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춘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개요
자씨는 한국의 희귀 성씨 중 하나로, 한자 표기는 慈이다.본관은 요양(遼陽), 해주(海州), 중원(中原) 3개가 있다고 한다. 광복 이전에는 함경도에만 분포하고 있던 성씨였는데, 1930년도 국세조사에 따르면, 전체 108가구 중 함경북도 성진군에 75가구가 있었으며, 그 중 성진군 학중면 수동에는 요양 자씨가 48가구가 살았을 정도로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한다. 2000년도 인구조사에서는 48가구 178명이 집계되었으며,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75명이 집계되었다.
여느 희귀 성씨가 그렇듯이 이 성씨도 과거에 비해 인구수가 크게 줄어들었다.[1]
실존 인물로는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대사 자성남(慈成男)이 있다. 그 외에 조선인민군 소장 자동일, 자인환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때는 성진군 학중면장을 지낸 자동직(慈東稷)이 있다.
본래 북한 중에서도 가장 북쪽인 함경도 지역에만 집중적으로 분포하였고, 현대에도 북한 쪽 인물 중에는 종종 보이는 성씨인 만큼 통일이 된다면 지금보다는 인구 증가가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거기다 북한은 출산율이 남한에 비해 2배 이상 높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북한 내 출산억제정책을 실시할 당시 김, 이, 박씨 집안은 강력하게 산아제한을 실시한 반면 해당 성씨처럼 마이너한 성씨의 경우 비교적 느슨하게 시행되었기에 이는 더욱 더 증가할 전망이다.[2]
2. 실존 인물
- 자동직(慈東稷): 1924년부터 1931년까지 성진군 학중면장을 지냈으며#, 1925년에는 성진군 임명금융조합 감사로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한편, 1937년에는 요양 자씨 문중과 관련된 책으로 추정되는 단행본 《자둔세람(慈屯世覽)》을 발행하다가 치안유지법에 저촉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불허가 출판물 목록에 오른 바 있다.#
- 자성남
2.1. 가상 인물
- 자금순 - 커튼콜
- 자루비 - 베리베리 뮤우뮤우
- 자베르 - 레 밀리터리블
원작인 레 미제라블의 자베르를 패러디한 인물로, 장발장 이병이 "자 중위님"이라고 부르며, 명찰의 쓰인 성씨도 'JA'이다. - 자세연 - 손만 잡고 잤을 텐데?!
- 자장면 - 웃지 않는 개그반
- 자취생 - 자취생키우기
해당 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이름을 지어주지만 동일 개발사의 작품인 월간아이돌 : 아이돌키우기, 월간엔터테인먼트에서 '자취생'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