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유럽 시장에서 판매했던 MPV}}}에 대한 내용은 [[포드 퓨전(유럽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드 퓨전(유럽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드 퓨전(유럽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유럽 시장에서 판매했던 MPV: }}}[[포드 퓨전(유럽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드 퓨전(유럽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드 퓨전(유럽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포드의 중형차 모델 | ||||
시에라 / 텔스타 | → | 몬데오4세대 / 퓨전 | → | 몬데오5세대 |
|
|
FUSION |
Ford Fusion
1. 개요
미국 포드에서 2005년부터 2020년까지 판매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 기존 4세대 토러스와 1세대 포드 컨투어[1]의 후속 모델이다.[2] 형제차로는 포드 몬데오[3], 마쓰다 6[4]와 머큐리 밀란[5], 링컨 MKZ가 있다.2. 역사
2.1. 1세대 (CD338, 2005~2012)
전기형
4세대 토러스가 미국과 국외에서 모두 경쟁 모델들에 비해 5m가 넘는 크기, 품질, 디자인 등으로 혹평을 받고 판매량이 나아지질 않자, 포드는 토러스의 체급을 키워 파이브 헌드레드에게 잠시 물려준 대신 토러스보다 작은 중형 모델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그것이 퓨전이 된 것이다. 1세대는 링컨 MKZ, 마쓰다 6와 플랫폼, 파워트레인을 공유한다. 디자인은 2003년에 나온 포드 427 콘셉트카에서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포드의 새로운 디자인 추세였던 New Face of Ford를 적용시켜 3개의 수평형 라인이 들어간
본래는 링컨의 컨셉트카의 명칭이었던 동시에 1960년대부터 팰컨, 페어몬트 등의 트림명과 서브네임으로 써 왔던 "퓨튜라(Futura)"라는 이름 하에 판매하려고 했으나 동명의 타이어 시리즈를 팔던 "펩 보이즈" 사와 갈등을 빚었고, 포드가 미국에서 3년 이상의 기간동안 퓨튜라라는 이름을 쓰지 않은 탓에 결국 펩 보이즈 사가 승소하면서 포드에서는 퓨튜라 대신 2002년에 출시한 유럽 포드의 MPV 이름이기도 했던 퓨전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옆모습이 몬데오 Mk3와 닮은 것 같지만, 몬데오와는 애초에 플랫폼부터 다른 차이나 일부 내외장 부품을 공유하고 있다.[6]
후기형 일반 모델 | 후기형 NYPD 경찰차 |
대한민국에서는 2008년에 몬데오 Mk4의 수입이 중단되면서 중형차 라인업이 비어있던 탓에 2011년 5월부터 뒤늦게 수입되었다. 2.5L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했고 스포일러를 장착한 모델이 3,505만원이라는 가격표를 달고 판매되었다. 북미형이 브레이크등 위에 후진등이 들어가는 데 반해, 한국 사양은 후진등 자리에 호박색 방향지시등이 들어가고 후진등은 뒷범퍼에 동그란 램프 2개가 장착된다. 북미 사양과 한국 사양 비교
2012년에 2.5L 하이브리드 모델이 4,290만원을 가격표를 달고 추가되었지만,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두 판매량은 모두 낮았다.
3.0L AWD 모델을 몰았을때 서스펜션이 상당히 단단하고 노면을 탄다. 캠리나 어코드보다 젊은 주행 감각이지만 단단하다.
2.2. 2세대 (CD391, 2012~2020)
| |
토러스부터 적용된 포드의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애스턴 마틴을 연상시키는 헥사고날 그릴이 특징이다.[7] 포드의 새로운 전략인 원 포드 전략에 의해 5세대 몬데오와 동일하게 개발됨에 따라 퓨전과 몬데오는 하나로 통합됐다. 플랫폼은 몬데오, 링컨 MKZ와 동일한 포드 CD4 플랫폼을 사용한다. 1세대와는 달리 에어로 다이나믹 디자인인 점, 윈드실드 면적이 커진 점을 고려해 대향형 와이퍼가 적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 12월부터 판매를 시작했으며 액티브 파크 어시스트,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 웬만한 편의 및 안전사양들이 적용되었다. 자연히 기존에 나오고 있던 몬데오는 퓨전으로 대체됐으며, 유럽 시장에는 퓨전이 몬데오의 이름을 달고 나온다.
포드도 다운사이징 추세를 따르기 시작했는지 2.3L 엔진은 1.6L 에코부스트 터보 엔진으로 바뀌었다.[8] V6 엔진은 234마력 2.0L 에코부스트 터보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하이브리드 모델도 있었다. 143마력 앳킨슨 사이클 2.0L 가솔린 엔진에 188마력 직병렬식 2모터를 더해 총 시스템 출력은 191마력이다. 연비는 17.9km/L. 2세대 퓨전 하이브리드와 형제차인 2세대 MKZ 하이브리드가 미국에서 연비 측정이 잘못되어 포드 코리아가 구매자들에게 현금으로 보상해 준 흑역사가 있다.[9]
대한민국에 들여오는 가솔린 모델은 포드의 멕시코 소노라 헤르모시요 현지공장 생산분이 들어오며, 멕시코 생산분이 견인장치를 빼먹고 들어온 것이 드러나 2012년 7월 7일부터 2012년 10월 3일 사이에 제작된 퓨전에 대해 2013년 9월 국토교통부에서 견인장치를 장착하라는 리콜 지시를 내린 바 있다.
포드코리아에서 2015년부터 대한민국에 디젤 모델을 대거 투입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2015년에 퓨전과 이스케이프 가솔린 모델의 수입이 중지되고, 대신 퓨전의 180마력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 모델을 유럽에서 판매 중인 몬데오의 이름을 다시 붙여서 들여왔다. 퓨전의 가솔린 모델과 달리 퓨전의 유럽명인 4세대 몬데오는 2022년까지 스페인 발렌시아 현지공장에서 생산했었다.[10] 이스케이프 역시 180마력 2.0L 디젤 모델을 유럽에서 쓰는 "쿠가"로 이름을 바꾸고 재출시했다. 똑같은 차량이지만, 유럽산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기 위해 유럽에서 판매하는 이름으로 바꾼다고 한다. 사실 유럽에서 생산되는 포드차는 어떻게 봐도 확실한 유럽차이고, 단지 지금의 퓨전과 이스케이프가 유럽포드가 만드는 유럽차를 기본으로 단지 이름만 바꾸어 미국에서 만드는 모델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드라고 하면 미국차로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많기 때문에 미국차가 아니라 유럽차임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유럽용 이름을 붙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배우 김남주가 타고 다니는 차량으로도 유명하다.
저유가로 인해 전세계적인 SUV/크로스오버/픽업트럭 붐이 자동차 시장의 대세가 되자, 포드는 북미/유럽 시장에서 머스탱을 제외한 수익성이 적은 세단, 해치백 등 승용 라인업을 모두 단종시키기로 선언하여 퓨전은 2세대 2020년식을 끝으로 단종을 결정했다. 형제차량인 링컨 MKZ 역시 퓨전과 함께 단종되며, 이로써 북미시장 내에서 포드그룹의 유일한 세단은 링컨 컨티넨탈마저 2020년을 끝으로 단종이 확정되어 북미시장에 판매하는 포드의 세단은 전무하게 된다. Auto Evolution에 따르면 현행 2세대 퓨전은 금년 2020년 7월 21일에 생산이 중단 될 예정이었으나 7월 30일까지 10일 더 연장 생산된 뒤 단종되었다. 경찰용 사양은 6월 5일에 먼저 단종되었다. # #
2.2.1. 경찰차 사양
Ford Police Responder Hybrid Sedan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드 폴리스 리스폰더 하이브리드 세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드 폴리스 리스폰더 하이브리드 세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포드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3179><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179> | }}} | |||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차량 | ||||
준중형차 | <colbgcolor=#fff,#000> - | <colbgcolor=#fff,#000> 포커스 | ||||
준대형차 | - | 몬데오, 퓨전, 토러스, 파이브 헌드레드 | ||||
스포츠카 | 머스탱 | - | ||||
준중형 SUV | - | 이스케이프, 쿠가 | ||||
중형 SUV | 브롱코 | - | ||||
준대형 SUV | 익스플로러 | 프리스타일 | ||||
대형 SUV | 익스페디션 | - | ||||
중형 픽업트럭 | 레인저 |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 | ||||
MPV | - | 윈드스타, S-맥스 |
- [ 머큐리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수상 차량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 | | | | |
포드 퓨전 | 쉐보레 볼트 PHEV | 폭스바겐 파사트 | 테슬라 모델 S | 캐딜락 CTS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 | | | | |
폭스바갠 골프 | 쉐보레 카마로 | 쉐보레 볼트 EV | 알파 로메오 줄리아/줄리아 콰드로폴리 | 제네시스 G70 | |
2000년대 |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올해의 트럭 부문 | |||||
올해의 SUV 부문 |
IIHS 탑 세이프티 픽 관련 틀 | |||||||||||||||||||||||||||||||||||||||||||||||||||||||||||||||||||||||||||||||||||||||||||||||||||||||||||||||||||||||||||||||||||||||||||||||||||||||||||||||||||||||||||||||||||||||||||||||||||||||||||||||||||||||||||||||||||||||||||||||||||||||||||||||||||||||||||
|
[1] 1세대 몬데오의 미국 명칭[2] 현재 팔리고 있는 토러스는 파이브 헌드레드가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대형급 차종이 되어 2019년에 북미에서는 단종되었고 7세대부터 중국 시장에 진출하여 중국에서만 팔고 있다. 한 마디로 급을 달리한 것이다.[3] 2세대 한정[4] 마쓰다의 G 플랫폼은 포드의 CD3 플랫폼과 동일하다. 즉, 포드 뱃지 달고 나오면 퓨전이고 마쓰다 뱃지 달면 마쓰다 6이다.[5] 컨투어의 형제차인 머큐리 미스틱의 후속 차종이다.[6] 문짝 모양도 같다.[7] 탑기어에서도 이를 언급한 적이 있었다. 제임스 메이가 화면에 1초 정도 이미지를 보여주고선 무슨 차였는지 다른 두 MC에게 물어봤는데, 물론 다른 두 명은 애스턴 마틴이라고 대답했다.[8] 이후 또다시 179마력 1.5L 에코부스트로 교체[9] 그 전에는 퓨전 하이브리드가 19.4km/L, MKZ 하이브리드는 18km/L로 발표되었다. MKZ는 16.8km/L로 정정되었으며, 하이브리드 퓨전 구매자들에게는 150만원, 하이브리드 MKZ 구매자들에게는 270만원을 보상했다.[10] 유럽에서 판매하였던 몬데오는 3세대까지 벨기에 림뷔르흐 주 겡크에 있는 현지공장에서 생산했으나, 2014년 12월에 폐쇄됐다.[11] 2019MY를 마지막으로 단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