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TACOMA |
| トヨタ・タコマ |
1. 개요
| |
| 토요타 북미 플래그십 라인업 |
Toyota Tacoma TRD Pro 2017: 4/5 - 모터트렌드
토요타에서 1995년부터 생산하고 있는 중형 픽업트럭이다. 1세대 타코마는 소형 픽업트럭으로 출시했으나, 2세대부터는 중형 픽업트럭이 됐다.
세계적으로는 위상이나 대중성에서 토요타의 또 다른 픽업트럭인 하이럭스에 많이 밀리지만 미국 시장 내에서는 미드사이즈 픽업 중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할 만큼 높은 경쟁력을 자랑한다. 2세대 타코마는 2005년 모터트렌드 매거진 올해의 트럭으로 선정됐으며 아메리카(북미+남미) 위주로 판매하고 있다.
생산지는 초기부터 2010년까지 캘리포니아 프리몬트에 위치한 토요타-GM의 합작 공장인 NUMMI에서 생산했으며, 합작 공장이 테슬라에 매각된 후 텍사스 샌안토니오 공장에서 2021년까지 생산하다가, 현재는 멕시코에 위치한 2곳의 공장[1]에서 생산된다.
첫 타코마의 생산은 미국 시장용 하이럭스라는 개념으로 탄생했으며, 처음 생산된 버전은 하이럭스 크기의 소형 트럭으로 나왔지만, 곧이어 세대를 거치며 사이즈가 중형급으로 업그레이드되며 쉐보레 콜로라도 등과 경쟁하게 됐다.
타코마는 크게 2도어 일반 캡, 2도어 연장 캡 그리고 4도어 크루 캡 3가지로 나누어지며, 각각 도로주행용 후륜구동과 4WD 오프로더 모델이 있다. 세부 모델은 아주 많으며, 2017년 모델 기준 30가지 세부 모델이 판매된다.
타코마라는 이름은 원주민들이 워싱턴주에 있는 레이니어 산을 칭하던 명칭이며, 또한 워싱턴주에 있는 도시 이름이기도 하다.
플랫폼과 파워트레인은 완전히 다르지만 형제차량으로는 하이럭스가 있다. 모두 한국에 수입되지 않는 해외 모델들이다.
2. 역사
2.1. 1세대 (N140/N150/N160/N170/N190, 1995~2004)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내부 | |||
| | | ||
| 엑스트라캡 2WD | }}}}}}}}} | ||
| 엑스트라캡 4WD | |||
| | | ||
| 레귤러캡 | |||
| 전기형(1995~1998) | |||
타코마는 1995년 2월 미국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3월에 시장에 출시되었다. 이는 북미 시장에서 ‘토요타 픽업’(하이럭스의 북미명)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모델이다. 하이럭스와 비교하면, 타코마는 내구성이나 적재능력보다는 승차감, 조향성, 편안함, 안전성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었으며, 이는 상업용보다는 개인용 픽업트럭 수요가 많은 미국과 캐나다 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개발은 1989년에 시작되어 1994년에 완료되었고,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칼티 디자인 리서치에서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디자인 작업이 진행되었다. 1991년 가을, 케빈 헌터의 외관 디자인이 채택되었으며, 1992년에 최종 생산용 디자인으로 확정되었다. 생산 디자인은 1993년 4월과 10월 28일, 각각 일본과 미국에 특허 출원되었다.
출시 초기, 2WD 모델은 아래로 좁아지는 트래페조이드 그릴 디자인과 얇은 바를 특징으로 했고, 4WD 모델은 위로 좁아지는 트래페조이드에 굵은 크롬 바가 양쪽에 위치한 디자인을 사용했다. 레귤러 캡과 엑스트라캡 모델은 동일한 크기의 베드를 공유했으며, 엑스트라캡은 휠베이스와 전장이 약 470mm 더 길다.
엔진은 142마력 2.4 L I4, 150마력 2.7L I4, 190마력 V6 3.4L 등 3가지를 선보였다. 후륜구동 모델(프리러너 제외)들은 5볼트 휠 패턴과 2.4L와 3.4L 모델들에서만 선택할 수 있었고 자동변속기와 수동변속기 모두 선택 가능했다. 4륜구동 모델들은 6볼트 휠 패턴과 2.7L와 3.4L에서 선택 가능했다. 3.4L V6 엔진은 T100 트럭과 공유되며, 2WD (Xtracab 전용) 및 4WD (레귤러 및 Xtracab) 모델에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SR5 트림은 4WD 엑스트라캡 V6 모델의 최상위 사양이었다. 1997년부터는 3.4L V6가 레귤러 캡 모델에서는 제외되어, 해당 모델은 2.4L 또는 2.7L 엔진만 탑재할 수 있었다. TRD에서 개조한 애프터마켓 TRD 슈퍼차저 키트는 3.4L V6 엔진용으로 제공되었으며, 출력은 무려 254마력과 366Nm의 토크와 함께 TRD 오프로드 패키지를 제공했는데, 이 오프로드 패키지에는 LSD와 스포트 디자인이 조금 추가됐으며, 4륜구동 모델에만 장착 가능했다. 1997년 이후 모델에만 적용되었으며, 이전 모델은 ECU의 한계로 탑재되지 못했다. 추가로 7번째 인젝터와 ECU 교체를 포함한 키트를 장착하면 262마력과 378Nm까지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2.4L 및 2.7L 4기통 엔진용 슈퍼차저 키트도 TRD에서 제공되었다.
모든 모델에는 기본으로 5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었고, 대부분 모델에는 4단 자동변속기가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단, 4WD V6 레귤러 캡 모델에는 자동변속기 옵션이 없었다. 프리러너(1998~2004) 및 더블캡(2001~2004) 모델은 자동변속기만 선택 가능했다. 3.4L V6는 R150F 수동변속기 또는 A340F(4WD) / A340E(2WD) 아이신 자동변속기와 조합되었다.
1세대 타코마의 프레임은 리어 리프스프링이 포함된 브래킷 직전까지는 박스형 구조였으며, 2세대 부터는 C자형 구조로 전환된다. 1998년에는 TRD 오프로드 패키지가 도입되어, 프리러너 및 4WD 3.4L V6 모델에 한해 후륜 디퍼렌셜 잠금장치가 추가되었다. 2003년부터는 전 모델에 ABS가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첫 번째 마이너 체인지는 1996년 10월에 있었으며, 2WD 모델의 전조등이 돌출형에서 매립형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97년 7월에 한 번 더 변경되었다.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내부 | |||
| | | ||
| 엑스트라캡 2WD | }}}}}}}}} | ||
| 엑스트라캡 4WD | |||
| 중기형(1998~2001) | |||
생산 첫 2년동안 젊은 소비자들에게 불티나게 팔렸고, 1998년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했다. 주로 외형과 세부모델 추가로 이루어졌으며, 부품 업그레이드 및 차량 고급화도 이루어졌다. 2000년 10월에 외관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다. 1998년형 모델부터는 2WD와 4WD가 서로 다른 그릴 디자인을 가졌으며, 2000년형에는 스텝사이드 베드 옵션이 추가되었다. 1998년에는 프리러너 모델이 도입되었는데, 4WD 모델과 동일한 서스펜션 높이와 6볼트 휠 패턴, 2.7L 엔진을 공유하면서도 2WD 구조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TRD 오프로드 패키지도 선택 가능했다. 1999년에는 레귤러 캡 프리러너도 추가되었다.
| | | ||
| |||
| 더블캡 4WD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엑스트라캡 2WD S-Runner | }}}}}}}}} | ||
| TRD 엑스트라캡 4WD | |||
| | | ||
| 레귤러캡 4WD | |||
| 후기형(2001~2004) | |||
2001년형 모델부터는 4도어 크루캡(Double Cab)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1998년에 디자인되어 특허 등록되었다. 더블캡은 5.5피트(1.65m) 베드를, Xtracab은 6피트(1.8m) 베드를 사용했으며, 각각 Tokico 및 Bilstein 쇼크업소버가 적용되었다.
2000년 10월에는 2WD Xtracab 전용으로 S-Runner 트림이 출시되었으며, 3.4L V6 엔진과 5단 수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최종 감속비는 3.15:1이며, 블랙 샌드 펄과 레디언트 레드 두 색상으로 단색 외관이 적용되었다. 차고는 약 25mm 낮아졌고, P235/55R16 타이어와 16인치 알로이 휠, 앞뒤 안티스웨이 바, Tokico 쇼크업소버가 장착되었다. 월 800대가 2000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생산되었다.
2008년에는 1995~2000년형 모델에서 발생한 프레임 부식 문제로 인해, 토요타는 15년 무제한 거리 보증을 발표했으며, 해당 차량의 프레임을 수리하거나, KBB 시세의 1.5배 가격으로 차량을 매입해주었다. 이후 2001~2004년형까지 보증이 확대되었으나, 이 경우에는 구멍이 뚫릴 정도로 부식된 프레임에 한해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주는 방식이었다. 박스형 프레임 내 배수 문제로 인해 습기가 고여 부식이 촉진된 것으로 추정된다. 2세대 타코마는 이를 피하기 위해 C자형 프레임 구조로 전환되었다.
2012년 11월 21일에는 2001~2004년형 타코마 약 15만 대가 리콜되었으며, 이는 미국 20개 추운 지역에서 판매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결함으로 인해 타이어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원인이었다.
2.2. 2세대 (N220/N240/N250/N260/N270, 2004~2015)
| | | ||
| |||
| TRD 더블캡 4WD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엑스트라캡 2WD | }}}}}}}}} | ||
| TRD 엑스트라캡 4WD | |||
| | | ||
| 레귤러캡 2WD | |||
| 전기형(2004~2008) | |||
포드 레인저와의 미국 내 중형 픽업 시장 1위 다툼을 완벽한 승리로 가져가고 이후 15년 이상 독주체제를 구축한다.[2]
2000년, 토요타는 치쿠오 쿠보타 수석 엔지니어 주도 아래 2세대 타코마 개발을 시작했으며, 이번에는 미국이 아닌 일본에서 일본 디자이너들이 참가했다. 개발 대부분은 일본 히노자동차가 담당했고, 2001년에는 히노 소속 디자이너 시게야 하토리와 히데오 카리코미가 내부 디자인 공모전에서 우승했다. 최종 디자인은 2002년에 확정되었고, 2003년 7월 3일에 특허가 출원되었으며, 같은 해 초부터 테스트 차량이 시험 주행을 시작했다. 이후 프로토타입 제작이 이루어졌고, 2004년 2분기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2004년 2월 4일 시카고 오토쇼에서 더 크고 강력해진 타코마가 공개되었고, 같은 해 10월 18일에 2005년형 모델로 출시되었다. 이 신형 타코마는 세 가지 캡 구성, 네 가지 변속기, 두 가지 엔진, 두 가지 적재함 길이를 조합해 총 18가지 모델로 구성되었다. 캡은 레귤러, 액세스, 더블까지 3가지, 변속기는 4단과 5단 자동과 5단과 6단 수동을 선보였다. 짐칸은 1.8m짜리와 1.5m짜리 2가지를 내놓았고 엔진은 기존 3.4L V6 엔진 대신 236마력짜리 최신 초강력 4.0L 1GR-FE V6 엔진이 적용되어 최대 6,500파운드의 견인력과 1,650파운드의 적재 능력을 제공했다. 엔트리 모델에는 연비 효율이 더 좋은 2.7L 2TR-FE 4기통 엔진이 적용되었다. 또한, TRD 오프로드 패키지를 장착하면 다운힐 어시스트와 힐스타트 어시스트가 추가됐으며 옵션으로 LSD를 추가할 수 있었다. 2006년형은 사소한 옵션 변화만 있었고, 2007년에는 두 가지 신규 내장 색상이 추가되었으며, 2008년형은 거의 동일하게 이어졌다.
모든 타코마는 후면 적재함에 데크 레일 시스템, 고리, 수납박스를 포함한 복합 소재 내부 베드를 기본으로 탑재하며, TRD 패키지 모델에는 115V/400W AC 전원 콘센트도 장착된다.
| | |
| 2006년형 타코마 X-러너 | |
추가로 완전한 도로 주행용 스포트 버전인 타코마 X-러너(X-Runner)를 선보였는데, X-Runner 트림은 이전 S-Runner를 대체하며 1GR-FE 엔진과 6단 수동 변속기, 18인치 알로이 스포트 휠, 낮아진 지상고 및 서스펜션, X-브레이스 서스펜션 스포츠 패키지를 특징으로 한다. 연간 약 3,000대가 생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슈퍼차저 옵션을 추가하면 최고출력은 300마력까지 올라갔다. X-Runner는 2013년 미국에서 단종되었고, 캐나다와 하와이에서는 2014~2015년까지 판매되었다.
| | |
| |
| SR5 더블캡 4WD | |
| 중기형(2008~2012) | |
2006년형 타코마는 여러 옵션들을 기본으로 바꾸고, 2007년에는 인테리어 컬러가 2개 추가됐다. 2008년에는 1차 페이스리프트가 단행됐으며 추가 안전 장치와 함께 외부 디자인도 바꿨다. 그릴과 헤드라이트가 바뀌었고, X-Runner와 TRD 모델들에 한해 스모크 헤드라이트를 옵션으로 추가했다. AUX 오디오도 기본 사양이 됐으며 특정 모델들에 한해 천장 스피커도 추가됐다. 외부 도색은 4가지가 추가됐다.
2009년형에서는 전면 그릴과 LED 테일램프, 헤드램프 트림이 일부 변경되었고, 오디오 보조 입력 단자가 기본으로 탑재되었으며, 더블캡과 액세스캡 모델에는 천장형 스피커와 후방 모니터가 추가되었다. 기계식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은 삭제되었고, TRD 오프로드 모델에는 전자식 후륜 잠금 디퍼렌셜이 유지되었다.
2009년 제너럴 모터스의 파산 이후, GM은 토요타와의 합작투자를 파기함과 동시에 토요타는 코롤라와 함께 프레몬트 공장에서 타코마를 생산 중단시켰고, 2010년부터 모든 타코마 차량을 샌안토니오 공장에서 윗급 픽업트럭인 툰드라와 함께 만들기 시작했다.
| | |
| |
| TRD 더블캡 4WD | |
| | |
| 엑스트라캡 2WD | |
| 후기형(2012~2015) | |
2012년에는 2차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어 새로운 앞 범퍼, 헤드라이트, 그릴, 보닛, 인테리어가 새롭게 바뀌었고, 위성 라디오용 샥스핀 안테나도 추가되었다. 2013년에는 터치스크린 오디오 시스템이 기본으로 바뀌었으며, 샥스핀 안테나와 SiriusXM 기능은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2014년에는 SR 트림이 새로 추가되었고, 2015년부터는 레귤러캡 모델이 단종되었다.
2016년 11월, 토요타는 프레임 부식 문제로 미국과 그 영토 내의 2005~2010년형 타코마, 2007~2008년형 툰드라, 2005~2008년형 세쿼이아에 대해 부식 점검 및 필요한 경우 교체를 약속하며 집단소송에서 합의했다.
2세대 타코마는 멕시코 티후아나와 미국 캘리포니아 프리몬트에서 조립되었고, 베드는 모두 멕시코에서 생산되었다. GM이 파산하며 프리몬트 공장의 공동 생산이 종료된 이후, 토요타는 생산을 텍사스 산안토니오로 옮겨 약 1,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타코마는 기본적으로 ABS, 브레이크 보조, 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을 기본으로 탑재하며, 2008년부터는 전복 감지 센서와 커튼 에어백이 추가되었다. 2009년부터는 차량 안정성 제어(VSC), 트랙션 컨트롤 등으로 구성된 스타 세이프티 시스템이 기본 적용되었고, 전좌석 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 능동형 헤드레스트도 포함되었다.
소형 픽업 트럭은 대형 픽업에 비해 충돌 테스트 성적이 낮은 경우가 많지만, 사이드 에어백이 장착된 타코마는 IIHS의 측면 충돌 테스트에서 최고 등급인 'Good'을 받았고, 정면 충돌 테스트에서도 'Good' 등급을 기록했다. 2009년에는 IIHS가 선정한 Top Safety Pick 상도 수상했다.
10년가량 동안 여러 가지 스페셜 모델과 사양들이 출시됐다. 2008년에는 '이반 스튜어트' 아이언맨 에디션이 출시됐는데, 304마력의 무시무시한 파워와 슈퍼차저를 장착한 한정판 모델이었다.
고급형 패키지인 TRD는 스포트와 오프로드 중에서 여러 옵션을 추가해 스포트는 도로 주행 성능 향상, 오프로드는 산악 주행 성능 향상으로 후륜구동과 4륜구동 모두 선택 가능했다. TRD 스포츠 패키지는 두 단계로 나뉘며, 첫 단계는 컬러 매칭 외관, 보닛 스쿱, 빌슈타인 쇼크업소버, 17인치 휠을 포함하고, 두 번째 단계는 견인 패키지 및 고출력 배터리, 알터네이터를 추가한다. 2005~2008년형은 기계식 LSD가 있었지만, 2009~2015년형부터는 브레이크 보조 기반 오픈 디퍼렌셜로 변경되었다. TRD 오프로드 패키지는 컬러 매칭이 아닌 블랙 또는 크롬 외장 부품을 사용하고, 기술 패키지는 A-TRAC, 언덕 하강 보조, 언덕 출발 보조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 패키지는 더 많은 휠 아티큘레이션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한다.
2012년에는 1500대 한정으로 T|X BAJA 패키지를 구매할 수 있었는데, 높아진 산악용 고성능 서스펜션 업그레이드와 오프로드계 최고의 타이어인 BF Goodrich All Terrain 타이어를 기본으로 제공했다. 스포트 배기 시스템과 함께 내부 디자인도 업그레이드됐다.
2015년에는 TRD 프로 모델이 출시됐는데, 원래 TRD 오프로드에다가 서스펜션을 더 업그레이드하고 타이어와 배기 시스템도 더 고사양을 장착했다. 외부 디자인 개조와 함께 검은색으로 곳곳에 포인트를 주었다. 그릴은 무광 블랙으로 TOYOTA 로고와 함께 TRD 로고를 여러군데 붙여 놓았다. 총 1200대 정도 생산했다.
2.3. 3세대 (N300, 2015~2023)
| | | ||
| |||
| 리미티드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TRD 오프로드 | }}}}}}}}} | ||
| SR5 | |||
| 전기형(2016~2020) | |||
2015년 1월, 토요타는 3세대 타코마를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전격 공개하고 9월부터 판매에 나섰다. 2014년형 4Runner와 툰드라에서 영감을 얻어 2세대보다 훨씬 공격적이고 남성적인 디자인을 채용했으며, 대형 그릴과 고광도 헤드라이트를 사용했다. 후면과 짐칸은 완전히 새로 디자인해 타코마 로고와 스포일러를 더했으며, 에어로 파츠를 추가해 연비를 향상시켰다.
엔진으로는 2.7L I4 또는 3.5L V6를 선택할 수 있고, 변속기는 6단 수동변속기(2016~17년형은 5단 수동변속기)와 6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3.5L V6 엔진의 경우에는 278마력이라는 무시무시한 파워를 자랑한다. 또한 3세대 타코마는 3.1톤을 끌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V6 엔진은 VVT-iW 기술로 앳킨슨 사이클을 구현하며, 포트 분사와 직분사를 주행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전환하는 D-4S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이것에 더해서 프레임과 바디 패널을 모두 고강도 강철로 한층 업그레이드해 강도 향상과 함께 무게도 줄였으며, 초고강도 강판을 사용한 핫 스탬핑 공정으로 차체를 제작하였다. 서스펜션, 디퍼렌셜과 함께 전체적으로 섀시와 부품들을 업그레이드와 동시에 승차감도 높였다. 6가지 세부 모델들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형인 SR, 중간급 SR5, 스포트 모델인 TRD 오프로드와 TRD 스포트, 그리고 리미티드와 최고 사양인 TRD 프로가 있으며 액세스 캡과 더블 캡이 선택 가능하다. 인테리어도 완전히 새로 바꾸었다. 2세대보다 조금 더 럭셔리한 테마와 함께 대시보드와 센터페시아가 모두 업그레이드됐다. 내장재도 플라스틱 대신 부드러운 질감의 내장재로 바뀌었으며, 가죽 내장재가 옵션으로 추가됐다. 2WD와 4WD 모두 동일한 서스펜션 높이와 지상고를 유지한다.
2016~2017년형 모델 한정으로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면서 2세대와는 다르게 핸들에서의 컨트롤이 많이 단순해지고 불편해졌다. 특히 핸즈프리 기능을 더 이상 핸들에서 조작할 수 없게 됐고 음성이나 복잡한 수동 조작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USB나 블루투스 음악도 더 이상 핸들에서 조작이 불가능해졌다. 이 없어진 기능들은 2018년형부터 다시 적용되었다.
TRD 오프로드 사양의 경우에는 돌, 흙, 모래 등 여러 주행 환경에 따라 차량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All Terrain Select 모드가 추가되고, 험한 지형에서 운전자가 핸들만 조작하면 차량이 자체적으로 액셀과 브레이크를 조절하는 CRAWL 모드도 추가됐다. 이것 외에는 선루프,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휴대폰 무선 충전, 사각지대 모니터링 시스템, 전후방 카메라, 고프로 홀더 등이 장착됐다.
2016년에는 TRD 프로 사양이 출시됐는데, 레이싱 서스펜션 시스템과 배기 시스템, 그리고 레이싱 스키드 플레이트가 사용됐고 특수 LED 안개등과 특수 그릴도 부착됐다. 더블 캡 숏베드 단일 구성으로, 수동 또는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다. 바르셀로나 레드 메탈릭, 슈퍼 화이트, 또는 시멘트색 등 외부도색 3가지와 블랙 또는 레드 2가지의 인테리어 중 선택할 수 있었다.
| | |
| NightShade | |
2019년에는 나이트셰이드 한정판 모델이 출시되었다.
| | |
| |
| TRD 오프로드 | |
| | |
| SR5 | |
| 후기형(2020~2023) | |
2020년형 모델부터 페이스리프트가 적용되어 외관이 일부 변경되었고, 실내에는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아마존 알렉사 기능이 추가되었다. SR5 이상 트림에는 운전석 전동 시트가 적용되었고, 리미티드 더블 캡에는 차량 주변을 360도 확인할 수 있는 파노라믹 뷰 모니터가 탑재되었다.
2021년 1월부터 2020년형 이상 모델에 TRD 리프트 키트를 딜러 장착 옵션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빌스타인 쇼크 업소버, TRD 전용 부츠, 그래픽이 적용되었으며, 프레임 지상고가 1.7인치(약 43.2mm) 높아진다.
2022년형에는 ‘트레일 에디션’이 도입되었고, 아미 그린과 루나 락 색상이 추가되었다. 브론즈 색상의 휠과 전통적 그릴 디자인은 과거 4WD 토요타 픽업트럭을 기념하는 요소이다.
생산 측면에서 2014년에는 미국 산안토니오 공장에서 105,796대, 멕시코 바하 공장에서 71,399대를 생산하여 총 177,195대를 제작했다. 2015년에는 각각 110,911대와 82,328대로 총 193,239대가 생산되었다. 2016년 북미 시장에서는 총 191,673대의 타코마가 판매되었고, 산안토니오 공장은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주말 특근을 포함한 125% 생산능력으로 가동되었다. 2016~2017년형 더블 캡 숏베드는 티후아나 공장에서, 그 외 모델은 산안토니오에서 제작되었다. 2018년에는 티후아나 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을 약 10만 대에서 16만 대로 확장할 계획이 발표되었다.
2.3.1. TRD 프로
| | |
| |
| 전기형(2016~2020) | |
| | |
| |
| 후기형(2020~2023) | |
2.4. 4세대 (N400, 2023~현재)
| | |
| |
| i-FORCE MAX 리미티드 하이브리드 | |
| | |
| SR | |
2023년 5월 19일 정식 공개됐으며, 동년 말부터 2024년형으로 판매를 시작한다.
툰드라, 세쿼이아와 같은 TNGA-F 플랫폼을 공유하며, 레이저 및 블랭킹 용접 활용, 실링 보강, 알루미늄 소재(테일게이트) 등으로 무게를 감량하면서 프레임 강성을 강화했다. 외관은 먼저 출시된 툰드라와 비슷하게 나왔다. 디자인은 미국 캘리포니아와 미시간의 칼티 디자인 리서치 센터에서 담당했으며, ‘타코마 특유의 외형(Tacoma-ness)’을 살려 오프로드와 아웃도어 활동에 적합한 강인한 외관을 강조했다.
인테리어는 7인치 클러스터/8인치 디스플레이를 기본으로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14인치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으며,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3.0, EPB,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탈착식 블루투스 스피커, B필러 손잡이, 전동식 테일게이트,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Proactive Driving)[4], 오토홀드 기능이 추가됐다.
트림은 SR, SR5, 리미티드, TRD(Sport, Off-Road, Pro, PreRunner), 트레일헌터 총 8종류로 나뉜다. 종류에 따라 4도어 더블캡 및 적재공간이 더 긴 엑스트라캡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일체차축 리프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한다. 또한, 후륜구동 기반의 오프로드 트림 TRD PreRunner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TRD Pro와 Trailhunter는 최상위 플래그십 모델로 분류된다.
파워트레인은 직렬 4기통 2.4L 가솔린 터보(T24A-FTS) 엔진으로 단일화했으며, 출력은 트림에 따라 222마력 보급형, 278마력(수동 270마력) 중급형, 326마력 i-FORCE MAX 하이브리드+니켈 수소 배터리가 탑재된 상급형 3종류로 나뉜다. 대부분 8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리지만, 일부 트림에서는 자동 리브매칭 및 안티스톨 기능이 포함된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된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후륜기반 답게 세로배치형 엔진 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전기 모터를 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외에는 일반 모델과 동일한 전자식 트랜스퍼 케이스 및 구동계가 적용된다.
차체는 고강도 강판 프레임과 알루미늄 부품을 사용해 강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실현했다. 전 트림에 4륜 디스크 브레이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이 기본 탑재된다.
바디 타입은 두 가지로, 2도어 확장형인 엑스트라캡과 4도어 크루캡(더블캡)으로 구성된다. 더블캡은 1.5m 또는 1.8m 길이의 적재함을 선택할 수 있으며, 후륜 서스펜션은 코일 스프링 리지드 액슬 기반의 멀티링크 방식이다. 엑스트라캡은 뒷좌석 없이 2인승으로 구성되며, 실내에는 잠금식 수납공간이 제공된다. 이는 고객 조사 결과 과반수가 뒷좌석을 아예 제거하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반영한 변화다. 엑스트라캡은 SR, SR5, TRD PreRunner 트림에서만 선택 가능하며, 1.8m 길이의 적재함과 리프 스프링 후륜 서스펜션이 적용된다.
모든 타코마는 후륜에 자동 제한 슬립 디퍼렌셜을 기본 탑재하며, 4륜 구동 모델은 고/저단 전환이 가능한 전자식 트랜스퍼 케이스를 갖추고 있다. TRD 및 Trailhunter 트림에는 후륜 전자식 잠금 디퍼렌셜이 추가되며, Limited 트림의 경우 하이브리드 모델에 한해 풀타임 AWD 시스템과 센터 잠금 디퍼렌셜이 제공된다.
2024년형 타코마의 크루캡 모델은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로부터 '탑 세이프티 픽(Top Safety Pick)'을 수상했으나, 중간 정면 충돌 테스트의 최신 기준 평가가 진행되지 않아 최고 등급은 받지 못했다.
2.4.1. TRD 시리즈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TRD 프리러너(PreRunner) | ||
| | | |
| ||
| TRD 스포트 | ||
| | | |
| ||
| TRD 프로 | ||
| 타코마 TRD 시리즈 | ||
TRD Pro 트림은 운전자와 동승자를 위한 IsoDynamic 시트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 시트는 네 개의 조절 가능한 쇽업소버를 통해 움직임을 제어한다. 또한 FOX사의 레이싱 쇽업소버를 장착하고, SR5 대비 높이는 약 38~51mm 높고 폭은 76mm 더 넓다.
2.4.2. 트레일헌터
| | |
| |
| 트레일헌터 | |
트레일헌터 트림은 ARB와 협력하여 제작된 Old Man Emu 서스펜션을 적용했으며, 외관상으로는 스노클 타입 공기 흡입구와 청동색 악센트로 구분된다. TRD PreRunner는 XtraCab 바디에만 적용되며, 후륜 구동으로만 제공된다.
3. 미디어/여담
| Up to Speed 타코마편 |
Donut Media의 프로그램인 Up to Speed에 토요타 타코마가 소개됐다.
슈퍼 소닉에서 또다른 주인공이자 보안관인 톰 와코우스키가 모는 차량으로 나온다. 기종은 은색상의 2016년형 3세대 타코마 모델. 이후 작품인 수퍼 소닉 2에서는 쉐보레 콜로라도로 새로 장만했다.
한국 영화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에서 김인남(황정민)이 모는 차량으로 빨간색상의 1세대 중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볼빨간사춘기 '여행' 뮤직비디오에서 안지영과 우지윤이 히치하이킹 했던 차로 빨간색 2세대 후기형 타코마가 나온다.
헬로카봇 7기에서는 카봇 스피너블의 모티브가 되었다.
3.1. 백 투 더 퓨처 타코마
| | |
| 백 투 더 퓨처 타코마 | |
2015년, 토요타는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의 30주년을 맞아 1985년 영화에 출연했던 검은색 하이럭스를 타코마 콘셉트로 재탄생시켰다. 2016년형 타코마를 기반으로 영화에 나왔던 자동차를 똑같이 제작했는데, 검은색 도색과 KC HiLite 램프, 그리고 1985년형 헤드라이트와 후미등, 그리고 1세대 하이럭스의 상징인 후면 TOYOTA 로고도 재현했다. 단 한 가지 다른 점은 타이어였는데, 1985년의 굿이어 타이어 대신 BF굿리치 타이어를 사용했다.
다만, 토요타는 딱 한대만 만들 것이며 양산 계획이 없다고 밝혀 백 투더 퓨처팬들을 아쉽게 했다.
3.2. 미군
| |
미군이 2001년부터 2014년까지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토요타 타코마를 군용 차량으로 개조해 특수부대 전용으로 사용했다.
제조사가 똑같은 픽업트럭인 하이럭스가 이미 중동에 널려 있는데도 미국에서 구매해 개조한 뒤 중동으로 수송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는 타코마의 휘발유 엔진이 험비나 하이럭스보다 훨씬 조용해 특수부대용으로 사용하기 알맞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있기도 하고, 어차피 험비도 장갑이 제대로되지 않아 방어력이 약하기는 마찬가지이기에 은밀한 작전 수행을 위해서라면 굳이 험비를 고집할 필요가 없기도 하다.
모든 기본 외부 부품 및 라이트들을 모두 뜯어내고, 헤드라이트 또한 야간작전을 위해 적외선으로 교환했으며 윈치와 장갑, 그리고 기관총을 장착했다.
4. 경쟁 차종
- 기아 - 타스만
- KGM - 무쏘 칸
- 포드 - 레인저
- 닛산 - 나바라
- 쉐보레 - 콜로라도
- GMC - 캐니언
- 르노 - 알래스칸
- 폭스바겐 - 아마록
- 혼다 - 릿지라인
- 이스즈 - D-맥스
- 푸조 - 랜드트렉
- 미쓰비시 - 트라이톤
- 램 - 1200
- 마쓰다 - BT-50
- 지프 - 글래디에이터
- 이네오스 - 그레나디어 쿼터마스터
5. 둘러보기
- [ TRD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차 캠리 캠리 솔라라 · 오리온 준대형차 - 아발론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중형 픽업트럭 타코마 - 소형 SUV C-HR · 라이즈 - 준대형 SUV 포츄너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200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MPV - 알파드/벨파이어 스포츠카 - 사이언 tC · 86 코우키 · 86 젠키 · 사이언 FR-S
- [ TRD Off-Road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70011><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 SUV 라브4 - 중형 SUV 4러너 · 4러너 프리미엄 - 대형 SUV 세쿼이아 - 중형 픽업트럭 타코마 - 대형 픽업트럭 툰드라 · 툰드라 리미티드 · 툰드라 플래티넘 · 툰드라 1794 에디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수상 차량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
| | | | | | |
| 토요타 툰드라 | 쉐보레 실버라도 헤비 듀티 | 쉐보레 아발란치 | 닷지 램 헤비 듀티 | 포드 F-150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 | | | | |
| 토요타 타코마 | 혼다 릿지라인 | 쉐보레 실버라도 | 토요타 툰드라 | 포드 F-150 | |
| 1990년대 | → | 2000년대 | → | 2010년대 | |
| 올해의 차 부문 | |||||
| 올해의 SUV 부문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년 북미 올해의 차 | 2025년 북미 올해의 SUV | 2025년 북미 올해의 트럭 |
| 선정 차량 | |||
| <nopad> | <nopad> | <nopad> | |
| 2025년형 혼다 시빅 | 2025년형 폭스바겐 ID.버즈 | 2025년형 포드 레인저 | |
| 경합 후보 | |||
| 기아 K4 | 현대 싼타페 | 토요타 타코마 | |
| 토요타 캠리 | 쉐보레 이쿼녹스 EV | 램 1500 | |
| 2024년 | → | 2025년 | → | 2026년 |
| IIHS 탑 세이프티 픽 관련 틀 | ||||||||||||||||||||||||||||||||||||||||||||||||||||||||||||||||||||||||||||||||||||||||||||||||||||||||||||||||||||||||||
| ||||||||||||||||||||||||||||||||||||||||||||||||||||||||||||||||||||||||||||||||||||||||||||||||||||||||||||||||||||||||||
[1] 과나후야토 아파세오 엘 그란데, 티후아나 바하 칼리포르니아[2] 2004년까지만 해도 포드 레인저와 1~2위를 다투는 판매량을 보였으나 2005년부터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2020년까지 중형 픽업 시장에서 단 한번도 1위를 내준 적이 없었다. 이후 포드는 레인저까지 포함한 전 픽업 라인업의 판매량만을 'F-시리즈'라는 이름으로 발표하게 됐고 심지어는 2012년에는 단종의 수모까지 겪게 됐다.[3] 대략 2010년대에 들어서는 몇몇 국가에서는 연비가 낮은 차종을 판매할 때 페널티를 주겠다고 발표한 바가 있기에, 타코마 보다 몸집이 훨씬 큰 풀사이즈급 SUV나 픽업들 조차도 연비개선이 필수 과제로 떠올랐다[4] 약간 굽이 진 도로에서도 제동, 스로틀 및 조향 능력을 제공한다. 토요타 차량에 최초로 탑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