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3:48:37

포드 포커스

파일:Ford-Logo.png
파일:2022 포드 포커스 3.jpg
FOCUS

1. 개요2. 역사
2.1. 1세대 (C170, 1998~2004)2.2. 2세대
2.2.1. 유럽형 (C307, 2004~2010)2.2.2. 북미형 (C170, 2007~2010)
2.3. 3세대 (C346, 2010~2018)
2.3.1. 포커스 일렉트릭2.3.2. 고성능 버전2.3.3. 결함2.3.4. 한국 시장 출시
2.4. 4세대 (C519, 2018~2025)
3. 모터스포츠
3.1. WRC3.2. 투어링 카
4. 미디어
4.1. 게임4.2. 만화 & 애니메이션
5. 경쟁 차량6. 둘러보기


1. 개요

포드에서 1998년부터 2025년까지 생산한 준중형 해치백 차종이다. 유럽 포드의 기술력이 집약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의 C세그먼트 시장이 매우 거대하므로 흔히들 머슬카로 대변되는 대배기량의 차종이 아닌 이러한 중소형의 해치백 모델을 미국 자동차 기업에서 생산하는 것은 이상한 것이 아니다.[1] 포드는 특히 이쪽에 공을 많이 들인 것이 사실이고, 그 결과의 집약이 바로 이 포커스다.

2. 역사

2.1. 1세대 (C170, 1998~2004)

파일:포커스1-1.jpg파일:포커스1-2.jpg
전기형 3도어 해치백 전기형 5도어 해치백
파일:포커스1-3.jpg파일:포커스1-4.jpg
전기형 4도어 세단 전기형 5도어 왜건
1998년에 북미, 유럽의 포드 에스코트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레이저의 후속으로 처음 데뷔했으며 (Ka)와 쿠거(Cougar)에 이어 당시 포드에서 제시한 "뉴 엣지" 디자인 테마를 처음 적용한 차들 중 하나였다. CW170이라는 이름 하에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눈높이에 맞춰 설치한 후미등과 같이 안전을 고려한 디자인 요소들도 들어가 있었다. 지금의 확정된 포커스의 디자인은 잭 텔낵(Jack Telnack)의 지휘 하에 클로드 로보(Claude Lobo)와 존 다우티(John Doughty)가 디자인했으며, 공개되었을 당시에는 평가가 상당히 극에 달했다고 한다. 이름은 1991년에 제네바 모터쇼에 출품한 동명의 콘셉트카에서 따 왔는데, 에스코트라는 명칭 대신 포커스라는 이름을 쓰기로 1998년 초에 결정했지만 독일에 동명의 잡지가 있었던 탓에 논란이 있었고, 결국은 분쟁 끝에 포커스라는 명칭을 확정할 수 있었다.

기술적으로는 리처드 페리-존스(Richard Parry-Jones)의 지휘 하에 동급 최고 수준의 준중형차를 만들고자 했고, 실내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정교한 운전 감각과 높은 수준의 승차감을 달성하고자 컨트롤 블레이드(Control Blade)라고 불리는 후륜 독립석 멀티링크 서스펜션을 개발해 장착했다. 몬데오 왜건에서 쓰던 서스펜션을 참조해 더블 위시본과 트레일링 암을 효율적으로 장착했고, 만들기 쉽고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구조를 단순화시켰다. 당시 준중형차들이 대부분 비독립 구성의 트위스트 빔을 사용해 단가를 낮추려고 했다는 점을 감안하자면, 포커스는 대체로 정교한 서스펜션을 사용한 셈이었고, 출시 후에는 타 업체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다.

바디 타입은 3도어와 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 5도어 왜건이 있었고, 엔진은 1.4, 1.6, 2.0L 가솔린과 1.8 디젤을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변속기는 4단 자동과 5단 수동을 지원했으며, 북미시장용 고성능 버전인 SVT 모델은 6단 수동이 적용되었다. 유럽 시장에는 ST170과 RS가 고성능 버전으로 제공되었다. 유럽 시장에서 세단을 판매할 때는, 오리온(Orion)[2]을 팔 때처럼 고급 소형차로서 판매하고자 최고급 사양인 기아(Ghia)로만 판매했는데, 신통치 않자 저가 사양도 추가되었다. 에스코트와는 달리 패널 밴이 제공되지 않았으며, 대신 해치백 기반의 승용밴을 판매했다.

호주 시장에는 2002년에 레이저를 단종시키면서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유럽에서의 인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가격대에 수입할 수 있는 시점을 잡느라 판매가 미뤄졌으며, 단종 직전 레이저의 연간 판매량이였던 2만 대를 상회하려는 목표로 유럽형 포커스를 도입했으나 2022년에 호주에서 단종될 때까지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만을 기록했다.

파일:포커스1후.jpg
유럽형은 2001년에 한 차례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페이스리프트 사양은 헤드램프 및 후미등에 방향지시등을 통합하고 안개등 형상을 바꾸었다. 선택 장비로는 제논 헤드램프, 6디스크 CD 체인저, 내비게이션, 디지털 에어컨 및 히터 등이 도입되었고, 트림 체계도 변화가 있었다. 새로운 색상 옵션과 실내 마감을 제공하면서 대시보드 색상과 계기판 마감을 변경했으며, 센터 콘솔을 손봐 고무 컵홀더가 적용되었다. 글로브박스에는 조명과 냉방 기능이 추가되었고, 블루투스 카메라나 새 패키지를 비롯한 장비들도 옵션으로 추가했다. 엔진 라인업으로는 TDCi 엔진이 도입되었으며, 제텍(Zetec) 1.6L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에탄올 호환 엔진을 스웨덴 시장 전용으로 제공했다. 2002년에는 고성능형인 ST170이 나왔는데, 2.0L 듀라텍 엔진을 얹고 최대 170마력까지 낼 수 있었고 17인치 멀티스포크 휠이 장착되었다. 또한 2002년 10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생산된 포커스 RS의 경우, 2.0L 듀라텍 엔진에 터보차저를 얹어서 212마력의 성능을 냈다. 유럽형은 2004년에 2세대가 나오면서 단종되었고, 남미 시장용 모델은 유럽형과 같은 모델이 아르헨티나의 현지공장에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되었다.
파일:포커스1미.jpg파일:포커스1미2.jpg
전기형 라인업 후기형 세단
한편 북미 시장에서는 에스코트 북미형 3세대 모델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유럽형과 달리 앞범퍼 가장자리에 차폭등이 붙어 있었고 라디에이터 그릴 안에 주황색 방향지시등이 붙어있는 형태였다. 초기에는 3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 5도어 왜건이 제공되었고, 생산은 북미형 에스코트를 만들던 미국 미시건 주의 웨인(Wayne) 공장과 멕시코 소노라(Sonora) 주의 에르모시요(Hermosillo) 현지공장에서 이루어졌으며, 1999년 10월부터 2000년식으로 판매가 시작되었다. 엔진은 2.0L CVH 또는 제텍 엔진이 적용되었고,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변속기와 맞물렸다. 2001년에는 3도어 해치백 전용으로 SVT(Special Vehicle Team) 버전이 추가되었는데, 2.0L 제텍-R 엔진과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2002년부터는 5도어 해치백이 북미형 라인업에 추가되었고, 2003년에는 SVT 모델에도 5도어 해치백이 추가되었다.

2005년에는 북미형 모델이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2.0L 듀라텍 엔진을 기본으로 제공했고, 2004년을 끝으로 단종된 SVT의 빈자리를 채워넣기 위해 ST 트림을 추가했다. ST 트림은 2.3L 듀라텍 엔진과 5단 MTX-75 수동변속기가 맞물렸다. 또한 살린(Saleen)에서도 북미형 포커스 Mk1을 튜닝한 "S121"과 "N20"을 만들기도 했다.

북미형은 2007년까지 생산되었고 유럽형과는 별도로 개발된 북미 전용 2세대 모델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당시로서는 상당히 튀는 디자인에 북미 시장에서의 안전 논란에도 불구하고, 북미와 유럽 양쪽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영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유럽 시장에서는 상당히 노후화되어 있었던 에스코트의 대안으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면서 오펠 아스트라폭스바겐 골프는 물론, 현대 베르나 등의 신흥국 메이커의 경쟁 차종들과도 맞붙어 큰 성공을 해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종으로 기록되었으며, 유럽에서는 아스트라를 꺾고 1999년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되었다. 북미에서도 북미 올해의 차로서 2000년에 상을 수상했다. 유럽에서는 품질과 신뢰성으로도 높은 성적을 거두었다.

2.2. 2세대

2.2.1. 유럽형 (C307, 2004~2010)

파일:포커스2유1-2.jpg파일:포커스2유1.jpg
전기형 3도어 해치백 3도어부터 왜건, 카브리올레, ST까지 전기형 라인업[3]

C307이라는 코드명으로 개발되었으며, 볼보 S40/V50, 볼보 C70, 마쓰다 3, 포드 C-맥스 등과 공유하는 C1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세대 포커스의 디자인을 계승하되 완성도를 높였고, 차체를 10% 단단하게 손보고 승차감을 개선했으며 차체 라인업도 기존의 것을 유지하되 에스코트 이후 사라졌던 컨버터블을 부활시켰다. 차체가 커진 만큼 실내와 트렁크 공간을 넓힐 수 있었고, 태양열 감응형 앞창문, 적응식 헤드램프, 블루투스 핸즈프리, 음성으로 동작하는 각종 편의장비(에어컨, 전화, 오디오 등), 포드의 키패드 시스템인 키프리(KeyFree) 등의 첨단 장비들도 도입했다. 디자인적으로는 동시대의 몬데오, 피에스타와 맥을 같이하고 있으며, 초대 포커스에서 사용하지 못한 디자인 요소들도 일부 반영되었다. 실내 부품으로는 고품질 플라스틱을 사용했고, 디자인적으로는 몬데오와 디자인을 일부 공유했다.

변속기로는 듀라시프트(Durashift) 6단 수동, 4단 자동의 2가지를 제공했다. 엔진으로는 기존 것과 새 것들이 섞여 있었고, 알루미늄 엔진 블록을 사용한 1.4L과 1.6L 제텍 SE 엔진은 초대 포커스에서 가져와 대폭 개선해 듀라텍(Duratec)이라는 이름으로 제공했다. 남아공 시장에는 1.6L 듀라텍 엔진에 가변식 밸브 타이밍을 얹어 판매하기도 했고, 1.8L과 2.0L 제텍 엔진은 듀라텍 HE 엔진으로 대체했다. 디젤 엔진인 듀라토크(Duratorq) 엔진은 1.6L 엔진과 1.8L을 기존 사양에서 가져다 사용했고, 2.0L이 새로 추가되었다. 1.6L 엔진은 출력별로 90마력과 110마력(hp)의 2종류를 제공했다.

고성능 버전으로는 ST가 도입되었으며, 볼보의 2.5L 5기통 듀라텍 ST 엔진을 3도어나 5도어에 얹고 최고출력 225마력(hp)을 기록했다. 호주에서는 XR5 터보라는 명칭으로서 5도어 전용 라인업으로 판매했다. 피닌파리나의 손을 거친 컨버터블 모델은 쿠페 카브리올레(Coupe Cabriolet)라는 이름 하에 2006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고, 그 해 10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2피스 하드탑이 적용되었으며, 본래는 비날레(Vignale)라는 이름을 사용하려다가 이름이 변경되었다. 단, 다른 모델이 지붕을 제외한 웬만한 외장 부품을 변경하는 대폭적인 페이스리프트를 거칠 때, 컨버터블은 프론트 마스크 부분만 변경시켰다.
파일:포커스2유2.jpg파일:포커스2유2-2.jpg
후기형 5도어 해치백과 4도어 세단 포커스 ST 후기형

2007년 9월에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공개되었다. 영국 판매는 2008년 2월에 시작되었으며, 비슷한 시기 등장한 신형 몬데오와 S-맥스를 따라 키네틱 디자인의 영향을 받아 새 헤드램프 및 후미등, 앞뒤 범퍼, 과감해진 펜더, 형상이 변경된 뒷유리 등이 적용되었다. 실내에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내장제의 범위를 넓히고 빨간 조명이 들어간 버튼류를 적용했으며, 제텍 및 티타늄 트림의 센터 콘솔의 디자인도 바꾸었다. 기술적으로는 포드 파워시프트(PowerShift) 변속기와 파워 버튼(Power Button), 2.0L 듀라토크 TDCi 엔진의 110마력 버전을 도입했다. 트림별 라인업도 손을 보아 스튜디오, 스타일, 에코네틱(ECOnetic), 티타늄, ST-1/2/3 등으로 구성되었다. 2세대에 와서는 영국에서 아스트라에게 1등 자리를 뺏김에 따라, 가격 상승폭을 이전에 비해 많이 억제시켰다. 2008년 1월에는 차량 홍보를 위해 댄스경영 프로그램인 Strictly Come Dancing의 우승자인 가수 알레샤 딕슨(Alesha Dixon)과 손을 잡고 특별 리믹스와 비디오를 만들기도 했다.

포커스 ST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마운튠 레이싱(Mountune Racing)과 손을 잡고 업그레이드 키트를 제공했으며, 출력을 260마력(bhp)으로 개선하기 위해 K&N 패널 필터와 대형 인터쿨러 설치, ECU 맵핑 수정 등의 조치가 패키지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2007년 12월 17일에는 포커스 RS를 2009년에 출시한다고 발표했으며, 2009년 1월 5일에 전륜구동 설계, 301마력(hp) 2.5L 듀라텍 ST 엔진, 새 변속기 및 서스펜션, LSD 등증 장착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에코네틱 사양은 1.6L 듀라토크 TDCi 엔진에 디젤 입자 필터(DPF)를 추가하고, 저구름타이어와 전용 휠, 전용 드레스업을 비롯해 공기저항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해 공인연비 23.3km/l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115g/km을 기록했다.
파일:포커스RSMK2.jpg파일:ford_7260.jpg
포커스 RS Mk2 포커스 RS 500

포커스의 랠리에 대한 역사를 뒤져보면 에스코트 RS 코스워스의 후속이라고 볼 수 있다. 2세대 포커스 RS는 2002년형 포커스 RS를 잇는 2세대 포커스의 최고성능 모델로 3도어에 리어 스포일러와 공격적인 형태의 프런트 에어댐을 갖추고 있으며, 앞 펜더를 가득 메우는 19인치 광폭 휠로 무장하고 있다. 2세대와 달리 3세대는 5도어로 출시 되었다.

이런 공격적인 형태의 고성능 해치백은 골프 R 외에도 시트로엥 DS3, 미니 컨트리맨, 현대 i20, 토요타 야리스 등의 쟁쟁한 경쟁자와 함께 랠리에서 치열한 경기를 보여주는 모델들이다.

포커스 RS가 가진 특징 중 하나는 고출력의 앞바퀴 굴림 스포츠카라는 점으로써 FF형식으로써는 이례적으로 무려 300마력에 달하는 출력을 가지고 있다. 과도한 출력으로 인한 토크 스티어를 줄이기 위하여 헬리컬 타입의 LSD를 더하였는데, 토크 감응 방식인 이 LSD는 좌우 휠의 회전차를 감지하여 토크 스티어를 줄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더불어 주행 안정성까지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중량은 1,417kg으로 가벼운 중량을 가지고 있으며 엔진은 볼보의 2.5리터 5기통 엔진이 올라간다. 이 엔진은 RS의 바로 아래단계인 포커스 ST에서도 쓰이는 엔진이나 출력의 향상을 위해 보다 큰 크기의 터보를 장착하는 등의 개수가 이루어져 있다.

게트락의 6단 수동 미션과 조합하여 0-100 km/h은 5.7초가 걸리며 최고 속도는 250km/h에서 제한된다.

포커스 RS의 가격은 2만 5천 파운드(한화 약 5천만원)이다.

2008년 말에는 제텍 S 트림이 추가되었으며, 각종 드레스업과 ST의 대형 루프 스포일러, 알루미늄 페달, 은색 핸드브레이크 커버, 각종 데칼과 WRC 스커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WRC 팩을 제공하는 스포티한 트림이었다. 그 외에도 네덜란드에서는 300대의 왜건에 크로스오버 스타일의 드레스업을 입힌 포커스 X 로드(X Road)를 2009년 4월에 한정 판매했으며, 2010년에는 포커스 RS의 한정판인 RS 500을 출시했다. RS 500은 출력을 345마력(bhp)까지 늘리고 각종 변경 사항을 추가해 총 500대만 판매했다. 2009년 6월에는 포커스 세단을 영국과 서유럽 국가에서 단종시켰으며, 2011년까지 중동부 유럽과 러시아, 중국, 대만에서 판매했다. 일반 포커스도 2011년에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2014년까지 생산했고 중국에서는 포커스 클래식으로서 병행판매되었다.

2.2.2. 북미형 (C170, 2007~2010)

파일:포커스2미1.jpg파일:포커스2미2.jpg
전기형 세단 후기형 쿠페
미국 히스패닉 시장 광고 (한글자막, 2007년)
제조사 포드
생산기간 2007년 9월~2010년 12월
차체형식 2도어 쿠페
4도어 세단
전장 4,445 mm
전폭 쿠페: 1,725 mm
세단:1,722 mm
전고 1,488 mm
휠베이스 2,614 mm
트렁크 용량 391L
엔진 2.0L I4 듀라텍 HE 엔진
최대출력 136 hp@6,000 rpm->140ps->143ps
최대토크 184 N⋅m@4,250 rpm
미션형식 5단 수동변속기/4단 자동변속기
구동방식 FWD
전륜 브레이크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타이어 P195/60R15 BSW
공차중량 1,174-1,198 kg
연비 쿠페: 도심 24mpg/ 고속도로 35mpg[수동변속기]
세단: 복합 26.4mpg/도심 21mpg/고속도로 38.6mpg[자동변속기], 도심 24mpg/고속도로 35mpg[6]

2007년 북미국제모터쇼에서 데뷔한 2세대 북미형 포커스는 당대의 유럽형과는 이름만 같은 차량이다. 기존의 C170 플랫폼을 유지하며 새 디자인을 씌웠기 때문에 사실상 1세대 모델의 스킨체인지 모델에 가까우며, 세단과 쿠페 버전만 판매되었다.

2007년 9월부터 생산에 들어갔다. 실내에는 실내등, 모조 알루미늄 장식, 포드 싱크(Sync) 오디오/블루투스 음성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었고, 대시보드에 보조 빔을 추가해 강성을 높였다. 또한 포드에서는 LED가 적용되는 다리 공간 및 컵홀더 실내등을 선택장비로 제공했으며, 기본 장비로는 법규 변경에 따라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을 기본 장착했다. 차대는 이전 대비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높이는 데 집중했으며, 엔진으로는 2.0L 듀라텍 엔진만 남긴 뒤, 출력을 136마력에서 140마력으로 높이는 데 만족했다.

당시 다른 소형차 및 준중형차들처럼 출시되었을 때 높아져가는 휘발유 가격으로 인기를 끌었고, 포드에서는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 2008년 생산대수를 30% 이상 늘렸다. 2009년에는 세단에 SEL 트림을 추가했고, 앞펜더의 모조 크롬 그릴을 모든 라인업에서 제외했다. 쿠페 버전은 5단 수동변속기 사양 한정으로 143마력 엔진을 적용했으며, 2010년식은 뒷좌석 천장에 독서등을 추가했다. 2011년식은 쿠페 버전을 단종시켰으며, 2010년 12월에 3세대가 등장할 때까지 생산했다.

유럽에서 신형 플랫폼을 올리던 것과는 다르게 구형 제택 플랫폼을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1세대의 2차 북미형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셈이다. 또한 RS나 ST 같은 고성능 사양은 출시되지 않았다.

2.3. 3세대 (C346, 2010~2018)

3세대 포드 포커스는 2010년 북미 모터쇼에서 2012년형으로 데뷔하였다. 당시에는 4도어 세단과 5도어 해치백이 전시되었고, 한 달 후에 열린 제네바 모터쇼에서는 5도어 왜건 사양도 공개되었다. 당시 포드에서 점진적으로 확대 중이던 '원 포드' 전략에 따라서 유럽형과 북미형이 통합되었으며, 유럽 시장 전용인 스테이션 왜건형(에스테이트)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팔려나갔다. 2012년에는 세계 시장에서 베스트셀링카에 등극하였다.
파일:포커스3-1.jpg
전기형 세단과 해치백

유럽 포드의 키네틱 디자인을 적용시킨 3세대 포커스는 차체 라인업을 정리해 5도어 해치백, 4도어 세단, 5도어 왜건만 남겼다.

유럽형의 엔진은 1.6L 듀라텍 Ti-VCT, 1.6L 에코부스트 가솔린과 1.6L 및 2.0L 듀라토크 디젤이 제공되었고, 장착 엔진에 따라 5단/6단 수동, 6단 자동변속기와 맞물렸다. 북미형은 2.0L 듀라텍 직분사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며, 사양에 따라 5단 수동 또는 6단 듀얼클러치 변속기인 Powershift를 맞물렸다.

3세대 역시 세계적으로 굉장히 인기가 많은 차종으로 등극했다. 전 세계 주요 브랜드 단일 모델 중 판매량이 항상 10위권 안에 들어가고 있으며 2013년부터는 전 세계 판매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2.0L 에코부스트 엔진과 6단 수동변속기를 얹은 ST 트림이 추가되었고, 미국 자동차 브랜드 중에서는 적극적으로 다운사이징을 추진하는 포드답게 기존의 1.6L 듀라텍 엔진을 대체하고자 직렬 3기통 1리터 폭스 에코부스트 가솔린 터보 엔진[7]을 얹기 시작했다. 이 1.0리터 엔진은 5단 수동은 100마력을 내고 6단 자동은 125마력을 냈으며 포드 포커스 ST 라인에는 140마력의 출력을 냈고, 유럽 기준 5L/100km 정도의 복합연비를 냈다. 1.0L 추가 이후에도 기존의 1.6L 듀라텍 엔진을 2016년까지 제공했으며 북미형 포커스 역시 이 1.0L 엔진을 2015년부터 추가했고 6단 수동 또는 6단 자동변속기와 맞물렸다.
파일:포커스3-2.jpg
후기형 왜건과 해치백
2014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몬데오/퓨전처럼 애스턴 마틴이 연상되는 디자인의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했다. 1.5L 에코부스트 엔진이 추가되어 기존의 1.6L 버전을 대체했으며, 실내 역시 잡다한 버튼 대신 8인치 터치스크린을 센터페시아에 장착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2018년을 끝으로 단종되었으며, 4세대부터는 북미 시장에서 판매하지 않는다.

2.3.1. 포커스 일렉트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드 포커스 일렉트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드 포커스 일렉트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드 포커스 일렉트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2. 고성능 버전

파일:ford_7268.jpg파일:ford_7269.jpg
해치백 ST
파일:ford_7271.jpg파일:ford_7272.jpg
왜건 ST
파일:포커스RSMK3.jpg파일:ford_7258.jpg
해치백 RS

2015년 제네바 모터쇼에서는 2.3L 에코부스트 엔진을 4륜구동[8] 조합한 포커스 RS를 출시하였다.

머스탱 6세대포드 익스플로러 5/6세대에도 탑재되는 2.3L 에코부스트 엔진 성능을 더욱 강화하여 6,000rpm에서 350마력을 내고, 3,200rpm에서 475Nm의 토크를 내며 포드의 토크벡터링 시스템이 들어간 AWD 시스템으로 구동된다. 후륜구동 유닛은 영국의 GKN에서 개발하였고 기존 모델들과 비교되는 에어로 파츠가 생겼으며, 런치 컨트롤이 적용되어 0-100km/h 도달 시간은 4.7초로 줄어들었다.

또한 3세대 RS에는 4가지의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생겼는데, 여기에는 일반, 스포츠, 트랙, 드리프트 모드가 들어간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배기음이 좀 더 커지고 엔진의 반응이 빨라지고 핸들이 더 무거워지는 정도지만, 트랙 모드에서는 댐퍼의 감쇠력이 더 딱딱해지고 차체 제어 시스템[9]의 개입이 줄어들게 된다.

특이하게도 전륜구동 기반의 AWD 구동방식을 채택한 자동차중에 세계 최초로 드리프트 모드를 선보였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은 네 바퀴의 지름이 모두 동일하면 앞/뒤의 종감속비를 똑같은 비율로 설정하는것이 보통이나, 포커스 RS는 뒷축의 최종 감속비를 앞축 보다 더 낮은 기어비로 설정해[10] 구현했다. 일반적으로는 전자제어 커플링의 내구성[11] 때문에 어느 메이커에도 상용화를 시도하지 않았으나, 포드에서 처음으로 양산까지 성공해내어, 이러한 방식의 드리프트 모드는 후에 등장하는 동일한 레이아웃인 토요타 GR 야리스나, 벤츠의 AMG A45S, AMG CLA 45S도 포커스 RS가 선보인 방법을 따르게 되었다.

2.3.3. 결함

  • 1.6리터 에코부스트 엔진 모델이 냉각수 순환 문제로 화재의 가능성이 있어 리콜되었다. 북미 지역에서도 이 때문으로 보이는 29건의 화재 사고가 있었다.
  • 같은 변속기를 쓰는 포드 피에스타와 함께 포드 DPS6 6단 파워시프트 건식 DCT의 변속기 떨림과 슬립 문제가 발생하였다. 가솔린 엔진에서 발생한 이 문제는 습식 클러치를 쓰는 유럽형 모델, 특히 디젤 엔진에서도 발생하였지만 주 발생 대상은 건식 DCT 모델. 증상은 주행중 변속기가 스스로 동력을 끊고 중립으로 들어가거나, 잠시 정차하면 기어가 물리지 않아 시동을 껐다 켜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오르막 등 순간적으로 강한 토크를 거는 환경에서 변속기가 슬립하며 차체가 떨리고 큰 소리가 나는 진동이 나기도 하고, 정차 중 갑자기 기어가 물리면서 차가 앞으로 튀어나가 충돌 사고를 당한 운전자도 있었다. 결국 이를 조사하고자 포드 기술자들이 결함품 변속기를 가져와 시험 주행을 하자 수Km마다 동력을 끊는 결함을 발견하였다. 미국에서 포드는 이를 떨림이 250rpm 이상 발생할 경우 개선된 신품 클러치 팩 어셈블리로 교환해 주는 것으로 대응하였지만 2019년 포드가 변속기 결함을 알고도 은폐했다는 폭로가 나오면서 온갖 소송에 시달리게 되었다.# 원인은 대부분 변속기 컨트롤러의 유압액이 누출되면서 클러치에 뿌려지고, 유압액이 묻은 건식 클러치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슬립하면서 고장난다. 신품으로 교체해도 언젠가는 다시 망가지는 치명적인 결함이다.
  • 2010년 8월부터 2011년 10월 사이에 만들어진 생산분이 조수석 와이퍼 누수로 인해 모터가 고장날 수 있어서 약 14만 대가 리콜되었다. 우리나라에선 2011년 6월 13일부터 2011년 10월 18일 사이에 제작되어 수입·판매된 포커스 295대분이 해당되었고, 무상 수리로 해결하였다.
  • 포드 포커스 플랫폼 전반에서 일어나는 문제로, 증발가스제어 시스템(evap) 밸브가 제대로 닫히지 않아 엔진 진공이 그대로 evap 캐니스터 및 연료탱크로 상시 전달되어 과다한 진공이 걸린다. 이 때문에 시동시 증발가스가 과다하게 주입되어서 엔진부조가 일어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연료탱크가 내부 파손되는 문제도 있다.

2.3.4. 한국 시장 출시

대한민국 시장에는 3세대가 2011년 서울모터쇼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8월에는 '포커스 챌린지: 코리아 루트 24'라는 로드 랠리를 개최해 우승자에게는 포드 포커스를, 준우승자에게는 WRC 관전 기회를 주는 이벤트로 홍보하였다. 또한 MBC의 수목 드라마 지고는 못살아에 최지우의 차량으로 붉은색 해치백을 협찬하였다.

그해 9월 5일에 공개되었고 9월 19일에 출시되어 당해 450~500대의 판매 목표를 설정했다. 4도어 세단과 5도어 해치백이 있었으며, 등급은 SE, SEL 기본형 및 고급형이 SE 모델 2910만원, SEL 기본형 3190만원, SEL 고급형 3370만원의 가격으로 출시되었다.[12][13]

경쟁 차량인 골프가 1.6/2.0리터 디젤 엔진을 주력으로 들여온 것과 달리, 당시 포커스는 중형차 차급에나 들어갈 법한 2.0L 직분사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북미형이 수입되었다.[14] 이 엔진은 6500rpm에서 162마력을 내고, 4450rpm에서 20.2㎏ㆍm라는 강력한 파워트레인을 가졌지만 그 대신 13.2km/L의 낮은 연비를 냈다.[15] 이 때문에 동급인 아반떼 대비 2배에 달하는 높은 가격 대비 메리트가 적어 초반 시장 안착에 실패했다.

2013년 1월 17일에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가솔린 모델의 수입을 중단하고 2.0L 디젤엔진을 장착한 유럽형을 수입 판매하기 시작했다. [16]포커스 디젤은 2.0ℓ 듀라토크 TDCi 엔진을 얹어 최고 163마력과 최대 34.7㎏·m의 성능을 내고, 17.0km/L의 복합연비를 낸다. 판매가격은 트렌드 2,990만 원, 스포츠 3,090만 원이었으며 티타늄 사양이 3,350만원에 추가되었다. 한편으로 센터페시아의 8인치 터치모니터가 티타늄 사양에서도 빠지고 작은 창으로 대체되었으며, 계기판의 컬러 LCD가 단색 화면으로 바뀌었다.

전 세계적으로는 잘 팔리지만 대한민국에서는 포커스의 판매량이 신통치 못하다. 독일차를 좋아하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골프와의 경쟁에서 밀려 버렸기 때문. 사실 포커스도 독일산 유럽 포드임에도 미국 브랜드라는 인식 때문에 손해를 보고 있다. 사실은 포드 특유의 흉악한 부품값 x 수리비 x 보험료 3콤보 때문이다.

2015년 폭스바겐디젤게이트 사건이 터지자, 포드는 기다렸다는 듯이 같은 해 12월 한국 시장에 F/L 모델을 120마력 1.5리터 커먼레일 디젤 엔진 사양으로 출시했다. 이후 2017년에는 판매가 부진하여 수입이 중단되었다. 여담으로 배기구는 디젤, 가솔린 모델 기준으로 싱글 머플러가 주유구랑 같이 붙어있다.

2.4. 4세대 (C519, 2018~2025)

파일:ford_7254.png파일:ford_7255.png
해치백 티타늄
파일:ford_7256.jpg파일:ford_7257.jpg
왜건(기본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ford_7275.jpg파일:ford_7274.jpg
왜건 제텍(Zetec)
파일:포커스앞.jpg파일:포커스뒤.jpg
해치백 ST라인
파일:ford_7248.jpg파일:ford_7249.webp
해치백 ST
파일:ford_7251.png파일:ford_7250.png
왜건 ST
파일:포커스세단앞.jpg파일:ford_7273.jpg
대만형 세단
파일:ford_7253.jpg파일:ford_7252.jpg
중국형 슈팅 브레이크
파일:포커스 액티브.jpg파일:포커스 액티브 왜건.jpg
액티브 해치백 액티브 왜건
}}}}}}}}} ||
파일:ford_7266.jpg파일:ford_7267.jpg
공통 실내

2018년 4월 공개되었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편의사양이 탑재되었고, 실내에는 8인치 플로팅 터치스크린이 들어갔다. 독일과 중국에서 생산한다.

북미 시장에는 3세대에 탑재된 6단 DCT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됨과 동시에 본래 중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4세대 포커스 액티브 모델을 북미 시장으로 수입 및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미국-중국 간의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에서 들여오는 수입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키로 해 포드는 4세대 포커스를 최종적으로 북미 시장에서 판매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이로 인해 포커스의 빈자리는 에코스포트가 채웠다.

동시에 포드는 트럭과 SUV에 집중하기 위해 북미 시장에서 머스탱을 제외한 모든 승용차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전 세대들처럼 RS 모델도 계획되어 있었으나, 유럽 배출가스 기준과 CO2 과세 증가 및 개발 비용과 수익성 문제로 취소되었다고 한다.
파일:ford_7243.jpg파일:ford_7244.jpg
해치백 티타늄(기본형)
파일:ford_7245.jpg파일:ford_7246.jpg
왜건 티타늄(기본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22 포드 포커스 앞.jpg파일:2022 포드 포커스 뒤.jpg
해치백
파일:2023 포드 포커스_(1).jpg파일:2023 포드 포커스_(2).jpg
중국형 세단
파일:ford_7263.jpg파일:ford_7265.jpg
왜건
파일:2022 포드 포커스 ST 앞.jpg파일:2022 포드 포커스 ST 뒤.jpg
해치백 ST
파일:ford_7261.jpg파일:ford_7262.jpg
왜건 ST
파일:2022 포드 포커스 액티브 왜건.jpg파일:2022 포드 포커스 액티브 왜건 뒤.jpg
액티브 왜건
}}}}}}}}} ||
파일:2022 포드 포커스 인테리어.jpg파일:ford_7247.webp
공통 실내

2021년 10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2022년 6월 9일에는 중국 시장용 포커스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으며, 이때부터 중국 외 시장에서는 세단이 사라졌다.

2022년 8월 5일, 포드 호주 지사에서 포커스 ST와 피에스타 ST를 단종했다. 포드는 이러한 결정이 반도체 칩 부족과 레인저, 에베레스트, 머스탱, 이스케이프, 퓨마 등 판매량이 더 높은 차종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11월 14일을 끝으로 자를루이 공장에서 27년 만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후속은 전기 크로스오버로 간접 대체되며, 유럽 포드의 해치백/왜건 모델은 모두 사라졌다. 포드 측에서는 자를루이 공장은 A/S 부품을 의무 기간 동안만 생산하다가 독일 내 다른 기업에게 공장을 매각한다고 발표하였다. 피에스타가 단종된 후 익스플로러 일렉트릭카프리 일렉트릭을 만들고 있는 쾰른 공장과 대조적이다.

3. 모터스포츠

포커스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랠리보다는 짐카나용으로 유명한데, 포드에서 켄 블락을 밀어주기 시작하면서 피에스타와 함께 적절한 마케팅 효과를 보고 있다. 때문에 작은 해치백이 힘쓰기 어려운 미국 시장에서도 의외의 선전을 하고 있는 셈. 물론 최상위급 모델인 ST를 마개조한 레이싱카나 랠리카 또한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3.1. WRC

파일:Ford-Focus-RS-WRC.jpg파일:ford-focus-wrc-2009-270357.jpg
포드 유럽과 M-Sport가 포드 월드 랠리 팀을 위해 개발한 포드 포커스 RS WRC가 있다. 포드 포커스 클라이밋 2리터 생산형 해치백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월드 랠리 챔피언십에 참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RS는 'Rallye Sport'를, WRC는 'World Rally Car'를 의미하며, 이는 차량의 FIA 규격을 뜻한다. 1, 2세대에 걸쳐 1999년부터 2010년까지 10년 넘게 경기에 참가해 44회의 세계 랠리 우승과 2006년 및 2007년 제조사 세계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모든 현대식 월드 랠리 카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양산차와는 기본 형태와 헤드라이트 등 일부 차체 부품만을 공유하며, 그 외 전부 다르게 개조되었다. 양산차의 전륜 구동 대신 사륜 구동이 특징이고 랠리 규정에서는 포커스 ST나 RS의 2.5리터 엔진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2007년 포커스 WRC에 사용된 엔진은 포커스 시리즈의 다른 모델에 사용된 포드의 2.0리터 듀라텍 엔진을 기반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보통의 랠리 차량과 마찬가지로 2.0리터 엔진은 크게 개조되었으며 터보차저를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2009년 포드 포커스 RS WRC는 포드 1998cc I4 16밸브 듀라텍 WRC 엔진(보어 85mm, 스트로크 88mm)[17], Pi 전자식 엔진 관리 시스템, 가레트 터보차저(34mm 흡기 제한기 포함), 공기 인터쿨러, 촉매 변환기를 사용한다. 변속기는 M-Sport에서 설계한 액티브 센터 디퍼렌셜, Pi 전자식 디퍼렌셜 제어 장치, M-Sport/리카르도 5단 시퀀셜 변속기(전자-유압식 변속 제어) 및 M-Sport/작스 멀티 디스크 카본 클러치를 갖춘 영구 4륜 구동 시스템이다.

이 차량의 첫 번째 버전은 1999년에 포드 에스코트 WRC를 대체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콜린 맥레이와 시몬 장조셉이 두 대의 차량을 주행하며 몬테 카를로 랠리에서 데뷔했다. 포커스 WRC는 즉시 경쟁력을 보여주며 많은 최고속 스테이지 기록을 세웠지만, 불법 수냉 펌프 사용으로 인해 두 차량은 대회에서 제외되었다. 맥레이는 두 대회 후 케냐 사파리 랠리에서 포드에게 첫 승리를 안겨주며, 디디에 오리올의 토요타보다 15분 이상 앞서 결승선을 통과했다. 여러 차례 우승에 근접한 적이 많았지만 드라이버나 제조사 타이틀은 획득하지 못했고 맥레이가 최종 라운드에서 사고로 탈락하며 2001년 타이틀을 2점 차로 놓쳤다.

2003년 포드는 시즌 후반부 경기를 위해 새롭게 설계된 포커스 RS WRC 03을 출시했다. 대부분의 부품이 바닥부터 재설계된 이 차량은 더 가벼운 차체 외관과 새로 공기역학적으로 개선된 앞 범퍼 및 윙이 특징이다. 마르코 마르틴은 이 차량으로 두 차례 세계 랠리 대회에서 우승했고 2004년과 2005년 포커스 RS WRC는 RS WRC 03을 기반으로 한 진화형 모델로 업그레이드된다. 포커스 RS WRC 04는 마르틴이 주행해 세 차례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2005년까지는 더 이상 경쟁력이 사라져 포드는 우승 없는 시즌을 보냈다.

2005 시즌 마지막 랠리부터 포드는 새로운 공도용 모델 출시와 함께 완전히 새로운 모델인 포커스 RS WRC 06을 출전시켰다. 이 포커스에 선택된 엔진은 프랑스의 피포 모터스에서 개발한 듀라텍 엔진이다. 마르쿠스 그뢴홀름과 미코 히르보넨의 주행으로 2006 시즌에 8회의 세계 랠리 우승을 차지했으며, 1979년 이후 처음으로 포드가 WRC에서 제조사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2007년 포커스 RS WRC 07은 2006년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포드의 기술 감독 크리스티안 로리아우(Christian Loriaux)에 따르면 "신형 차량의 변경 사항은 주로 무게 절감과 효율성, 주행성,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하위 구간에서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이 차량은 2007년 핀란드 랠리에서 포드의 핀란드 드라이버 그뢴홀름과 히르보넨이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포드는 2007년 제조사 챔피언십을 성공적으로 방어했고 2008년 스웨덴 랠리에서 야리마티 라트발라가 이 차를 주행하여 세계 랠리 최연소 우승자로 기록되며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포커스 RS WRC 08은 마찬가지로 지난해의 2007년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는데 2008년 독일 랠리에서 새로운 전면 에어로 디자인으로 첫 경기에 출전했다. 2008년형 포커스 RS WRC는 디자인 스타일 변경과 엔진 개선을 포함한다. 그릴 영역의 디자인 변경은 포커스 RS Mk II 도로용 스포츠카의 디자인을 반영한다. 다만 2008 일본 랠리에서 유일한 우승을 기록했다.

2009년형 포커스 RS WRC는 2009년 이탈리아 사르데냐 랠리에서 데뷔해 포드가 1-2위를 차지했다. 이 모델은 작은 디자인 스타일 변경을 포함한다. 헤드라이트 프레임과 후방 범퍼의 디자인 변경을 통해 포커스 RS Mk II 2009 도로용 스포츠카의 디자인에 더 가깝게 조정되었다. 2009년형 포커스 RS WRC는 포커스 기반의 마지막 WRC 차량으로 남게 되었다. 포커스 RS WRC는 전체적으로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 대회에 173회 출전해 44회 우승과 142회의 포디움 입상을 기록했다. 2010 시즌 이후 포드 피에스타 RS WRC로 대체되었다.

3.2. 투어링 카

SCCA 스피드 월드 챌린지 투어링 카 시리즈(TC 2000)에 참가했으며 2003년, 2005년, 2010년, 2012년에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2006년에도 스웨덴 투어링카 챔피언십 시즌에 포커스가 출전했다.

포드 포커스 ST는 2009년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 시즌에 아레나 모터스포츠와 함께 데뷔했다. 두 번째 시즌 동안 이 차량은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사용했으며, 브랜즈 해치에서 이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으로서는 첫 번째 BTCC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아레나(팀 AON으로도 알려져 있음)는 새로운 포커스 Mk3로 전환했으며, 모터베이스 퍼포먼스는 ST 버전을 주행했다. 두 차량 모두 차세대 투어링카 엔진 규정에 따라 제작된 엔진을 장착했다. 모터베이스는 포드 포커스 ST로 계속 경기에 참가했다.

이 차량은 아르헨티나 TC 2000/Súper TC 2000 챔피언십에서 4회의 드라이버 챔피언십을 차지했다(2003, 2005, 2010, 2012년). 첫 세 번은 포드 아르헨티나의 공식 지원을 받은 오레스테 베르타 포드 YPF 팀이 차지했다.

2012년 월드 투어링 카 챔피언십 시즌에 아레나 모터스포츠는 톰 칠턴과 제임스 내시를 위해 두 대의 포드 포커스 Mk3를 출전시켰다. 가장 좋은 성적은 모로코 레이스에서 내시가 기록한 6위였다.

2008년 포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현지 브리지스톤 프로덕션 카 챔피언십(본질적으로 투어링 카 포뮬라)의 클래스 T(터보차저 장착 생산 차량 전용)에 두 대의 개조된 포커스 ST 모델을 출전시켰다. 이 차량은 2009년과 2011년 클래스 T 드라이버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차량은 2013년 중국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2014년 리퀴 몰리 배서스트 12시간 레이스에서 클래스 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 배서스트 12시간 레이스에 출전한 포커스 GTC V8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5.0L 포드 코요테 V8 엔진을 탑재했다.

4. 미디어

4.1. 게임

4.2. 만화 & 애니메이션

  • 도사의 무녀에서 2세대 유럽형 후기형 해치백 모델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5. 경쟁 차량

6. 둘러보기

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003179><colcolor=#fff><rowcolor=#fff> 분류 승용 · 레이스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20​세기​ 이전
콰드리사이클--
19​00​년대
모델 A · 모델 B · 모델 C · 모델 F · 모델 K · 모델 N · 모델 T--
19​10​년대
--모델 TT
19​20​년대
모델 A-모델 AA
19​30​년대
1932 · 모델 Y커스텀 더블 다운 · 쾰른 · 라인란트 · 모델 48 · C 텐 · 아이펠 ·
CX · 1937 · 7W · 7Y · 프리펙트 · 앵글리아 · 타우누스
트랜짓 버스모델 BB · E83WV3000
19​40​년대
1941 · 베뎃 · 파일럿 · F-시리즈 · 1949 · 커스텀B 시리즈F-시리즈
19​50​년대
1952 · 1955 · 1957 · 콘술 · 컨트리 세단 · 컨트리 스콰이어 ·
커리어 · 크레스트라인 · 델 리오 · 크레스트라인 · 스콰이어 ·
페어레인 · 갤럭시 · 메인라인 · 파크레인 ·
포퓰러 · 란체로 · 썬더버드 · 베르사유 · 제퍼템즈 300E템즈 400E
-C 시리즈 · FK템즈 트레이더
19​60​년대
1960 · 팰컨 · 팰컨(호주형) · 코티나 · 페어레인 썬더볼트 · GT40 · 코세어 · 머스탱 · LTD · 페어몬트 · P7 · 페어레인(호주형) · 토리노 · 카프리(유럽형) · 브롱코 · 코르셀 · 트랜짓 · 에스코트템즈 307E300R 시리즈 · E-시리즈N-시리즈 · D-시리즈 · 트랜짓 컷어웨이 · W-시리즈
19​70​년대
매버릭(1970) · 핀토 · P100 · 그라나다 · 랜도 · 랜도(호주형) · 엘리트 · 그라나다(북미형) · 피에스타 · F-150 · 듀랑고 · 이코노밴-L-시리즈 · 커리어(1971) · 피에라 · 트랜스컨티넨탈 · CL-시리즈 · E-시리즈 컷어웨이
19​80​년대
카프리(호주형) · 레인저 · 델 레이 · 에스코트(북미형) · EXP · 에스티바 · 레이저 · LTD 크라운 빅토리아 · 오리온 · 프로브 · RS200 · 스콜피오 · 시에라 · 텔스타 · 토러스 · 템포 · 베로나 · 템포 · 매버릭(1993) · 브롱코 II · 에어로스타 · 반탐-카고 · N-시리즈 · 프론토
19​90​년대
베르사유 · 아스파이어 · 컨투어 · 쿠거 · 크라운 빅토리아 · · 퓨마(1997) · 액티바 · 아이콘 · 레이더 · 익스플로러 · 프레다 · 갤럭시 · 윈드스타 · 익스페디션 · 포커스 · 익시온-슈퍼 듀티
20​00​년대
씽크 시티 · GT · 파이브 헌드레드 · 이스케이프 · 퓨전 · 익스커션 · 에코스포트 · 테리토리 · 프리스타일 · 토러스 X · 플렉스 · 쿠가 · i-MAX · C-MAX · 에베레스트 · 프리스타 · 트랜짓 커넥트/투어네오 커넥트 · S-MAX ·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LCF
20​10​년대
피고 · B-MAX · 트랜짓 커스텀/투어네오 커스텀 · 트랜짓 커리어/투어네오 커리어 · 에스코트(중국형) · 토러스(중국형) · 테리토리(중국형) · 퓨마-F-MAX
20​20​년대
머스탱 Mach-E · 브롱코 스포트 · 매버릭 · 이퀘이터 · 이퀘이터 스포트/테리토리 · 몬데오 스포트 · 몬데오(중국형)/토러스(중동형) · F-150 라이트닝 · 엣지 L · 익스플로러 일렉트릭 · 카프리(2024) · 브롱코 뉴 에너지--}}}}}}}}}{{{#!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03179><rowcolor=#fff><col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초소형​차-씽크 시티
경​차-카(1,2세대)
소형​차-모델 T · 모델 B · 모델 A · 모델 Y · 7Y · 7W · C 텐 · 쾰른
· 아이펠 · 앵글리아 · 프리펙트 · 포퓰러 · 핀토 · 페스티바 ·
아스파이어 · 아이콘 · 카(3세대) · 베로나 · 피고 · 피에스타
준중형​차-라인란트 · 에스코트/오리온 · 매버릭(1970~1977) · 팰컨(북미형) ·
페어몬트(북미형) · 스콰이어 · 오리온(1983~1993) · 델 레이 ·
링크스 · 티에라 · 레이저/미티어 · 에스코트(중국형) · 포커스 · 포커스 일렉트릭 · 모델 91
중형​차-메인라인 · 커스텀 · 콘술 · 코티나 · 코세어 · 코세어(호주형) ·
팰컨(아르헨티나형) · 그라나다(북미형) · 쿠거 · 시에라 · 몬데오(1~4세대) · 템포 · 텔스타 · 갤럭시(아르헨티나형) ·
페어레인(북미형, 1962~) · 토리노 · 토리노 탈라데가 ·
엘리트 · 로얄 · 베르사유 · 파일럿 · 퓨전
준대형​차몬데오(중국형)/토러스(중동형)커스텀라인 · 제퍼 · 크레스트라인 · 크레스트라인 스카이라이너 ·
크라운 빅토리아 스카이라이너 · 20M · 그라나다(유럽형) ·
스콜피오 · 파이브 헌드레드 · 팰컨(호주형) · 토러스(1~6세대)
대형​차-컨트리 스퀘어 · 랜치 왜건 · 파크레인 · 델 리오 ·
페어레인(북미형, ~1961) · 페어레인(호주형) ·
선라이너 · 페어몬트(호주형) · 갤럭시 · LTD ·
크라운 빅토리아 · 랜도(호주형) · 랜도 · 모델 48
스포츠​카 · 슈퍼카머스탱썬더버드 · 퓨마 · 팰컨 XB · 카프리(호주형) ·
카프리 · EXP · 프로브 · 쿠거 · GT
SUV소형 SUV퓨마 · 브롱코 스포트에코스포트 · 프리스타일
준중형 SUV이스케이프 · 쿠가 · 테리토리(중국형) · 머스탱 Mach-E · 익스플로러 일렉트릭 · 카프리(2024)브롱코 II · 매버릭(2000 유럽형)
중형 SUV이퀘이터 · 이퀘이터 스포트 · 몬데오 스포트 · 브롱코(6세대~) · 브롱코 뉴 에너지테리토리 · 매버릭(1993 유럽형) · 엣지(플러스)
준대형 SUV익스플로러 · 에베레스트 · 엣지 L프리스타일/토러스 X · 플렉스
대형 SUV익스페디션브롱코(1~5세대) · 매버릭(호주형)
초대형 SUV익스페디션 맥스센추리온 클래식 · 익스커션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매버릭란체로(2세대) · 반탐
중형 픽업​트럭레인저란체로(3~7세대) · 커리어 ·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
대형 픽업​트럭F-시리즈(F-150 · F-150 라이트닝 · 슈퍼 듀티)란체로(1세대)
MP​V
소형 MPV-퓨전(유럽형) · B-MAX
준중형 MPV-C-MAX · 익시온 · I-MAX
중형 MPV-에어로스타 · 윈드스타 · 프리스타 · 프레다 · S-MAX
대형 MPV-갤럭시
상용​차
경상용차-프론토 · 템즈 400E
LAV트랜짓 커넥트 / 투어네오 커넥트 · 트랜짓 커리어 / 투어네오 커리어-
LCV트랜짓 커스텀 / 투어네오 커스텀 · 트랜짓 · E-시리즈템즈 300E · 템즈 307E · 팰컨 밴
중형 버스-B 시리즈
준대형 버스-R 시리즈
준중형 트럭슈퍼 듀티(F-550)-
중형 트럭미디엄 듀티(F-650/F-750) · 카고C 시리즈 · LCF
준대형 트럭-NG · 안토스
대형 트럭F-MAXD 시리즈 · 트랜스컨티넨탈
기타 차량
경찰차FPIU · 익스페디션 SSV · F-150 폴리스 리스폰더 · F-150 라이트닝 SSV머스탱 SSP · FPRHS · FPIS · CVPI
군용차-GPW · V3000
농기계-N-시리즈 트랙터
장갑차-M8 그레이하운드 · M20 유틸리티 카 ·
유니버설 캐리어영국 지부&캐나다 지부
전차-M4A3
대전차 자주포-M10A1}}}}}}}}}
}}}
파일:링컨 심볼.svg · 파일:포드 레이싱.png · 콘셉트 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
파일:포드 레이싱.png
포드
레이스카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현역 차량 퇴역 차량
<colbgcolor=#003179> GTP/GTX - 머스탱 맥섬 GTP · 프로브 GTP · 머스탱 터보 · 머스탱 GTP
스포츠 프로토타입 - GT40 · G7 · P68 · M10 · C100
LMDh LMDh(가칭) -
LMGTE - GT
슈퍼카즈 챔피언십 머스탱 GT 팰컨(호주형)
나스카 머스탱 다크 호스 퓨전 · 토리노 탈라데가
나스카 크래프츠맨
트럭 시리즈
F-150 -
GT3 머스탱 GT3 -
GT4 머스탱 GT4 -
WRC 퓨마 랠리1 피에스타 · 포커스 · 에스코트 · 시에라
랠리 피에스타 코티나 · GT70 · 에스코트 · RS200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포드 로고.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포드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179><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179>
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포커스
준대형차 - 몬데오, 퓨전, 토러스, 파이브 헌드레드
스포츠카 머스탱 -
준중형 SUV - 이스케이프, 쿠가
중형 SUV 브롱코 -
준대형 SUV 익스플로러 프리스타일
대형 SUV 익스페디션 -
중형 픽업트럭 레인저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
MPV - 윈드스타, S-맥스
}}}}}}}}}
[ 링컨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3338><tablebgcolor=#293338><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293338><tablealign=center><tablebgcolor=#293338>
파일:링컨 심볼 화이트.svg
|| ||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준대형차 <colbgcolor=#fff,#000> - <colbgcolor=#fff,#000> MKZ, LS
대형차 - 타운 카, MKS, 컨티넨탈
준중형 SUV - MKC, 코세어
중형 SUV 노틸러스 MKX
준대형 SUV 에비에이터 -
대형 SUV 네비게이터 -
[ 기타 단종된 브랜드별 차량 ]
[ 머큐리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white><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external/en.academic.ru/Mercury_logo.png
|| ||
||
<colbgcolor=#808080,#191919> 차급 판매된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000> 미스틱
대형차 그랜드 마퀴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유럽 올해의 차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파일:199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5 유럽 올해의 차.jpg
르노 클리오 폭스바겐 골프 닛산 마이크라 포드 몬데오 피아트 푼토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파일:1996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6 유럽 올해의 차.png 파일:199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png
피아트 브라보 피아트 브라바 르노 메간 세닉 알파 로메오 156 포드 포커스 토요타 야리스 토요타 야리스 베르소

역대 경합 후보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닛산 프리메라 피아트 친퀘첸토 시트로엥 잔티아 폭스바겐 폴로
오펠 칼리브라 시트로엥 ZX 르노 사프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역대 경합 후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푸조 406 포드 카 폭스바겐 골프 오펠 아스트라 피아트 멀티플라
아우디 A4 폭스바겐 파사트 아우디 A6 푸조 206 오펠 자피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1] 원래 1990년대1990년부터 199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200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IIHS 탑 세이프티 픽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경차 부문 혼다 피트
소형차 부문 포드 포커스 쿠페 · 혼다 시빅 · 혼다 인사이트 · 기아 쏘울 · 마쓰다 3 · 미쓰비시 랜서 · 닛산 베르사 · 사이언 xB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래빗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크라이슬러 세브링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혼다 어코드 · 머큐리 밀란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폭스바겐 제타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고급 중형차 부문 아큐라 TL · 아큐라 TSX · 아우디 A4 · BMW 3시리즈 · 링컨 MKZ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사브 9-3 세단/컨버터블 · 폭스바겐 CC
중형 컨버터블 부문 폭스바겐 이오스 · 볼보 C70 컨버터블 (컨버터블)
대형차 부문 일반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포드 토러스 · 머큐리 세이블 · 토요타 아발론
고급 대형차 부문 아큐라 RL · 아우디 A6 · 캐딜락 CTS · 현대 제네시스 · 링컨 MKS · 볼보 S80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포드 이스케이프 · 혼다 CR-V · 혼다 엘레먼트 · 마쓰다 트리뷰트 · 머큐리 마리너 · 미쓰비시 아웃랜더 · 닛산 로그 · 스바루 포레스터 · 토요타 RAV4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일반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플렉스 · 포드 토러스 X · GMC 터레인 · 혼다 파일럿 · 현대 싼타페 · 현대 베라크루즈 · 닛산 무라노 · 새턴 뷰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FJ 크루저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큐라 MDX · 아큐라 RDX · 아우디 Q5 · BMW X3 · BMW X5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아우디 Q7 ·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메르세데스-벤츠 R클래스 · 새턴 아웃룩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혼다 오딧세이 · 기아 세도나
파일:2009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소형 픽업트럭 부문 토요타 타코마 크루 캡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혼다 릿지라인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08년형 2009년형 2010년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소형 미니카 부문 피아트 500 · 포드 피에스타 세단/해치백
소형차 부문 쉐보레 크루즈 · 쉐보레 소닉 · 쉐보레 볼트 · 포드 포커스 · 혼다 시빅 · 현대 엘란트라 · 기아 포르테 · 기아 쏘울
렉서스 CT · 마쓰다 3 세단/해치백 · 미니 컨트리맨 · 미쓰비시 랜서 · 닛산 큐브 · 닛산 주크 · 닛산 리프 · 사이언 tC
사이언 xB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골프/GTi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쉐보레 말리부 · 크라이슬러 200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현대 쏘나타 · 기아 옵티마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폭스바겐 제타/제타 스포트왜건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고급 중형차 부문 아우디 A4 · 링컨 MKZ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폭스바겐 CC · 볼보 S60
대형차 부문 일반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뷰익 리갈 · 크라이슬러 300 · 닷지 차저 세단 · 포드 토러스 · 토요타 아발론
고급 대형차 부문 아우디 A6 · BMW 5시리즈 · 캐딜락 CTS · 현대 에쿠스 · 현대 제네시스 · 인피니티 M37/M56 · 링컨 MKS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쿠페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 사브 9-5 · 볼보 S80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혼다 엘레먼트 · 현대 투싼 · 지프 패트리어트 · 기아 스포티지 · 스바루 포레스터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일반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듀랑고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익스플로러 · 포드 플렉스 · GMC 터레인 · 현대 싼타페 · 지프 그랜드 체로키 · 기아 쏘렌토 · 사브 9-4X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우디 Q5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GLK · 볼보 XC60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폭스바겐 투아렉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크라이슬러 타운 & 컨트리 · 닷지 그랜드 캐러밴 · 혼다 오딧세이 · 토요타 시에나 · 폭스바겐 루탄
파일:2011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10년형 2011년형 2012년형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2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소형 미니카 부문 피아트 500 · 포드 피에스타 세단/해치백 · 혼다 피트 · 닛산 베르사 · 토요타 프리우스 C · 토요타 야리스
소형차 부문 아큐라 ILX · 쉐보레 크루즈 · 쉐보레 소닉 · 쉐보레 볼트 · 닷지 다트 · 포드 포커스 · 혼다 시빅 · 혼다 CR-Z
혼다 인사이트 · 현대 엘란트라 · 기아 포르테 · 기아 쏘울 · 렉서스 CT · 마쓰다 3 세단/해치백 · 미니 컨트리맨
미쓰비시 랜서 · 닛산 큐브 · 닛산 주크 · 닛산 리프 · 사이언 FR-S · 사이언 tC · 사이언 xB · 사이언 xD · 스바루 BRZ
스바루 크로스트랙 · 스바루 임프레자 · 토요타 코롤라 · 토요타 프리우스 · 폭스바겐 골프/GTi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아우디 A3 · 뷰익 베라노 · 쉐보레 말리부 · 크라이슬러 200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현대 쏘나타 · 기아 옵티마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토요타 캠리 · 토요타 프리우스 V · 폭스바겐 제타/제타 스포트왜건 · 폭스바겐 파사트 · 볼보 C30
고급 중형차 부문 아큐라 TL · 아큐라 TSX · 아우디 A4 · BMW 3시리즈 · 렉서스 ES 350 · 링컨 MKZ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폭스바겐 CC · 볼보 S60
대형차 부문 일반 대형차 부문 뷰익 라크로스 · 뷰익 리갈 · 크라이슬러 300 · 닷지 차저 세단 · 포드 토러스 · 현대 아제라 · 토요타 아발론
고급 대형차 부문 아우디 A6 · BMW 5시리즈 · 캐딜락 CTS · 현대 에쿠스 · 현대 제네시스 · 인피니티 M37/M56 · 렉서스 GS · 링컨 MKS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쿠페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 사브 9-5 · 볼보 S80 (고급 대형차 부문)
파일:2012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포드 이스케이프 · 혼다 CR-V · 현대 투싼 · 지프 패트리어트 · 기아 스포티지 · 마쓰다 CX-5 · 미쓰비시 아웃랜더 · 스바루 포레스터 · 폭스바겐 티구안
중형 SUV 부문 일반 중형 SUV 부문 쉐보레 이쿼녹스 · 닷지 듀랑고 · 닷지 저니 · 포드 엣지 · 포드 익스플로러 · 포드 플렉스 · GMC 터레인 · 혼다 파일럿 · 현대 싼타페 · 지프 그랜드 체로키 · 기아 쏘렌토 · 사브 9-4X · 스바루 트라이베카 · 토요타 하이랜더 · 토요타 벤자
고급 중형 SUV 부문 아큐라 MDX · 아큐라 RDX · 아우디 Q5 · BMW X3 · 캐딜락 SRX · 인피니티 EX · 렉서스 RX · 링컨 MKT · 링컨 MKX · 메르세데스-벤츠 GLK ·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볼보 XC60 · 볼보 XC90
대형 SUV 부문 뷰익 엔클레이브 · 쉐보레 트래버스 · GMC 아카디아 · 폭스바겐 투아렉
파일:2012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크라이슬러 타운 & 컨트리 · 닷지 그랜드 캐러밴 · 혼다 오딧세이 · 토요타 시에나 · 폭스바겐 루탄
파일:2012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픽업트럭 부문)
대형 픽업트럭 부문 포드 F-150 크루 캡 · 혼다 릿지라인 크루 캡 · 토요타 툰드라 익스텐디드 캡

2011년형 2012년형 2013년형 TSP+
2013년형 TS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3 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승용차 부문)
소형차 부문 닷지 다트 · 포드 포커스 · 혼다 시빅 세단/쿠페 · 현대 엘란트라 · 사이언 tC · 스바루 크로스트랙 · 스바루 임프레자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크라이슬러 200 · 닷지 어벤저 · 포드 퓨전 · 기아 옵티마 · 혼다 어코드 세단/쿠페 · 마쓰다 6 · 닛산 알티마 · 스바루 레거시 · 스바루 아웃백 · 스즈키 키자시 · 폭스바겐 파사트
고급 중형차 부문 아큐라 TL · 링컨 MKZ · 볼보 S60
파일:2013 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SUV 부문)
소형 SUV 부문 미쓰비시 아웃랜더 · 스바루 포레스터
고급 중형 SUV 부문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 볼보 XC60 · 볼보 XC90
파일:2013 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플러스 (미니밴 부문)
미니밴 부문 혼다 오딧세이

2012년형 2013년형 TSP+ 2014년형 TSP+
2013년형 TSP 2014년형 TSP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fff>
파일: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4년 IIHS 탑 세이프티 픽 로고.png IIHS 탑 세이프티 픽 (승용차 부문)
소형 미니카 부문 쉐보레 스파크 · 혼다 피트
소형차 부문 닷지 다트 · 포드 포커스 · 혼다 시빅 쿠페 · 현대 엘란트라 · 기아 쏘울 · 미니 컨트리맨 · 미쓰비시 랜서 · 사이언 FR-S · 사이언 tC · 스바루 BRZ · 스바루 크로스트랙 · 스바루 임프레자 · 스바루 WRX
중형차 부문 일반 중형차 부문 크라이슬러 200 · 닷지 어벤저 · 기아 옵티마 · 닛산 알티마 · 토요타 캠리 (2014년형) · 폭스바겐 파사트
고급 중형차 부문 아큐라 TL
소형 SUV 부문 미쓰비시 아웃랜더 스포트
고급 중형 SUV 부문 볼보 XC90

2013년형 TSP+ 2014년형 TSP+ 2015년형 TSP+
2013년형 TSP 2014년형 TSP 2015년형 TSP
}}}}}}}}} ||


[1] 유럽 포드도 이미 2차대전 이전부터 현지 사정에 맞는 독자 모델을 개발해 판매해오며 소형차 개발에 잔뼈가 굵었고, 미국 시장도 70년대의 오일 쇼크 이후엔 미국차 메이커들도 기존의 대형 세단 일변도의 라인업에서 벗어나 유럽/일본차의 영향을 받거나 아예 유럽/일본에 위치한 자회사들이 개발한 소형차, 준중형차들을 라인업에 갖추려 여러 시도를 해왔다.[2] 포드 에스코트의 세단 버전.[3] 맨 끝에 있는 빨간 차는 포드 C-맥스이다.[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6] 수동변속기[7] 이 엔진은 소형차피에스타는 물론, 중형차몬데오에도 들어간다.[8] 기존에는 전륜구동 방식.[9] 아예 꺼버리거나 일반 모드인 것처럼 개입률을 늘릴 수도 있다.[10] 앞바퀴에 비해 상대적으로 뒷바퀴가 더 빠른속도로 돌아간다.[11] 드리프트 조건이 아닌, 일반적인 직진을 비롯한 그립주행시, 앞/뒤 바퀴의 회전속도 차이 때문에 커플링 내부의 다판 클러치가 미끄러져야만 하고, 이로인해 엄청난 열이 발생하며, 또한 당연하게도 클러치 디스크들의 마모속도에 엄청나게 부담을 준다.[12] SEL 기본형에는 17인치휠, 음성 통합 컨트롤 시스템 SYNC, 가죽시트(앞좌석 열선포함) 윈터 패키지, 듀얼 존 에어컨, 문루프가 장착된다. SEL 고급형에는 8인치 모니터 내비게이션, 마이포드 터치 드라이버 테크놀로지, 소니 오디오(서브우퍼 포함), 액티브 주차 보조 시스템이 들어간다.[13] 해치백은 SE, SEL, 티타늄으로 구성되었으며 트림별로 70만원이 더 비쌌다. 티타늄은 3,640만원으로 출시되었다.[14] 따라서 이 때 판매된 모델은 가로가 짧은 번호판이 장착되었다.[15] 당시 아반떼 MD는 1.6L 엔진에 17.5km/L 수준의 연비였다.[16] 독일 자를루이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따라서 이 때부터 가로가 긴 번호판을 뒤에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17] 프랑스 엔진 전문업체인 피포 모터스에서 제작했다.[18] 다른 하나는 닛산 실비아 S15.[19] 디자인을 조금 변경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