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E00, #013F1B 20%, #013F1B 80%, #001E00); color:#F7BC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rowcolor=#013F1B,#FFF> 이스칸데르 미르자 | 아유브 칸 | 야히아 칸 | 줄피카르 알리 부토 |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rowcolor=#013F1B,#FFF> 파잘 일라히 초드리 |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 굴람 이샤크 칸 | 파루크 레가리 |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 <rowcolor=#013F1B,#FFF> 무함마드 라피크 타라르 | 페르베즈 무샤라프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 맘눈 후세인 | |
| 제13대 | 제14대 | |||
| <rowcolor=#013F1B,#FFF> 아리프 알비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 |||
| 파키스탄 총리 마우리아 · 슝가 · 사타바하나 · 쿠샨 · 굽타 · 바카타카 · 바르다나 찰루키아 · 팔라 · 프라티하라 · 라슈트라쿠타 · 촐라 · 델리 비자야나가라 · 무굴 · 마라타 · 시크 · 마이소르 · 제국 · 자치령 · 파키스탄 | }}}}}}}}}}}} | |||
| <colbgcolor=#013F1B,#000><colcolor=#F7BC23,#ddd>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제3대 대통령 야히아 칸 یحییٰ خان | Yahya Khan | |
|  | |
| 출생 | 1917년 2월 4일 | 
| 영국령 인도 펀자브 주 차크왈 | |
| 사망 | 1980년 8월 10일 (향년 63세) | 
| 파키스탄 펀자브 주 라왈핀디 | |
| 재임기간 | 제3대 대통령 | 
| 1969년 3월 25일 ~ 1971년 12월 20일 | |
| 직업 | 정치인 | 
1. 개요
파키스탄의 전 정치인, 대통령.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2. 일생
야히아 칸은 1917년 2월 4일 당시 영국령 인도 펀자브 주의 차크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이란의 샤한샤인 나디르 샤의 정예 군인의 후손으로 그로 인해 야히아 칸은 페르시아어도 구사했다. 야히아 칸은 알리가르 무슬림 대학교에서 수학한 뒤 영국 샌드허스트 왕립 군사학교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1939년 인도 제국군 장교로 임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인도 분단 후, 그는 1947년 8월 파키스탄 육군에 입대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군사 경력을 이어가다 장성으로 승진해 군 내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였고, 1966년에는 아유브 칸 정권에서 파키스탄 육군 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 1969년 아유브 칸이 반정부 시위와 정치적 압력으로 물러나자 대통령직과 계엄통치권을 승계하여 파키스탄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집권 이후 헌법 정지와 의회 해산으로 군부 권위를 유지하면서도 정치적 정당성을 위해 총선을 약속하고 1970년 파키스탄 최초의 총선을 실시하였다. 이 총선에서 동파키스탄의 아와미 연맹이 압승해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이 다수당 지도자로서 정부 구성을 요구했다. 그러나 야히야 칸은 서파키스탄의 정치·군부 엘리트와 함께 이를 거부하고 협상을 지연시켰으며, 결국 동파키스탄에서 대규모 시위와 독립 요구가 격화되자 1971년 3월 ‘서치라이트 작전’을 개시해 동파키스탄을 강제로 진압하려 했다. 이는 대규모 민간인 학살과 인권 유린으로 이어졌고 수백만 명의 난민이 인도로 피신하면서 국제적 비난을 불러왔으며, 같은 해 12월 인도가 개입해 발발한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파키스탄은 참패하여 동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하는 결과를 맞이했다.파키스탄의 항복 소식이 서파키스탄 언론에 보도되자, 파키스탄 전역은 거리 시위로 끓어올랐다. 이 시기 야히아 칸 대통령에 대한 하급 군 장교들의 쿠데타가 임박했다는 소문이 전국을 휩쓸었다. 더 이상의 불안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야히아 칸은 1971년 12월 20일 당시 강력하고 인기 있는 파키스탄 인민당의 야심 찬 지도자인 줄피카르 알리 부토에게 대통령직과 정부를 이양했다. 그 직후 줄피카르는 야히아 칸을 자택 감금시켰다. 야히아는 가택연금 기간 동안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다. 그는 당뇨병, 심장 질환 등 여러 심각한 질환을 앓고 있었다. 게다가 그를 반신 마비로 이끈 뇌졸중과 비만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점점 더 허약해지고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 이후 정치적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한 채 1980년 8월 10일 라왈핀디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