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clearfix]
1. 개요
토요타가 WEC 하이퍼카 클래스에 참가하기 위해 르망 하이퍼카(LMH) 규격에 의거하여 개발된 LMH 레이스카이다. 2020년까지 활약했던 TS050의 후계기이기도 하다.2. 제원
토요타 GR010 하이브리드 | |
<colbgcolor=#eb0a1e><colcolor=#FFFFFF> 최초생산년도 | 2021년 |
카테고리 | LMH |
제작사 | 토요타 |
섀시 | 카본 파이버 모노코크 |
엔진 | 토요타 H8909 |
엔진 형식 | 3.5L V6 트윈터보 |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 - 푸시로드 |
타이어 | 미쉐린[1] |
최소 중량 | 1030 kg |
최대 출력 | 520 kW(ICE)[2] 200 kW(전륜 전기모터)[3][4] |
배터리 | 토요타 리튬이온 배터리 |
트랜스미션 | 7단 시퀀셜 변속기 |
연료 | 토탈 엑실리움 100 |
이전 모델 |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
3. 레이스 기록
토요타 GR010은 현재 토요타의 팩토리팀인 토요타 가주 레이싱이 WEC에 2대로 5년째 운용하는 중에 있다. 이는 이후에 들어오는 LMH를 운용하는 제조사의 팩토리 팀들도 크게 다를바 없다.3.1. 2021년
3.2. 2022년
3.3. 2023년
3.4. 2024년
리버리가 검은색으로 바뀌었다. WEC 매뉴펙처러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3.5. 2025년
4. 기타
- 이 차를 바탕으로 공도 주행이 가능한 하이퍼카 개발도 계획되었으나 2021년 이후에 베이퍼웨어가 되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64ff><tablebgcolor=#0d64ff> | 르망 24시 종합 우승 기록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rowcolor=#000000> | LMH & LMDh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MH (Le Mans Hypercar) | ||||
<rowcolor=#FFFFFF> 차량 | 제조사 | 섀시 | 운용 팀 | ||
| 토요타 | 토요타 | | ||
<nopad> | |||||
| 포디움 | [A] | |||
SCG 007 LMH | |||||
| 푸조 | 리지에 | | ||
9X8 | |||||
| 반월 | 반월 | [A] | ||
| 페라리 | 달라라 | | ||
499P | |||||
| 미켈로토 | [A] | |||
티포 6 LMH-C | |||||
| 애스턴 마틴 | 멀티매틱 | | ||
LMDh (Le Mans Daytona h) | |||||
<rowcolor=#FFFFFF> 차량 | 제조사 | 섀시 | 운용 팀 | ||
| 아큐라 | 오레카 | | ||
ARX-06 | |||||
| BMW | 달라라 | | ||
M 하이브리드 V8 | |||||
| 캐딜락 | 달라라 | | ||
| 포르쉐 | 멀티매틱 | | ||
963 | |||||
| 알핀 | 오레카 | | ||
A424 | |||||
| 리지에 | | |||
SC63 | |||||
| 제네시스 | 오레카 | [예정] | ||
GMR-001 | |||||
| 포드 | 미정 | 미정 | ||
포드 LMDh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