르소 · 노아/복시 · 크루거 · 알파드/벨파이어 · 하이랜더 · 알렉스 · 브레비스 · 시엔타 · 포츄너 · 베로사 · 아반자 · 프레미오 · 이노바 · 프로박스 · 바이오스 · 알리온 · 카미 ·랜드 크루저 시그너스 · 락티스 · 매트릭스 · 이스트 · 센추리 로얄 · 아이큐 · 어반 크루저(구) · 코롤라 악시오 · 코롤라 필더 · 러시 · FJ 크루저 · 볼츠 · 어반 크루저 · 위시 · 오리스 · 벨타 · 어벤시스 · 아이시스 · 코롤라 루미온 · 벤자 · 마크 X · 오리온 · 사이 · 블레이드 · 뱅가드 · 마크 X 지오 · 팟소 셋테 · 베르소-
20​10​년대
픽시스 스페이스 · 프리우스 V/알파/플러스 · 아쿠아 · TS030 하이브리드 · 프로에이스 베르소 · 젤라스 · 86 · 미라이 · 아이로드 · TS050 하이브리드 · 아기아 · 야리스(XP150) · 이노바 크리스타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조이 · 픽시스 메가 · 탱크 · 재팬 택시 · 그란에이스 · C-HR · 이조아 · 에티오스 · 아이고 · 라이즈 · 글랜자 · 코롤라 스포트 · 코롤라 투어링소라-
20​20​년대
와일드랜더 · 프로에이스 시티 베르소 · 루미온 · 코롤라 크로스 · 크라운 벨파이어 · 이노바 하이크로스 · 벨로즈 · 야리스 크로스 · 크라운 크루거 · T100 · GR 야리스 · C+팟 · 프로에이스 맥스 · 센추리 SUV · bZ4X · 어반 크루저 하이라이더 · 아이고 X · GR010 하이브리드 · 그랜드 하이랜더 · 어반 크루저 타이소 · bZ3 · bZ3X · bZ5 · 하이럭스 챔프 · bZ7 · C-HR+ · 어반 크루저(2025) · 랜드 크루저 FJ예정 · bZ5X예정 · GT예정--}}}}}}}}}{{{#!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B0A1E><rowcolor=#fff><col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초소형차콤스 · 아이로드C+팟
경차아기아/위고 · 비츠 · 픽시스 에포크아이큐 · 픽시스(스페이스 · 조이 · 메가) · 아이고 · e콤
소형​차야리스 · 야리스(XP150) · GR 야리스 · 아쿠아/프리우스 C · 바이오스 · 글랜자/스타렛 · 벨타퍼블리카 · bB · 듀엣 · 코르사/터셀 · 윌비·윌 VS·윌 사이파 · 플라츠 · 솔루나 · 알렉스/코롤라 룬스 · 코롤라 루미온 · 어반 크루저(2008 ~ 2014) · 이스트 · 팟소 · 에티오스 · 모델 S · 타즈
준중형​차코롤라(악시오 · 필더 · 스포트 · 투어링)/레빈/프리우스 · 알리온 · 프로박스스프린터 · 스프린터 마리노 · 트레노-레빈 시리즈(AE86 · AE85) · 매트릭스 · 블레이드 · 코롤라 세레스 · 프레미오 · 석시드 · 프리우스 V/알파/플러스 · 오리스
중형​차캠리 · bZ3마크 X · 코로나 · 1600GT · 오리온 · 어벤시스 · 마크 Ⅱ · 크레시다 · 크레스타 · 카리나 · 카리나 ED · 베로사 · 브레비스 · 프로그레 · 비스타 · 알테자 · 체이서 · 셉터 · 칼디나 · 카발리에 · 코로나 엑시브 · 미라이(1세대) · 사이 · 캠리 솔라라 · 오리진 · 클래식 · 모델 A
준대형​차크라운 · 아발론 · 미라이(2세대) · bZ7프로나드 · 아리스토 · 윈덤 · 렉센
대형​차센추리셀시오 · 크라운 마제스타 · 크라운 에이트
스포츠​카GR 86 · GR 수프라세라 · 셀리카 · 소어러 · 스포츠 800 · MR 시리즈 · 2000GT · 카렌 · 파세오/사이노스 · 젤라스
레이스​카
내구 레이스GR010 하이브리드7 · 87C · 88C · 88C-V · 89C-V · 90C-V · 91C-V · 92C-V · TS010 · GT-원 · TS030 · TS040 · TS050
GTGT 레이싱예정-
SUV
경형 SUV아이고 X-
소형 SUVC-HR · C-HR+ · 러시 · 라이즈 · 어반 크루저 · 야리스 크로스 · 어반 크루저 타이소 · bZ3X · 어반 크루저(2025)카미 · 블리자드 · 볼츠 · 이조아
준중형 SUV라브4/와일드랜더 · bZ4X · 코롤라 크로스 · 어반 크루저/어반 크루저 하이라이더 · bZ5 · 랜드 크루저 FJ예정-
중형 SUV4러너 · 해리어 · 벤자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준대형 SUV랜드 크루저 프라도 · 하이랜더/크라운 크루거/크루거 · 포츄너 · 그랜드 하이랜더-
대형 SUV세쿼이아 · 랜드 크루저 · 센추리 SUV랜드 크루저 시그너스
오프로더랜드 크루저(J70)블리자드 · FJ 크루저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브리스카 · 스타우트 · 코로나 픽업 · 마크 II 픽업
중형 픽업​트럭하이럭스 · 하이럭스 챔프 · 타코마크라운 픽업
대형 픽업​트럭툰드라T100
MP​V
경형 MPV루미스파키 · 탱크
소형 MPV시엔타 · 아반자 · 칼야 · 프로에이스 시티 베르소라움 · 펀 카고 · 나디아 · 포르테/스페이드 · 락티스 · 팟소 셋테 · 라이트 에이스 노아 · 타운 에이스 노아
준중형 MPV노아/복시 · 루미온 · 벨로즈입섬 · 위시 · 아이시스 · 코롤라 베르소 · 베르소 · 오파 · 가이아 · 에스콰이어
중형 MPV이노바/이노바 크리스타/이노바 하이크로스 · 프로에이스 베르소끼장 · 마크 X 지오
준대형 MPV알파드/벨파이어에스티마 · 시에나(1세대)
대형 MPV시에나(2세대 이후) · 크라운 벨파이어 · 그란비아 · 하이에이스그란에이스 · 레지우스 에이스
상용​차
소형 LCV프로에이스 시티 · 타운 에이스 밴 · 픽시스 밴미니에이스 · 마스터 에이스 · 타라고 · 모델 F · 델리보이 · 퀵딜리버리 · 라이트 에이스 밴
중형 LCV프로에이스-
대형 LCV하이에이스 · 프로에이스 맥스레지우스 에이스
소형 버스하이에이스/커뮤터-
준중형 버스코스터-
준대형 버스소라-
경형 트럭픽시스 트럭-
소형 트럭타운 에이스 트럭하이에이스 · 미니에이스 트럭 · 라이트 에이스 트럭
준중형 트럭다이나토요에이스
중형 트럭-BM
준대형 트럭소라-
기타 차량
택시 전용재팬 택시/컴포트홍콩 수출 사양명크라운 컴포트 · 크라운 세단
군용차고기동차메가 크루저 · J-603(2DW15L)
토요페트 브랜드 차량-크라운 · 코로나 · 마스터 · 마스터라인
일본 황실 의전차량센추리 로얄-}}}}}}}}}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toyota-century-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 파일:Toyota_Racing_Logo_red.png · 콘셉트 카


파일:grmn logo.png파일:Toyota_GR.svg
파일:gr_sport.png파일:gr parts.png파일:gr heritage parts.png


[ GRMN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iQ · iQ 슈퍼차저
소형차-야리스(2022) · 야리스(2018) · 비츠(2018) · 비츠 터보(2013)
중형​차-마크 X(2013) · 마크 X(2019)
대형​차-센추리(비매품)
대형 SUV센추리 SUV(개발중)-
스포츠카-86

[ GR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야리스-
준중형​차코롤라-
MPV-아반자 벨로즈 리미티드
스포츠카86 · 수프라-
슈퍼카슈퍼 스포트-
레이스카GT3-

[ GR SPORT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다이하츠 코펜 · 위고 · 아기아-
소형차야리스 · 아쿠아 · 바이오스-
준중형​차코롤라프리우스 PHV · 프라우스 알파
중형​차캠리마크 X
스포츠카-86
경형 SUV아이고 X-
소형 SUVC-HR · 러시 · 라이즈 · 야리스 크로스-
준중형 SUV라브4 · 코롤라 크로스-
중형 SUV-해리어
준대형 SUV포츄너-
대형 SUV랜드 크루저-
MPV-노아 · 복시
소형 픽업트럭하이럭스-

[ GR PARTS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GR 야리스 · 야리스 · 루미-
준중형​차프리우스-
중형​차캠리-
준대형​차크라운-
스포츠카86-
소형 SUV야리스 크로스-
중형 SUV해리어-
MPV노아 · 복시-
소형 픽업트럭하이럭스-

[ GR Heritage Parts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차AE86 코롤라 레빈 / 스프린터 트레노-
스포츠카2000GT · A70 수프라 · A80 수프라-
대형 SUV랜드 크루저 40 · 랜드 크루저 60 · 랜드 크루저 70 · 랜드 크루저 8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952C5><tablealign=center>
파일:넷츠점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조이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밴 · 픽시스 메가 픽시스 스페이스
세단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스타렛 세단 · 스프린터 · 스프린터 마리노 · 알테자 · 체이서 · 플라츠 · 아리스토 · 마크 Ⅱ(운전 면허차) · 크라운 컴포트(운전 면허차) · 퍼블리카 · 오리진 · 코로나 2도어 하드탑 · 어벤시스 · 사이
왜건/해치백 프리우스 알파 · 비츠 · 아쿠아 스타렛 해치백 · 알렉스/코롤라 룬스 · bB · 볼츠 · 스프린터 카리브 · 알테자 지타 · 스프린터 밴/스프린터 비즈니스 왜건 · 이스트 · 프로박스 · 코로나 밴 · WiLL 사이퍼 · 아이큐 · 오리스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스프린터 트루네오 · MR2 · MR-S · 세라
SUV 라브4 · C-HR · 라이즈 라브4 J · 크루거 · 하이럭스 서프[a]
MPV 탱크 · 스페이드 · 복시 · 벨파이어 · 시엔타 그란비아 · 위시 · 펀 카고 · 알파드 V · 입섬 · 라움
LCV/상용차 레지우스 에이스 · 라이트 에이스 라이트 에이스 노아 · 타운 에이스 · 미니에이스 · 델리보이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오사카 넷츠점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18901><tablealign=center>
파일:코롤라점.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조이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밴 -
세단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퍼블리카 · 터셀 · 셀리카 캠리 · 윈덤 · 셉터 · 코롤라 세레스 · 오리진 · 코롤라 · 벨타
왜건/해치백 코롤라 필더 · 코롤라 스포트 · 아쿠아 · 루미 · 팟소 프리우스 알파 · 스페이드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
SUV 라브4 · C-HR · 라이즈 -
MPV 노아 · 시엔타 에스티마/에스티마 HEV
상용차 프로박스 밴 · 타운 에이스 -
다이하츠의 차량[a] 미라이스 · 미라 토코트 · 무브/무브 커스텀/무브 캔버스 · 탄토/탄토 커스텀 · 웨이크 · 코펜 · 아트레이 · 하이젯 카고/하이젯 트럭 · 하이젯 캐디 캐스트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일부 코롤라점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파일:테슬라 로고타입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91b22><colcolor=#fff> 차량
목록
생산 차량 <colbgcolor=#ffffff,#1c1d1f> 모델 S · 모델 3 · 모델 X · 모델 Y · 모델 Q
로드스터 · 사이버트럭 · 세미 · 사이버쿼드
사이버캡 · 사이버밴
개발 협력 차량 #s-2.3.1 EV ·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E-셀 · 메르세데스-벤츠 B클래스 일렉트릭 드라이브 · 스마트 포투 일렉트릭 드라이브
기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
파일:Toyota_Logo.png파일:Toyota-Logo-White.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토요타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B0A1E><tablealign=center>
파일:toyotalogowhite.png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EB0A1E> 소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프리우스 C
준중형차 프리우스 코롤라
중형차 캠리 -
준대형차 크라운 크로스오버 아발론
스포츠카 GR 86 GR 수프라
준중형 SUV 라브4 -
중형 SUV - FJ 크루저, 벤자
준대형 SUV 하이랜더 -
MPV 알파드, 시에나 프리우스 V
}}}}}}}}}
[ 렉서스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Lexus_L 화이트.svg
|| ||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CT
중형차 - IS
준대형차 ES GS
대형차 LS -
스포츠카 - RC
그랜드 투어러 - SC, LC
준중형 SUV UX -
중형 SUV NX RZ
준대형 SUV RX -
대형 SUV LX -
MPV LM -
||
IIHS 탑 세이프티 픽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경차 부문 혼다 피트
소형차 부문 포드 포커스 쿠페 · 혼다 시빅 · 혼다 인사이트 · 기아 쏘울 · 마쓰다 3 · 미쓰비시 랜서 · 닛산 베르사 · 사이언 xB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래빗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크라이슬러 세브링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혼다 어코드 · 머큐리 밀란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폭스바겐 제타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고급 중형차 부문 아큐라 TL · 아큐라 TSX · 아우디 A4 · BMW 3시리즈 · 링컨 MKZ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사브 9-3 세단/컨버터블 · 폭스바겐 CC
중형 컨버터블 부문 폭스바겐 이오스 · 볼보 C70 컨버터블 (컨버터블)
대형차 부문 일반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포드 토러스 · 머큐리 세이블 · 토요타 아발론
고급 대형차 부문 아큐라 RL · 아우디 A6 · 캐딜락 CTS · 현대 제네시스 · 링컨 MKS · 볼보 S80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포드 이스케이프 · 혼다 CR-V · 혼다 엘레먼트 · 마쓰다 트리뷰트 · 머큐리 마리너 · 미쓰비시 아웃랜더 · 닛산 로그 · 스바루 포레스터 · 토요타 RAV4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일반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플렉스 · 포드 토러스 X · GMC 터레인 · 혼다 파일럿 · 현대 싼타페 · 현대 베라크루즈 · 닛산 무라노 · 새턴 뷰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FJ 크루저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큐라 MDX · 아큐라 RDX · 아우디 Q5 · BMW X3 · BMW X5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아우디 Q7 ·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메르세데스-벤츠 R클래스 · 새턴 아웃룩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혼다 오딧세이 · 기아 세도나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소형 픽업트럭 부문 토요타 타코마 크루 캡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혼다 릿지라인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08년형 2009년형 2010년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3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소형 미니카 부문 피아트 500 · 포드 피에스타 세단/해치백 · 혼다 피트 · 닛산 베르사 · 토요타 프리우스 C · 토요타 야리스
소형차 부문 아큐라 ILX · 쉐보레 크루즈 · 쉐보레 소닉 · 쉐보레 볼트 · 피아트 500L · 혼다 CR-Z · 혼다 인사이트
기아 포르테 (2014년형) · 기아 포르테 · 기아 쏘울 · 렉서스 CT · 마쓰다 3 세단/해치백 · 미니 컨트리맨 · 미쓰비시 랜서
닛산 큐브 · 닛산 주크 · 닛산 리프 · 닛산 센트라 · 사이언 FR-S · 사이언 tC · 사이언 xB · 사이언 xD · 스바루 BRZ
스바루 크로스트랙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뉴 비틀 · 폭스바겐 골프/GTi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뷰익 베라노 · 쉐보레 말리부 · 현대 쏘나타 · 토요타 캠리 · 토요타 프리우스 V · 폭스바겐 제타/제타 스포트왜건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고급 중형차 부문 아큐라 TSX · 아우디 A4 · BMW 3시리즈 · 렉서스 ES 350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폭스바겐 CC
대형차 부문 일반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뷰익 리갈 · 크라이슬러 300 · 닷지 차저 세단 · 포드 토러스 · 현대 아제라 · 기아 카덴자 · 토요타 아발론
고급 대형차 부문 아우디 A6 · BMW 5시리즈 · 캐딜락 CTS · 캐딜락 XTS · 현대 에쿠스 · 현대 제네시스 · 인피니티 M37/M56 · 렉서스 GS · 링컨 MKS · 마세라티 기블리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쿠페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 볼보 S80
파일:2013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BMW X1 · 뷰익 앙코르 · 포드 이스케이프 · 혼다 CR-V · 현대 투싼 · 지프 패트리어트 · 기아 스포티지 · 마쓰다 CX-5 · 스바루 포레스터 · 토요타 RAV4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듀랑고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익스플로러 · 포드 플렉스 · GMC 터레인 · 혼다 크로스투어 · 혼다 파일럿 · 현대 싼타페 · 현대 싼타페 스포트 · 지프 그랜드 체로키 · 기아 쏘렌토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4러너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큐라 MDX · 아큐라 RDX · 아우디 Q5 · BMW X3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GLK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대형 SUV 부문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폭스바겐 투아렉
파일:2013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크라이슬러 타운 & 컨트리 · 닷지 그랜드 캐러밴 · 혼다 오딧세이 · 토요타 시에나
파일:2013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혼다 릿지라인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12년형 2013년형 TSP 2014년형 TSP+
2014년형 TSP
}}}}}}}}} ||


[1] 도심형 SUV라는 장르 전체에서는 최초가 아니다. 1년 앞서 출시됐고, "도심형 SUV"라는 마케팅 용어를 최초 사용한 스포티지가 있기 때문이다. 라브4는 승용차 모노코크 바디 플랫폼을 사용한 "도심형 크로스오버 SUV"에서 최초이다. 오늘날의 흔히 볼 수 있는 SUV는 1세대 스포티지보단 라브4에 더 가깝다. 유럽과 북미에서 큰 성공을 거뒀기 때문에 최초의 도심형 SUV는 라브4라고 북미나 유럽에선 인식되고 있다. 당시 1세대 스포티지는 바디 온 프레임에 후륜기반 SUV여서, 북미/유럽에서 도심형 SUV보단 기존 정통 SUV로 많이 인식되었던 건 사실이다. 여담으로, 세계 최초의 크로스오버 SUV는 AMC 이글이다.[2] 미국 시장에서는 풀사이즈 픽업 3종(포드 F-시리즈, 쉐보레 실버라도, 램 픽업) 다음으로 4위를 기록 중이다. 여러 컴팩트 SUV들 중에서는 연간 40만대 이상으로 1위를 꾸준하게 달성하고 있다.[3] 전기차 EV 모델 한정으로 2003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다.[4] 비슷한 시기 GM EV1도 전량 리스 형식으로 판매되었다.[5] 페리라고 부르거나 아예 4.5세대라고 부른다[6] 다행인 건 긴급제동장치같이 안전에 관련된 건 기본으로 들어가 있다.[7] 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의 약자. 세계시장을 상대로 차를 판매하다 보니 각 나라별, 차급별, 용도별 따로따로 플랫폼을 만들어서, 플랫폼이 100여가지가 넘고, 엔진종류만 800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그래서 이 플랫폼을 모듈화, 부품의 통일/규격화를 통해서 플랫폼 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즉, 현대기아차를 예로 들면, 준중형은 아반떼 플랫폼으로 아반떼, K3, i30, 코나 등이 개발되고, 여기에 수출하는 국가에 맞게 약간씩의 부분변경만 하며 중형급은 쏘나타 플랫폼으로 쏘나타, K5, i40 등을 생산하는 방식. 이 방식을 좀 더 체계적으로 시스템화 시켰다고 보면 된다. 최초 적용은 프리우스인데, TNGA 덕분에 가격 상승이 많이 억제되었다. 거기에 시스템화한다고 차체 설계부터 싹 뜯어고쳤으니 불필요한 부분이 제거되고 효율성이 증가해서, 경량화와 차체 저중심 설계까지 되었다고 한다.[8] 유튜브 km77(#), Teknikens Värld(#)[9] 차량 가격이 41,000달러인데 약 1만 달러 정도 프리미엄을 평균적으로 더 내야 차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10] 라브4는 톈진 FAW 토요타에서 판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