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주주2024년 6월 30일 기준 | |
베이징자동차그룹9.98%|Tenaciou3 Prospect Investment Limited(리수푸)9.69%|쿠웨이트 투자청5.57% | ||
전/현직 주요 인물 | ||
올라 샬레니우스이사회, 승용 부문 회장|디터 제체|위르겐 슈렘프|고틀리프 다임러|카를 벤츠|빌헬름 마이바흐 | ||
계열사 및 사업부 | ||
승용차 |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AMG|메르세데스-마이바흐|스마트 | 메르세데스-미토스 | |
고성능 브랜드 | 메르세데스-AMG(HWA AG) | |
최고급 브랜드 | 메르세데스-미토스 | |
모터스포트 | 메르세데스-AMG 포뮬러 원 팀 | 아팔터바흐 레이싱 GmbH | |
상용차 | 메르세데스-벤츠 밴스(Vans, 메르세데스-벤츠 (밴스 그룹))|매뉴팩처링 커머셜 비히클스(MCV)이집트 | |
공장 | 메르세데스-벤츠 공장 목록 | |
엔진 | 메르세데스 AMG HPP | |
전기모터 | YASA | |
모빌리티 | 메르세데스-벤츠 모빌리티 AG | |
소프트웨어 | MBition|메르세데스-벤츠 테크 이노베이션 | |
금융 | 메르세데스-벤츠 뱅크|메르세데스-벤츠 파이낸셜 서비스 | |
합자 회사 | 스마트 | ACC|자동차 연료 전지 협력폐지 | |
지분 제휴 | 애스턴 마틴 라곤다 글로벌 홀딩스20%|카마즈15%|베이징자동차그룹12%|베이징 벤츠49%|푸젠 벤츠34% | |
해외 지사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메르세데스-벤츠 인디아|메르세데스-벤츠 자동차 중동|메르세데스-벤츠 멕시코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margin-top: 10px;" {{{#!wiki style="display: flex; flex-wrap: wrap;" {{{#!wiki style="margin: -10px 0; flex-grow: 1;" | 2024년 그룹사별 판매량 순위 | |||||||
순위 | 국적 | 그룹사명 | 판매량 | |||||
1 | [[일본| 일본]] | 토요타 그룹 | 1,082만 대 | |||||
2 | [[독일| 독일]] | 폭스바겐 그룹 | 903만 대 | |||||
3 | [[대한민국| 대한민국]] | 현대자동차그룹 | 723만 대 | |||||
4 | [[미국| 미국]] | 제너럴 모터스 | 600만 대 | |||||
5 | [[네덜란드| 네덜란드]] | 스텔란티스 | 542만 대 | |||||
6 | [[미국| 미국]] | 포드 | 447만 대 | |||||
7 | [[중국| 중국]] | BYD | 427만 대 | |||||
8 | [[일본| 일본]] | 혼다 | 381만 대 | |||||
9 | [[일본| 일본]] | 닛산 | 335만 대 | |||||
10 | [[중국| 중국]] | 저장지리홀딩그룹 | 334만 대 | }}}{{{#!wiki style="margin: -10px 0; flex-grow: 1;" | 2024년 그룹사별 매출액 순위 | |||
순위 | 국적 | 그룹사명 | 매출액 ($) | |||||
1 | [[독일| 독일]] | 폭스바겐 그룹 | 3,486억 | |||||
2 | [[일본| 일본]] | 토요타 그룹 | 3,119억 | |||||
3 | [[네덜란드| 네덜란드]] | 스텔란티스 | 2,049억 | |||||
4 | [[미국| 미국]] | 포드 | 1,775억 | |||||
5 | [[미국| 미국]] | 제너럴 모터스 | 1,749억 | |||||
6 | [[독일| 독일]] | BMW 그룹 | 1,683억 | |||||
7 | [[독일| 독일]]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 1,643억 | |||||
8 | [[일본| 일본]] | 혼다 | 1,413억 | |||||
9 | [[대한민국| 대한민국]] | 현대자동차그룹 | 1,254억 | |||||
10 | [[중국| 중국]] | 상하이자동차그룹 | 1,028억 | }}}}}}{{{#!wiki style="margin: -11px 0px 0px;" | 출처: 판매량 매출액 | |||
틀:세계 10대 자동차 브랜드 | 틀:세계 10대 최다 판매 자동차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주식회사 Mercedes-Benz Group AG | |
| |
설립일 | 2007년 8월 3일 |
국가 |
|
핵심 인물 | 올라 샬레니우스 (이사회 의장) |
규모 | 대기업 |
유형 | 기업 집단 |
업종 | 자동차 제조업 |
주요 주주[1] |
베이징자동차그룹 9.98%
리수푸 9.7%
쿠웨이트 국영 투자기관 6.8% |
매출액 | €1,532억(2023년) |
자산총액 | €2,630억(2023년) |
직원 수 | 166,056명(2023년) |
소재지 | |
바덴뷔르템베르크 슈투트가르트 | |
웹사이트 |
1. 개요
메르세데스-벤츠를 모태로 하는 독일의 기업집단이다.2. 역사
이전 명칭은 다임러 AG였으며 2022년에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했다.- 1926년 - 다임러와 벤츠가 합병하여 다임러-벤츠 설립.
- 1998년 - 미국의 크라이슬러를 인수하여 다임러-크라이슬러로 사명 변경
- 2007년 - 크라이슬러를 사모펀드에 매각 후 다임러 AG(Aktiengesellschaft;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 2021년 - 상용차 부문 다임러 트럭으로 분사
- 2022년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으로 사명 변경
3. 역대 로고
| | | |
<rowcolor=#fff> 다임러-벤츠 (1926~1998) | 다임러-크라이슬러 (1998~2007) | 다임러 AG (2007~2022)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2022~) |
4. 계열사
4.1. 자회사
4.2. 합자 투자 기업
- 베이징 벤츠
- 푸젠 벤츠
- 다임러 트럭[2]
-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 다임러 밴 홍콩 유한회사
- 스마트(지리자동차)
- 아과스칼리엔테스 협력 제조 공장(Cooperation Manufacturing Plant Aguascalientes, COMPAS)[3]
- 히어 테크놀로지스
5. 기타
-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와 협력 관계를 맺은 적이 있다. 2010년 4월 7일부터 르노와 닛산은 다임러 AG의 주식 1.55%를, 다임러 AG는 르노와 닛산의 주식 3.1%로 상호 교환을 시작했는데 르노 트윙고 3세대의 플랫폼이 스마트의 RR 플랫폼으로 바뀌고,[4] 인피니티 Q30이 메르세데스-벤츠의 MFA 플랫폼[5]을 사용하는가 하면 르노 캉구 2세대가 메르세데스-벤츠 시탄으로, 닛산 나바라 3세대가 메르세데스-벤츠 X클래스로 배지 엔지니어링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2019년에 협력 관계가 종료되었다.
- 2023년 4월 부로 결국 러시아에서 완전히 철수하였다. 2024 9월 18일 카마즈 지분도 전부 매각했다.
- 2018년 이후, 지분 1위와 2위 대주주가 중국쪽인 베이징자동차그룹과 저장지리홀딩그룹의 설립자 리수푸다. 그런네 새로 출시된 모델들이 동급 경쟁 모델 중에서는 가격은 제일 비싸면서, 옵션은 제일 빈약하게 나오고, 배터 포함한 부품에서 고장율 높아지고, 중국산 비율은 점점 올라가고, 심지어 중국산 부품 중에서도 '파라시스 에너지' 배터리 같이 저가, 저품질 부품을 사용한다. 디자인도 미니멀리즘, 바우하우스 등 독일식 간결함에서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지나치게 겉만 화려한 졸부식 스타일로 바뀌면서 소비자 불만이 늘어나고 있다. 자동차 관련 커뮤니티나 SNS에선 껍데기만 독일이고, 알맹이는 중국 자동차 회사라고 조롱 당하고 있다. '짱츠'라는 멸칭이 이제는 일반적이다. 코로나 19, 동북공정등으로 반중, 혐중 감정이 극대화면서 짱츠라고 조롱 당하는 일이 잦았는데, 2024년 8월 인천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더욱 심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