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1월 5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1월 7일 |
12월 6일 | 2월 6일 |
◀ | 1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3년 기준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6번째 날에 해당한다.영국에서 1월 6일은 크리스마스 휴일의 마지막 날이라 가정집에서는 크리스마스 장식을 제거한다. 또한 1월은 휴가 시즌을 보내지 못한 의료인들이 연초에 휴가를 몰아서 쓰는 관행이 있어 의료 서비스가 부실해지는 데다가 추위로 인해 면역 기능이 떨어져 노약자 등 사망자가 가장 많은 달인데 특히 1월 6일에 사망자가 많아 장례업체가 이때를 죽음의 날로 명명했다.
2. 사건
2.1. 실제
- 1996년 - 영원한 가객 김광석이 세상을 떠났다.
- 2003년 - 광안대교가 개통되었다.
- 2013년
- KBS의 도전 골든벨에서 여자 진행자의 정지원 아나운서가 여자 새 MC로 발탁되었다.
- KBS의 도전 골든벨에서 한종현(서울 대광고등학교 1학년) 군이 제90대 골든벨 수상자가 되었다.
- 2015년 - 무한의 계단이 출시되었다.
- 2016년 - 북한에서 실험용 수소폭탄 핵실험을 강행했다고 조선중앙텔레비죤이 보도했다.
- 2019년
- 2020년 - 대한민국의 보이그룹 X1이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 2021년
- 2022년 - 국민의힘 원내지도부가 의원 총회에서 이준석 당 대표의 탄핵을 공식 제안하였다.
2.2. 가상
3. 축일
4. 생일
4.1. 실존 인물
- 1367년 - 리처드 2세(~1400년): 영국의 왕
- 1396년 - 효령대군(~1486년): 조선의 왕자
- 1412년 - 잔 다르크[2](~1431년): 프랑스의 수호성인
- 1822년 - 하인리히 슐리만(~1890년): 독일의 사업가 겸 고고학자
- 1850년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1932년):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
- 1854년 - 이용익(~1907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1911년 - 얀 바시에비치(~1976년):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
- 1915년 - 박목월(~1978년): 한국의 시인
- 1917년 - 이정재(~1961년): 한국의 정치깡패
- 1920년 - 문선명음력(~2012년): 통일교 교주
- 1922년 - 유기정(~2010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24년 - 김대중(~2009년): 제15대 대한민국 대통령
- 1931년 - E. L. 독토로우(~2015년): 미국의 작가
- 1938년 - 김영옥: 대한민국의 배우
- 1939년 - 발레리 로바노브스키(~2002년): 우크라이나의 前 축구선수
- 1945년 - 박인환: 대한민국의 배우
- 1946년 - 시드 바렛(~2006년): 핑크 플로이드의 초기 멤버
- 1949년 - 야부키 지로: 일본의 배우
- 1951년 - 최상천: 한국의 유튜버, 전직 교수
- 1954년 - 최재천: 한국의 동물행동학자
- 1955년 - 로완 앳킨슨: 영국의 코미디언, 배우
- 1956년 - 저스틴 웰비: 제105대 캔터베리 대주교
- 1962년 - 장정일: 대한민국의 소설가, 시인
- 1964년 - 재클린: 미국의 프로레슬러
- 1966년 - 다나카 겐: 일본의 정치인
- 1970년 - 오카모토 린: 일본의 만화가
- 1971년 - 김은혜[3]: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75년 - 유카나: 일본의 성우, 본명 노가미 유카나
- 1976년 - 조니 용 보시: 미국의 성우, 배우, 뮤지션, 무술가
- 1977년
- 1980년 - 박시은: 한국의 배우, 본명 박은영
- 1982년 - 에디 레드메인: 영국의 배우
- 1983년
- 1984년
- 1985년 - 서효림: 대한민국의 배우
- 1986년
- 1989년
- 1990년 - 채은성: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 1991년 - 쌍베: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 1993년
- 1994년
- JAY B: 한국의 보이그룹 GOT7의 리더
- 데니스 수아레스: 스페인의 축구선수
- 최원명: 한국의 배우
- 김종인: 한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PraY'
- 오자사 다이스케: 일본의 밴드 Official髭男dism의 기타리스트
- 장중혁: 대한민국의 가수, 보컬 그룹 장덕철의 멤버
- 1996년
- 낯선아이: 한국의 1인 인디 밴드
- KING SOUTH G: 대한민국의 래퍼
- 1997년 - 옥진욱: 대한민국의 배우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클로이: 한국 아이돌 그룹 시그니처의 멤버
- 2002년
- 2003년 - 배현준: 메이저9 소속 연습생, 배우
- 2005년 - 임찌: 대한민국의 틱톡커 겸 유튜버.
4.2. 가상 인물
- 달에 다가가는 소녀의 작법 - 오오쿠라 유세이
- 단간론파 헥사곤 - 유즈리하 아이린
- 데스노트 - 앤소니 레스터
- 동쪽의 에덴 - 모리미 사키
- 라피스 리라이츠 - 피오나
- 마법소녀 타루토☆마기카 The Legend of Jeanne d'Arc - 타루토
-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토탈 이클립스 - 페베 테오도라키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토모에 호타루
- 베요네타 - 잔느
- 블루 아카이브 - 스미 세리나
- 사키 -Saki- - 우에시게 스즈
- 셜록 홈즈 시리즈 - 셜록 홈즈(추정)
- 스도리카 - 시온 알드릭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캐미 화이트
- 스타트렉 - 스팍(2230년)
-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미무라 카나코, 안자이 미야코
- 아이카츠 프렌즈!, ~ 빛나는 보석 ~, 아이카츠 온 퍼레이드 - 미나토 미오
- 왓슨 아멜리아 - 홀로라이브 EN 소속 버츄얼 유튜버
- 영원한 7일의 도시 - 헬가
- 좀비고등학교 - 김태풍
- 진격의 거인 - 오르오 보자드
-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 - 오오루리 아야미
- 플로럴 플로우러브 - 사이스 리쿠
- 하이큐!! - 시미즈 키요코
- 헤븐 번즈 레드 - 시라카와 유이나
- 히어로 써클 - 도일
- 후루하타 닌자부로 - 후루하타 닌자부로
- CRYSTAR - 메구미바 센
- Kanon - 사와타리 마코토
- Tokyo 7th 시스터즈 - 와카오지 루이
- 변신자동차 또봇 - 차하나, 차두리
5. 기일
5.1. 실존 인물
- 1537년 -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1510년~): 피렌체의 통치자.
- 1693년 - 메흐메트 4세(1642년~): 오스만 제국의 제 19대 술탄.
- 1852년 - 루이 브라유(1809년~): 프랑스의 교육자, 점자의 고안자.
- 1884년 - 그레고어 멘델(1822년~): 오스트리아의 신부, 과학자.
- 1918년 - 게오르크 칸토어(1845년~): 독일의 수학자.
- 1919년 - 시어도어 루스벨트(1858년~): 제26대 미국 대통령.
- 1921년 - 박병익(1890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 1946년 - 하야사카 큐베에 주교(1888년~): 천주교 대구대교구 제3대 교구장.
- 1954년 - 페드로사(1913년~): 브라질의 축구선수, 정치인.
- 1996년 - 김광석(1964년~):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 2007년 - 이석영(1948년~): 전 중소기업청장.
- 2013년
- 2015년 - 한태근(1928년~): 대한민국의 동요 작곡가, 목사.
- 2020년 - 이중경(2001년~): 구미 나들목 교통사고 사건의 인물.
- 2021년 - 빅죠(1978년~): 미국계 대한민국의 래퍼.
- 2022년 - 시드니 포이티어(1927년~): 바하마, 미국의 배우.
- 2023년 - 잔루카 비알리(1964년~):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축구선수.
5.2. 가상 인물
[1] 참고로 성인을 공경하지 않는 개신교에서도 이 날은 주현절(대부분의 개신교)/공현절(성공회)이라고 하여 따로 기념한다.[2] 정확하지는 않다.[3] 민증상으로는 1971년 10월 6일생이다.[4] 원작에선 11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