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4:56:46

가족성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1. 개요2. 고대 로마에서의 사용
2.1. Agnomen
2.1.1. Cognomina ex virtute2.1.2. 입양으로 인한 cognomen
3. 현대적인 의미

1. 개요

가족성(家族姓, cognomen)[1]이란 고대 로마에서 로마식 작명법에 따라 로마 시민에게 붙이는 세번째 이름이다. 원래는 일종의 별명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가문 내에서 혹은 같은 씨족 내에서 가문 구성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고대 로마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2. 고대 로마에서의 사용

로마식 작명법의 한계로 인해서 가족 구성원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나 인물의 전투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예시로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가 있는데 폼페이우스의 본명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이고 마그누스는 술라치하에서의 전투 승리로 얻은 것이다.

전투 업적을 따라 가족성을 받기도 하였지만 대부분의 가족성은 신체적인 특성과 성격에 따라 정해졌다. 예시로 루푸스(Rufus)는 빨간 머리인 사람에게, 스카이볼라(Scaevola)는 왼손잡이인 사람에게 주어졌다.

가문마다 특정한 가족성을 가지기도 하였는데 그 예시로는 율리우스 가문의 카이사르(Caesar), 유니우스 가문의 브루투스(Brutus), 코르넬리우스 가문의 스키피오(Scipio) 등이 있다.

보통 학자들은 고대 로마의 특정 인물을 지칭할 때 주로 가족성을 사용하여 특정한다.[2] 프라이노멘(개인 이름)의 경우 애초에 종류 자체가 적고 그 중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프라이노멘이 정해져 있었으며, 노멘(씨족명)의 경우 씨족에 속한 모든 사람들은 물론 해당 씨족의 클리엔테스까지도 같은 씨족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실질적으로 인물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코그노멘 정도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가문의 아버지와 아들 등 코그노멘까지도 같은 경우가 많아 고대 로마, 특히 공화정 시기의 인물들을 다룰 때 혼동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별칭인 아그노멘이 있다면 코그노멘 대신 사용하기도 하지만, 같은 가문에서 아그노멘까지 물려받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혼란을 해결하기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문맥상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엄밀한 구분이 필요할 때는 '몇 년에 집정관을 지낸' 등으로 구분하는 일이 많다.

2.1. Agnomen[3]

Cognomen이 많아지게 되자 가족성(cognomen) 이 점점 가족 구성원을 나타내는 의미로 굳어지게 되자 이름이 같은 사람을 구분하고, 특정 종류의 cognomen을 구분하기 위해서 만든 이름으로 Cognomina ex virtute 과 입양으로 인한 아그노멘이 있으며, 스키피오 가문의 나시카(Nasica)처럼 코그노멘 뒤에 붙는 두 번째 코그노멘과 유사하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2.1.1. Cognomina ex virtute

주로 뛰어난 업적을 가진 사람에게 주어지는 이름으로 그 예시로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있다. 본명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이고 가족성은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는 2차 포에니 전쟁에서 자마 전투의 승리 이후로 받은 agnomen이다.

2.1.2. 입양으로 인한 cognomen

고대 로마에서 입양은 빈번한 일이었고 이는 가문을 종속, 유지시키기 위해 행해졌다. 입양될 경우 보통 양자가 양부의 nomen과 preanomen을 계승하고 이전의 nomen에 -anus, -inus를 붙여 입양으로 인한 cognomen을 생성한다.

예시)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이우스 옥타비우스(Octavius)를 입양함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Octavianus)로 이름을 바꿈.

3. 현대적인 의미

현대에 와서는 혹은 별명을 주로 의미한다.


[1] 라틴어: cognomia - con: 함께(together with)+(g)nomen: 이름(name)[2] 키케로하면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를 나타낸다든지, 카이사르하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나타내는 식으로[3] 라틴어: Agnomina - ag: to + (g)nomen: 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