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EGACY |
Subaru Legacy / Liberty[1] スバル・レガシィ / リバティ |
1. 개요
일본 스바루에서 1989년부터 2025년까지 생산한 중형차이다. 레거시(legacy)의 뜻은 "유산"으로, 후대에 가치 있는 차로 평가받는 차량이 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파생형 모델로 보디 하부가 다르고 서스펜션이 높아진 크로스오버 왜건 버전인 아웃백이 있다.[2]
2. 역사
2.1. 1세대 (BC/BJ/BF, 1989~1993)
세단 | 왜건 |
영국 브리티시 랠리 챔피언십에서 콜린 맥레이가 1991~92년, 리처드 번즈가 이 차량으로 1993년 챔피언을 획득했다.
엔진은 모두 수평대향 4기통 엔진이며, 변속기는 수동 5단과 자동 4단이 있다.
2.2. 2세대 (BD/BG/BK, 1993~1999)
세단 | 왜건 |
2.3. 3세대 (BE/BH/BT, 1998~2004)
레거시 2.5i 세단 | 레거시 2.0 GL 왜건 |
2.4. 4세대 (BL/BP, 2003~2009)
레거시 3.0 R-스펙 세단 전기형 | 레거시 왜건 전기형 도쿄 경시청 위장순찰차 |
레거시 2.0 D 세단 후기형 | 레거시 3.0 R 왜건 후기형 |
2003년 5월 23일에 공개되었고, 이듬해부터 2004년형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너무 급진적이지 않으면서도 스포티하고 균형 잡힌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 4세대 레거시는 뛰어난 내구성과 품질, 멋스러운 스타일링으로 호평받으며 2003~2004년 일본 올해의 차에 선정되었으며, 이 차량에 탑재된 2.5리터 수평 대향 4기통 EJ255 엔진은 국제 올해의 엔진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4]
2006년에는 페이스리프트가 진행되어 전후면 범퍼 등 세부적인 부분의 디테일이 소폭 변경되었고, 파워트레인도 개량되었다.
2.5. 5세대 (BM/BR, 2009~2014)
레거시 2.5i 세단 전기형 | 레거시 2.0 D 왜건 전기형 |
후기형 세단(일본 미야기현 경찰) | 후기형 왜건 |
2009년에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는 2010년 1월 21일 스바루 국내 진출 기자회견장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동년 4월 29일 부산국제모터쇼 신차발표회와 함께 공식 출시되었다. 대한민국 판매 차량은 미국 인디애나 라피엣 현지 공장 생산분이 들어왔다.
2.5L 가솔린 모델이 3,690만원, 3.6L 가솔린 모델이 4,190만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는 동급 모델 대비 2.5L는 최대 300만원, 3.6L는 최대 500만원 이상 비싼 것이라 가격 책정에서 아쉽다는 평이 많았다. 첫 달 22대를 판매해 스바루 코리아에서 가장 많은 판매를 기록했으나, 경쟁 모델들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판매량이다.
2.6. 6세대 (BN/BS, 2014~2020)
2016년식 전기형 | 2018년식 후기형 |
차량 전면에 육각형 그릴을 적용시킨 것이 특징이다. 묘하게 포드 토러스 6세대, 같은 년도에 출시한 LF 쏘나타를 연상시키는 디자인. 왜건 라인업은 레보그라는 개별 모델로 분리됐다.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레거시가 2020년에 단종됐다. 단, 파생형인 레거시 아웃백(아웃백)과 레보그는 일본 내수 시장에서 풀체인지를 거쳐서 계속 판매한다.
2.7. 7세대 (BW/BT, 2019~2025)
전기형 |
2019년 시카고 오토쇼에서 발표되어 그해 가을에 출시되었다. 5세대 임프레자에 들어가는 스바루 글로벌 플랫폼(Subaru Global Platform)이 채용됐지만, 얼핏 보아서는 풀체인지 모델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디자인 변화의 정도가 미미하다. 기존의 6기통 박서엔진인 EZ36을 대체하는 4기통 터보 박서엔진인 FA24가 들어가는게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상적인 변경점으로는, 신형 아웃백과 같은 새로운 인테리어가 적용되어 이전 스바루의 한 세대 전 자동차 같은 이미지가 없어졌다. 와이드 터치스크린과 곡선이 들어간 가죽 소재 대시보드 등으로 인테리어를 꾸몄다.[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후기형 |
2022년 5월 13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공개되었다. 기존 모델보다 과격해진 전면부 디자인이 특징이다.
전기자동차 등에 집중하기 위해 2025년을 끝으로 단종된다. #
마지막으로 생산된 스바루 레거시 |
2025년 9월, 최후의 레거시가 인디애나 공장에서 36년 만에 생산이 종료됐다. 최종 출고된 사양은 마그네타이트 그레이 컬러의 리미티드 사양이다.
3. 여담
- 일본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핫 왜건으로 박서 특유의 뱃고동같은 엔진음이 특징이다.
- 호주의 태즈메이니아 섬 경찰이 6세대 레거시를 경찰차로 사용하고 있다.
4. 미디어
Grand Theft Auto: San Andreas에 나오는 인트루더(Intruder)라는 차량은 1세대 레거시의 디자인 일부를 참고했다. 단, 원판과는 상당히 다른 모습이고, FF 기반의 레거시와는 달리, 인트루더는 구동방식이 FR이다.- 명탐정 코난에서는 지나가는 차량으로 5세대 전기형 세단이 많이 나온다. 또한 극장판에서도 4세대 전기형 왜건이 지나가는 차량으로 많이 나온다.
- 청춘 돼지 시리즈에서 5세대 전기형 세단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 데이트 어 라이브 1기에서 4세대 전기형 투어링 왜건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애니메이션 판에서 4세대 전기형 왜건 모델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 1995년에 방영된 SBS 드라마 아스팔트 사나이에서 극중 정우성이 데스밸리 랠리에서 운전하는 랠리카로 1세대 레거시의 랠리 개조 모델이 등장했다. 극중 랠리카에 대문짝만하게 SUBARU라 쓰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랠리카의 제조사인 '기룡자동차'는 스바루가 아닌 혼다로 부터 기술제휴를 받은 걸로 설정되었다는게 함정(...)[6]
- 2010년에 방영된 SBS 드라마 웃어요 엄마에서 극중 지수원과 윤정희의 차로 5세대 레거시 전기형 세단 모델이 등장한다.
- 2011년에 방영된 KBS 드라마 강력반에서 5세대 레거시 전기형 세단과 4세대 아웃백이 등장한다.
- 2013년 개봉작인 영화 런닝맨에서 차종우 (신하균 분)가 타고 다니는 차량으로 5세대 레거시 전기형 세단이 등장한다.
- 이 중에 1명, 여동생이 있다! 11화 초반 회상씬에서 헤드라이트가 변형된 5세대 전기형 세단이 나온다.
- 루팡 3세 시리즈 최신 판에서는 5세대 전기형 세단이 경찰차로 나온다.
- 히트 멍키에서 일본 경찰이 운용하는 경찰차로 6세대 모델이 나온다.
- 네코파라 OVA판에서 5세대 후기형 세단이 경찰차로 나온다.
- 「萌えろDownhill Night 2ndステージ에서 과거에 주인공에게 패배한 공도 레이서인 쿠라가 요시히토의 차로 튜닝된 진한 파란색상의 2005년식 4세대 전기형 세단 2.0 GT 스펙 B 모델이 나온다 프로필 설명에서 자신이 구입한 차가 아니라 경주에서 자신에게 진 상대의 차를 빼앗아 자기 차로 몰고다닌다는 충격적인 설정이 있다(...)#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에서 3세대 왜건 모델이 트래픽카로 나온다.
5. 모형화
- 토미카에서 3, 4세대 레거시 왜건, 5세대 세단 모델을 출시했다.
- 토미카 리미티드에서 5세대 레거시 복면순찰차 모델을 발매하였다.
- 토미카 리미티드 빈티지에서 1세대 레거시 RS, 1세대 레거시 RS 세계 속도기록차량, 1세대 레거시 왜건을 출시했다.
6. 경쟁차종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fff,#191919> 초소형차 | - | 360 · 마이아 | |
경차 | 스텔라 · 시폰 · 플레오 플러스 | 비비오 · 루크라 · R1 · 렉스 · R2 · 플레오 | |
소형차 | - | 덱스 · G | |
준중형차 | 임프레자 · WRX | 레오네 · 1500 · 1000 | |
중형차 | 레보그 | 레거시 | |
스포츠카 | BRZ | 알시오네 · XT · 알시오네 SVX | |
소형 SUV | 렉스 · 크로스트랙 · 언차티드 | - | |
준중형 SUV | 포레스터 · 솔테라 | - | |
중형 SUV | 아웃백 · 레보그 레이백 · 트레일시커 | 빅혼 | |
준대형 SUV | 어센트 | 트라이베카 | |
MPV | 저스티 | 디아스 왜건 · 트라비크 · 엑시가 · 트레지아 | |
경상용차 | 삼바 | 도밍고 · 리베로 · 스모 | |
픽업트럭 | - | 바하 · 브랫 | |
스바루 STi의 차량 | }}}}}}}}} |
IIHS 탑 세이프티 픽 관련 틀 | ||||||||||||||||||||||||||||||||||||||||||||||||||||||||||||||||||||||||||||||||||||||||||||||||||||||||||||||||||||||||||||||||||||||||||||||||||||||||||||||||||||||||||||||||||||||||||||||||||||||||||||||||||||||||||||||||||||||||||||||||||||||||||||||||||||||||||||||||||||||||||||||||||||||||||||||||||||||||||||||||||||||||||||||||||||||||||||||
|
[1] 호주 시장 수출명[2] 다만, 레거시는 2025년을 끝으로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고 아웃백만이 독자 모델로 완전히 분리됨과 동시에 풀체인지되며 살아남았다.[3] 미쓰비시 갤랑 VR-4로 랠리에 참가하던 미쓰비시도 비슷한 시기 보다 작은 랜서 기반의 란에보로 그룹A에 참가하면서 90년대 랠리판을 수놓을 라이벌리를 연출하게 된다.[4] 또한 미국의 로드 & 트래블 매거진(Road & Travel Magazine)에서는 4세대 레거시를 세단 부문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차로 선정한 바 있다.[5] 다만 최하위 옵션은 와이드 스크린 대신 위아래에 두개의 7인치 터치스크린이 들어간다.[6] 드라마 방영 당시에는 수입차의 시장이 그렇게 크지 않았기에 수입 브랜드에 대한 시청자들의 인지도가 부족한 것도 있기에, 제작진들이 대충 '일본차면 되겠지'하고 넘긴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미 방영 당시 혼다의 어코드, 시빅, 패스포트가 수입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