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5:08:02

노재헌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노재헌|{{{#!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대한민국 국장.svg주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초대
노재원
제2대
황병태
제3대
정종욱
제4대
권병현
제5대
홍순영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6대
김하중
제7대
신정승
제8대
류우익
제9대
이규형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10대
권영세
제11대
김장수
제12대
노영민
제13대
장하성
제14대
정재호
<nopad> 이재명 정부
제15대
노재헌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제15대 주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노재헌
盧載憲|Roh Jae-heon
파일:노재헌 이사장.jpg
출생 1965년 11월 3일 ([age(1965-11-03)]세)
대구광역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본관 교하 노씨 (交河 盧氏)[1]
현직 주중대사
동아시아문화센터 명예이사장[2]
재임기간 제15대 주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2025년 10월 14일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부모 아버지 노태우, 어머니 김옥숙
형제자매 누나 노소영
자녀 장남 노장호(1995년생)
장녀 노지영(1999년생)
차남 노지호(2002년생)
학력 경복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 학사)
스탠퍼드 대학교 (정치학 / 석사)
조지타운 대학교 로스쿨 (법학 / J.D.)
병역 육군 소위 복무만료 (석사장교)
신체 185cm
종교 개신교 }}}}}}}}}

1. 개요2. 생애
2.1. 주중대사
3. 5.18 관련 행보4. 소속 정당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법조인, 외교관. 제15대 주중대사.

대한민국 제13대 노태우 대통령의 아들. 문민정부 시절에 잠시 정치에 뜻을 두었다가 그만두고, 미국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요청으로 인수위 정치통합분과위원을 맡기도 했으나 본격적으로 정치 행보를 보인 사실은 없다. 이후 2025년 주중대사로 입각하였다.

2. 생애

경복고등학교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석사과정 졸업 후 6개월 석사장교로 군복무를 마치고 소위로 전역했다.[3]

1994년 민주자유당 대구광역시 동구 을 지구당 위원장을 맡았으나# 그 다음해인 1995년에 아버지 노태우가 비자금 사건으로 구속되면서 지구당위원장직을 사퇴하고 탈당했다.[4]

그 후 다시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조지타운 대학교 로스쿨에서 J.D.를 취득했고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으며 수원대학교 법학과 외래교수, 강남대학교 외래강사로도 활동했다.

1990년 신명수 전 신동방그룹 회장의 장녀인 신정화와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었으나 2013년에 이혼했다. 2021년 10월 27일 아버지 노태우의 장례를 위해 영국에서 일시적으로 귀국했으며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인 2022년 3월, 대통령직 인수위 산하인 국민통합위원회의 정치통합분과위 위원으로 합류했다.

2023년 3월 14일, 김대중 정치학교 4기 수강생으로 등록한것으로 알려졌다. 문희상국회의장이 입학을 권유했고 곧바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2024년 10월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으로 국회 국정감사에 3차례 출석 요구를 받았으나 불응하였다. 국회에서 고발조치가 검토되었으나 이후 12.3 비상계엄이 일어나면서 고발되지 않았다.

2025년 9월 3일, 제80주년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때는 대한민국 정부 특사단의 단원으로 참석했다.

2.1. 주중대사

2025년 9월 11일, 이재명 정부의 첫 주중대사로 내정됐다. #

아버지 노태우 전 대통령이 1988 서울 올림픽 이후 북방 외교 정책의 주역이고 아버지의 대통령 재임 당시 중국과 수교를 맺으면서 중국 쪽에서 노태우에 대해 고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점, 문재인 정부 시절 외교부 한중관계미래발전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위원장을 역임하고 양국의 쌍방향 문화 교류 활동을 벌여온 점이 꼽혔다. 중국 당국에서는 "우물 물을 마실 때는 우물을 판 사람을 잊을 수가 없다(음수사원, 飮水思源)"며 노태우를 각별히 생각하기 때문에 아그레망에 오랜 시일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5]

예상대로 한 달 만에 아그레망 절차를 거쳐 2025년 10월 14일 주중대사로 취임하였다.

2025년 11월 1일, 경주 APEC 정상회의을 계기로 성사된 한중정상회담 당시 정부 인사들과 함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를 맞았는데, 시 주석은 특유의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며 대면한 다른 사람들과 달리 노 대사를 향해서는 반갑다는 듯 미소를 지으며 먼저 말까지 거는 모습을 보였다.

3. 5.18 관련 행보

2019년 8월 23일,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이 안치된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서 참배했고 사죄의 뜻을 밝혔다. ## 방명록에 "삼가 옷깃을 여미며 5.18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분들 영령의 명복을 빕니다"라며 "진심으로 희생자와 유족분들께 사죄드리며 광주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가슴깊이 새기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아버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뜻이라고 밝혔으며, “아버지에게 이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 이에 대해 조진태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의미가 있다"면서도 "피해 당사자들과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

2019년 12월 5일,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지 석 달 만에 다시 광주를 찾아와 5.18 당시 피해자들을 직접 찾아가서 사죄했다. # # #

2020년 1월, 그동안 집에 보관했던 5.18 관련 자료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

2020년 1월 16일, 21대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에서 노재헌의 영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시사저널 기사가 나온 적이 있다. # 그러나 더불어민주당과 노재헌 본인은 이를 극구 부인하는 등의 해프닝이 있었다. #

2020년 5월 29일,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지 다섯 달 만에 다시 찾아가 노태우를 대신해서 사죄했고, 제단에 "13대 대통령 노태우 5.18 민주영령을 추모합니다"라는 리본이 달린 조화를 노태우 이름으로 헌화했다.

이렇듯 5.18 문제에 대해 직접 활동하는 모습이 많아지면서 그의 의도가 무엇인지, 그리고 여기에 노태우 본인의 의도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도 여론의 관심이 쏠렸다.[6] 마침 비슷한 시기에 노재헌의 누나인 노소영은 남편인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이혼 소송에서 아버지 노태우와 SK 간의 정경유착 내용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7] 두 남매의 행동이 완전히 무관한 일이라고 하기엔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어서 이를 주목한 언론 기사도 있다. #

2020년 7월 17일, 중앙일보와 왜 이러한 행보를 가지는지 인터뷰를 가졌으며 "피해자와 유가족들이 '이제 됐다'고 말씀하실 때까지 무릎을 꿇을 것 이고, 정치에는 단 1%의 뜻도 존재하지 않다"고 밝혔다. #

2021년 5월 25일, 다시 광주를 찾아 5.18 당시 항쟁에 참여했다가 한쪽 눈을 잃은 주인공 이지현의 자전적인 삶을 소재로 한 연극인 '애꾸눈 광대'를 관람했다. 공연이 끝난 후 원작자인 이지현의 권유로 무대 앞에 나와 광주 방문 소감을 말하려고 하였으나, 일부 관람객들의 항의 때문에 무산되었다. 이에 노재헌은 "본의 아니게 소란을 일으키고 분란을 일으켜 죄송하다"며 "광주분들에게 너무나 예의가 아닌 것 같아 오늘은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겠다"고 했다. #

2021년 10월 26일, 아버지가 사망하자 영국에서 급히 귀국한 뒤 27일날 장례식장에서 취재진과 만나서 아버지가 ''5·18 희생자에 대해 본인의 과오가 있었다면 너그러이 용서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했다.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1994 - 1995 정계 입문


1995 - 현재 탈당
정계 은퇴

5. 기타

  • 키가 185cm로 1960년대생치고 굉장히 크고 미남이며 누나인 노소영도 키가 170cm로 장신이다. 이는 유전의 영향으로 보이는데 아버지인 노태우가 178cm로 1930년대생치고 엄청난 장신이었고, 심지어 할아버지 노병수(노태우의 아버지)는 1901년생인데 키가 이보다 더 큰 189cm였으며, 어머니 김옥숙 여사도 170cm에 가까운 장신이다.
  • 2023년 2월 16일에 전직 대통령의 아들들인 박지만, 김홍업, 김현철과 함께 사석에서 만남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최근 극단화된 정치 지형에 대한 우려와 함께 통합과 화합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아버지들 간에는 정치적인 아픔들이 있었으나 아들들끼리는 싸우지 말고, 앞으로 모임을 자주 가지자고 하였다.(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이후 이들은 꾸준히 모임을 가지면서 친목을 다지고 있는데, 노재헌이 이들 가운데 총무를 맡고 있다고 한다.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 사업에도 같이 참여하고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 장관급 특명전권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미대사 주중대사 주일대사
강경화 노재헌 이혁
주러대사 주유엔대사 주OECD대사
이석배 차지훈 최상대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A84E9,#0A84E9><tablebgcolor=#0A84E9,#0A84E9> 파일:노태우 투명.svg노태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A84E9,#0A84E9> 일생 일생 · 대통령 재임 시절 평가 · 개인적 평가 · 별명(보통 사람)
공약 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한국예술종합학교
가족 아버지 노병수 · 막내작은아버지 노병상 · 배우자 김옥숙 · 딸 노소영 · 아들 노재헌 · 사위 최태원
관련 인물 전두환 · 김영삼
역대 선거 제13대 대통령 선거
사건 사고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 3당 합당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기타 신군부 · 하나회 · 민정계 ·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자택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태우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노태우 정부 참고
}}}}}}}}} ||

[1] 창성군파(昌城君派) 31세손 재○(載○) 항렬.[2] 주중대사로 재임하면서 소유 중인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 직함은 가문의 집사실장이 맡고 있다.[3] 전두환의 아들 전재국도 석사장교로 군복무를 마쳤는데 제도 자체가 군사정권 자제들의 특혜를 위해 생겼기 때문이다. 노재헌 전역 후 석사장교 제도는 폐지됐다. 참고로 현재 유력한 대권주자들 중 석사장교 출신 인물에는 조국이 있다.[4] 그 직후 노태우와 김영삼, 김종필3당 합당을 통하여 만들었던 민주자유당은 간판을 내리고, 신한국당으로 바뀌었다. 노재헌이 사퇴서를 제출한 날짜가 1995년 11월 21일인데, 신한국당 창당은 그로부터 불과 보름 후인 1995년 12월 6일의 일이다.[5] 윤석열 정부 때부터 노재헌 같은 사람이 주중대사로 오면 좋겠다는 의사를 타진한 적이 있다고 한다.#[6] 일각에서는 과거 부친의 비자금 사건으로 좌절된 정계 활동의 재개를 위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추징금은 이미 수년 전에 완납했고, 부친을 대신해 5.18에 대해 사죄하는 것으로 도덕적 흠결을 털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마침 본인의 나이도 50대 중후반 정도라서 정계에서 활동하기에는 늦지 않다. 하지만 이후 정치에는 전혀 뜻이 없다고 밝혔으므로 현재로서는 정계로 복귀할 가능성은 낮다.[7] 앞서 노소영20대 총선 당시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에 출마한 김문수 후보의 유세에 참여하며 지지를 선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