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ncore |
BUICK Encore
别克 昂科拉
1. 개요
뷰익의 소형 SUV이다.2. 상세
2.1. 1세대(G1UB)
2.1.1. 초기형(2012~2016)
| |
1세대 초기형 앙코르 |
런칭 영상 |
2012년 1월 디트로이트 오토쇼를 통해 정식으로 공개된 차량으로, 레이니어, 랑데뷰, 엔클레이브에 이은 뷰익의 4번째 SUV이자, 뷰익의 입문형 고급 소형 SUV이다. 차체는 GM의 전륜구동 유니바디 플랫폼인 감마 II 플랫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고, 차량 전반의 구성은 1세대 오펠 모카를 바탕으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했다.[1]
외관은 기반 모델인 1세대 모카와 거의 동일한 모습을 보이나, 당시 뷰익의 디자인 테마에 맞춰 일부 수정이 이뤄졌다. 헤드램프 프로젝터에 블루링이 장착되고 뷰익 특유의 폭포수 그릴이 적용되었으며, 보닛에 벤티포트[2] 장식이 추가되어 모카보다 한층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 사양에 따라 브러시 처리된 밝은 톤의 클레딩과 크롬 휠이 적용되기도 한다. 실내 역시 부드러운 소재와 스티칭 마감, 우드 그레인을 사용하는 등 모카 대비 약간의 고급화가 이뤄졌다. 당시 동급 모델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던 2열 암레스트[3]와 엠비언트 라이트도 제공된다.
편의 장비로는 6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열선 기능이 내장된 1열 시트와 후방 카메라, 썬루프, 네비게이션, 원격 시동,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의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며, 뷰익 차량 최초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이 탑재된다. 안전 장비로는 스테빌리트랙(Stabilitrak)과 전방 충돌 경고, 차선 이탈 경고 등이 제공된다.
파워트레인은 138마력을 발휘하는 I4 1.4L 가솔린 터보 엔진에 6T40 6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유럽형 모카 가솔린 사양의 구성을 그대로 사용했다. 구동 방식은 전륜구동을 기본으로 하나, 보그워너와 협업해 사륜구동 선택지도 제공했다. 후륜 서스펜션은 구동 방식에 상관 없이 토션빔 방식이 적용된다.
크기는 전장 4,280mm, 전폭 1,775mm, 전고 1,646mm, 축거 2,555mm 수준이다. 미니 컨트리맨보단 크지만 당시 시장에 나와 있던 대부분의 소형 SUV들보단 아담한 체구를 지닌 편이었다. 다만 2열 시트 6:4 폴딩과 트레이를 지원해 공간 활용성은 나쁘지 않았다.
트림 구성은 북미 사양 기준으로 기본형인 베이스(Base), 중급인 컨비니언스(Convenience), 중상급인 레더(Leather), 최상급인 프리미엄(Premium) 등 4단계로 나뉘었다.
북미 사양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한국GM 부평공장에서 생산되었고, 중국 사양은 중국 현지에 위치한 상하이-GM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출시 첫해 미국 시장에서 3만 1천대가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SUV 열풍에 힘입어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5년엔 6만 7천대가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다. 중국 시장에선 출시 첫해부터 6만 1천대 넘게 팔렸고 이듬해엔 8만 2천대 넘게 팔리며 북미 시장보다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2016년형 연식변경을 거치면서는 153마력을 발휘하는 신형 SGE 1.4L 가솔린 터보 엔진 선택지가 새로 추가되었다.
2.1.2. 후기형(2016~2023)
| |
1세대 후기형 앙코르 |
2016년 3월, 뉴욕 국제 오토쇼를 통해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 모델이 공개되었다. 앞서 제네바 모터쇼를 통해 공개된 오펠 모카의 페이스리프트 버전과 거의 동일한 업데이트를 거쳤다.
외관은 새로운 부메랑 형태의 DRL이 포함된 풀 LED 헤드램프[4]의 장착과 함께 그릴, 범퍼, 안개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요소를 수정했고, 클레딩의 면적을 줄여 한층 도시적인 인상으로 거듭났다. 보닛도 변경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벤티포트 장식은 삭제되었다. 실내엔 컬러 LCD창이 포함된 새로운 디자인의 계기판과 신형 8인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가 도입되었고, 이에 맞춰 대시보드 금형을 갈아엎었다. 각종 버튼류도 조금 더 직관적으로 재배치되었다.
편의 장비로는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가 추가되었고, 버튼 시동이 기본화되었다. 안전 장비로는 후방 교차 충돌 경고가 추가되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과 동일하다.
트림 구성은 약간의 조정을 거쳤다. 북미 사양 기준으로 프리퍼드(Preferred), 스포츠 투어링(Sport Touring), 프리퍼드 II 등 3가지 트림이 추가되었고, 기존 레더 트림이 에센스(Essence) 트림으로 대체되었다.
시장에서 무난한 평가를 받으며 초기형보다 판매량이 증가했으며, 상승세가 꾸준히 이어져 2019년엔 미국에서 10만 2천 대 넘게 판매되었다. 중국 시장에서 2세대 모델이 공개된 이후에도 북미 시장에선 이 1세대 모델의 후기형이 계속해서 판매되었다. 다만 상급 모델인 앙코르 GX가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 2020년을 기점으로 트림과 색상, 편의장비를 제한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했고 판매량이 점차 줄어들었다.
2022년 11월 26일을 끝으로 대한민국 공장에서의 생산이 종료되었다. 2023년 3월엔 재고 처리를 마치고 북미 홈페이지에서 삭제되었다.
공식적인 후속은 없으나, 멕시코 시장에선 앙코르의 단종 이후 앙코르 GX가 앙코르의 이름으로 판매 중이다.
2.2. 2세대(JBUB, 2019~2023)
| |
2세대 초기형 앙코르 |
중국 시장 광고 |
2019년 4월, 상하이 오토쇼를 통해 2세대 모델이 공개되었다. 1세대와 달리 중국 시장 전용 모델이며, 북미 시장에선 이 2세대 모델 대신 기존 1세대 모델의 판매가 계속된다. 차체는 GM의 신흥국용 유니바디 플랫폼인 GEM 플랫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고, 일부 요소를 쉐보레 트랙커와 공유한다.
외관은 기존보다 스포티한 느낌을 강조했다. 앞서 공개된 엔스파이어(Enspire) 콘셉트의 영향을 받아 그릴의 수평선 두께를 키우고 유려한 캐릭터 라인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A필러와 루프 상단이 검게 칠해진 투톤 색상 선택지도 새로 제공된다. 실내는 입체적인 형상의 대시보드에 플로팅 타입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유채색 마감을 제공해 분위기를 쇄신했다.
파워트레인은 116마력의 I3 1.0L 가솔린 터보 엔진에 6T40 6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 기본형과 158마력의 I3 1.3L 가솔린 터보 엔진에 CVT가 맞물린 고급형 두 가지로 나뉜다. 구동 방식은 둘 모두 전륜구동 기반이다.
크기는 전장 4,295mm, 전폭 1,798mm, 전고 1,616mm, 축거 2,570mm 수준이다. 1세대보단 크지만 상급 모델인 앙코르 GX보단 확실히 작다.
차량의 생산은 중국 현지에 위치한 상하이-GM 공장에서 이뤄졌다.
2023년 중순, 중국 시장에서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종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323232> 소형 | - | 세일 | |
준중형 | 베라노 · 벨라이트 6 | 스페셜(1961~1963) · 아폴로 · 스카이호크 · 엑셀 · 엑셀 XT · 엑셀 GT · 벨라이트 5 | |
중형 | 리갈 | 스탠다드 식스 · 스카이락 · 소머셋 · 스페셜(1964~1969) · 센추리 · 스포트 왜건 | |
준대형 | 라크로스 | - | |
대형 | - | 모델 B · 4 · 식스 · 마스터 식스 · 슈퍼 · 리미티드 · 로드마스터 · 스페셜(1936~1958) · 스카이락(1953~1972) · 엘렉트라 · 르세이버 · 인빅타 · 와일드캣 · 센추리온 · 리비에라 · 에스테이트 · 파크 애비뉴 · 로이엄 · 루체른 | |
컨버터블 | - | 카스카다 · 레아타 | |
소형 SUV | 앙코르 GX · 엔비스타 | 벨라이트 7 · 앙코르 | |
준중형 SUV | 엔비전 | - | |
중형 SUV | 엘렉트라 E4 · 엘렉트라 E5 | 레이니어 · 랑데뷰 · 리갈 투어X | |
준대형 SUV | 엔클레이브 | - | |
MPV | GL8 | 테라자 · GL6 | |
대전차 자주포 | - | M18 헬캣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쉐보레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 | }}} |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소형차 | <colbgcolor=#fff,#000> 오닉스 · 세일 | <colbgcolor=#fff,#000> 아베오[i] · 스파크[i] · 로바[C] | ||||
준중형차 | 멘로[C] · 몬자[C] | 크루즈[C] · 카발리에 · 코르시카[i] | ||||
중형차 | 말리부 XL[C] | 에피카 | ||||
대형차 | - | 카프리스 클래식[i] | ||||
스포츠카 | - | 카마로[i] | ||||
슈퍼카 | - | 콜벳[i] | ||||
소형 SUV | 시커[C] · 트랙커[C] | 트랙스 | ||||
준중형 SUV | 이쿼녹스 · 이쿼녹스 EV[i] | - | ||||
중형 SUV | 블레이저 · 트레일블레이저 | 캡티바[i] | ||||
준대형 SUV | 트래버스 | - | ||||
픽업트럭 | - | 실버라도[i] · 콜로라도[i] | ||||
MPV | - | 올란도[C] · 로바 · 루미나[i] | ||||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 [ 캐딜락 ]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800>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000> CT4 <colbgcolor=#fff,#000> ATS · ATS-L[i][C] 준대형차 CT5 CTS[i] · SLS[C] 대형차 CT6[C] XTS · 플리트우드 브로엄[i] · 플리트우드[i] 스포츠카 - XLR[i] 준중형 SUV GT4[C] · XT4 - 중형 SUV XT5[C] · 옵틱 SRX[i] 준대형 SUV XT6 · 리릭 - 대형 SUV - 에스컬레이드[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 뷰익 ]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height=70><width=800> ||
<colbgcolor=#000>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베라노 프로[C] · 벨라이트 6[C] 벨라이트 5[C] · 엑셀[C] · 엑셀 XT[C] · 엑셀 GT[C] 중형차 리갈[C] 센추리 준대형차 라크로스[C] - 대형차 - 파크 애비뉴 · 로드마스터[i] · 로이엄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C] · 앙코르[C] 준중형 SUV 엔비전 S / 엔비전 플러스[C] - 중형 SUV 엘렉트라 E4[C] · 엘렉트라 E5[C] -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 MPV GL8[C] GL6[C]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각주 [ 펼치기 ·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