샨씨성(陝西省)에 대한 내용은 샨씨성(섬서성)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e1c25> | 베이징시 京 · 톈진시 津 · 허베이성 冀 · 산시성 晋 · 내몽골 자치구 蒙 | |
랴오닝성 辽 · 지린성 吉 · 헤이룽장성 黑 | |||
화둥 지구 | 상하이시 沪申 · 장쑤성 苏 · 저장성 浙 · 안후이성 皖 · 푸젠성 闽 · 장시성 赣 · 산둥성 鲁 · 타이완성 台 | ||
중난 지구 | 허난성 豫 · 후베이성 鄂 · 후난성 湘 · 광둥성 粤 · 광시 좡족 자치구 桂 · 하이난성 琼 · 홍콩 특별행정구 港 · 마카오 특별행정구 澳 | ||
시난 지구 | 충칭시 渝 · 쓰촨성 川蜀 · 구이저우성 黔贵 · 윈난성 滇云 · 티베트 자치구 藏 | ||
시베이 지구 | 산시성 陕秦 · 간쑤성 甘陇 · 칭하이성 青 · 닝샤 후이족 자치구 宁 · 신장 위구르 자치구 新 | ||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중화인민공화국의 성 | |||||
샨씨성 [ruby(陕西, ruby=Shǎnxī)][ruby(省, ruby=Shěng)] | Shaanxi Province | |||||
성정부 소재지 | 시안시 신청구 제팡루280호 陕西省西安市新城区解放路280号 | ||||
지역 | 시베이 | ||||
면적 | 205,800km² | ||||
하위 행정구역 | 10지급시(1부성급시) 4현급시 73현 6자치현 30구 | ||||
시간대 | UTC+8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3,762만명 | |||
인구밀도 | 182.7명/km² | ||||
민족 구성 | 한족 99.5% | 회족 0.39% 만주족 0.14% | 몽골족 0.02% | ||||
HDI | 0.750 (2017) | ||||
서기 | 자오이더(赵一德) | ||||
성장 | 자오강(赵刚) | ||||
GRDP | 전체 | $4,684억 (2021) | |||
1인당 | $11,853 (2021)[1] | ||||
행정구역 약칭 | 陕 | 秦 | ||||
행정구역코드 | 610000 | ||||
지역전화번호 | 029, 0911 ~ 0917, 0919 | ||||
우편번호 | 710000 ~ 727000 | ||||
ISO 3166-2 | CN-SN | }}}}}}}}} |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샨씨성은 중국의 성이다. 약칭은 친(秦).[2] 바로 그 유명한 관중(關中)이 이 지역을 일컫던 말이다. 한국 한자음으론 섬서성이다. 산시성은 허난성 섬현(샨陝)의 서쪽(西)에 있다는 뜻이다. 인구는 37,327,378명, 면적은 205,800 km2이다.[3] 성도는 시안시. 민족은 한족이 99.5%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나 닝샤 후이족 자치구와 접하고 있어서인지 후이족도 0.4%는 있다.동쪽에 맞닿아 있는 성도 한국식 표기가 똑같은 산시성인데, 한자가 다르다. 그 성은 한국 한자음으로 산서성이고, 여기는 섬서성이다. 이 산시성(산서성)과 구분하기 위해 Shaanxi라고 한다. 국어로마자로 섬서성(Shǎnxī Shěng)을 Shaanshi Sheeng, 산서성(Shānxī Shěng)을 Shanshi Sheeng이라고 표기하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2. 지리
황하 및 황하 최대의 지류인 위하 渭河:중국명 웨이허가 이곳을 흐르며 동쪽은 친진대협곡, 남쪽에는 진령:친링 산맥이 북중국과 남중국을 가른다. 북부는 황토고원, 중부는 관중 분지, 남부는 한중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관중을 중심으로 하는 거대한 분지 지형이고 서쪽 한중은 약간 따로 노는 좀 더 작은 분지다. 관중을 낙양:뤄양 등 허난성과 가까워 세트로 묶어서 보기도 하지만 고대부터 괜히 둘을 나눴던 게 아닌 게 두 지역의 지형은 행정구역 경계 근처를 기준으로 지형과 분위기가 상당히 다른 편이다. 섬서성(샨씨) 황하 상류 황토고원 지형이 발달한 편이다.관중 분지를 제외하면 대체로 산지가 많은 편으로, 특히 시안과 한중 사이에 있는 친링 산맥의 경우 최고봉인 타이바이산(太白山)의 고도가 무려 3,750m까지 올라간다. 기후의 경우 북부 황토 고원은 내몽골처럼 매우 춥고 건조한 편이며, 남쪽은 보다 따뜻하고 강수량이 많다. 중간에 위치한 시안의 1월 평균기온은 0.3℃, 7월 평균기온은 27.0 ℃이며 연강수량은 561 ㎜로 많지는 않은 편.
3.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은 채색토기가 특징인 양사오 문화가 발달한 지역이다.한족의 본거지로, 이곳의 기산에서 일어난 주나라는 동진하여 지금의 산서성동쪽에 있던 상나라를 멸망시켰다.
고대에는 황하가 지나는 풍요로운 땅으로서 흔히 서안시의 동쪽에 있던 함곡관을 기준으로관중, 관서라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간쑤성 지역과 합쳐 옹양주라고 불리기도 했다.
들어오고 나가는 길이 한정적인 분지 지형으로 동쪽은 함곡관만 틀어막으면 다 해결되니 수비가 쉬우면서도 탁 트여있는 동쪽 중원의 제후국들로부터 방어하면서 힘을 비축하다 역으로 진출하기는 쉽고 현재의 산서성 중,북부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던 북적과 서융으로부터 말을 얻기도 쉬워서 고대부터 중국사의 중요한 지역이었고 은나라,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등 시안은 1300년 가까이 중국의 수도였다.
나중에 한나라때 개척된 로마까지 이어진 실크로드의 결절점이기도 했다.
삼국시대에는 이곳의 서부에서 위나라와 쓰촨에 위치한 촉한이 수십 년간 대치했다.
서진 시절에는 선비족, 흉노족, 강족등이 이 곳을 위협하자 사마준, 마륭이 이를 막아냈다.
하지만 당나라 중기 이후로 오랜 농업으로 지력이 쇠퇴하고 기후 변화가 도래하였으며, 서쪽의 토번, 위구르, 북쪽의 거란등 주변의 수많은 이민족들의 침략이 잦아서 오대십국시대에 섬서성 일대는 몰락한다. 이미 동부 해안지역[4]으로 중국사의 주도권이 넘어간 것. 이후 중국사의 중심은 알다시피 내몽골에서 도래한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베이징으로 옮겨가고 장안 일대는 자연히 버려졌다.
그러나 위수 분지 이북은 여전히 말을 기르기 좋은 곳이었으며 이곳을 잃은 송나라는 거란, 여진, 몽골, 서하 등을 상대할 기병 양성에 큰 어려움을 겪어 북방 방비가 어려워졌다.
1556년 1월 23일 산시성의 화산에서 파멸적인 지진이 일어나 83만 명이 죽는 참사가 있었다. 거기에 명나라 말엽에는 잦은 흉작으로 이 지방 민심이 불안해졌으며 이 지역의 농민이었던 이자성이 이자성의 난이 일으켜 명나라를 멸망시켰다.
청나라 붕괴 이후 군벌 펑위샹의 영지가 되었으나 1930년 중원대전에서 펑위샹의 세력이 공중분해되면서 제 때 장제스에게 줄을 선 양후청이 산시성 주석으로 임명되어 양후청의 영지가 되었지만 1933년 장제스가 권력을 강화하면서 양후청은 산시성 주임에서 해임되었다.
1935년 제5차 초공작전에 쫓겨온 마오쩌둥이 대장정 끝에 이곳의 홍군에 합류하여 옌안 소비에트 시대를 열었고 1935년 시안에 서북 초비 총사령부가 설치되어 제6차 초공작전이 준비되었으나 1936년 서북 초비 부사령관 장쉐량과 서안 수정공서 주임 양후청이 독전을 위해 방문한 장제스를 감금하는 서안 사건을 일으켰다. 이후 휴전에 따라서 국공합작으로 공산당의 숨통이 트여 국민당은 기존처럼 남방 일대를 중심으로 잡고 공산당은 옌안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중일전쟁 이후 국공내전이 발발하자 중국국민당 국부군의 후쭝난이 연안을 점령하면서 잠시 국민당의 영역이었다. 이후에 중국공산당이 승리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4. 문화
섬서 지역은 산서성, 간쑤성 인근과 유사한 문화를 향유했으며, 특히 다양한 면과 요리가 유명하다. 이에 대해서는 섬서 요리 문서 참고.또한 관중십대괴(關中十大怪) 혹은 섬서십대괴(陕西十大怪)라 하여 10가지 독특한 풍습이 있다.
1. 면조상고대(面條像褲帶), 면이 허리띠 같다. 뱡뱡면을 보면 그 특징을 볼 수 있다.
2. 과회상과개(鍋盔像鍋盖), 솥뚜껑 처럼 큰 떡을 먹는다. 과회는 중국에서 보통 자그마한 크기로 만들지만, 섬서는 그 크기가 남다르다.
3. 유발랄자일도채(油潑辣子一道菜), 고추기름도 하나의 요리다. 특히 손님이 방문했을때 고추를 대접하지 못하는걸 결례로 생각했다.
4. 완분난분개(碗盆難分開), 그릇과 대야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큰 그릇을 사용하는 풍습이 있다.
5. 수파두상대(手帕頭上戴), 손수건을 머리에 쓴다. 북쪽 황토고원에서 날리는 모래바람과 햇빛을 피하기 위해 머리에 수건을 썼다.
6. 방자반변개(房子半邊盖), 건조하여 목재가 부족하다보니 ㅅ형태의 일반적인 지붕이 아니라 /형태의 집을 짓는 문화가 있다.
7. 고낭부대외(姑娘不對外), 처녀들은 외지로 시집을 가지 않는다. 오랜 기간 수도였던만큼 폐쇄적이고 보수적이었다.
8. 부좌의준기래(不坐椅蹲起來), 의자에 쪼그려앉는다. 의자에 발바닥을 대고 쪼그려앉는 풍습이 있다.
9. 수각침석괴(睡覺枕石塊), 잘때 돌을 베고 잔다. 관중 사람들은 잠을 잘때 부드러운 베개보단 돌이나 나무같이 딱딱한 베개를 선호한다.
10. 진강창후기래(秦腔唱吼起來), 연극을 할때 고함을 지른다.
5.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10 | 현급행정구 시할구 31, 현급시 7, 현 69 | |
시안시 성도 西安市 | |||
퉁촨시 铜川市 | 야오저우구 耀州区 왕이구 王益区 인타이구 印台区 이쥔현 宜君县 | ||
바오지시 宝鸡市 | |||
셴양시 咸阳市 | 친두구 秦都区 양링구 杨陵区 웨이청구 渭城区 싱핑시 兴平市 빈저우시 彬州市 싼위안현 三原县 징양현 泾阳县 첸현 乾县 리취안현 礼泉县 융서우현 永寿县 창우현 长武县 쉰이현 旬邑县 춘화현 淳化县 우궁현 武功县 | ||
웨이난시 渭南市 | 린웨이구 临渭区 화저우구 华州区 한청시 韩城市 화인시 华阴市 퉁관현 潼关县 다리현 大荔县 허양현 合阳县 청청현 澄城县 푸청현 蒲城县 바이수이현 白水县 푸핑현 富平县 | ||
옌안시 延安市 | 바오타구 宝塔区 안싸이구 安塞区 쯔창시 子长市 옌창현 延长县 옌촨현 延川县 즈단현 志丹县 우치현 吴起县 간취안현 甘泉县 푸현 富县 뤄촨현 洛川县 이촨현 宜川县 황룽현 黄龙县 황링현 黄陵县 | ||
한중시 汉中市 | 한타이구 汉台区 난정구 南郑区 청구현 城固县 양현 洋县 시샹현 西乡县 몐현 勉县 닝창현 宁强县 뤠양현 略阳县 전바현 镇巴县 류바현 留坝县 포핑현 佛坪县 | ||
위린시 榆林市 | 위양구 榆阳区 헝산구 横山区 선무시 神木市 푸구현 府谷县 징볜현 靖边县 딩볜현 定边县 쑤이더현 绥德县 미즈현 米脂县 자현 佳县 우부현 吴堡县 칭젠현 清涧县 쯔저우현 子洲县 | ||
안캉시 安康市 | 한빈구 汉滨区 쉰양시 旬阳市 한인현 汉阴县 스취안현 石泉县 닝산현 宁陕县 쯔양현 紫阳县 란가오현 岚皋县 핑리현 平利县 전핑현 镇坪县 바이허현 白河县 | ||
상뤄시 商洛市 | 상저우구 商州区 뤄난현 洛南县 단펑현 丹凤县 상난현 商南县 산양현 山阳县 전안현 镇安县 자수이현 柞水县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6. 여담
陜(합, 人이 2개)[5]과 陝(섬, 入이 2개)이 비슷하게 생겨서 실제로도 가끔 '합서성'으로 오기되는 경우가 나온다. 무협지 등에서는 陜(합)을 협으로 읽어서 협서성으로도 나온다.7. 역대 영도인
산시성(섬서성) 영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성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산시성 인민정부 주석 | ||
초대 | 제2대 | ||
마밍팡 | 자오서우산 | ||
산시성 인민위원회 성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자오서우산 | 자오보핑 | 리치밍 | |
산시성 혁명위원회 주임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리루이산 | 왕런중 | 위밍타오 | |
산시성 인민정부 성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위밍타오 | 리칭웨이 | 장보싱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허우중빈 | 바이칭차이 | 청안둥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자즈방 | 천더밍 | 위안춘칭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자오정융 | 러우친젠 | 후허핑 | |
제13대 | 제14대 | ||
류궈중 | 자오이더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초대 | 제2대 | 제3대 |
마밍팡 | 판즈리 | 장더성 | |
대리 | 제4대 | 제5대 | |
후야오방 | 후야오방 | 훠즈롄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리루이산 | 왕런중 | 마원루이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장보싱 | 안치위안 | 리젠궈 |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자오러지 | 자오정융 | 러우친젠 | |
제15대 | 제16대 | ||
후허핑 | 류궈중 | }}}}}}}}}}}}}}} |
8. 출신 인물
도읍을 이곳에 둔 주나라, 진나라, 전한과 당나라의 군주들은 바로 이곳 출신이다.[1] 증권시보[2] 진시황으로 유명한 춘추전국시대의 진나라다. 참고로 보통 헷갈리는 산서성 역시 약칭이 진(晋)이다. 다만 이 둘은 중국어로는 둘의 발음이 구분된다. 秦은 qín, 晋은 jìn.[3] 면적 크기를 가늠하기 위한 간단한 예. 한반도의 면적이 220,847km2다.[4] 황해 연안의 톈진, 항저우나 근처의 베이징, 난징 같은 곳[5] 합천군(陜川郡)과 합천읍(陜川邑)에 쓰이는 한자다.[6] 고향에 묻히고 싶다는 유언에 따라 묘소 또한 이곳에 있는데, 시진핑 집권 이후 그 규모가 무려 2만m²에 이르는 수준으로 어마어마하게 커졌다. 사실상 습씨 황조의 추존 황제 황릉이나 다름없으니 당연한 걸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