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중화민국)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푸젠성(대만)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e1c25> | 베이징시 京 · 톈진시 津 · 허베이성 冀 · 산시성 晋 · 내몽골 자치구 蒙 | |
랴오닝성 辽 · 지린성 吉 · 헤이룽장성 黑 | |||
화둥 지구 | 상하이시 沪申 · 장쑤성 苏 · 저장성 浙 · 안후이성 皖 · 푸젠성 闽 · 장시성 赣 · 산둥성 鲁 · 타이완성 台 | ||
중난 지구 | 허난성 豫 · 후베이성 鄂 · 후난성 湘 · 광둥성 粤 · 광시 좡족 자치구 桂 · 하이난성 琼 · 홍콩 특별행정구 港 · 마카오 특별행정구 澳 | ||
시난 지구 | 충칭시 渝 · 쓰촨성 川蜀 · 구이저우성 黔贵 · 윈난성 滇云 · 티베트 자치구 藏 | ||
시베이 지구 | 산시성 陕秦 · 간쑤성 甘陇 · 칭하이성 青 · 닝샤 후이족 자치구 宁 · 신장 위구르 자치구 新 | ||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 | |||||
푸젠성 [ruby(福建, ruby=Fújiàn)][ruby(省, ruby=Shěng)] | [ruby(福建省, ruby=Hok-kiàn-séng)] | [ruby(福建省, ruby=Hók-gióng sēng)] | [ruby(福建省, ruby=Fuk-kian-sén)] Fujian Province | |||||
지역 | 화둥 | ||||
면적 | 124,000km² | ||||
성도 | 푸저우시 | ||||
청사소재지 | 푸젠성 푸저우시 구러우구 화린로 76호 福建省福州市鼓楼区华林路76号 | ||||
하위 행정구역 | 9지급시(1부성급시) 29구 12현급시 43현[1] | ||||
시간대 | UTC+8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3,911만명 | |||
인구밀도 | 326명/km² | ||||
민족 구성 | 한족 98.28% | 사족 1.1% 회족 0.32% | 토가족 0.08% | ||||
HDI | 0.758 (2017) | ||||
서기 | 저우주이(周祖翼) | ||||
성장 | 자오룽(赵龙) | ||||
GRDP | 전체 | $7,673억 (2021) | |||
1인당 | $18,471 (2021)[2] | ||||
행정구역 약칭 | 闽 | ||||
행정구역코드 | 350000 | ||||
지역전화번호 | 0591 ~ 0599 | ||||
우편번호 | 350000 ~ 364000 | ||||
ISO 3166-2 | CN-FJ | }}}}}}}}} |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푸젠성은 중국의 성으로, 성도는 푸저우시이며 최대도시는 샤먼시다. 중국 남동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저장성, 서쪽으로 장시성, 남쪽으로 광둥성과 접한다. 약칭은 민([ruby(闽, ruby=mĭn)])이다. 한국 한자음으론 복건성이다.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대만과 마주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과 인접한 일부 섬 지역들[3]은 대만의 실질 관할 구역이지만 중국은 대만을 중국의 일부로 보고 대만을 실효지배하는 중화민국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 섬 지역도 모두 명목상 푸젠성 관할로 해두고 있다. 한편 대만에서도 중화인민공화국을 부정하고 중국 대륙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법적으로 철회하지 않았으므로 푸젠성 정부를 두고 진먼섬과 마쭈열도를 통치하고 있는데 대만 푸젠성의 명목상의 행정구역도 대륙 지역까지 설정되어 있다. 이런 까닭에 푸젠성은 중국에서 분단되어 있는 유일한 성이며 양안관계의 최전선으로 자리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인천과 제주에서 샤먼 직항을 통해 푸젠으로 갈 수 있다.
2.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언어별 명칭 | |
영어 | Fujian Province |
표준중국어 | [ruby(福建, ruby=Fújiàn)][ruby(省, ruby=Shěng)] |
민남어 | [ruby(福建省, ruby=Hok-kiàn-séng)] |
민동어 | [ruby(福建省, ruby=Hók-gióng-sēng)] |
민북어 | [ruby(福建省, ruby=Hŭ-gṳ̿ing-séng)] |
보선어 | [ruby(福建省, ruby=Ho̤h-ge̤̍ng-sēng)] |
객가어 | [ruby(福建省, ruby=Fuk-kian-sén)] |
한국어 | 푸젠성 |
약칭인 민([ruby(闽, ruby=mĭn)])은 과거 이 지방을 가리키던 명칭에서 유래했다. '종족이름 민'(閩) 자를 풀어보자면 '문 문'(門)과 '벌레 훼'(虫)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벌레 훼 자는 본래 '독사 훼(虺)'였다. 곧 한자를 풀이하면 '문 앞의 뱀'으로, 이는 오랑캐를 비하하는 뜻이었다. 원래 난링산맥-우이산맥 너머의 광둥, 광시, 푸젠 지역은 고대에는 전통적 의미의 중원 바깥, 오랑캐의 영역으로 인식되던 지역이었는데 고대 중화제국이 영토를 확장되면서 뒤늦게 합류하였기 때문이다.
푸젠성은 중국의 방언권 중 가장 이질적인데, 그 이유는 푸젠성의 언어인 민어의 경우 상고한어에서 나와 언어 자체의 문법도 기타 중국 제어와 크게 상이한데다가 경우 하위에 또 언어가 나뉘어 있고 서로간의 대화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당장 위 언어 중 표준중국어와 객가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가 모두 민어권 소속인데다가 위 언어를 제외하고도 민중어와 소장어라는 민계 언어가 2개 더 존재한다. 그러나 이 둘은 병음표기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언어 표에 적히지 않았을 뿐이다.
3. 역사
춘추전국시대 이전에는 백월이라고 총칭되는 수십여개 다양한 부족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북쪽 중원과 별개인 오랑캐의 지역으로 여겨졌다. 특히 푸젠 일대의 백월 부족들을 가리켜 '민(閩)'이라고 하였다. 이 부족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이나 크라다이어족 계통의 언어를 쓰는 종족들과 연관이 있으며 대만 원주민과도 연관성이 있다.춘추전국시대 때 월나라가 세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푸젠성 일대의 종족들을 흡수하며 패권을 차지하였다. 월나라는 전성기에는 양쯔강 하류에 위치한 오나라를 멸망시킬 정도였으나 전성기가 지난 후에 세가 약화되어 초나라에 의해 멸망당하면서 초나라와 진나라의 지배하에 있게 되었다. 초한쟁패기에 민월과 동월이라는 명칭으로 독자적인 국가가 설립되었으나 결국 한무제에 의해 멸망하였다. 다만 험한 지형과 중원에서 먼 거리 때문에 한무제는 이 지역 통치를 포기하고 동월 백성을 장강과 회수 사이로 옮겨 살게 했다.
삼국시대에 이 지역은 동오의 영역으로 본디 한나라 회계군 소속의 미개발 지역이었으나 손권이 이 일대를 개척하여 196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현이 설치되었다. 손권은 이와 비슷한 시점에 이곳에 회계군 남부도위(南部都尉)를 설치하고 하제 등을 보내 반란을 진압하고 이곳을 개척하게 했다. 동오는 260년에 회계남부도위부를 승격시켜 이곳에 건안군을 설치했다. 이렇게 개발이 진척되면서 오랜 세월을 거치며 한족이 이 지역까지 내려와 정착하게 되고 동시에 통혼과 혼혈이 빈번히 일어나면서 한족에 동화되었다.
위진남북조시대엔 중원의 분쟁으로 인해 중원에서 수많은 한족 집단이 푸젠 지역으로 이주하여 험준한 지형을 기반으로 객가라는 한족의 일파가 되었다. 이들은 오늘날 난민과 비슷한 처지였기 때문에 특이한 거주 양식이 발전했는데 그것이 바로 마을 주민들의 공동숙소이자 작은 병영인 토루라는 폐쇄적 건축 양식이다. 푸젠의 지형이 험준해서 농사로 먹고살기는 힘들었던지라 푸젠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공부에 집중하고, 상업에 열중했다. 그래서 강절 지역(장쑤, 저장 등)과 함께 과거시험 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지역이었고 민상(閩商)으로 불린 상인들은 바다를 누볐다. 지금도 해외 화교 조상 중에서 객가인이 상당히 많다.
취안저우(천주)는 이븐 바투타와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서 세계 최대의 항구로 나올 정도였으며 이 곳은 한때 정성공의 동녕 왕국의 거점이었던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바다로 나가는 것을 금지하는 청나라의 해금 정책은 대만의 정성공을 고립시키기 위해 푸젠 해안 50km 이내 모든 마을을 파괴하고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며 이미 바다에 나간 푸젠인들은 외국과 밀통한 매국노 취급했다. 푸젠 출신의 화교가 고향에 돌아가지 않고 전 세계에 퍼져 있는 한 이유가 되었다. 청말에는 상황이 역전되어 푸젠수사학당 등이 건설되면서 남양수사의 요람이 되었고 상당수의 해군 장성들이 푸젠성에서 배출되었다.
신해혁명 이후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안휘군벌 리허우지의 영토가 되었으나 1922년 쉬충즈의 공격으로 리허우지가 축출된 후 1923년 직예군벌 쑨촨팡의 영토가 되었다가 그 휘하의 주음인이 통치했다.
하지만 1926년 국민당의 1차 북벌이 시작되면서 국민정부의 영토가 되었다.
1931년에 만주사변이 발생한 후 전국에서 가장 배일운동이 들끓던 성 중 하나가 되었다.
1933년 푸젠성 정부주석 장광나이, 19로군 군장 차이팅카이, 전 행정원 부원장 천밍수, 전 광둥성 정부주석 리지선이 제5차 초공작전으로 중국이 혼란한 틈을 타서 복건사변을 일으켜 독립을 시도했으나 순식간에 분쇄되었다. 이후 천이가 새로운 정부주석에 취임하여 그간의 배일 분위기를 일소시켰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부 주요 항구들이 일본군의 공격에 점령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중화민국의 영토로 남아 있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함에 따라 중국이 대륙 쪽에 있는 푸젠성 대부분 지역을 차지하였지만 해안 도서 중 1949년 당시를 기준으로 진먼현 대부분, 롄장현 마쭈향(마쭈 열도), 푸톈현 우추향(현 진먼현 우추향), 창러현 바이취안(白犬; 백견)향(현 롄장현 쥐광향), 둥(; 동욕)열도(현 롄장현 둥인향)를 점령하지 못해서 이 지역은 중화민국령으로 남아 있다.
(중화민국 푸젠성) 진먼현은 항구도시인 샤먼시와 불과 4km 떨어진 거리로, 이 지역에서 진먼 포격전이 발발한 적이 있다.
21세기에 들어 정기편 선박도 진먼 - 샤먼 구간에 취항하면서 양안간 교류가 가장 활발한 지역이 되었다. 현재 중국의 명목 행정구역으로 진먼현(우추향 및 둥징다오 제외)은 취안저우시에 속한 (명목상) 진먼현으로, 진먼현 우추향은 푸톈시 슈위구 메이저우전(湄洲鎮; 미주진)에 속한 우추촌, 롄장현(쥐광향 제외)은 푸저우시 롄장현 소속 마쭈향(馬祖鄕; 마조향), 롄장현 쥐광향은 푸저우시 창러구 메이화전(梅花鎭; 매화진)에 속한 바이취안(白犬; 백견) 열도로, 진먼현 진먼전에이 관할하는 둥징다오(東碇島; 동정도)는 장저우시 룽하이구(龍海區; 용해구) 소속으로 되어 있다. 한편 진먼현 중 중화인민공화국의 실제 영토인 곳은 샤먼시로 이관되어 있으며, 현 샹안구 다덩제다오(大嶝街道; 대등가도)다.
4. 지리
의산방해(依山傍海)라고 하여 바다에 접하고 평지가 적고 산이 많은 지형을 하고 있다.우이 산맥에 접하는지라 성 면적의 90%가 산악지대로 푸젠의 삼림비율은 전 행정구역의 62.9%이며 전국에서 가장 넓다. 임지면적은 617.9만ha이며 중국의 6대 삼림지구중 하나이다.
이런 농사짓기 힘든 조건은 푸젠인들이 해외 무역에 열중하도록 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화교가 동남아시아 곳곳에 나가는 계기가 되었다.[4]
기후는 온난 습윤 기후(Cfa)로, 여느 화난 지방처럼 푹푹 찌는 듯 더운 여름과 따뜻한 겨울이 존재하는, 중국 내 대표적인 아열대기후 지역이다. 홍콩보다는 조금 시원한 편이며[5], 상하이시나 난징시보단 덥다. 대충 오키나와나 미국 남부와 비슷하다고 보면 될 듯 하다.
연평균기온은 19~22°C 정도이며 1월 최저기온은 보통 평균 11°C, 7월 최고기온은 보통 평균 28°C이다.
5.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9 | 현급행정구 시할구 31, 현급시 11, 현 42 | |
샤먼시 厦门市 | |||
푸저우시 성도 福州市 | |||
푸톈시 莆田市 | 청샹구 城厢区 한장구 涵江区 리청구 荔城区 슈위구[2] 秀屿区 셴유현 仙游县 | ||
싼밍시 三明市 | 싼위안구 三元区 사셴구 沙县区 융안시 永安市 밍시현 明溪县 칭류현 清流县 닝화현 宁化县 다톈현 大田县 유시현 尤溪县 장러현 将乐县 타이닝현 泰宁县 젠닝현 建宁县 | ||
취안저우시 泉州市 | |||
장저우시 漳州市 | 샹청구 芗城区 룽원구 龙文区 룽하이구[2] 龙海区 창타이구 长泰区 윈샤오현 云霄县 장푸현 漳浦县 자오안현 诏安县 둥산현 东山县 난징현 南靖县 핑허현 平和县 화안현 华安县 | ||
난핑시 南平市 | 젠양구 建阳区 옌핑구 延平区 사오우시 邵武市 우이산시 武夷山市 젠어우시 建瓯市 순창현 顺昌县 푸청현 浦城县 광쩌현 光泽县 쑹시현 松溪县 정허현 政和县 | ||
룽옌시 龙岩市 | 신뤄구 新罗区 융딩구 永定区 장핑시 漳平市 창팅현 长汀县 상항현 上杭县 우핑현 武平县 롄청현 连城县 | ||
닝더시 宁德市 | 자오청구 蕉城区 푸안시 福安市 푸딩시 福鼎市 샤푸현 霞浦县 구톈현 古田县 핑난현 屏南县 서우닝현 寿宁县 저우닝현 周宁县 저룽현 柘荣县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6. 주민
한족이 97.84%로, 그 외에 후이족이나 만주족 등의 소수민족이 있다. 만주족들은 물론 당연히 한족에 동화되어, 만주어가 아닌 한어, 즉 표준 중국어를 쓴다.토박이들은 민어를 쓰는데 민남어[6], 민동어, 민중어 등으로 갈리고 서로 의사소통이 잘 안 되며 특히 치우차우어나 하이난어도 여기에 속한다. 대만어도 이쪽 갈래인데 대만의 한족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본성인들이 오래 전 17세기에 푸젠 지역에서 건너온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에는 표준 중국어 보급 정책으로 거의 대부분의 주민들이 표준중국어를 능숙하게 구사 하는데, 그래도 민어 억양은 그대로 남아 있어서 잘 들어 보면 북경어 보다는 똑같이 민어의 영향을 받은 대만 국어와 더 비슷한 느낌이다.
인구의 대다수는 바다와 인접한 좁은 평원에 모여 주거하고 있으며 산지에 거주하는 인구는 적다.
상당히 많은 화교들이 푸젠 출신인데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에 집중되어 있다.[7] 영미권이나 라틴아메리카의 화교들의 출신지는 대부분 쿨리들이 출발한 광둥성이다. 이 중 캐나다 밴쿠버와 페루 리마는 광동어 화자들의 비율이 아주 높다.
중국에서는 내몽골 자치구와 티베트 자치구를 제외하면 불교 신자의 비율이 가장 높아 40%에 달한다.(2012년 기준) 다음은 저장성으로 24%다.
참고로 중국의 불교도 평균 비율은 인구의 15%다.# 마치 허난성, 안후이성, 광둥성 등에 기독교 신자가 많고 특히 허난에는 골수 기독교 신자가 흔한 것처럼 국가 무신론을 추종하는 사회주의 국가 중국치고는 종교인이 많은 셈이다.
7. 문화
푸젠성 남서쪽 산악지대에는 푸젠 토루(福建土楼)라고 불리는 독특한 주거양식이 유명하다. 둥글거나 네모난 2~5층 정도의 공동 주택인데 외부는 성처럼 폐쇄적이고 내부의 빈 공간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빈 공간에는 우물 등 공공시설이 갖춰져 있고 외부의 침입을 막는 데 주안점을 둔 주택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마치 복도식 아파트처럼 생겼지만 가로 모양으로 사람이 주거하는 게 아니라 세로 모양으로 주거하는 것도 독특한 점이다. 즉, 한 집당 여러 층으로 되어 있어서 방마다 계단으로 드나들며 이런 집들이 모여 하나의 토루를 완성하는 형태다.
7.1. 요리
자세한 내용은 복건 요리 문서 참고하십시오.8. 경제
1980년대 이후 개혁개방 정책을 집행하면서 외국 자본이 들어왔고 기술과 설비 쪽으로 발전이 이루어졌다. 샤먼(厦門) 경제특구, 마웨이(马尾) 경제기술 개발구역, 옌하이(沿海) 개방지구, 타이샹(台商) 투자지구 등이 대표적인 산업지구이며 이로 인해 홍콩과 인접하고 선전, 주하이 경제특구가 있는 광둥성이나 이전부터 경제의 중심지였던 상하이와 함께 중국에서 가장 산업적으로 발전한 지역이기도 하다.성 전체 경제 규모는 대만과 비슷하다. 인구는 푸젠성이 대만보다 약 1.7배 많지만 1인당 GDP는 대만이 푸젠성 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높다.
푸젠성 동남부에 위치한 취안저우시가 일대일로 정책에서 해상 실크로드의 개발 시작점이며 바로 대항해시대 게임에 나오는 자이통이다.
하이거 등을 거느리고 있는 버스 제조사인 킹롱, 전기자동차용 충전지로 유명한 CATL이 이곳을 거점으로 하는 대표적인 중국 기업이다.
대표적으로 중국에서 짝퉁을 생산하던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양안 융합발전 시범구로 지정했다.#
9. 역대 영도인
푸젠성 영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성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푸젠성 인민정부 주석 | ||
초대 | 제2대 | ||
장딩청 | 예페이 | ||
푸젠성 인민위원회 성장 | |||
초대 | 제2대 | 대리 | |
예페이 | 장이전 | 우훙샹 | |
제3대 | 제4대 | ||
장이전 | 웨이진수이 | ||
푸젠성 혁명위원회 주임 | |||
초대 | 제2대 | ||
한셴추 | 랴오즈가오 | ||
푸젠성 인민정부 성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마싱위안 | 후핑 | 왕자오궈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자칭린 | 천밍이 | 허궈창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시진핑 | 루젠궁 | 황샤오징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쑤슈린 | 위웨이궈 | 탕덩제 | |
제13대 | 제14대 | ||
왕닝 | 자오룽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초대 | 제2대 | 제3대 |
장딩청 | 예페이 | 한셴추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랴오즈가오 | 샹난 | 천광이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자칭린 | 천밍이 | 쑹더푸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루젠궁 | 쑨춘란 | 유취안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위웨이궈 | 인리 | 저우주이 | }}}}}}}}}}}}}}} |
10. 기타
시진핑이 이곳에서 17년간 일했으며 성장까지 지낸 적이 있다. 대만과 마주보고 있으며 대만과 군사적으로 대립하는 동시에 대만과 경제적 교류가 많은 지역인 만큼 이러한 경력으로 인해 시진핑이 대만 문제에 더욱 관심이 많다는 분석이 있다.대만인을 위한 혜택 제도가 있다.#
11. 출신 인물
- 마조: 남중국 일대 신화의 여신
- 주자: 싼밍 유시 출신, 남송의 유학자
- 이탁오: 취안저우 진장 출신, 명나라의 사상가·양명학자
- 홍승주: 취안저우 난안, 명말청초의 군인·관료
- 정지룡: 취안저우 난안 출신, 명말청초의 상인· 해적이자, 정성공의 아버지
- 정경: 취안저우 난안 출신, 정성공의 아들
- 시랑: 취안저우 진장 출신, 명말청초의 군인
- 황신: 싼밍 닝화 출신, 청나라의 화가, 양주8괴
- 임칙서: 푸저우 출신, 청나라 말기 정치가
- 옌푸: 푸저우 출신, 청말 민국초 사상가
- 린위탕: 장저우 핑허 출신, 중화민국의 저술가
- 린썬: 푸저우 민허우 출신, 청나라의 관리, 혁명가, 중화민국의 정치인. 건국훈장 대통령장(複章) 수훈자
- 예췬: 푸저우 민허우 출신, 중국의 여성 정치인이자, 린뱌오의 아내
- 천사오콴: 민허우 출신, 중국의 해군제독.
- 천보다
- 오청원: 푸저우 출신, 바둑기사
- 오맹달: 샤먼 출신, 홍콩의 배우
- 임봉: 샤먼 출신, 홍콩의 배우
- 린단: 룽옌 출신, 중국의 배드민턴 선수
- 루징: 중국의 아이돌
- 리위안위안: 중국의 아이돌
- 쿤: 보이그룹 NCT, WayV의 멤버
- 천두링: 샤먼 출신, 중국의 배우
- 싸전빙: 중화민국 국무총리, 해군총장.
- 주사오량: 중화민국의 군인.
- 두시구이: 중화민국 국무총리, 해군총장.
- 장하오: 난핑 출신, Mnet 서바이벌 보이즈플래닛 출연자이자 보이그룹 ZEROBASEONE의 멤버
- 뢰위명: 닝더 출신, 중국의 배우
[1] 명목상으로는 진먼현까지 포함해 44현이다.[2] 증권시보[3] 진먼 섬과 마쭈 열도가 이들이다.[4] 이웃 지역인 광둥성도 마찬가지다.[5] 최고기온 기록은 홍콩보다 높다.[6] 혹키엔이라 불리는 그 언어다. 대만과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등에서 많이 쓰인다.[7] 복건성과 같은 계열인 대만인이 많이 건너간 일본 화교도 넓은 의미에서 보면 프젠인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