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Toyota Harrier / Venza[1] / Lexus RX[2] |
1. 개요
1997년부터 일본의 자동차 회사인 토요타에서 생산하고 있는 중형 SUV로, 1~2세대는 렉서스 RX와 동형이고 4세대는 해리어를 먼저 출시하고 이후에 벤자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했다. 1~2세대 까지만 해도 엄연히 프리미엄 브랜드와 경쟁했던 고급 SUV 였으며, 고급 그랜드 투어러에만 탑재될법한 에어 서스펜션과 알칸타라 등이 탑재되었지만, 3세대에 와선 수출형이었던 렉서스 RX가 내수 시장에도 출시되면서 RX 기반의 고배기량 사양이 단종되고 차급이 내려가는 동시에 일반 대중 SUV가 되었다. 그러나 4세대가 출시된 현재까지도 일본 및 동남아에선 고급 SUV로 포지셔닝하여 판매하고 있다.차명의 유래는 일본에서는 혼슈 지역의 북부와 홋카이도에 많이 서식하는 개구리매의 명칭에서 따왔으며, 3세대까지 쓰인 전용 엠블럼의 모티브가 됐다.[3]
2. 세대별 일람
2.1. 1세대 (XU10, 1997~2003)
| | |
| |
| 뉴 콘셉트 | |
1세대 해리어의 베이스가 된 콘셉트 카이다.
| | |
| |
| 전기형(1997~2000) | |
| | |
| |
| 후기형(2000~2003)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렉서스 RX#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렉서스 RX#1세대|1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세대 캠리(XV20계) 플랫폼을 기반으로 1997년 12월에 출시되었다. 엔진은 1MZ-FE형 V6 3.0L 또는 5S-FE형 I4 2.2L가 장착되었으며, 구동 방식은 4WD와 FF 두 가지가 있다. 변속기는 4단 자동변속기만 적용되었다.
1998년 6월에는 특별 사양 모델인 '해리어 자가토(ZAGATO)'가 등장했다. V6 모델을 기반으로 전용 알루미늄 휠과 오버휀더 등이 장착되었으며, 이는 이탈리아의 전문 코치 빌드 회사인 자가토 사와의 협업 모델이다.
2000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I4 2.2L에서 2AZ-FE형 I4 2.4L로 변경되었고, 베이스 그레이드 이외의 모델에는 디스차지 헤드램프가 적용되었다. 이후 베이스 그레이드에도 디스차지 헤드램프를 장착한 특별 사양 모델 '프라임 셀렉션'이 출시되었다. 또한, 이 모델은 우수 저배출가스 인증을 받았다.
광고 캐치프레이즈는 "WILD but FORMAL"로, 사자의 머리를 가진 젊은 신사가 이미지 캐릭터로 등장해 '승용차 기반의 럭셔리 크로스오버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표현했다.
2003년 1월에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이후 재고 소진분만 판매되었다. 그리고 2003년 2월에 2세대 모델로 교체되면서 판매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2.2. 2세대 (XU30, 2003~2013)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내부 | |||
| | | ||
| 해리어 자가토 | }}}}}}}}} | ||
| 해리어(2003~2013)[4] | |||
| | | ||
| |||
| 해리어 하이브리드(2005~2013)[5]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렉서스 RX#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렉서스 RX#2세대|2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03년 2월 17일에 풀 모델 체인지되어 출시되었으며, 캐치프레이즈는 'ALL ROUND WINNER'였다. 일본 내 월간 판매 목표는 2,500대, 해외 월간 판매 목표는 9,000대였다. 엔진은 V6 3.0L 또는 I4 2.4L가 장착되었고, 변속기는 3.0L 모델에 5단 자동변속기, 2.4L 모델에는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구동방식은 1세대와 마찬가지로 4WD와 FF 두 가지였다. V6 3.0L 최상위 그레이드인 AIRS(에어 에스)에는 무려 전자제어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되었으며,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에 사용되는 밀리파 레이더를 이용한 프리크래시 세이프티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2세대 등급별 특징(2006년 기준)은 다음과 같다. AIRS 등급은 3.5L 전용으로 18인치 알루미늄 휠(에어로 링 포함)이 기본 장착되며, 에어 서스펜션이 유일하게 기본 탑재되는 최상위 등급이다. G "프리미엄 L 패키지"는 3.5L와 2.4L 모두에 18인치 알루미늄 휠(슈퍼 크롬 메탈릭)과 JBL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이 기본 장착되며, AIRS의 기본 장비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G "L 패키지"는 3.5L와 2.4L 모두에 17인치 알루미늄 휠(슈퍼 크롬 메탈릭)이 기본 장착되며, 크루즈 컨트롤 등 일부 장비는 선택할 수 없는 등급이다. G는 3.5L와 2.4L 모두에 크롬 메탈릭 처리되지 않은 17인치 알루미늄 휠이 기본 장착되고, 목재 무늬 스티어링 휠이 없으며, 가죽으로 감싼 스티어링 휠이 기본 장착된 베이스 등급이다.
2006년 1월 10일에는 일부 개량이 이루어져 1MZ-FE 엔진을 탑재한 유럽형 RX300 기반의 300G가 단종되고 북미형 RX350 기반의 350G로 대체되었고 신형 엔진인 3.5L 2GR-FE 엔진이 채용되었다. 또한 350G 2WD 차량에는 VSC와 TRC가 기본 탑재되었고, 240G와 350G에는 광축 조절용 오토 레벨링 기능이 있는 디스차지 헤드램프가 탑재되어 전 차량에 기본 장착되었다. 전 차종에 안전벨트 경고음, 2개의 보조 미러, 스마트 키 3개(기존 1개), HDD 타입 내비게이션 등이 새롭게 적용되어 편의 장비가 대폭 강화되었다.
2005년부터는 RX400h 기반의 하이브리드 모델인 하리어 하이브리드가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3.3L V6 엔진과 고출력 모터 2개를 조합하여 뛰어난 가속 성능과 저연비를 동시에 실현했으며, 월간 판매 목표는 500대로 발표되었다.
2006년에는 토요페트점 50주년 기념으로 250대 한정 특별 사양차 '해리어 자가토(ZAGATO)'가 출시되었다.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자가토 사와의 콜라보레이션 모델이며, 개선 내용도 거의 동일했다. 전용 색상인 레드 마이카 메탈릭 외에 화이트 펄 크리스탈 샤인과 블랙도 선택 가능했다. 이번에는 V6 뿐만 아니라 직렬 4기통 엔진도 선택할 수 있었다.
2008년 1월 10일에는 특별 사양차 '해리어 240G L 패키지 알칸타라 프라임 버전'이 등장했다. L 패키지의 장비에 더해 18인치 알루미늄 휠, 3버튼 무선 도어락 리모컨(표준차 2버튼), 파워 백도어, 가죽(사이드+암레스트) 및 알칸타라(메인+헤드레스트) 전용 시트 표피, 조수석 4방향 멀티 어저스터블 파워 시트, 컵홀더와 수납함이 있는 리어 센터 암레스트, 알칸타라 전용 차량 등록증 케이스, LED 하이마운트 브레이크등이 포함된 칼라드 리어 스포일러(기본 모델은 검은색 스포일러) 등이 적용되었다. 특별 색상으로 라이트 블루 마이카 메탈릭도 제공되었으며, HDD 내비게이션 시스템(음성 안내 기능 포함 컬러 백 가이드 모니터)도 특별 장비로 탑재되어 고급감을 높였다.
2009년 1월에는 해리어의 렉서스 버전인 3세대 렉서스 RX가 일본 시장에 출시되면서 350G가 단종되었지만, 240G와 하이브리드는 3.5L 모델이 RX로 대체되었음에도 계속 판매되었다.
2009년 8월 18일에는 '240G'를 기반으로 백도어를 스위치 조작만으로 자동 개폐할 수 있는 파워 백도어(끼임 방지 기능 포함)와 L 패키지에서 인기가 높았던 운전석 전동 멀티 8방향 조절 시트(전동 럼버 서포트 포함), 40:20:40 분할 폴딩 시트, 자가드 직물 시트 표피 등을 채용해 고급감을 높인 특별 사양차 '240G "L 패키지・리미티드"'가 출시되었다.
2011년 10월 3일에는 '240G'를 기반으로 알칸타라 전용 시트 표피와 전용 차량 등록증 케이스, 목재 무늬와 가죽 감싼 3스포크 스티어링 휠, 시프트 레버와 노브를 채용했다. 또 트렁크를 스위치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는 파워 테일게이트(끼임 방지 기능 포함), 8웨이 멀티 어저스터블 시트(전동 럼버 서포트 포함), 슈퍼 크롬 메탈릭 도장이 된 17인치 알루미늄 휠을 장착해 매력적인 사양을 갖춘 특별 사양차 '240G "L 패키지・ALCANTARA Selection"'을 출시했다.
2013년 9월에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2013년 10월 24일에 판매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2.3. 3세대 (XU60, 2013~202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내부 | |||
| | | ||
| |||
| 해리어 엘레강스 G's | }}}}}}}}} | ||
| 전기형(2013~2017)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내부 | |||
| | | ||
| 해리어 하이브리드 | |||
| | | ||
| |||
| 해리어 "스타일 블루쉬" | }}}}}}}}} | ||
| 후기형(2017~2020) | |||
이전 모델은 렉서스 RX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었지만, 3세대는 독자적인 차량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차급이 준대형 SUV에서 중형 SUV로 내려갔으며, 2013년 12월 2일에 일본에서 가솔린 모델이 먼저 출시되고, 뒤이어 2014년 1월 15일 하이브리드 차량이 출시됐다. 또한 전작에서 옵션으로 제공했던 고급 사양인 에어 서스펜션, 알칸타라 시트 등도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
3세대 해리어는 이전의 해리어와 뱅가드를 대체하는 통합 후속격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다.
1~2세대는 토요타의 K 플랫폼을 사용한 것과는 달리 XU60 해리어는 라브4 및 NX와 같이 MC 플랫폼을 사용했다.
또 생산지도 3세대부터 일본 아이치현의 타카오카시 토요타 공장으로 옮겼으며, 역대 해리어 모델 중 유일하게 좌핸들 모델이 없고 우핸들로만 생산된 모델이다.
일본에서는 휘발유 및 하이브리드 차량 모두가 프리미엄, 엘레강스와 그랜드 트림뿐만 아니라 차량의 바디 키트와 서스펜션을 낮추며 다른 트림보다 커진 바퀴 및 브레이크 및 새로운 스포츠 시트가 포함된 엘레강스의 스포티한 면에서 더 상위 버전인 엘레강스 G 트림이 존재한다. 최고급 프리미엄 고급 트림에는 내비게이션 및 감지 기능이 있는 T-Connect 8 "터치 스크린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존재하는 JBL Greenedge 오디오가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도 Style Mauve 스페셜 에디션과 그 후 Style Ash 스페셜 에디션이 출시됐다.
1~2세대와 달리 북미와 유럽에는 수출하지 않고 주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의 동남아시아 위주로 수출했다.
2017년 6월 8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그랜드 바리안트 트림이 사라지고 엘레강스 트림이 기본형이 됐다. 프로그레스 트림이 새로 생겨 이전의 프리미엄 트림을 대체하게 됐다. 2.0T 엔진(8AR-FTS)과 6단 ECT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해리어 터보 모델도 출시됐다. 그럼에도 2.0L 엔진 및 2.5L 하이브리드 엔진은 그대로 유지됐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자동 하이빔 등의 기술들이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P 안전 기능이 제공됐고 새로워진 실내 색상도 적용됐다.일본 도쿄도 오다이바의 메가웹에도 한 대 정도 전시되어 있었다.
2.3.1. 해리어 GR 스포트
| | |
| |
| | |
2.4. 4세대 (XU80, 2020~현재)
| | |
| |
| 일본 내수형 하이브리드 | |
| | |
| |
| 중국형 하이브리드 | |
| 전기형(2020~현재) | |
2020년 6월에 선보였다. 3세대와 달리 북미와 중국에서도 판매하며 수출명으로 단종됐던 벤자의 이름을 부활시켰다. 일본에서는 해리어, 해외 국가에서는 해리어나 벤자로 판매된다.[6] 또, 해리어 전용 엠블럼이 삭제되고 토요타 엠블럼이 붙었다.
12.3인치의 내비게이션이 탑재된다. 플랫폼은 캠리, RAV4, 하이랜더 등과 마찬가지로 토요타 TNGA 플랫폼(TNGA-K)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차체 크기는 4,740 x 1,855 x 1,660mm로 기존 모델보다 전장이 15mm 길어지고 전폭은 20mm 넓어졌으며 전고는 30mm 낮아졌다. 휠베이스는 30mm 길어진 2,690mm이다.
파워트레인은 가솔린 모델의 경우 최신 2.0L 직렬 4기통 다이나믹포스 엔진(M20A-FKS)과 다이렉트 시프트 CVT가 조합된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2.5L 직렬 4기통 다이나믹포스 엔진(A25A-FXS)과 eCVT가 조합된다. 또한, 기존에는 4WD에만 있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2WD에도 적용했다.
| | |
| |
| <rowcolor=#fff> PHEV 사양 | |
2022년 10월 4일에는 전 모델 연식변경과 함께 10월 31일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사양인 해리어 Z 모델의 판매를 시작했다.
모든 차량에 안전사양 패키지인 'Toyota Safety Sense'를 기본으로 탑재하여, 교차로에서 우회전 시 맞은편 직진 차량이나 좌/우회전 시 반대 방향에서 건너오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커넥티드 내비게이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오디오를 채용하고, 12.3인치 대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차량 내 내비게이션도 탑재했다. 차량이 Wi-Fi® 핫스팟이 되는 차내 Wi-Fi® 기능도 적용했다. 아울러, 12.3인치 TFT 풀 컬러 디지털 계기판과 멀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새롭게 채용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Z 그레이드에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모터 구동 성능을 강화하고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가속감과 낮은 무게중심으로 뛰어난 주행 안정성을 실현했다. 전용 메쉬 패턴이 들어가는 전면 그릴을 비롯해 특별한 외관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전용 외장 색상으로 그레이 메탈릭을 포함한 4가지 색상을 설정하고, 차량 곳곳에 검정색 도장을 추가했다. 실내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 도어 트림까지 이어지는 금속 메쉬 질감의 다크 레드 파이핑 오너먼트를 적용했다. 또한, 최대 1,500W(AC100V) 출력을 지원하는 외부 전력 공급 시스템과 뒷좌석 열선 시트, 바닥 투과 표시 기능이 포함된 파노라믹 뷰 모니터를 기본 사양으로 탑재했다.
| | |
| |
| Night Shade | |
| | |
| |
| Leather Package · Night Shade | |
| 나이트셰이드(2025) | |
2025년 6월 11일 일본 내수용 한정으로 특별판인 나이트셰이드 트림이 추가되었다. Z "Night Shade"와 Z "Leather Package · Night Shade" 두 가지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Z 및 Z Leather Package의 하이브리드 2WD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외관은 전면 어퍼 그릴, 로어 그릴, 프런트 및 리어 범퍼, 사이드 가니시 등 주요 부위가 글로스 블랙으로 마감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어두운 톤의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한다. 헤드램프 내부 렌즈와 반사판도 어두운 컬러로 처리되어 있다. 휠은 19인치 블랙 알로이 휠에 225/55R19 타이어가 조합된다. 도요타 엠블럼과 카본 뉴트럴 배지도 블랙으로 통일되어 전체적인 통일감을 준다.
실내는 Leather Package 기준으로 고급 가죽 시트와 스티어링 휠 히터, 운전석 통풍 및 열선 시트, 디지털 키, 핸즈프리 파워 백도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JBL 9스피커 오디오, 12.3인치 풀 디지털 계기판, 커넥티드 내비게이션 대응 디스플레이 오디오가 탑재된다.
안전 사양으로는 교차로 우회전 시의 사고 위험 감지, 긴급 조향 보조, 저속 시 급발진 억제 기능이 포함된다. 또한 레인디파처 어시스트, 후측방 경고, 도어 열림 시 후방 접근 차량 감지 기능(SEA) 등 최신 Toyota Safety Sense가 적용되어 있다.
Z "Night Shade" 2WD 모델 기준 차량 가격은 약 5,190,900엔이며, E-Four(AWD) 모델은 약 5,410,900엔이다.
이 모델은 블랙 중심의 외관 스타일과 고급 편의 사양, 첨단 안전 기능을 조합한 특별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2.4.1. 해리어 GR 파츠
| |
| |
2.4.2. 해리어 모델리스타
| | |
| 아반트 이모셔널 스타일 | |
| | |
| 그란 블레이즈 스타일 | |
| <rowcolor=#fff> | |
3. 매체에서
- 사쿠라다 리셋 애니메이션 : 사쿠라다 시 소속 초능력 관리 요원들이 타고 다니는 관용차로 검은색상의 3세대 해리어가 나온다.
4. 모형화
- 토미카에서 2세대 전기형 모델을 출시했다.
5. 경쟁 차량
- 현대 - 싼타페
- 기아 - 쏘렌토
- KGM - 토레스
- 쉐보레 - 블레이저
- 르노 - QM6
- 혼다 - 패스포트
- 닛산 - 무라노
- 미쓰비시 - 아웃랜더
- 포드 - 이퀘이터
- 폭스바겐 - 아틀라스 크로스 스포츠
- 마쓰다 - CX-60
- 스바루 - 아웃백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5951><tablealign=center>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
| 경차 | 픽시스 밴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에포크 | 포르테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조이 | |
| 세단 | 미라이 ·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 마크 Ⅱ · 코로나 · 코르사 · 아발론 · 프로나드[OT] · 프로그레 · 오리진 · 플라츠 · 셀시오 · 칼디나 · 벨타 · 어벤시스 · 마크 X · EXiV · 프레미오 | |
| 왜건/해치백 | 프리우스 알파 · 아쿠아 | 이스트 · 블레이드 · 오리스 | |
| 스포츠카 | 86 · GR 수프라 | 소아라 · 사이노스 | |
| SUV | 해리어 · C-HR · 라이즈 | 카미 · 러시 · 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 |
| MPV | 알파드 · 에스콰이어 · 시엔타 | 오파 · 입섬 · 마크 X 지오 · 락티스 · 탱크 | |
| LCV/상용차 | 석시드 · 저팬 택시 | 그랜드 하이에이스 · 투어링 하이에이스 · 석시드 왜건 · 레지우스 | |
| 오사카 토요페트 한정 | 토요타 하이에이스 왜건/밴/커뮤터 · 다이나/토요에이스 · 랜드 크루저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코스터 · 하이메딕 | 센추리 · 크라운 · 브레비스 · 알리온 · 하이럭스 서프 · 에스티마 · 이시스 · 퀵딜리버리 | |
| |||
| | |||
| | |||
| 다이하츠의 차량 | |||
| 히노의 차량 | |||
| 사이언의 차량 | |||
- [ GRMN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 iQ · iQ 슈퍼차저 소형차 - 야리스(2022) · 야리스(2018) · 비츠(2018) · 비츠 터보(2013) 중형차 - 마크 X(2013) · 마크 X(2019) 대형차 - 센추리(비매품) 대형 SUV 센추리 SUV(개발중) - 스포츠카 - 86
- [ GR SPORT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경차 다이하츠 코펜 · 위고 · 아기아 - 소형차 야리스 · 아쿠아 · 바이오스 - 준중형차 코롤라 프리우스 PHV · 프라우스 알파 중형차 캠리 마크 X 스포츠카 - 86 경형 SUV 아이고 X - 소형 SUV C-HR · 러시 · 라이즈 · 야리스 크로스 - 준중형 SUV 라브4 · 코롤라 크로스 - 중형 SUV - 해리어 준대형 SUV 포츄너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 MPV - 노아 · 복시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 [ GR PARTS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소형차 GR 야리스 · 야리스 · 루미 - 준중형차 프리우스 - 중형차 캠리 - 준대형차 크라운 - 스포츠카 86 - 소형 SUV 야리스 크로스 - 중형 SUV 해리어 - MPV 노아 · 복시 - 소형 픽업트럭 하이럭스 -
- [ GR Heritage Parts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eb0a1e><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차 AE86 코롤라 레빈 / 스프린터 트레노 - 스포츠카 2000GT · A70 수프라 · A80 수프라 - 대형 SUV 랜드 크루저 40 · 랜드 크루저 60 · 랜드 크루저 70 · 랜드 크루저 80 -
[1] 해외명(4세대)[2] 해외명(1~2세대)[3] 단, 1~2세대는 해외 수출형 제외. 렉서스 RX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해외에서는 전용 엠블럼 대신 렉서스 로고가 적용됐다. 일본에서는 내수에서 전용 엠블럼을 쓰는 차량들이 해외에서는 일반 제조사 로고로 바뀌는 것이 다반사다. 대한민국에서는 오피러스와 스팅어, 모하비 그리고 제네시스가 내수형은 전용 로고를 사용했지만 수출형은 일반 현대기아 로고를 달았던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4] 350G, 300G는 각각 RX 350, RX 300이라는 명칭으로 수출되었으며, 240G는 RX 대응모델이 없다.[5] 해외에서는 RX 400h라는 명칭으로 판매되었다.[6] 예외로, 중국에서는 합작사가 여러 곳이라 해리어와 벤자 두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7] 화이트 펄 크리스탈 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