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4:24:17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아시아 <colbgcolor=#ecebff,#020033> 동북아시아 <colbgcolor=#fff,#191919>몽골 · 일본 · 중국(홍콩, 상하이, 칭다오) · 타이베이[미승인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인도 · 파키스탄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젯다) · UAE · 예멘 · 오만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미승인국]
유럽 서유럽 네덜란드 · 벨기에 · 룩셈부르크 · 아일랜드 · 영국 · 프랑스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에스토니아 · 핀란드
중유럽 독일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오스트리아 · 폴란드 · 헝가리
동유럽, 남유럽 교황청 · 그리스 · 러시아 · 루마니아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튀르키예 · 크로아티아 · 포르투갈 · 아제르바이잔 · 조지아[분관]
아메리카
북미 미국(로스앤젤레스) · 멕시코 · 캐나다
중미, 카리브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남미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서아프리카 가나 · 나이지리아 · 세네갈 · 코트디부아르
동아프리카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케냐 · 탄자니아
중앙 아프리카 가봉 · 앙골라 · 카메룬 · 콩고민주공화국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 짐바브웨
오세아니아
/ 태평양
오세아니아 호주 · 뉴질랜드 · [미국]
태평양 파푸아뉴기니 · 피지
국제기구 국제연합 UN
지역별 EU · ASEAN · 제네바
분야별 OECD, UNESCO, ICAO, NATO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주요 해외 외교공관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장관급 대사 배치 외교공관
주미국대사관 주일본대사관 주중국대사관
주러시아대사관 주유엔대표부 주OECD대표부
차관급 대사 배치 외교공관
주영국대사관 주프랑스대사관 주벨기에, EU 대사관 겸 나토 대표부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Embassy of Republic of Korea in People's Republic of China
大韩民国驻中国大使馆
파일:주 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휘장.png
지도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소재지 파일:중국 국기.svg 20 Dongfangdong Road, Chaoyang District,
Beijing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사 정재호
상급기관 파일:외교부 MI.svg대한민국 외교부
업무시간 월~금 09:00~18:00
(점심시간 12:00~13:30)
전화 +86 10 8531 0700
(긴급) +86 186 1173 0089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대사관
3.1. 영사관 및 출장소
4. 대사5. 조직6. 사건사고 및 논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중국에 설치한 외교공관. 현재 대한민국의 전체 재외공관 중 최대 규모다.
최대 규모인데도 바로 옆 수백명이 일하는 주중 미합중국 대사관의 주차장보다 작은게 현실

2. 역사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92년 한국중국 간 수교를 하면서 생긴 공관이다. 그리고 1997년 홍콩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반환되고 난 뒤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관할권이 주 영국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주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이관되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이 이곳에 진입하면 중국 공안의 체포 위협에서 벗어나 안전한 탈북에 성공할 수도 있기에 이곳에 진입하려고 기를 쓰며, 그 때문에 인근에 공안들의 감시가 철저하다고 알려져 있다.[1]

2006년도에 북한이탈주민들이 전한 실상을 보면 당시에 외교적 마찰을 이유로 아예 한국 대사관 및 외교관들이 탈북자를 받아주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헌법국적법에 따라 명백한 국민북한이탈주민들과 북한 주민들을 거부하다보니 오히려 비판을 받았다.#

2019년에 대사관 등급을 '나'급으로 낮춰졌는데, 젊은 외교관 중심으로 일하는 것에 거부감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벌어진 조치이다.##

3. 대사관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6102506105240004300-001.jpg
주소는 중국 베이징시 차오양구 제3사관구 둥방동로 20호(中国 北京市 朝阳区 第三使馆区 东方东路 20号)이다.

베이징시, 톈진시, 허베이성, 산시성, 칭하이성,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의 영사업무를 관할한다.

영사 업무로 출입 시 전용 출입구가 있으며, 여권 확인 후 입장이 가능하다.

3.1. 영사관 및 출장소

순서는 개설 순서이다.
공관명 연락처 관할 지역 주소 개설일 홈페이지 주소
주홍콩 총영사관[2] +852 2529-4141 홍콩, 마카오 香港金鐘夏慤道 16號 遠東金融中心 5-6樓
5/F, Far East Finance Centre, 16 Harcourt Road, Hong Kong
1949년 5월 1일 #
주상하이 총영사관 +86 (21)6295-5000 상하이시, 안후이성
장쑤성, 저장성
상하이시 창닝구 완산루 60
上海市长宁区万山路60号(200336)
1993년 7월 14일 #
주칭다오 총영사관 +86 (532) 8897-6001 산둥성 산둥성 칭다오시 청양구 춘양루 88
山东省青岛市城阳区春阳路88号(266109)
1994년 9월 12일 #
주선양 총영사관 +86 (24) 2385-3388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랴오닝성 선양시 허핑구 난13웨이루 37
辽宁省沈阳市 平区南13纬路37号(110003)
1999년 7월 8일 #
주광저우 총영사관 +86 (20) 2919-2999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푸젠성 광둥성 광저우시 하이주구 유링싼루 18
广东省广州市海珠区友邻三路18号(510310)
2001년 8월 28일 #
주청두 총영사관 +86 (28) 8616-5800 충칭시,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쓰촨성 청두시 진장구 둥위제18 바이양빌딩 14층
四川省成都市锦江区东御街18号 百扬大厦 14楼(610016)
2005년 2월 26일 #
주시안 총영사관 +86 (29) 8835-1001 산시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성 시안시 가오신기술개발구 커지루 33 가오신국제상무센터 19층
陝西省西安市高新技术产业开发区科技路33号高新国际商务中心19层 (710075)
2007년 9월 20일 #
주우한 총영사관 +86 (27) 8556-1085 후베이성, 후난성
허난성, 장시성
후베이성 우한시 장한구 신화루 218 푸바은행빌딩 19층
湖北省武汉市江汉区新华路218号浦发银行大厦 4/19楼(430022)
2010년 10월 25일 #
주다롄 출장소 +86 (411) 8235-6288 랴오닝성 다롄시 랴오닝성 다롄시 중산구 런민루 23 훙위엔빌딩 5층
辽宁省大连市中山区人民路23号 虹源大夏5层(110003)
2012년 8월 29일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0px-Consulate_General_of_the_Republic_of_Korea_in_Guangzhou.jpg
주 광저우 대한민국 총영사관

4.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중대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재호 주중대사.jpg
제14대 주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정재호.

권영세, 김장수, 노영민 등 정계의 내로라하는 인사들이 거쳐갔다.

5. 조직

  • 정무부
  • 영사부
  • 경제부
  • 운영지원부
  • 문화원
  • 국방무관

6. 사건사고 및 논란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998년에 국군 포로 출신 탈북자 장무환 일병이 한국으로 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없느냐며 도움을 요청하자 "하.. 없어요"라는 전화상으로 막말하여 논란이 일어난적이 있다. 외교부/비판 참조.[3]2006년에 이 사건이 재발굴되자 그때서야 사과했다.

2000년에도 납북자 이재근 씨가 가족과 함께 중국으로 피신해 주중대사관에 전화를 걸었지만, 대사관 직원이 “당신 세금 낸 적 있어”라며 “국가에 부담을 주지 말라”고 쌀쌀맞게 전화를 끊어 파문이 일기도 했었다#

2010년에는 관할 공관인 상하이 총영사관에서 상하이 한국 영사 섹스 스캔들이 일어났다.

2011년 12월 13일에는 누군가 쇠구슬을 대사관 건물에 발사하여 대사관의 강화유리 창문이 파손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위키백과기사 쇠구슬의 크기로 보아 공기총으로 발사한 것이 아니라 새총으로 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쇠구슬을 발사한 범인은 잡히지 않았다.

14대 주중 대사인 정재호가 부하 직원에게 갑질을 했다는 신고가 외교부에 접수돼 조사하는 중이다.

7. 관련 문서



[1] 한창 외교공관을 통한 탈북이 성행했을 때에는 이로 인해 한국 및 서방 대다수의 대사관의 진입에 대한 감시가 철저했으며, 베이징 외에도 북중국경과 가까운 선양이나 대련의 한국 외교공관 역시 삼엄한 감시를 받았다.[2] 중국 대사관보다도 훨씬 일찍 개설된 곳으로, 개설 당시는 중국과는 미수교상태로 영국령 홍콩주영대사관 산하에 있었다.[3] 해당 사건은 그것이 알고싶다를 통해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