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0:04:30

바실레프스

군주의 호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1.4px"
<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마하라자디라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별도의 틀 참고) }}} }}}}}}}}}



1. 개요

바실레프스(Βασιλεύς, 복 바실리스(βασιλεῖς))는 그리스어에서 왕을 가리키는 낱말이다. 여성형은 바실리사(βασίλισσα) 혹은 바실리나(βασιλίννα)다.[1]

로마의 아우구스투스(Augustus) 개념을 그리스인들은 제정 초기부터 실용적으로 Basileus(Βασιλεύς, 왕)라고 불렀는데[2] 이후 Basileus라는 칭호가 로마 지배자급 군주에게만 사용하는 것으로 뜻이 좁혀지면서 마치 '황제'처럼 쓰이기도 하였다.[3]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래는 '왕'이란 의미에서 출발한 단어다 보니 19세기에 건국된 그리스 왕국은 자신들의 군주를 Βασιλεὺς라고 불렀으며 오늘날에도 그리스어에서는 영국 국왕, 에스파냐 국왕 등을 동일한 어원의 현대어인 바실리아스(βασιλιάς), 복 바실리아데스(βασιλιάδες)라고 부른다.

인명으로 쓰일 때는 바실리오스(Βασίλειος)나 바실리스(Βασίλης)로 쓰이는데 이는 러시아어 인명인 바실리(Васи́лий)의 어원이기도 하다.

2. 발음

유구한 역사를 가진 단어다 보니 발음도 시대에 따라 바뀌었다. 고대 미케네 선문자 B로는 qa-si-re-u라는 4음절로 표기하며 *gʷasileus 와 같은 식으로 발음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호메로스 시대에는 βασιλῆος, βασιλέως라고 쓰고 바실레오스(basilêos)라고 읽었고 고전기에는 Βασιλεύς라고 쓰고 바실레우스나 바실류스(basile͜ús)라고 읽었다.

그러다가 코이네 그리스어가 서반구 세계에 널리 퍼진 헬레니즘 시대 말기(기원전 1세기 ~ 서기 1세기)부터 표기는 그대로 Βασιλεύς이되 발음이 바실레프스(βa.siˈleɸs)로 변했다. 중세 초기부터 15세기 동로마 제국 멸망 시기까지 쓰인 중세 그리스어로는 발음이 다시 va.siˈlefs로 바뀌었는데, β와 v, ɸ와 f의 발음 차이는 한글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바실레프스라고 쓴다. 19세기 그리스 독립 이후 카사레부사 그리스어로도 중세 발음법을 따라 바실레프스로 읽었고 이는 현대까지 이어진다. 20세기에 표준어 규범을 입말인 디모티키에 가까운 것으로 개혁하면서 입말인 바실리아스가 왕을 가리키는 낱말로 바뀌었다.

3. 역사

3.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왕(王)을 뜻하는 말로써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는 세습되는 공동체의 지도자인 과두 정치에 있어서 같은 직무와 군대에서 다른 어떤 사람들보다 고귀한 혈통임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본래는 와낙스(Wanax, ϝάναξ)[4]라는 말이 왕을 뜻했다고 하지만 좀 더 후대로 가면서 바실레오스에 밀려 사장된 것으로 보인다.

고대 크레타에 존재했던 문명인 미노스 문명에서는 wanax라는 왕이 중앙에 위치하여 왕중왕 위치에 있고 섬의 각 지방을 *gʷasileus라는 이들이 통치했다고 되어 있는데 이후 미노스 문명이 붕괴하면서 이들이 왕의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도 추측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가멤논이 와낙스로 칭해지고 있다. 고전기의 아테네에서는 제사에 관계된 직무를 담당한 아르콘을 가리키기도 했다.

BC 4세기에는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대왕을 가리킬 때 메가스 바실레우스라고 했고 그리스어를 쓰는 왕국이었던 마케도니아 왕국이나 에피루스 왕국의 왕들도 바실레우스라고 불렀다. 그래서 페르시아를 정복한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사후 디아도코이 전쟁을 거쳐 건국된 헬레니즘 제국들인 셀레우코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왕들도 모두 바실레우스(혹은 바실류스)였다.

아르메니아 왕국, 폰토스 왕국, 페르가몬 왕국, 보스포로스 왕국, 박트리아 왕국, 카파도키아 왕국, 비티니아 왕국, 하스몬 왕조, 헤로데 왕조 등 헬레니즘 시대에 서아시아 지역에 들어섰던 수많은 왕국들이 군주의 칭호로 바실레우스를 썼다. 군주가 다른 제국이나 연맹체에 속해 있을 때는 스트라테고스, 사트라페스, 튀란노스, 아르콘, 헤게몬 등으로 불리다가 독립 왕국을 세울 만한 명분이나 실력을 갖췄다고 생각되면 바실레프스를 칭하는 식이었다. 헬레니즘 국가는 아니었지만 그리스어를 공용어로 썼던 이란아르사케스 왕조 파르티아도 이란식 칭호인 왕중왕을 그리스어로 쓴 바실레우스 바실레온(혹은 바실레오스 바실레온)을 군주의 칭호로 사용했다.

3.2. 고대 로마

기원전 2세기 전후 그리스 본토와 중동의 왕국들 대부분은 로마 공화국에게 정복되거나 보호국 내지 속국으로 사실상 로마 지배 아래 놓이게 되면서 바실레우스 호칭은 잠시 사라졌다가 기원전 27년 전후로 원로원 중심의 로마 공화정이 무너지고 프린키파투스(원수정 체제)로 로마의 국제가 사실상 바뀌었다.[5]

이렇게 되자 로마 제국 동부의 주민들은 로마의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들을 바실레프스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탈리아와 서방 일대의 로마인들은 공식적으로는 아우구스투스는 군주가 아니며 단지 공화정의 '최고존엄(Augustus)'일 뿐이며, 마리우스와 술라의 시대부터 일상화된 내전을 치유한 자에게 원로원과 로마시민들이 내어준 명예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사실상 황제로 등극한 당시의 실권자 옥타비아누스 역시 자신을 두고 대놓고 '왕', '군주', '황제'와 연관된 단어를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도리어 자신이 공화정 파괴자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 옛날 로마 왕정 시절의 Rex(왕)라는 칭호만 피하고 원하는 칭호, 명예를 원로원 내 측근들을 통해 입법해 어쩔 수 없다는 듯 부여받았고, 헬라어를 사용하는 아시아, 폰투스, 페르가몬, 프리기아 일대의 그리스계 주민들의 반인반신 숭배를 격렬히 거부하겠노라며 오직 클리엔텔라 관습을 유추적용해 그들을 돕겠노라고만 했다. 그 결과 그는 양부이자 외종조부인 카이사르의 양자가 된 뒤 쓰고 있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라는 본명 대신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디비 필리우스 아우구스투스'라는 새로운 공적 이름을 만들어 사용하면서 아우구스투스로 약칭돼 호칭됐고, 그가 가지고 있던 공식 직함은 원로원 제1인자(프린켑스 세나투스), 최고존엄(아우구스투스), 총사령관(임페라토르), 국가의 아버지(국부)와 같은 로마 공화정 냄새가 물씬 풍기는 것 뿐이었다.

허나 이는 결국 눈 가리고 아웅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그리스어를 쓰던 제국 동부 주민들은 아우구스투스의 이런 꼼수를 단번에 눈치챘고 그가 은근슬쩍 벌인 황제 우상숭배에 편승해 30대 중반에 불과한 아우구스투스에게 사절까지 보내 그를 신의 대리인과 같은 존재로 숭배하고 그를 군주로 대접했다. 페르가몬, 에페수스 같은 그리스계 도시들이 몰린 아나톨리아 반도와 그 주민들이 대표적인 사례였는데 이곳 주민들을 시작으로 제국 동부에서는 과거 셀레우코스 제국, 마케도니아 왕국의 군주 등의 강력한 그리스인 군주와 아우구스투스 및 그 일가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를 동일시했다.[6]

원래 라틴어 임페라토르를 그리스어로 번역한 말은 아프토크라토르(αὐτοκράτωρ/Aftokrator)였다. 아프토크라토르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스스로 지배하는 자라는 뜻으로, 최종적인 결정 권한과 책임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말을 처음 쓴 것은 고대 아테네 민주정으로, 민회에 의해 선출된 스트라테고스(사령관)들 중 군사, 외교 사안에 대해 독자적으로 결정한 뒤 사후 보고할 권한을 받은 이들을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라고 불렀다. 그러다가 그리스 전역을 군사적으로 제압한 마케도니아 왕국필리포스 2세알렉산드로스 3세가 개별 도시국가들을 점령, 병합하는 대신 괴뢰 연맹체를 세워 그 지휘권을 내세우며 스트라테고스 아우토크라토르를 자칭하였다. 이 선례를 따라 헬레니즘 시대에는 군주의 대리인이나 참주들이 주로 쓰는 칭호가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기원전 2세기 역사가 폴리비오스포에니 전쟁 시기 로마의 딕타토르(독재관)를 그리스어로 아우토크라토르라고 번역하였고 제정 시대 로마군 전체와 대다수 속주들에 대한 임페리움을 독점하여 로마 원로원의 권력을 무력화한 임페라토르 역시 코이네 그리스어로 아프토크라토르라고 번역하게 되었다.

그러나 임페라토르든 아프토크라토르든 결국은 군주가 군주로서의 모든 주권을 가졌으면서 왕이라는 이름만 쓰지 않겠다는 표현에 불과했으므로 제국 동부의 그리스어 화자들은 현실을 반영해 아우구스투스 이래의 로마 황제들을 그냥 왕이라는 뜻의 바실레프스라고 불렀다. 가령 신약성경에서는 베드로 1서 2장 13-14절에서 제국의 수장을 Basileus라 부른다.[7]

군소 왕국들이 난립하여 수많은 바실레프스들이 있었던 헬레니즘 시대와 달리 로마 제국 시대에는 바실레프스라고 불리는 군주가 로마 황제 외에는 없었기 때문에 단순히 여느 왕국의 왕을 가리키는 말일 뿐이었던 바실레프스가 (서양) 세계 최강대국 로마 제국의 황제를 가리키는 말로 변하여 그 격이 매우 높아졌다. 로마 다음 가는 제국이자 강대국이었던 이란의 아르사케스 왕조가 바실레우스 바실레온이란 칭호를 쓰긴 했지만 서기 3세기에 망하고 그리스 문화를 적대시한 사산 왕조로 대체된 이후에는 이란에서 그리스어를 거의 쓰지 않았기 때문에 수백 년 동안 바실레프스는 로마 제국의 황제만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3.3. 동로마 제국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로마 황제와 황후의 칭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colcolor=#FFF><colbgcolor=#EE9021,#B87A00>
라틴어
그리스어
남성형
여성형
}}}}}}}}}
파일:Basileus-Monogram.png
성 소피아 대성당의 기둥에 새겨져 있는, 바실레프스를 상징하는 모노그램
그리스어 βασιλεύς

흔히 대중들에게 7세기 이라클리오스(헤라클리우스) 황제 때 공용어를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바꾸고 이 때부터 황제를 가리키는 표현도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에서 바실레프스로 바꿨다고 알려져 있으나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당장 이라클리오스 이전의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시절 성 소피아 대성당의 기둥에 황제를 뜻하는 모노그램으로 바실레프스를 새겼다.

그리스어는 기원전 4세기 헬레니즘 시대부터 아나톨리아,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이집트 등 근동 지역의 공용어였다. 로마 공화국의 정복과 로마 제국 수립으로 라틴어가 유입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다른 곳에서 징집되어 동방으로 배치된 군인들과 군대 용어에 한정되었고, 서기 7세기 이라클리오스 시대까지 거의 1천 년 동안 이 지역의 제1언어는 항상 그리스어였다.

이라클리오스가 취했다는 조치는 공용어가 아니라 군대 용어를 그리스어로 바꾼 것이고 이라클리오스 시대에는 제국에 남은 영토 대부분이 그리스어 사용권이었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잘 써오던 라틴어를 바꾼 게 아니라 그냥 현상의 변화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다만 군대 용어에 오랫동안 라틴어를 썼기 때문에 그리스어 사용 이후에도 오랫동안 라틴어 단어들의 잔재가 강하게 남기는 했다.

어쨌든 7세기 이후로는 중세 그리스어 '바실레프스'가 대내외적으로 로마 황제를 대표하는 칭호로 자리잡았지만 바실레프스는 어디까지나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여러 칭호 가운데 대표가 된 것 뿐이고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 등도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칭호로 계속 남았다. 카이사르는 디오클레티아누스4두정치 시대에 정제(正帝)를 아우구스투스, 부제(副帝)를 카이사르라고 했던 예에 따라 바실레프스,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에 비해 한 단계 낮은 칭호로 내려갔다. 동로마 제국은 다른 나라들이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 등의 칭호를 함부로 쓰는 것에 대해 대단히 신경질적으로 반응했으며 가능하다면 외교든 전쟁이든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막으려 들었다. 신성 로마 제국이나 불가리아 제1제국 등이 황제 칭호를 쓰는 걸 마지못해 용인한 뒤에는 로마인들의 황제(βασιλεύς Ῥωμαίων, 바실레프스 로메온)라고 써서 로마 제국의 정통성을 내세웠고 적어도 자기들이 보는 앞에서는 절대 다른 '황제'들에 로마인이라는 수식어를 붙이지 못하게 했다.

10세기 초에는 고대에 임페라토르의 번역어로 쓰이다가 점차 의례상으로만 나타나던 표현인 아프토크라토르를 황제의 칭호에 추가하기 시작했다. 여기서의 아프토크라토르는 곧 군주로서 가장 높은 주권을 가졌다는 의미다. 10세기 로마 제국은 후계자의 입지를 다지거나 기타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여러 명의 공동 황제(심바실레프스)들을 세웠는데 통치자의 주권을 가진 한 명의 최선임 황제와 다른 여러 공동 황제들 사이의 급간 차이를 확실히 하기 위해 덧붙인 것이다. 최종적으로 11세기 이후 로마 황제의 정식 명칭은 로마인들의 황제이자 주권자(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Ῥωμαίων, 바실레프스 케 아프토크라토르 로메온, Emperor and Autocrat of the Romans)로 굳어졌다.

파일:external/65.media.tumblr.com/tumblr_oh9rc6GQNp1uckof9o1_400.jpg

1438년 이탈리아 예술가 피사넬로가 로마 황제 요안니스 8세페라라-피렌체 공의회 참석을 기념해 만든 메달. 연도를 보면 알겠지만 멸망하기 15년 전이었다. 어쨌든 테두리에는 그리스어로 '요안니스 바실레프스 케 아프토크라토르 로메온 오 팔레올로고스' 라고 새겨져 있다.

3.4. 동로마 멸망 이후

1453년 로마 제국멸망한 뒤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의 조카인 소피아 팔레올로기나모스크바 대공국이반 3세결혼했고 이반 3세는 이 결혼과 킵차크 한국에서 완전히 독립한 것을 계기로 삼아 아프토크라토르를 러시아어로 번역한 사모데르제츠(Самодержецъ)란 칭호를 도입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로마 제국과 비슷한 형식으로 전러시아의 황제이자 주권자(Императоръ и Самодержецъ Всероссійскій, 임페라토르 이 사모데르제츠 브세로시스키)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한편 프랑스 왕국샤를 8세는 조이의 남동생 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로부터 황제 작위를 구입하여 발루아 왕조 프랑스 국왕의 작위 목록에 추가했으나 큰 의미는 없었다.

로마 제국을 정복한 오스만 제국의 황제(파디샤)들은 페르시아어 식으로 "로마의 카이사르(Kayser-i Rum)"를 자칭했으나 그리스어인 바실레프스란 호칭은 쓰지 않아서 수백 년 동안 바실레프스가 나오지 않았다. 오스만 제국 내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주민들(Rumi)은 습관대로 파디샤를 바실레프스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오스만 제국 시기 그리스어 문헌에서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주로 술타노스(σουλτάνος) 혹은 판디사흐(παντισάχ)라고 쓰였다. 술타노스는 보이는 그대로 술탄이고 판디사흐는 파디샤의 그리스어식 변형인데 그리스어에는 영어의 sh 발음이 없어 현재도 많은 그리스인들이 sh 발음을 잘 못 한다.

3.5. 그리스 왕국

1832년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그리스의 군주가 된 오톤이 군주의 칭호를 카사레부사 표기로 Βασιλεύς της Ελλάδος(바실레프스 티스 엘라도스)라고 정했으며 다른 국가들은 이 칭호를 황제가 아니라 그리스 왕이라고 번역하였다. 현대 그리스어(디모티키)에서도 바실리아스는 그냥 왕(king)이고 황제(emperor)는 동로마 제국 시대에 쓰였던 칭호를 따서 아프토크라토라스(αυτοκράτορας)[8]라고 한다. 바실레프스(βασιλεὺς)는 역사적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그대로 바실레프스라고 읽는다.


[1] 로마자로는 통상적으로 Basileus(바실레우스)라고 전사하지만 현대 그리스어 발음은 바실레프스(va.siˈlefs)다.[2] 왕 위의 존재란 개념에서 출발한 중국의 황제 개념과 달리 로마의 황제(Augustus) 개념은 공화국에서 왕(Rex) 노릇 해먹으려는 꼼수에서 출발한 것이기 때문에 '왕'은 유럽에서 언제나 자주국의 수장으로서 부족함이 없는 칭호였다. 따라서 희랍인들이 아우구스투스를 Basileus라고 부른 건 제국의 지도자를 낮춰 부른 게 아니며 공화국에서 이미 왕 노릇을 하는 실질적인 왕을 그냥 솔직하게 실용적으로 왕(Basileus)이라고 부른 것 뿐이다.[3] 그래서 비잔티움에선 자신들 외의 다른 유럽 군주들은 바실레우스라 부르지 않았고 왕을 의미하는 라틴어 Rex로 불렀다.[4] 이 표현은 아낙사고라스(Ἀναξαγόρας,), 아낙시만드로스(Ἀναξίμανδρος), 아낙시메네스(Ἀναξιμένης) 같은 고대 그리스인의 인명에 쓰이기도 하였다.[5]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두 양자 티베리우스, 대 드루수스, 그들의 직계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황제와 황족들은 살아생전 원로원과 로마군 앞에서 단 한 번도 제국, 왕국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다. 이는 플라비우스 왕조 이래의 원수정 체제 아래에서의 로마 황제들도 비슷했다. 되레 그들(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드루수스)은 옥타비아누스가 공화정의 적이자 엘리트 독재의 상징으로 매도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이기고 두 번의 조정 헌법으로 탄생된 로마를 여전히 로마 공화국으로 부르며 과거처럼 로마 공화국이라고 하거나 '회복된 공화국', '새로운 공화국' 등으로 불렀다.[6] 물론 이런 분위기에 아우구스투스와 그 양자이자 후계자인 2대 황제 티베리우스는 의심의 눈초리로 쳐다보는 원로원과 로마인들에게 "말을 해도 통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입장을 내면서 유야무야 넘겼으며 황제 우상숭배와 바실레프스 용어 사용을 당연시한 주민들에게 특허권 비슷한 방법으로 허락해 주면서 이를 조금씩 제국 전역에 스며들도록 했다.[7] Ὑποτάγητε πάσῃ ἀνθρωπίνῃ κτίσει διὰ τὸν κύριον, εἴτε βασιλεῖ ὡς ὑπερέχοντι εἴτε ἡγεμόσιν ὡς δι’ αὐτοῦ πεμπομένοις εἰς ἐκδίκησιν κακοποιῶν, ἔπαινον δὲ ἀγαθοποιῶν["여러분은 인간이 세운 모든 제도에 복종하십시오. 그것이 주님을 위하는 것입니다. 황제는(βασιλεῖ) 주권자이니 그에게 복종하고 총독은 황제의 임명을 받은 사람으로서 악인을 처벌하고 선인을 표창하는 사람이니 그에게도 복종해야 합니다.", 공동번역][8] 단수형으론 '아프토크라토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