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ebe00, #ffda00 20%, #ffda00 80%, #debe00);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
레오폴드 1세 | 레오폴드 2세 | 알베르 1세 | |
벨기에 왕조 | |||
알베르 1세 | 레오폴드 3세 | 보두앵 | |
알베르 2세 | 필리프 | }}} }}}}}} |
무궁화대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49년 | 8월 15일 | 이승만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0년 | 8월 13일 | 윤보선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3년 | 12월 5일 | 12월 17일 | 박정희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67년 | 6월 23일 | 육영수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79년 | 12월 7일 | 최규하 | 대통령 | 대한민국 |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 ||
1979년 | 12월 7일 | 홍기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전두환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0년 | 8월 29일 | 8월 29일 | 이순자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노태우 | 대통령 | 대한민국 |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 |
1988년 | 2월 24일 | 2월 25일 | 김옥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김영삼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3년 | 2월 11일 | 2월 23일 | 손명순 | 영부인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김대중 | 대통령 | 대한민국 | ||
1998년 | 2월 17일 | 2월 25일 | 이희호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노무현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08년 | 1월 28일 | 권양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이명박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2일 | 김윤옥 | 영부인 | 대한민국 | |||
2013년 | 2월 19일 | 박근혜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문재인 | 대통령 | 대한민국 | |||
2022년 | 5월 3일 | 김정숙 | 영부인 | 대한민국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훈 연도 | 결정일 | 수여일 | 이름 | 직책 | 국적 | 비고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하인리히 뤼프케 | 대통령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4년 | 12월 3일 | 12월 8일 | 빌헬미네 뤼브케 | 영부인 | 서독 | 외국인 최초 상훈자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이스마일 나시루딘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7일 | 틍쿠 인탄 자하라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푸미폰 아둔야뎃 | 국왕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0일 | 시리낏 끼띠야콘 | 왕비 | 태국 | ||
1966년 | 2월 1일 | 2월 15일 | 장제스 | 총통 | 중화민국 | ||
1968년 | 5월 10일 | 5월 18일 | 하일레 셀라시에 | 황제 | 에티오피아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반티에우 | 총통 | 남베트남 | ||
1969년 | 5월 23일 | 5월 27일 | 응우옌티마이아인 | 제1부인 | 남베트남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하마니 디오리 | 대통령 | 니제르 | ||
1969년 | 10월 28일 | 10월 28일 | 아이샤 디오리 | 영부인 | 니제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 대통령 | 엘살바도르 | ||
1970년 | 9월 25일 | 9월 28일 |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 영부인 | 엘살바도르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오마르 봉고 | 대통령 | 가봉 | ||
1975년 | 6월 27일 | 7월 5일 | 조세핀 봉고 | 영부인 | 가봉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대통령 | 세네갈 | ||
1979년 | 4월 17일 | 4월 23일 |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 영부인 | 세네갈 | ||
1980년 | 5월 11일 |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 국왕 | 사우디아라비아 | |||
1980년 | 5월 14일 |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1981년 | 6월 25일 | 수하르토 | 대통령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5일 | 시티 하티나 | 영부인 | 인도네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1년 | 6월 29일 | 틍쿠 아프잔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1년 | 7월 6일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81년 | 7월 6일 | 이멜다 마르코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81년 | 10월 13일 | 로드리고 카라소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1년 | 10월 13일 |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 영부인 | 코스타리카 | |||
1982년 | 5월 10일 | 사무엘 도 | 대통령 | 라이베리아 | |||
1982년 | 6월 7일 | 모부투 세세 세코 | 대통령 | 자이르 | |||
1982년 | 6월 7일 | 보비 라다와 | 영부인 | 자이르 | |||
1982년 | 8월 25일 | 압두 디우프 | 대통령 | 세네갈 | |||
1982년 | 12월 21일 | 케난 에브렌 | 대통령 | 튀르키예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 대통령 | 수단 | ||
1983년 | 3월 10일 | 3월 15일 |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 영부인 | 수단 | ||
1983년 | 9월 10일 | 후세인 1세 | 국왕 | 요르단 | |||
1983년 | 9월 10일 | 누르 | 왕비 | 요르단 | |||
1984년 | 4월 9일 | 하사날 볼키아 | 국왕 | 브루나이 | |||
1984년 | 4월 21일 |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 국왕 | 카타르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다우다 자와라 | 대통령 | 감비아 | ||
1984년 | 8월 30일 | 9월 13일 | 치렐 자와라 | 영부인 | 감비아 | ||
1985년 | 5월 17일 |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 대통령 | 파키스탄 | |||
1985년 | 5월 20일 |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 대통령 | 코스타리카 | |||
1986년 | 9월 4일 | 4월 10일 | 엘리자베스 2세 | 국왕 | 영국 | ||
1986년 | 9월 4일 | 4월 16일 | 보두앵 | 국왕 | 벨기에 | ||
1987년 | 4월 7일 | 아메드 압달라 | 대통령 | 코모로 | |||
1988년 | 11월 3일 | 이스칸다르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88년 | 11월 3일 | 자나리아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20일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대통령 | 서독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프랑수아 미테랑 | 대통령 | 프랑스 | ||
1989년 | 11월 3일 | 11월 30일 | 다니엘 미테랑 | 영부인 | 프랑스 | ||
1990년 | 6월 21일 |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 대통령 | 파라과이 | |||
1990년 | 11월 5일 | 괸츠 아르파드 | 대통령 | 헝가리 | |||
1991년 | 9월 13일 | 아즐란 샤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13일 | 투안쿠 바이눈 | 왕비 | 말레이시아 | |||
1991년 | 9월 25일 |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 대통령 | 멕시코 | |||
1992년 | 8월 13일 |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피델 라모스 | 대통령 | 필리핀 | ||
1993년 | 5월 20일 | 5월 25일 |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 영부인 | 필리핀 | ||
1994년 | 11월 7일 | 11월 21일 |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 대통령 | 칠레 | ||
1994년 | 12월 5일 | 12월 9일 | 레흐 바웬사 | 대통령 | 폴란드 | ||
1995년 | 2월 7일 | 2월 16일 | 이슬람 카리모프 | 대통령 | 우즈베키스탄 | ||
1995년 | 2월 21일 | 3월 6일 | 로만 헤어초크 | 대통령 | 독일 | ||
1995년 | 3월 28일 | 4월 3일 | 젤류 젤레프 | 대통령 | 불가리아 | ||
1995년 | 6월 26일 | 7월 7일 | 넬슨 만델라 | 대통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1995년 | 9월 26일 | 9월 29일 | 카를로스 메넴 | 대통령 | 아르헨티나 | ||
1996년 | 7월 23일 | 9월 4일 | 알바로 아르수 | 대통령 | 과테말라 | ||
1996년 | 7월 23일 | 페르난두 카르도주 | 대통령 | 브라질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후안 카를로스 1세 | 국왕 | 스페인 | ||
1996년 | 10월 8일 | 10월 20일 |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 왕비 | 스페인 | ||
1996년 | 11월 26일 |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 국왕 | 말레이시아 | |||
1996년 | 12월 10일 | 12월 15일 | 레오니드 쿠치마 | 대통령 | 우크라이나 | ||
2000년 | 2월 22일 | 3월 3일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대통령 | 이탈리아 | ||
2000년 | 2월 22일 | 3월 6일 | 자크 시라크 | 대통령 | 프랑스 | ||
2006년 | 3월 12일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대통령 | 알제리 | |||
2007년 | 3월 26일 |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국왕 | 쿠웨이트 | |||
2007년 | 3월 28일 |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 국왕 | 카타르 | |||
2009년 | 5월 13일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대통령 | 카자흐스탄 | |||
2009년 | 11월 12일 | 알란 가르시아 | 대통령 | 페루 | |||
2012년 | 5월 30일 | 칼 16세 구스타프 | 국왕 | 스웨덴 | |||
2012년 | 11월 21일 |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 | |||
2018년 | 10월 8일 | 에마뉘엘 마크롱 | 대통령 | 프랑스 | |||
2019년 | 하랄 5세 | 국왕 | 노르웨이 | ||||
2021년 | 6월 14일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대통령 | 오스트리아 | |||
2021년 | 6월 16일 | 펠리페 6세 | 국왕 | 스페인 | |||
2021년 | 6월 16일 |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 왕비 | 스페인 | |||
2021년 | 8월 25일 | 이반 두케 | 대통령 | 콜롬비아 | |||
2021년 | 9월 21일 | 보루트 파호르 | 대통령 | 슬로베니아 | |||
2023년 | 7월 13일 | 안제이 두다 | 대통령 | 폴란드 | |||
2023년 | 11월 21일 | 찰스 3세 | 국왕 | 영국 | |||
2024년 | 11월 16일 | 디나 볼루아르테 | 대통령 | 페루 | }}}}}}}}} |
<colbgcolor=#ffda00><colcolor=#000000> 벨기에 제5대 국왕 보두앵 Baudouin | |||
출생 | 1930년 9월 7일 | ||
벨기에 브뤼셀 라컨 궁 | |||
사망 | 1993년 7월 31일 (향년 62세) | ||
스페인 안달루시아 그라나다 모트릴 | |||
재위기간 | 벨기에인의 왕 | ||
1951년 6월 17일 ~ 1993년 7월 3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da00><colcolor=#000> 가문 | 벨기에 가문 | |
이름 | 네덜란드어: 바우데베인 알버르트 카럴 레오폴트 악설 마리아 휘스타프 (Boudewijn Albert Karel Leopold Axel Maria Gustaaf) | ||
프랑스어: 보두앵 알베르 샤를 레오폴드 악셀 마리아 귀스타브 (Baudouin Albert Charles Léopold Axel Maria Gustave) | |||
독일어: 발두인 알브레히트 카를 레오폴트 악셀 마리아 구스타프 (Balduin Albrecht Karl Leopold Axel Maria Gustav) | |||
배우자 | 도냐 파비올라 데 모라 이 아라곤 (1960년 결혼) | ||
아버지 | 레오폴드 3세 | ||
어머니 | 스웨덴의 아스트리드 공주 | ||
형제자매 | 조제핀샤를로트, 알베르 2세 | ||
종교 | 가톨릭 | }}}}}}}}} |
[clearfix]
1. 개요
벨기에의 제5대 국왕.레오폴드 3세와 스웨덴의 아스트리드 공주의 장남(둘째)이자, 알베르 2세의 형. 현임 국왕인 필리프의 큰아버지이자, 노르웨이의 국왕 하랄 5세의 이종사촌 형이고 영국의 국왕 조지 5세의 8촌 동생이다[1] .
2. 생애
레오폴드 3세 국왕의 장남으로 출생했는데, 어린 시절부터 영특했던 그는 1940년 아버지가 나치 독일에 항복하자 아버지를 따라 스위스에 갔다. 이후 레오폴드 3세가 퇴위하자 1951년 6월 17일 국왕이 되었다.그러나 너무 독실한 가톨릭교도로서의 모습은 일부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990년 벨기에 의회에서 낙태를 합법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을때, 보두앵은 자신이 가톨릭교도라는 이유로 법안 공포를 거부한 바 있다. 이에 내각은 국왕 권한을 일시 중지하고 자체적으로 법안을 공포했다. 서명 거부나 국왕 권한 중지는 내각과 국왕이 합의하고 벌인 일이라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으나, 일부 국민들에게 비판받았다.
보두앵은 상당히 감성적인 왕이었다고 전해지며, 1959년에는 벨기에령 콩고의 독립을 인정했다.[2] 문제는 이 양반이 콩고 독립을 축하하는 콩고 의회 연설에서 콩고 독립은 무려 레오폴드 2세의 천재성과 용기로 시작된 작업의 정점이라고 묘사하며 벨기에의 콩고 지배를 옹호, 미화했다는 것이다(...)
이를 듣고 분노한 콩고 독립운동가 파트리스 루뭄바 총리는 벨기에 식민주의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벨기에의 만행을 고발하는 연설로 맞섰고, 이에 기분이 상한(...) 보두앵은 후일 벨기에 정부의 루뭄바 암살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보두앵이 구체적 암살 계획에 참여했다는 결정적 증거는 없지만, 어쨌든 최소 알고는 있었다는 것이 공식 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참고로 루뭄바 암살은 시체를 아예 산으로 녹여 금니[3]만 남기는 등 수법이 특히 잔혹하다고 비판받는다.
보두앵은 스페인의 귀족 파비올라(1928–2014)와 중매를 통해 결혼하였으나 결혼 생활은 행복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식이 생기지 않았는데, 왜 자식이 없는가에 대한 벨기에 국민들의 궁금증이 증폭되기도 했다. 이 와중에 파비올라 왕후가 5번이나 유산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는데 이는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2008년에 파비올라 왕후가 공식 인터뷰를 통해 밝힌 바로는, 유산을 5번 하였고 그 중 하나는 사산이었다고. 자식이 없는 것에 큰 상실감을 얻지 않고 자선사업으로 그 상실감을 메꿨다고 한다.
결국 보두앵 국왕은 1993년 7월 31일 심장마비로 서거했는데, 왕위를 물려받을 자녀가 없었기에 후계는 그의 남동생인 왕세제 알베르 2세에게 넘어갔다.
다른 나라로 도망간 아버지를 대신해 왕위를 이어받아 42년이나 재위하였고, 그 기간이 2차대전 후 유럽의 재건 기간부터 시작해서 벨기에의 현대화까지 치세가 이어진 후 끝났기 때문에 보두앵 재위 시절은 벨기에 국민들에게 추억의 향수로 남게 되었다.[4]
3. 기타
벨기에가 단일 국가에서 연방 국가로 이행된 것이 그의 치세 기간이었는데, 보통 1966년부터 1993년까지로 본다.벨기에 브뤼셀의 에이젤[5]에 있는 축구경기장인 스타드 루아 보두앵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1985년에 그 유명한 헤이젤 참사가 일어난 경기장이 맞는데, 그의 사후인 1995년 경기장을 개수하면서 보두앵을 기념하여 이름을 바꾸었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1년 전인 1992년에 한국에 방문했었으며 이후 27년이 지난 2019년, 조카이자 現 국왕인 필리프가 방한했다.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빈칸 추론(31번) 문제에서는 보두앵의 죽음과 관련된 카트린 핑케나우어르와 베르나르 리메의 연구를 다룬 지문이 등장한다. 나쁜 소식을 부인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성향이 있지만 그 사건이 사람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공유됨에 따라 현실에 입각한 사고를 하게 된다는 내용이다.
[1] 태어난 해에 비해서 항렬이 많이 높은 편이다. 조지 5세보다는 물론 조지 5세의 아들인 조지 6세보다도 나이가 한참 어리다. 심지어 보두앵의 아버지인 레오폴드 3세도 조지 6세보다 6살 적다. 같은 나이대를 찾자면 11촌 조카손녀이자 조지 6세의 둘째딸인 마거릿 공주와 같은 1930년생이므로 동갑내기이다. 8촌형 조지 5세한테는 손자뻘인셈[2] 당연하지만 국왕 개인의 감성적인 성격과 콩고의 독립은 그렇게 큰 연관이 없다.[3] 이 금니도 2022년에서야 유가족에게 반환되었다.[4] 반면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변수가 없었다면 아버지 레오폴드 3세가 퇴위할 일이 없었을 테니 53살인 1983년에 즉위하여 불과 10년도 재위하지 못하고 별세했을 것이다.[5] 영어로 헤이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