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7:44:46

교하 노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20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60px><tablebordercolor=#978d7b>
파일:교하 노씨 종문.png
交河 盧氏
교하 노씨
}}}
<colcolor=#fff><colbgcolor=#978d7b> 관향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시조 도시조 노수 (盧穗)
시조 노오 (盧塢)
중시조 노강필 (盧康弼)[1]
집성촌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두북리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강원도 김화군 원북면 추의리
강원도 김화군 임남면 두목리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 용성리
인구 61,747명(2015년)
중앙 종친회 노씨중앙종친회

1. 개요2. 역사3. 인물
3.1. 고관대작
3.1.1. 중세~근세3.1.2. 근대~현대
3.2. 교육인
3.2.1. 근대~현대
3.3. 정당인3.4. 연예인3.5. 운동선수
4. 항렬자5. 관련 문헌

1. 개요

교하 노씨(交河 盧氏)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盧泰愚) 대통령을 배출하였다.[2]

2. 역사

《교하노씨세보》(交河盧氏世譜)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교하노씨의 계보는 먼저 (唐)나라에서 관직을 지낸 노오(盧塢)를 그 뿌리로 적시한다.

노오(盧塢)는 당의 한림원(漢林院)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라는 직위를 역임한 정치가로, 한림학사는 당대의 최고 학문 기관 가운데 하나인 한림원의 학자로서 왕조의 문서·교서 작성, 학술 연구, 황제에게 자문하는 일 등을 맡았던 고급 관료였다. 노오의 이력은 본래 문사(文士)적 권위와 관료로서의 지위를 지닌 관료이자, 정치가이었다. 노오는 신라로 건너온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로, 교하 노씨는 대체로 중국 대륙 쪽에서 건너온 유학자·관리를 배출하여 명문의 반열에 올랐다.

노오는 고대중세 동아시아에서 통용된 봉작(封爵)인 백작작위인 ‘교하백(交河伯)’에 봉해졌다. ‘교하(交河)’는 이후 교하 노씨의 본관(本貫)으로 확정되는 장소로, 봉작을 통해 특정 지역과 혈연적·지리적 연계가 공고해졌음을 의미한다. 즉, 노오의 봉작은 가문이 단순한 개인 경력의 수준을 넘어서 ‘교하’라는 지역적 기반을 확보하고 이후 세대들이 본관을 교하로 계보를 이어가도록 하였다.

신라 말기의 정치가인 노강필(盧康弼)[3]은 어기계(杞溪)라는 지역에 거주를 정착하면서 당시 가문의 본관을 잠시 ‘장산(章山)’으로 옮겼다. 이런 세거지의 이동은 당시의 전쟁·이동·관직 배치 등 정치·사회적 요인과 결부되어 자주 발생하였으며, 교하 노씨 역시 그러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잠시 지역성을 옮긴 사례로이다. 그러나 노강필은 이후 고려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건국 과정에서 공을 세워 고려 건국에 기여했고, 그 공로로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이라는 개국(開國) 공신의 직위에 올랐다.

노강필은 태자(太子)를 교육·보좌하는 높은 관직인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라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이라는 군공(郡公)·부원군(府院君)급 봉작을 받아 다시금 교하 지역과 연계되면서 ‘복관(復貫)’ 즉 본관을 교하로 되돌리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이후 노강필을 ‘일세조(一世祖)’로 하였다.

조선조에 과거급제자 72명을 배출하였다.
노직(盧稙, 1536 丙申生) : 문과(文科) 선조2년(156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노사신[4](盧思愼, 1427 丁未生)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식년시 병과(丙科)
노사신(盧思愼)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등준시 이등(二等)
노공필(盧公弼, 1445 乙丑生)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춘시 이등(二等)
노윤중(盧允中, 1718 戊戌生) : 문과(文科) 영조42년(1766) 정시3 병과(丙科)
노문한(盧文漢, 1601 辛丑生) : 문과(文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병과(丙科)
노종원(盧從元) : 문과(文科) 명종16년(1561) 식년시 병과(丙科)
노서(盧○,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39년(1763) 기로정시 병과(丙科)
노사신(盧思愼)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발영시 일등(一等)
노경린(盧景麟) : 문과(文科) 명종8년(1553)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7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2명, 무과 14명, 생원진사시 46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3. 인물

3.1. 고관대작

3.1.1. 중세~근세

<rowcolor=#000> 이름 출생 직위 학력
중세~근세 시대
노책(盧頙) 미상 고려 후기 문하시중 미상
순비 노씨(順妃 盧氏) 1340년 고려 마지막 왕비 문과 급제
노제(盧濟) 미상 고려 후기 관리 무과 급제
노진(盧稹) 미상 고려 후기 관리 무과 급제
노사신(盧思愼) 1427년 조선 제44대 영의정 문과 급제
노공필(盧公弼) 1445년 조선 영중추부사 문과 급제

3.1.2. 근대~현대

<rowcolor=#000> 이름 출생 직위 학력
근대~현대 시대
노재현(盧載鉉) 1926년 대한민국 제21대 국방부 장관 국방대학교 행정학 학사
노승환(盧承煥) 1928년 대한민국 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조선정치학관 정치외교학 학사
노태우(盧泰愚) 1932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육군사관학교 행정학 석사
노인도(盧仁道) 1935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노승우(盧承禹) 1938년 대한민국 제14·15대 국회의원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정치학 석사
노대래(盧大來) 1956년 대한민국 제17대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노재헌(盧載憲) 1961년 대한민국 주중대사 조지타운 대학교 법학 박사

3.2. 교육인

3.2.1. 근대~현대

<rowcolor=#000> 이름 출생 직위 학력
근대~현대 시대
노현모(盧賢模) 1937년 서울대학교 분자생물학과 명예교수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분자유전학 박사
노소영(盧素英) 1965년 서울대학교 공학대학 초빙교수 스탠퍼드 대학교 교육학 석사

3.3. 정당인

3.4. 연예인

3.5. 운동선수

4. 항렬자

5. 관련 문헌


[1] 노강필을 시조로 보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항렬자를 노강필을 1세로 정하였다.[2] 6·29민주화선언(六二九民主化宣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3] [가문의 뿌리] 고려 개국공신 노강필 배출 '교하노씨'[4] 창성군파(昌城君派)의 파조(派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