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TYPE |
1. 개요
영국의 재규어가 1954년부터 1957년까지 생산한 레이스카. C-타입의 후속으로 개발되었으며, C-타입과 더불어 1950년대 재규어를 르망의 주인공으로 만들어준 일등공신이다.2. 역사
때는 1953년, 재규어는 C-타입으로 르망에서 우승 트로피를 따내며 탄탄대로를 달리고 있었다. 재규어는 레이스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C-타입의 후속 모델을 개발하고 있었고, 1954년 C-타입의 후속이라는 의미로 D-타입을 공개했다.[1][2]D-타입의 둥글둥글한 유선형 스타일링은 당시로서는 꽤나 혁신적인 디자인이었다. 특히 당시의 항공 기술이 이 차에 접목되었는데, 타원형 형상을 하고 있는 운전석 부분은 비교적 적은 단면적을 보유하여 항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역학적 효과가 있었고, 이 부분은 알루미늄 모노코크 바디로 제작되어 경량화[3]뿐만 아니라 강성까지 확보했다.[4] 운전석 시트 뒤쪽으로 길게 뻗어있는 핀의 경우 이 역시 에어로다이나믹에 중점을 두고 설계한 부분으로, 직선 주로에서 고속으로 달릴 때 차량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르망 24시 경기가 개최되는 라 사르트 서킷의 경우 6km에 달하는 세계 최장 직선 주로인 뮬산 스트레이트(Mulsanne Straight)[5]가 있기에 더욱 중요했다.
D-타입의 엔진은 C-타입의 직렬 6기통 엔진을 개량한 것인데, 이 엔진은 원래 XK 시리즈에 사용되던 것이었다. 배기량의 경우 1954년 출시 당시에는 3,442cc였으며, 1957년에 엔진이 개량되면서 3,781cc로 올랐다.
1955년 당시의 모습 | 현재의 모습 |
1955년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6번 차량.[6] |
1953년 르망 우승으로 성공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준 전작 C-타입에 이어 D-타입은 1955년을 시작으로 3년 연속 르망 24시를 제패했고, 재규어는 1950년대 르망의 최강자가 되었다.
D-타입의 생산은 1957년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75대가 생산되었다.
2.1. XKS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재규어 XKS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재규어 XKSS#|]][[재규어 XKS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제원
차량 제원 | |||||
모델명 | 재규어 D-타입 | ||||
생산 기간 | 1954년~1957년 | ||||
생산 대수 | 75대 | ||||
엔진 형식 | 직렬 6기통 | ||||
미션 형식 | 4단 수동 | ||||
구동 방식 | FR | ||||
배기량 | 3,442cc(1954년~1956년) | 3,781cc(1957년) | |||
최고 출력 | 250hp / 6,000rpm | ||||
최대 토크 | 33.4kgf·m / 4,000rpm | ||||
전장 | 3,912mm | ||||
전폭 | 1,670mm | ||||
전고 | 1,041mm | ||||
휠베이스 | 2,286mm | ||||
전륜 브레이크 | 디스크 | ||||
후륜 브레이크 | 디스크 | ||||
공차 중량 | 864kg | ||||
최고 속도 | 269km/h | ||||
제로백 (0→100km/h) | 4.7초 | ||||
승차 인원 | 1명 |
4. 기타
- 마이크 호손의 D-타입이 르망에서 우승한 1955년은 르망 24시뿐만 아니라 모터스포츠 역사를 통틀어서 가장 큰 규모의 사고가 일어났던 해였다. 자세한 내용은 1955년 르망 24시 참사 문서 참고.
- 1956년 르망 24시 우승차량인 1955년식 4번 차량[7]이 2016년 몬테레이에서 열린 경매에 출품되었다. 낙찰가는 무려 2170만 달러[8]. 이로써 D-타입은 재규어 역사상 가장 비싸게 팔린 차가 됨과 동시에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 재규어가 되었다.
- 레플리카 제작이 굉장히 활발한 차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D-타입의 레플리카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꽤 많은 편이며, 높은 퀄리티를 자랑하는 차의 경우 수억원 이상에도 거래된다. 국내에도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에서 D-타입의 레플리카를 소장하고 있다. 퀄리티는 상당히 높은 편.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2A2A2A><tablealign=center><tablebgcolor=#2A2A2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2A2A2A> 중형 세단 | - | X-타입 · XE | |
준대형 세단 | - | 마크 1 · 마크 2 · S-타입 · XF | |
대형 세단 | I-타입 (예정) | 마크 시리즈(마크 V / 마크 VII / 마크 VIII / 마크 IX / 마크 X) · 420G · XJ(XJ6 · XJ8 · XJ12) | |
그랜드 투어러 | - | XK(XK8) · XJS | |
스포츠카 | - | XK120 · C-타입 · D-타입 · XKSS · XK140 · XK150 · E-타입(XKE) · F-타입 | |
슈퍼카 | - | XJ220 · XJ13 · C-X75(계획 무산) | |
레이스카 | - | XJR 스포츠카 시리즈(XJR-5 / XJR-6 / XJR-7 / XJR-8 / XJR-9 / XJR-10 / XJR-11 / XJR-12 / XJR-14 / XJR-15 / XJR-16 / XJR-17) | |
준중형 SUV | E-페이스 | - | |
중형 SUV | I-페이스 | - | |
준대형 SUV | F-페이스 | - | |
다임러의 차량 | |||
랜드로버의 차량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64ff><tablebgcolor=#0d64ff> | 르망 24시 종합 우승 기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 <keepall> 1923 | <keepall> 1924 | <keepall> 1925 | <keepall> 1926 | <keepall> 1927 | <keepall> 1928 | <keepall> 1929 |
슈나르-발케르 슈나르 & 발케르 타입 U3 15CV 스포트 | 벤틀리 벤틀리 3 리터 스포트 | 로렌-디트리히 로렌-디트리히 B3-6 스포트 | 로렌-디트리히 로렌-디트리히 B3-6 르망 | 벤틀리 벤틀리 3 리터 스피드 | 벤틀리 벤틀리 4½ 리터 | 벤틀리 벤틀리 스피드 식스 | |
| | | | | | | |
<keepall> 1930 | <keepall> 1931 | <keepall> 1932 | <keepall> 1933 | <keepall> 1934 | <keepall> 1935 | <keepall> 1936 | |
벤틀리 벤틀리 스피드 식스 | 하우 백작 알파 로메오 8C 2300 LM | R. 소메르 알파 로메오 8C 2300 LM | R. 소메르 알파 로메오 8C 2300 MM-LM | L. 치네티 알파 로메오 8C 2300 MM-LM | 아서 W. 폭스 라곤다 M45R 래피드 | 프랑스 노동자 파업 사태 | |
| | | | | | ||
<keepall> 1937 | <keepall> 1938 | <keepall> 1939 | <keepall> 1940 ~ 1948 | <keepall> 1949 | <keepall> 1950 | <keepall> 1951 | |
로제 라브릭 부가티 타입 57G 탱크 | 외젠 샤부와 장 트레물레 들라이예 135 CS | 장피에르 위밀 부가티 타입 57C 탱크 | 제2차 세계 대전 | 셀즈던 경 페라리 166 MM | 루이 로지에 탈보-라고 T26 GS | 재규어 재규어 XK-120C | |
| | | | | | ||
<keepall> 1952 | <keepall> 1953 | <keepall> 1954 | <keepall> 1955 | <keepall> 1956 | <keepall> 1957 | <keepall> 1958 | |
다임러-벤츠 메르세데스-벤츠 300 SL | 재규어 재규어 C-타입 |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375 플러스 | 재규어 재규어 D-타입 | 에큐리 에코스 재규어 D-타입 |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250 TR 스칼리에티 스파이더 58 | ||
| | | | | | | |
<keepall> 1959 | <keepall> 1960 | <keepall> 1961 | <keepall> 1962 | <keepall> 1963 | <keepall> 1964 | <keepall> 1965 | |
데이비드 브라운 레이싱 부서 애스턴 마틴 DBR1/300 | 스쿠데리아 페라리 페라리 250 TR 59/60 판투치 스파이더 | SEFAC 페라리 페라리 250 TRI/61 | 페라리 SEFAC 페라리 330 TRI/LM | 페라리 S.E.F.A.C. 페라리 250 P | 페라리 SEFAC 페라리 275 P | N.A.R.T. 페라리 250 LM | |
| | | | | | ||
<keepall> 1966 | <keepall> 1967 | <keepall> 1968 | <keepall> 1969 | <keepall> 1970 | <keepall> 1971 | <keepall> 1972 | |
셸비 아메리칸 포드 Mk II | 셸비 아메리칸 포드 Mk Ⅳ | J. W.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포드 GT40 | 포르쉐 콘스트룩치오넨 포르쉐 917K | 마르티니 레이싱 팀 포르쉐 917K | 에키프 마트라-심카 쉘 마트라 MS670 | ||
| | | | | | | |
<keepall> 1973 | <keepall> 1974 | <keepall> 1975 | <keepall> 1976 | <keepall> 1977 | <keepall> 1978 | <keepall> 1979 | |
에키프 마트라 마트라 MS670B | 에키프 지탄 마트라 MS670C | 걸프 리서치 레이싱 미라지 GR8 | 마르티니 레이싱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36 | 마르티니 레이싱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36/77 | 에키프 르노 엘프 스포트 알핀 A442B | 포르쉐 크레머 레이싱 포르쉐 935 K3 | |
| | | | | | ||
<keepall> 1980 | <keepall> 1981 | <keepall> 1982 | <keepall> 1983 | <keepall> 1984 | <keepall> 1985 | <keepall> 1986 | |
장 론도 론도 M379B |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36/81 | 포르쉐 시스템 포르쉐 956 | 로스만스 포르쉐 포르쉐 956 | 뉴-맨 요스트 레이싱 포르쉐 956B | 로스만스 포르쉐 포르쉐 962C | ||
| | | | | | ||
<keepall> 1987 | <keepall> 1988 | <keepall> 1989 | <keepall> 1990 | <keepall> 1991 | <keepall> 1992 | <keepall> 1993 | |
로스만스 포르쉐 포르쉐 962C | 실크 컷 재규어 재규어 XJR-9 LM | 팀 자우버 메르세데스 자우버 C9/88 | 실크 컷 재규어 재규어 XJR-12 LM | [[일본| 마쓰다스피드 마쓰다 787B | 푸조 탈보 스포트 푸조 905 에보 1 비스 LM | ||
| | | | | | | |
<keepall> 1994 | <keepall> 1995 | <keepall> 1996 | <keepall> 1997 | <keepall> 1998 | <keepall> 1999 | <keepall> 2000 | |
르망 포르쉐 팀 다우어 962 LM | 고쿠사이카이하쓰 레이싱 맥라렌 F1 GTR | 요스트 레이싱 TWR WSC95 | 포르쉐 포르쉐 911 GT1-98 | 팀 BMW 모터스포트 BMW V12 LMR |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8 | ||
| | | | | | | |
<keepall> 2001 | <keepall> 2002 | <keepall> 2003 | <keepall> 2004 | <keepall> 2005 | <keepall> 2006 | <keepall> 2007 | |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8 | 팀 벤틀리 벤틀리 스피드 8 | [[일본| 아우디 스포트 재팬 팀 고우 아우디 R8 | 챔피언 레이싱 아우디 R8 |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10 TDI | 아우디 스포트 노스 아메리카 아우디 R10 TDI | ||
| | | | | |||
<keepall> 2008 | <keepall> 2009 | <keepall> 2010 | <keepall> 2011 | <keepall> 2012 | <keepall> 2013 | <keepall> 2014 | |
아우디 스포트 노스 아메리카 아우디 R10 TDI | 푸조 스포트 토탈 푸조 908 HDi FAP | 아우디 스포트 노스 아메리카 아우디 R15 TDI |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18 TDI | 아우디 스포트 팀 요스트 아우디 R18 e-트론 콰트로 | |||
| | | | | | ||
<keepall> 2015 | <keepall> 2016 | <keepall> 2017 | <keepall> 2018 | <keepall> 2019 | <keepall> 2020 | <keepall> 2021 | |
포르쉐 팀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 포르쉐 LMP 팀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 [[일본| 토요타 가주 레이싱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 [[일본| 토요타 가주 레이싱 토요타 GR010 하이브리드 | ||||
| | | | | | ||
<keepall> 2022 | <keepall> 2023 | <keepall> 2024 | |||||
[[일본| 토요타 가주 레이싱 토요타 GR010 하이브리드 | 페라리 AF 코르세 페라리 499P | ||||||
| | |
[1] C-타입의 후속은 D-타입이지만, E-타입은 D-타입의 후속 차종이 아닌 별개의 라인업이다. 애초에 E-타입은 레이스카가 아니다.[2] 그러나 E-타입이 이 차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다. D-타입의 다양한 기계적 구조와 유선형 스타일링은 E-타입을 개발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3] D-타입의 공차중량은 고작 864kg밖에 되지 않았다.[4] 1950년대 기준임을 잊지 말자.[5] 현재는 안전 규정 변경으로 인해 2km마다 시케인이 설치되었다. 시케인이 없던 1980년대 후반에는 여기서 그룹 C 레이스카들이 시속 400km씩 밟기도 했다. 당연히 지금은 이런 광란의 질주는 불가능하다.[6] D-타입의 첫 르망 우승이었으나 이 경기에서는 르망 24시 역사상 전례없는 대참사가 일어났다. 그뿐만 아니라 문서를 들어가면 알 수 있듯이 사건의 발단이된게 이 차량이다.[7] 에큐리 에코세(Ecurie Ecosse) 팀 소속. 본 문서 최상단에 있는 파란색 차량이다.[8] 원화로 약 287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