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3:09:15

밀라노 칙령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카타프락토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마니아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아스 · 두폰디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데나리우스 · 안토니니아누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1. 개요2. 내용3. 해석

1. 개요

밀라노 칙령(Edictum Mediolanense, Edict of Milan)은 서기 313년 2월 3일경,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기독교(그리스도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1]에 대한 관용령을 선포한 것을 가리킨다.

2. 내용

현재까지 전해지는 전문은 락탄티우스가 저술한 "박해자의 최후(L: De Mortibus Persecutorum)"에 기록된 라틴어판과 에우세비우스가 저술한 "교회사(G: Ἐκκλησιαστικὴ ἱστορία / L: Historia Ecclesiastica)"에 기록된 그리스어판이 있다. 둘 다 기본적인 내용은 같고 일부 세부 서술에 차이가 있다.

그 합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바로 "그리스도인들을 포함한 모든 이들이 전적으로 자유롭게 종교를 택하도록 한다."와 "디오클레티아누스 이래의 박해 시기에 몰수한 집회 장소와 재산을 무상으로 반환한다."이다.

일반적으로는 이 칙령이 콘스탄티누스 1세가 단독으로 밀라노에서 발표한 것처럼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은 전문에는 콘스탄티누스 1세뿐만 아니라 동방 정황제인 리키니우스도 같이 언급되고 있다. 제국 전체에서 시행해야 할 사항이었기 때문에 서방의 정황제에 불과했던 콘스탄티누스 1세 혼자서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또한 당대 그리스도교 교세는 제국의 동방, 특히 팔레스타인과 소아시아를 중심으로 했다. 칙령의 전문이 라틴어판과 그리스어판이 같이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3. 해석

밀라노 칙령이라고 이름이 붙어 있지만 정작 이 칙령이 선포된 곳은 제국 동방 정황제의 수도인 니코메디아였다. 밀라노에서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회담을 했었고 여기서 그리스도교 공인을 결정한 뒤에 리키니우스가 비티니아의 총독에게 회의 내용을 보내서 칙령으로 공포된 것이다. 그런데 당시에 막시미누스 2세의 선공으로 시작된 내전 때문인지 니코메디아에서의 반포는 6월 13일로서, 2월 3일의 합의일보다 많이 늦어졌다.

학자들에게 밀라노 칙령은 칙령(edictum)이라기보다는 황제의 '친서'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라크란티우스는 리키니우스가 비티니아의 총독에게 친서를 보내어 그 내용을 공포하게 한 것을 인용한 것으로 여겨지며,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팔레스타인 총독에게 보낸 친서에서 전문을 인용했을 것이라고 본다. 갈레리우스가 내린 관용령은 로마법적으로 본다면 황제의 명령에 해당되는 칙령에 해당되지만,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의 경우에는 칙령이 아니라 친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다. 즉 로마 황제가 권고하는 내용을 보낼 때 쓰던 방식이라는 이야기다. 그런 면에서 '밀라노 칙령'의 내용은 다른 황제들이 이전부터 시행해온 제국 내 '종교 관용령'을 재확인하는 연장선상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전문의 내용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있어 유익한이라는 언급이 있는데 배교자로 악명을 떨친 율리아누스 황제는 이 구절을 근거로 밀라노 칙령의 폐기를 선언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차라리 칙령이 아니었다고 했다면 더 법리적으로 타당했을 텐데. 그러나 이미 그리스도교가 널리 퍼진 상황에서 율리아누스의 조치는 제국의 혼란만 더 부채질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밀라노 칙령을 기점으로 그리스도교의 경직화가 일어났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전까지 비주류였던 그리스도교는 황제의 공인을 받으면서 박해를 받지 않게 되었고,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 권력과 부를 얻는 길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그리스도교 신앙은 그 순수한 의미를 잃고 그리스도인이 되는 게 하나의 문화이자 관습이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이를 가장 강력하게 비판했던 사람이 근대의 개신교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였다. 다만 그리스도교가 공인을 넘어 국교화 된 것은 더 후대인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 때였다.


[1] 구체적으로 표현된 종교집단은 그리스도인밖에 없고, 다른 종교인은 뭉뚱그려서 표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