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의 중형차 모델 | ||
코티나 | → | 시에라, 텔스타 |
|
|
Cortina |
Lotus / Ford Cortina, Taunus[1][2] |
1. 개요
포드의 영국 법인에서 판매했던 앞-엔진 후륜구동 중형차이다. 1967년 12월에 설립한 현대자동차가 1968년 2월에 유럽 포드와 기술, 조립, 판매 관련 계약을 체결하고 그해 11월부터 대한민국에 도입되어 생산하기 시작한 차종으로, 현대자동차의 첫 차종이다. 현대자동차가 대한민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현대 코티나라고도 부른다. 코티나, 뉴 코티나, 코티나 마크 Ⅳ, 코티나 마크 Ⅴ 등으로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대한민국의 후속차종은 스텔라이고, 외국의 후속차종은 시에라와 텔스타이다.2. 역사
2.1. 1세대 (1962~1966)
| |
영국 버전[3] |
1962년 9월에 선보였다. 출시 당시에는 컨설 코티나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으며, 파워트레인으로 1.2L과 1.5L 엔진을 제공했다. 영국 포드가 시장조사를 통해 철두철미하게 신차를 개발하면서 저렴한 가격과 넓은 적재 공간(스테이션 왜건) 등으로 인하여 출시 3개월에 6만 대를 판매하고 장기적으로 영국의 법인차 시장을 점령하며 히트작이 되었다. 특히 비슷한 실내공간과 성능으로 인하여 코티나의 경쟁차로 여겨지던 BMC ADO16이 높은 수준의 엔지니어링과 박리다매 가격정책을 내세워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음에도 높은 제조단가, 초창기의 품질문제로 인한 보증수리비용이 겹쳐져 손해를 보던 것과 달리 단순한 설계와 이에 힘입은 쉬운 유지보수, 높은 신뢰성, 그리고 높은 수익성을 등에 업고 영국 포드의 중요한 주력 모델로 부상했다.
1963년에는 로터스제 1,558cc 엔진을 얹은 로터스 코티나도 등장해 로터스 공장에서 1966년까지 3년 동안 2,800여 대가 생산되어 모터 스포츠에서도 활약했으며, 1964년 9월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컨설을 뺀 코티나로 차명이 변경되었다.
로터스 코티나 마크 1은 60년대 레이싱계를 주름잡았던 짐 클라크의 자가용이기도 하였다. 당시 그를 인터뷰하면서 찍은 동영상에서 같이 나왔을 정도로 아끼던 차였는 듯 보인다.
앵글리아와 함께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1965년식 기준으로 2도어 및 4도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이 도입되었으며 1.5L 단일 엔진을 적용했다.#
|
유럽 대륙 버전 (토너스 P4) |
한편, 유럽 대륙에서 판매된 토너스는 코티나와 별도의 차종으로 개발되었다. 원래는 카디널(Cardinal)이라는 이름 하에 팰컨보다 작은 북미 포드의 엔트리카이자 전 세계에서 판매할 월드카로 기획해 영국, 독일 포드가 경쟁적으로 개발했으며 포드 차종 최초로 전륜구동 구동계를 탑재했다. 하지만 대중차에 집중했던 로버트 맥나마라가 물러난 자리에 고부가가치 창출을 우선시하던 성향의 리 아이아코카가 승진하면서 계획을 취소, 독일 포드가 유럽시장용 전략차종으로 완성해 시판했다.
2.2. 2세대 (1966~1970)
| |
영국 버전 | 유럽 대륙 버전 (토너스 P7) |
1966년 10월에 선보였으며, 전폭을 60mm 넓혀 실내 공간이 확대되었다. 엔진을 포함한 메커니즘은 1세대와 거의 같았으나, 전륜에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표준화되었다. 1967년에 코티나는 BMC ADO16을 밀어내고 영국의 베스트셀러 카의 자리에 올랐다. 이 차를 디자인한 로이 헤인즈는 모리스 마리나, 미니 클럽맨과 1275GT의 디자인도 같이 맡았다.
1세대 모델과 함께 미국에도 잠시 수출되었으며 모델명과 별도로 "포드 모델 C"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붙여 판매했다.#
2.2.1. 현대 코티나
| |
현대 코티나[4] | 코티나 픽업[5]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코티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코티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3세대 (1970~1976)
| |
1972년식 | 1974년식 |
영국 버전 |
|
유럽 대륙 버전 (토너스 TC1) |
1970년 10월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친 코티나 마크 III는 당시의 미국차에 많이 사용된 코카콜라 보틀 라인의 스타일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71년 11월부터 생산되어 뉴 코티나라는 차명을 붙였다. 출시 초기에는 이전 세대 코티나처럼 신진 코로나에게 판매량에서 고전했었으나, 주은래 4원칙으로 토요타가 예고도 없이 철수하는 바람에 신진 코로나가 갑자기 단종되자 반사이익을 크게 얻으면서 얼떨결에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선두에 오르게 되었다.
초기 국산화율은 41%였고, 배기량 1,593cc 4기통 OHC 엔진을 새롭게 얹었다. 오버 헤드 캠축 방식인 OHC 엔진은 캠축을 실린더 헤드에 직접 연결 캠축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것과 로커 암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것 등의 2종류가 있다. 이 엔진은 최대출력 78ps/5,700rpm, 최대 토크 11.4kg-m/3,600rpm, 최고속도 160km/h를 발휘했다. 여기에 전진 4단, 후진 1단의 수동변속기를 조합했고, 시프트 레버는 기존의 컬럼 시프트에서 플로어체인지식으로 바뀌었다.
2.4. 4세대 (1976~1980)
| | |
영국 버전 | 유럽 대륙 버전 (토너스 TC2) | 왜건 버전 (구급차) |
4세대 (Mk.4)는 1976년 10월에 선보였다. 스타일링은 선대와 비교해 크게 달라졌지만, 플랫폼이나 메카니즘은 선대의 것을 그대로 물러받아서 사실상 빅 마이너 체인지 수준이며[6], 실내는 선대 모델 후기형의 것을 그대로 물러받았다. 원래는 포드 폭스 플랫폼을 토대로 북미 시장의 매버릭과 통합후속차종이 나올 예정이었으나 석유파동으로 인한 자금경색으로 무산되고 유럽은 코티나/토너스, 북미는 포드 페어몬트로 이원화 체제가 유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77년 3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총 14,287대를 생산했고. 4도어 세단과 이를 바탕으로 한 경찰차, 5도어 왜건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구급차가 있었다. 당시로서는 신사풍의 점잖은 스타일, 안락한 승차감, 안전성 등으로 중산층의 자가용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 차는 연료절약형 승용차에 주어지는 홍콩의 쉘 이코노미 런 상을 1978년과 1979년 등 2회에 걸쳐서 받아 뛰어난 경제성을 인정받았다. 엔진의 배기량과 최대출력은 뉴 코티나와 같았고, 최대 토크는 12.0kgf·m(3,000rpm)으로 향상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금호상사와 현대자동차가 각각 1대를 소장하고 있다.
2.5. 5세대 (1979~1983)
| | |
포드 코티나 | 유럽 대륙 버전 (포드 토너스 TC3) | 왜건 버전 |
마지막 코티나가 된 코티나 마크 Ⅴ는 1979년 9월에 선보였다. 코티나 마크 Ⅳ에서 소폭 변경되었으며,[7]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 9월부터 1983년 4월까지 판매되었다. 미쓰비시제 새턴 엔진이 달린 이코노미 트림이 나오기도 했으며[8], 4세대와 마찬가지로 경찰차로도 활용되어 같이 순찰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현재는 대한민국에는 금호상사가 2대, 삼성화재교통박물관이 이코노미 1대, 그리고 개인 소유자들이 3대를 소유하고 있다. 이후 결단을 내린 현대자동차는 1983년에 포드 자동차와 인연을 끊으면서 코티나의 플랫폼으로 제작된 스텔라를 출시하게 된다.
영국과 유럽 본토에서는 1982년 출시된 시에라로 대체되었다.
3. 기타
- 영국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던 차량이며 더 그랜드 투어 진행자인 제레미 클락슨[9] 제임스 메이[10] 아버지가 코티나를 소유했다고 한다. 심지어 제레미 클락슨이 스태프 중에서 아버지가 코티나를 소유했었다는 사람들은 손 들어보라고 하자 절반 이상이 손을 들었다고 한다.
- 현대자동차를 통해 도입된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영국, 독일(그 당시 서독), 포르투갈, 뉴질랜드, 이스라엘, 홍콩 등지에서 경찰 순찰차로 사용되었던 차량이다.
3.1. 미디어
- 크리스틴 - 흰색의 2세대 포드 코티나가 엑스트라로 등장, 크리스틴이 들이받는다. IMCDB에는 1969년형 포드 코티나 GT로 등재되어 있다.
- 컨저링 2 - 흰색 3세대 후기형 에스테이트 모델이 빅 노팅엄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 My Winter Car - 주인공 차량 Corris Rivett(코리스 리벳) 으로 등장한다.
4. 생산량 (현대 코티나 기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코티나#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코티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3179><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17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현역 차량 | 퇴역 차량 |
<colbgcolor=#003179> GTP/GTX | - | 머스탱 맥섬 GTP · 프로브 GTP · 머스탱 터보 · 머스탱 GTP | |
스포츠 프로토타입 | - | GT40 · G7 · P68 · M10 · C100 | |
LMDh | LMDh(가칭) | - | |
LMGTE | - | GT | |
슈퍼카즈 챔피언십 | 머스탱 GT | 팰컨(호주형) | |
나스카 | 머스탱 다크 호스 | 퓨전 · 토리노 탈라데가 | |
나스카 크래프츠맨 트럭 시리즈 | F-150 | - | |
GT3 | 머스탱 GT3 | - | |
GT4 | 머스탱 GT4 | - | |
WRC | 퓨마 랠리1 | 피에스타 · 포커스 · 에스코트 · 시에라 | |
랠리 | 피에스타 | 코티나 · GT70 · 에스코트 · RS20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142D27><tablealign=center><tablebgcolor=#142D2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142D27,#191919><colcolor=#fff> 중형차 | - | 코티나 | |
준대형차 | - | 오메가 / 칼튼 | |
대형차 | 에메야 | - | |
그랜드 투어러 | - | 에스프리 · 유로파 · 엘리트 · 에클라 | |
로드스터 | - | 7 | |
초경량 스포츠카 | - | 엘란 · 엘리스 | |
엔트리 스포츠카 | 에미라 | 엑시지 | |
플래그십 스포츠카 | - | 엑셀 · 에보라 | |
하이퍼카 | 에바이야 | - | |
중형 SUV | 타입 134출시예정 | - | |
대형 SUV | 엘레트라 | - | |
레이스 카 | - | 마크 IXㆍ15ㆍ엘리스 GT1 · 3-일레븐 · 2-일레븐 · 일레븐 · 340R · T125공도 주행 불가 |
[1] 참고로 좌측 핸들 모델을 코티나라고 부른 국가는 대한민국과 포르투갈 정도이며. 나머지 국가에서 좌측 핸들 모델은 타우누스(Taunus)란 이름으로 불렸다. 참고로 같은 포드 사의 토러스(Taurus)와는 전혀 다른 차량이다.[2] 1세대와 2세대가 타우누스 P시리즈, 3~5세대는 타우누스 TC시리즈. 처음에는 코티나와 별개의 차종이었으나, 1970년대 들어서 코티나와 통합되기 시작했다.[3] 왼쪽은 1964년식, 오른쪽은 1965년식이다.[4] 1968년에 처음 생산된 모델이다.[5] 사진은 코티나 3세대의 픽업 차량이다.[6] 2010년대 이후의 기준으로 보면 그냥 대규모 페이스리프트 수준이며 오늘날의 차량에 비유하면 그랜저 IG의 전기형과 후기형의 관계와 비슷한 수준이다.[7] 코티나 마크 IV보다 방향지시등과 테일램프가 더 커졌다.[8] 이코노미 트림은 4세대 말기에서도 나왔었다.[9] 2세대 1600E, 나중에 물려받은 자신의 첫 차였다.[10] 3세대 2000GX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