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23:06:35

코이네 그리스어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d5eaf>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올리브
역사역사 전반 · 미노스 문명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제국 · 동로마 제국 · 파나리오테스 · 그리스 독립 전쟁 · 그리스 제1공화국 · 그리스 왕국 · 그리스 내전 · 그리스-오스만 전쟁· 그리스 제2공화국 · 그리스 군사정권
지리행정구역 · 펠로폰네소스 반도 · 할키디키 반도 · 이오니아 해 · 에게 해 · 도데카니사 제도 · 레스보스 섬 · 크레타 · 키클라데스 제도 (산토리니) · 에우보이아 · 코르푸 · 히오스 섬 · 델로스 섬 · 트라키아 · 올림포스 산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그리스 대통령 · 그리스 총리 · 그리스 의회
외교외교 전반 · 유럽연합(탈퇴 논쟁) · 여권
경제경제 전반 · 그리스 드라크마(폐지) · 유로
국방그리스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교통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 · 에게안 항공 · 아테네 지하철 · 코린토스 운하
문화문화 전반 · 그리스 로마 신화 · 그리스 교회 · 영화 · 그리스 요리 ·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어 (고전 그리스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렘베티카 · 세계유산 · 관광 · 필헬레니즘
사회그리스 마피아
민족그리스인 · 흑해 그리스인 · 우룸인 · 그리스계 러시아인 · 그리스계 미국인 · 그리스계 캐나다인 · 그리스계 호주인 · 그리스계 멕시코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칠레인 · 그리스계 영국인 · 그리스계 독일인 · 그리스계 프랑스인 · 그리스계 튀르키예인 · 그리스계 이탈리아인 · 그리스계 스페인인 · 그리스계 네덜란드인}}}}}}}}}

코이네 그리스어
ἡ κοινὴ διάλεκτος(헤 코이네 디알렉토스)[1]
Koine Greek
<colcolor=#ffffff><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동사-주어-목적어 (VS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그리스 문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없음(사멸)
사멸 600년경(중세 그리스어로 변함)
계통 인도유럽어족
헬라어파
아테네-이오니아 방언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3 grc[2]

1. 개요2. 어원3. 표기와 발음
3.1. 발음 재구의 문제
4. 고전 그리스어와의 차이점
4.1. 신약 그리스어

[clearfix]

1. 개요

코이네 그리스어는 기원전 4세기부터 중세 그리스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기원후 5세기까지 쓰이던 그리스어로 현대 그리스어의 직계조상이자 고전 그리스어의 후손언어쯤 된다.

알렉산드로스 3세헬레니즘 제국을 건설한 이후로 자연스럽게 제국 곳곳에 그리스어가 널리 퍼졌는데, 당시에는 통일된 언어가 없었고 표준어라는 개념도 없던 시대기 때문에 여러 방언 사이에 소통의 문제가 존재했다. 이 때문에 당시 사용되었던 여러 고전 그리스어의 방언들이 섞이며 코이네 그리스어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다.

헬라어라는 표현과 이의 한자 음차인 희랍어(希臘語)는 주로 코이네 그리스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쓰이는 그리스 지명 표기는 코이네 그리스어를 주로 따랐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공식적으로는 동로마 제국에서 1453년까지 사용했지만 이때는 이미 중세 그리스어가 발생한 시기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민중의 입말은 중세 그리스어 혹은 제국 내부에서 쓰인 다양한 언어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현실이었고, 코이네 그리스어는 르네상스 당시 라틴어와 비슷하게 문학적 혹은 종교적 용도에 한하여 사용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더이상 일상언어로 사용되지 않지만 기독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특히 정교회에서는 전례언어로 살아남아 오늘날에도 사용된다.[3] 이는 구약성경이 다른 언어로 처음 번역된 사례였던 70인역(septuaginta)과 신약성경이 코이네 그리스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지중해레반트 지역에서는 아람어와 더불어서 링구아 프랑카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은 코이네 그리스어를 구사했다. 조금 더 엄밀하게 말하면 70인역에 나오는 것은 히브리어, 아람어의 영향을 받은 코이네 그리스어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고, 그냥 코이네 그리스어 내부의 사회 방언으로 보면 된다.

2. 어원

'코이네'는 코이네 그리스어 'Κοινή'에서 온 단어이다. 고전 그리스어(아테네 방언)로는 /koi̯.nɛ̌ː/(코이네)라고 발음하고 코이네 그리스어로는 /kyˈne/(퀴네) 혹은 /kyˈni/(퀴니)라고 발음하며 전자가 더 옛 발음이다. 현대 그리스어로는 경구개음화가 반영된 /ciˈni/(키니)라고 발음한다.

Κοινή라는 단어 자체는 κοινός(코이네 발음으로 /kyˈnos/·퀴노스)의 여성 주격 단수형 곡용(제1변화)으로 보통의, 평범한, 보편적인이라는 의미이다. 즉 코이네는 말 그대로 보편적인 방언이라는 의미이다.

3. 표기와 발음

코이네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된다. 고전 그리스어가 코이네 그리스어로 변하면서 발음이 서서히 바뀌기 시작한 반면에 정서법은 보수적으로 유지 된 결과 비교적 철자와 발음이 일치했던 고전 그리스어와 다르게 코이네 그리스어는 정확히 쓰인대로 읽지는 않지만 정서법이 복잡하기로 유명한 영어프랑스어보다는 규칙적인 편이다. 기본적인 정보는 그리스 문자 항목에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하자.

그렇지만 코이네 그리스어의 정서법은 프랑스어의 정서법과 비슷한 면모가 많은 편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ai는 /ɛ/ 혹은 /e/로 발음하는데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도 αι를 /e/로 발음한다. 또한 프랑스어에서 ou를 /u/로 발음하고 u 단독으로는 /y/로 발음하는데 코이네 그리스어 역시 ου를 /u/로 발음하고 υ 단독으로는 /y/로 발음한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랜 시간 걸쳐 사용된 언어로써 시대에 따라 발음법과 정서법이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발음법이 다양하게 가르쳐지는데, 보통 널리 알려진 코이네 발음은 기원후 4세기경 사용된 발음이다. 더불어서 한국에서는 코이네 그리스어가 주로 개신교 교회를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신약 그리스어의 발음으로 알려진 단어들도 많은 편이다.

3.1. 발음 재구의 문제

고전 그리스어를 포함해서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랜 시간 사용된 언어인 동시에 오랜 시간에 걸쳐 교육된 언어이다. 코이네 그리스어가 사용되던 시기에는 이들의 발음을 녹음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그들이 정확히 어떤 식으로 발음했는지 우리는 알 수 없지만 이들이 남긴 기록들과 서적들을 이용해 그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발음을 재구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루는 영어판 위키백과 문서를 읽어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서 여러 재구음이 제시되었고 많은 학자들이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에 코이네 그리스어의 발음법은 여러 지역 혹은 문화에서 다르게 이해하고 가르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는 네덜란드의 인문학자이자 신학자인 에라스뮈스의 재구음을 바탕으로 신약 그리스어의 발음을 가르친다.[4] 다만 많은 국가의 기독교 기관 및 학교에서는 에라스뮈스의 재구음을 바탕으로 하나 일정 부분 변형하거나 보수한 발음법에 기초하여 그리스어를 가르친다.

정교회동로마 제국의 전통을 따라 현대 그리스어 발음법으로 코이네 그리스어를 읽는다. 마치 이탈리아에서 라틴어 텍스트를 현대 이탈리아어식으로 읽는 것과 같다. 그리스 본토에서도 한국에서 국어 시간에 중세 한국어에 대해 배우듯 고전 그리스어를 배우기도 하는데 이 과정은 한국에서 중세국어 교육 방식과 비슷하게 한다. 발음은 현대 언어의 발음을 따라서 읽지만 현대 언어와 옛 언어 사이의 문법적 차이점이나 발음의 차이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는 정도로 배운다고 한다.

4. 고전 그리스어와의 차이점

코이네 그리스어는 고전 그리스어 문법과 비교해서 소통이 불가능할 정도의 차이점을 보이지는 않지만 여러 방언들, 특히 아테네 방언과 이오니아 방언을 필두로 타협을 본 부분들이 많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방언 통합을 위해서 여러 방언에서 다르게 나타나던 불규칙 변화를 하는 단어들이 규칙적으로 변하거나 다른 단어로 대체되었고, 제1변화와 2변화와 비교해서 불규칙적이거나 복잡한 변화형이 많이 있는 제3변화 단어들이 1/2변화를 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 인도유럽조어 시절부터 내려오던 불규칙 변화형들이 규칙적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또한 문법적 단순화가 일어나서 많은 사람들을 괴롭혔던 중간태가 점차 사라지며 재귀대명사를 이용한 용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대명사가 필요 없는 문장에서도 대명사를 끌어 온다던가 크고 작은 변화들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그리스어 역사의 과도기적인 시기라고도 볼 수 있는데, 여느 링구아 프랑카와 마찬가지로 넓은 지역에서 오랜 시간 사용된 언어인 만큼 계속해서 변화가 일어났고 이게 안정되면서 중세 그리스어로 변해갔다고 볼 수도 있겠다.

4.1. 신약 그리스어

흔히 개신교에서 헬라어라고 부르는 언어는 주로 신약성경에서 쓰인 그리스어를 지칭하는데, 신약성경에서 쓰인 코이네 그리스어는 오리엔트 방언 중에서도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는 유대 지역에서 사용된 방언이다.

코이네 그리스어가 고대 그리스인들의 여러 방언을 하나로 통합한 언어인데 어째서 코이네의 방언이 또 있는가 싶을텐데, 당시의 지중해 세계에서는 그리스인만 그리스어를 많이 쓰는게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오랫동안 나라 잃은 백성이었던 특성상 유대인이 유독 시류에 따라 주요 사용언어를 바꾸는 경향이 크기도 했고 그리스계 주민과 가장 많이 부대끼며 살았기 때문에 웬만한 유대인 중산층 이상은 그리스어를 구사할 줄 알았다. 오늘날로 치면 교양있는 싱가포르인이 구사하는 용인발음 영어 정도의 포지션이다.

유대 그리스어는 문법이든 발음이든 당시 이집트 속주의 수도였던 알렉산드리아에서 사용된 코이네와 매우 유사하다. [5]


[1] κοινὴ는 보통, 보편, 일반 정도의 뜻이고, διάλεκτος는 말, 담화 정도의 뜻이다. 곧 헤 코이네 디알렉토스는 '일반적인 말' 또는 '보통화'로 직역할 수 있다.[2] 현대 그리스어 이전의 모든 그리스어를 포함한다. 즉 고대 그리스어부터 중세 그리스어까지 포함.[3] 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라틴어, 콥트 정교회에서 콥트어가 전례 언어로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다.[4] 에라스뮈스의 발음법은 그의 저서 De recta Latini Graecique sermonis pronuntiatione(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옳은 발음에 대하여)에 설명이 되어있으며 그는 본인의 이름을 따서 에라스미안 발음법 (Erasmian pronuntiation)이라 명명했다.[5] 당시 알렉산드리아 인구의 40%가 유대인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