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9 12:43:30

아우토크라토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아프토크라토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월드 트리거에서 등장하는 행성국가에 대한 내용은 네이버(월드 트리거) 문서
4.2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로마 황제와 황후의 칭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colcolor=#FFF><colbgcolor=#EE9021,#B87A00>
라틴어
그리스어
남성형
여성형
}}}}}}}}}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1. 개요

아우토크라토르(αὐτοκράτωρ, autocrator), 황제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다. 세계사적으론 로마 황제의 칭호 중 하나로 유명하다. '아프토크라토르'라고도 하는데 고전 그리스어중세 그리스어의 발음 차이다.

그 의미는 발음의 유사성으로 짐작할 수 있듯이, 라틴어 아우구스투스처럼 '존엄한 자'란 뜻이다. 두 단어는 어원이 같다.

2. 역사

현대에는 '황제'란 의미로 통용되지만, 사실 맨 처음 쓰인 고대 그리스에선 '황제'란 의미가 아니었다. 고대 그리스는 형식상으로나마 '동등'했던 여러 폴리스의 연합체였고, 아무리 잘나가는 폴리스의 지도자라도 '황제'로 번역될 만한 무언가를 자칭하면 타 폴리스의 외교적 견제를 각오해야 했다. 때문에 고대 그리스에선 'Μέγας'(대왕)라 불린 알렉산드로스 3세 정도를 제외하면 왕이 신분제상 가장 위였으며, 동시대 인도와 페르시아에선 이미 '황제'라는 직책[1]과 그 권위가 정립된 것과 다르게 왕 위의 또다른 권력자를 생각하지도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아우토크라토르는 단순히 명망이 높은 이의 별칭으로나 쓰였다. 이런 아우토크라토르가 황제라는 의미로 승격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라틴어 사용자였던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덕택이었다. 그리스 총독들은 라틴어로 된 이들의 칙령을 그리스어로 해석하고 민중에 알릴 필요가 있었는데, 여기서 로마 황제를 뜻하는 임페라토르의 번역어로 아우토크라토르가 택해진 것.

이때부터 로마시대 내내 그리스 지역은 로마 황제를 '아우토크라토르'라 서술했다. 이는 그리스어가 역으로 라틴어를 누르고 국어의 지위를 가졌을 때도 이어져, 동로마 황제의 정식 직책명으로 쓰였다. 특히 특유의 공치제로 황제가 여러 명이 생길 경우, 권위상 우위인 황제에게 아우토크라토르 칭호를 부여해서 구분하기도 했다.

이렇게 로마의 헬레니즘 제국 정복 이후부터 동로마의 멸망까지 오래토록 쓰인 단어건만, 실사용은 마찬가지로 로마 황제를 뜻하는 바실레프스(혹은 바실레우스)에게 다소 밀렸던 것으로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아우토크라토르가 일반 민중들이 접하기 어려운 행정 문서에 주로 쓰인 반면, 바실레프스는 그리스 민중의 입말로 쓰이다가 퍼졌기 때문. 문맹률이 높았던 고대·중세에는 구어체 단어가 문어체 단어보다 범용성이 훨씬 좋을 수밖에 없었다.

후에 오스만 제국에게 동로마가 멸망하고 몇백년만에 겨우 독립한 그리스에선 바실레프스는 왕을 가리키는 단어로 되돌아갔지만, 이 아우토크라토르는 황제를 가리키는 단어로 살아남아 문학과 언론에서 여전히 쓰이고 있다.

3. 관련 문서



[1] 각각 '삼라트'와 '샤한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