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1:39:38

신 안동 김씨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신 안동 김씨|{{{#!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김방경을 시조로 하는 김씨}}}에 대한 내용은 [[구 안동 김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구 안동 김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구 안동 김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김방경을 시조로 하는 김씨: }}}[[구 안동 김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구 안동 김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구 안동 김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세도정치 관련 가문 및 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5px -15px"
풍산
홍씨
신 안동
김씨
풍양
조씨
홍국영 김조순 김조근 김문근 김좌근 조만영 조인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개국공신
(조준, 정도전 등)
이방원 정사공신
(하륜, 이숙번, 조영무 등)
관학파, 종친
(황희, 맹사성 등)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안평대군, 고명대신 정난공신
(수양대군)
훈구파
(한명회, 신숙주 등)
성종 연산군 중종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파
(임사홍, 신수근)
반정공신
(3훈)
사림파
(조광조)
反김안로계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김안로계
(김안로)
윤임 vs 윤원형
인종 명종 선조
대윤
(윤임)
소윤
(윤원형)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이이, 성혼, 정철)
동인
(류성룡, 이산해)
선조 광해군 인조
연립 (서인, 남인)
(윤두수, 류성룡 등)
북인
(이산해 등)
탁소북
(류영경)
청소북, 대북
(3창)
대북
(이이첨)
반정공신
(이귀, 김류)
공서
(김류, 최명길 등)
낙당, 원당
(김자점, 원두표)
효종 현종 숙종
산당
(송시열, 송준길)
서인 vs. 남인 남인
(허적, 윤휴)
일부 서인
(김석주)
산당
(송시열)
남인
(민암, 장희재 등)
숙종 경종 영조
소론
(남구만 등)
노론
(노론 4대신)
소론
(소론 5대신)
노론
(정호, 민진원 등)
온건 소론
(이광좌)
노론
(김재로 등)
영조 정조 순조
완론 탕평
(탕평당, 청명당)
청명당 vs.
홍인한정후겸
홍인한정후겸 외척
(홍국영)
소론
(서명선 등)
준론 탕평
(벽파, 시파)
벽파
(심환지 등)
시파
(김조순 등)
안동 김씨
순조 헌종 철종
세도가문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
고종
흥선대원군
(+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여흥 민씨
(+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 온건 개화파)
고종 순종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반민족행위자
고명대신: 김종서, 황보인
}}}}}}}}} ||

新 安東 金氏 (壯洞 金氏)
신 안동 김씨 (장동 김씨)
<colbgcolor=#1b0e64><colcolor=#ece5b6> 관향 <colbgcolor=#fff,#ddd>경상북도 안동시
시조 김선평(金宣平)
중시조 김습돈(金習敦)
집성촌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기도 고양시
충청북도 청원군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남도 논산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예천군
인구 47,702명 (2015년) 인구의 0.096%[1]
사이트 안동김씨 안동화수회

1. 개요2. 역사
2.1. 고려2.2. 조선 전기2.3. 조선 중기2.4. 조선 후기2.5. 세도 정치기
3. 인명
3.1. 정치인
3.1.1. 조선 · 근대
3.1.1.1. 왕후3.1.1.2. 부원군3.1.1.3. 후궁3.1.1.4. 부마3.1.1.5. 영의정3.1.1.6. 좌의정3.1.1.7. 우의정3.1.1.8. 고위관료
3.1.2. 근대 · 현대
3.1.2.1. 국회의장3.1.2.2. 국회부의장3.1.2.3. 영부인3.1.2.4. 정무직공무원3.1.2.5. 국회의원
3.2. 훈장 수훈자
3.2.1. 건국훈장 대한민국장3.2.2. 국민훈장 무궁화장
3.3. 독립유공자3.4. 교육자3.5. 정당인3.6. 예술인3.7. 운동선수3.8. 연예인
4. 분파
4.1. 항렬
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고려 개국 공신인 김선평(金宣平)을 시조로 하며 김습돈(金習敦)을 중시조로 하는 가문이다. 본관은 경상북도 안동이다.

2. 역사

파일:안동김씨태장재사(安東金氏台庄齋舍).jpg
태장재사 전경모습
조선시대 본관별 당상관 배출 수

2.1. 고려

족보에 따르면 시조 김선평(金宣平)은 효공왕의 아들로 신유(辛酉, 901)년 흥덕궁(興德宮)에서 봉안용수(鳳眼龍鬚)[2]와 성정호위(星精虎威)[3]의 기상을 지니고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효공왕이 사망했을 당시 11세의 나이라 왕위를 이어받지 못했다고 한다.[4]

926년(경애왕 3년) 김선평(金宣平)은 고창의 성주(城主)로 부임했고,930년(고려 태조 13년) 왕건(王建)을 돕기 위해서 군사들을 이끌고 고창군(高昌郡)에서 권행(權幸)·장길(張吉)과 함께 견훤(甄萱)의 후백제군을 물리쳤다. 그 전공으로 고려 개국공신인 대광(大匡) 작위를 받았다. 족보에 의하면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의 칭호를 받았으며 최고위 귀족 태사(太師) 작위를 받았다고 한다. 이후 삼한벽상공신삼중대광태사아부(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亞父)에 봉해졌으며, 고창군(古昌郡)은 안동부(安東付)로 승격되었다. 그래서 현재 안동(安東)은 김선평에 의해서 개칭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아부(亞父)라는 것은 고려의 황제 왕건(王建)이 김선평(金宣平) 태사를 존경해서 “아버지에 버금간다”라고 해서 버금 아(), 아비 부()라고 한 것이다. 《고려사》 의하면 김선평을 스승처럼 따랐다고 한다.

지금도 안동에는 이들 3태사(太師) -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을 제향하는 태사묘(太師廟)가 남아 있으며, 약 1000년동안 金(김), 權(권), 張(장) 3姓(성)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기능해 왔다. 그러나 (신)안동김씨는 개국공신의 후손임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 내내 사환, 학문적으로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향역(호장, 부호장, 호장정위)을 세습하는데 만족하였다. 심지어 세계마저 불완전하여 김선평과 김습돈 사이의 대수(약250년, 7~8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8대조 김득우(金得雨)이전은 산소의 위치도 알 길이 없다. 이는 같은 개국공신의 후손으로 고려후기부터 명문으로 성장한 안동권씨와는 매우 대조적인 현상이었다.

신안동김씨가 기가(起家)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청음의 8대조 김득우(金得雨)때였다. 그는 비록 높은 벼슬은 아니었지만 전농정(典農正)을 지냈으며, 풍산류씨 류난옥(柳蘭玉)의 손녀사위가 됨으로써 풍산류씨와의 세의(世誼 : 대대로 사귀어 온 정(情))를 확보하게 된다. 류난옥은 바로 선조조에 영의정을 지낸 풍원부원군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8대조이다. 한편 김득우(金得雨, 1332~ ?)는 안동권씨 권희정(權希正)가문과의 혼인을 통해서도 가문의 입지를 더욱 신장하게 된다. 김득우는 권희정(權希正)의 딸을 외아들 김혁(金革)의 아내로 삼았는데, 권희정은 세종조에 이조판서와 우의정을 지낸 권진(權軫)의 아버지였다. 더욱이 김득우는 권진을 사위로 삼음으로서 안동김씨와 안동권씨 사이에는 연혼, 중혼관계가 형성되기에 이른다. 이 혼인은 안동김씨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당시만 하더라도 신안동김씨는 고려시대 이래로 단 한 명의 문과(대과) 급제자도 배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비록 사위이기는 하지만 권진(權軫, 1357~1435)이 문과를 통해 정승(우의정)의 반열에 오름으로서 그 반사적 효과가 적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통혼의 과정에서 김혁은 배상지(裵尙志), 이운후(李云候)와 동서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배상지(裵尙志, 1351~1414)는 고려말의 은사로서 서애 류성룡은 그를 두고 “상설처럼 맑고 옥처럼 정갈하며 위태로운 때를 당하여 고절을 지킨 선비”로 평가하였다. 그의 5세손 배상룡(裵尙龍)은 학행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7세손 배삼익(裵三益, 1534~1588)은 퇴계 이황의 고제(高弟 : 제자들 가운데서 학식과 품행이 특히 뛰어난 제자)로서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특히 배삼익의 계열은 조선후기 안동의 대표적인 명망가문으로 성장, 발전하였다. 이운후(李云候)는 바로 퇴계 이황의 고조부로서 진성이씨 예안 입향조였다. 이처럼 안동김씨는 혼인을 통해 안동 굴지의 명가들과 연계하였는데, 이는 곧 문호의 신장을 의미하는 것이나 다름이 아니었다.

2.2. 조선 전기

한편 신안동김씨는 김득우(金得雨), 김혁(金革), 김삼근(金三近) 대에 이르러 커다란 변화를 수반하게 되었다. 우선 김득우, 김혁 부자는 시조 이래 450년 세거지인 안동의 강정촌(江亭村, 현재 안동시 정상동 귀래정 부근)을 떠나 풍산현의 불정촌(佛頂村)으로 거처를 옮기게 된다. 이들의 풍산 이거는 처가이며 외가인 풍산류씨(豊山柳氏)의 경제적 기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풍산현 불정촌(안동시 풍산읍 하리리)도 안동김씨의 영원한 기반이 되지는 못하였다. 왜냐하면 김득우의 손자 김삼근(金三近, 1390~1465) 대에 이르러 인근의 소요산(素耀山)으로 이주했기 때문이었다. 소요산은 풍산현의 치소와 5리 정도의 거리에 있으며, 원래의 명칭은 금산촌(金山村=소산리)이었다. 김삼근의 입거를 계기로 풍산 소산은 안동김씨의 <백세터전>으로 자리하게 된다. 현재 안동에서는 이들을 <素山金氏>로 부르고 있으며 안동, 파주, 서울, 충청 등 경향 일대에 거주하는 신안동김씨 11개파 모두 소산에서 분파된 가문들이다.

김삼근이 안동부 풍산현 불정촌(풍산읍 하리리)에서 풍산현 소산리(금산촌)로 이주한 시기는 대략 1430년(세종 12년) 전후로 짐작된다. 이주와 동시에 제택(第宅 : 살림집과 정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건립하여 정착의 토대를 다지는 한편 자질(자식과 조카)들의 교육에도 각별한 정성을 보였다. 이런 기반 위에서 (신)안동김씨는 무려 550년 만에 비로소 문과 합격자를 배출하게 된다. 김삼근에게는 김계권(金係權), 김계행(金係行) 두 아들이 있었는데, 바로 차남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1447년(세종 29년) 17살로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고 1480년(성종 11년) 50세의 고령으로 문과(文科)에 급제한 것이다. 김계행은 성균관 대사성, 사간원 대사간, 도승지, 사헌부 대사헌까지 올랐으며 청백(淸白)을 <傳家之至寶>로 삼아 향리에서는 보백선생(寶白先生)으로 칭송되었다. 말년에는 안동부(安東府) 길안(吉安) 묵계(墨溪)로 이주(첫째부인 이천서씨를 23세에 사별한후 24세때 의령남씨 사헌부장령 남상치의 차녀와 재혼하였다. 쌍청공 남상치는 사헌부지평 및 사헌부장령을 역임하였으며 도덕과 문장이 뛰어났다. 계유정난단종이 폐위되자 한양에서 안동으로 낙향하여 길안 거묵역 - 거묵동, 묵촌, 묵계에 쌍청헌이란 정자를 지었는데 아들이 없어 후일 사위인 김계행에게 재산을 물려주면서 내외묘사를 당부했다. 남상치(南尙致)공의 조부는 의성군에 봉해지고 정당문학, 진현관 대제학을 역임한 보리공신 양정공 남좌시(南佐時)이며 부친은 좌명원종공신 상호군 남심(南深)이다.)하였는데, 후학들이 그의 학덕을 추모하여 이 곳에 묵계서원(墨溪書院)을 건립하였다. 그의 가계는 안동김씨 중에서도 보백당파(寶白堂派 또는 定獻公派)로 불리고 있으며, 후손 중 현달(顯達)한 인물로는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고제(高弟 : 학식과 품행이 뛰어난 제자)로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지낸 구전 김중청(金中淸, 1567~1629 : 김계행의 5대손)을 들 수 있다.

김계행의 문과(대과)급제는 신안동김씨로서는 실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아버지 김삼근이 득성 이래 최초의 사마시(司馬試) 합격자였다면, 그는 최초의 문과(文科) 합격자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안동김씨는 김계행을 통해 과거의 문턱을 넘음으로서 향반(鄕班)에서 점차 도반(道班), 국반(國班)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러나 김계행은 어디까지나 장동김씨(김삼근-김계권 계행-김영수-영 김번 순-김생해-대효 원효 김극효-상용 상준 상관 김상헌 상복-김광찬-수증 수흥 김수항-김창집 창협 창흡-김제겸-김달행-김이중-김조순-김좌근-병기)의 직계조상은 아니었다. 장동김씨(壯洞金氏)의 선대가 과거를 통해 출사하기까지는 이로부터 2대(김영, 김번 형제의 문과급제)를 더 기다려야 했다. 청음(김상헌)의 5대조 김계권(1410~1458)은 과거 출신이 아닌 관계로 벼슬이 한성부판관(종5품)에 그쳤지만 그는 예천권씨(醴泉權氏) 권맹손(權孟孫)의 사위가 됨으로써 자식들에게 출세의 길을 마련해 줄 수 있었다. 권맹손(權孟孫, 1390~1456)은 1408년(태종 8년) 문과에 급제하고, 1429년(세종 11년)에는 문과중시(文科重試 : 승진시험)에도 급제한 수재였다. 특히 그는 이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으로서 세종조의 문병(文柄 : 學文과 文治상의권리)을 좌우하였으며, 태재(泰齋) 유방선(柳方善, 1388~1443)과 같은 문사와의 교유도 깊었다.

한편, 김계권은 5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세조의 국사를 지낸 명승 학조대사(學組大師)이고, 둘째 김영전(金永詮)은 사헌부감찰, 셋째 김영균(金永勻)은 진사, 넷째 김영추(金永錘)는 수원부사, 다섯째 김영수(金永銖)는 사헌부장령을 지냈다.

다섯째 사헌장령 김영수는 3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 김영(金瑛)은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를 지내고, 둘째 김번(金璠)도 문과에 급제하여 평양서윤을 지냈으며, 셋째 김순(金珣)은 진사시에 합격하여 형조좌랑을 지냈다.

세도정치(勢道政治)를 주도한 세력은 흔히 장동 김씨(壯洞 金氏)라 불리는, 한양을 근거로 한 신 안동 김씨의 한 분파였다.

평양서윤을 역임한 김번(金璠)의 후손들이 안동 김씨 서윤공파로 분파하였는데, 김번(金璠)이 중종조에 문과에 급제함으로써 장동 김씨(壯洞 金氏)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서울 백악산(白岳山) 아래의 청풍계(淸風溪)와 장의동(壯義洞)에 터전을 마련한 것이 바로 이 무렵이다.

김번의 후손들은 왕비 3명, 후궁 1명, 부마도위 2명, 종묘공신 6명, 판서 35명, 당상관(정3품 이상) 140여명 등을 배출하였다.

2.3. 조선 중기

한편, 김계권의 5대손이자 김번의 증손자인 김상헌(金尙憲)이 인조 때에 왕실의 외척이 되면서 조선 말기에 권력이 정점에 이르게된다. 이들은 세도 정치를 통하여 60년간 이들은 왕의 권력을 넘보는 절대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종친의 권력을 유지시키고 강화하기 위하여 3명의 왕비 곧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 헌종의 왕비 효현왕후, 철종의 왕비 철인왕후를 왕들과 혼인시켰다. 가문을 사칭하는 백성을 능지형에 처해 가문을 철저하게 관리했고 극소수 정예 가문이 되었다.

김창집의 증조부 김상헌에 이르러 그들의 가문은 충절(忠節)의 가문으로 부상하게 된다. 김상헌은 김상용(金尙容)의 동생으로, 병자호란 당시 김상용은 강화도 남문루에서 분신하였고, 척화항전을 끝까지 고수하였다. 또한 김상헌은 1639년에 청이 조선에 출병을 요구하였을 때 이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청에 압송되어 6년 동안 감금되기도 하였다. 효종이 즉위하면서 그는 대로(大老)로 인정받으며 북벌의 상징적 인물로 숭앙되었으나, 양주의 석실촌(石室村)에 은거하였다.

2.4. 조선 후기

장동 김씨(壯洞 金氏)는 노론에 합류하였는데, 김수증(金壽增), 퇴우당(退憂堂) 김수흥(金壽興)·김수항(金壽恒)은 장동 김씨 가문을 노론의 핵심 세력으로 부상하게 만들었다. 김수흥과 김수항은 충청의 산림 송시열·송준길과 정치적 동맹을 맺으며, 현종조의 예송논쟁·숙종조의 환국기를 지나며 노론의 핵심이 되었다. 이들은 1674년의 갑인예송 때에는 춘천영암으로 유배되었다가, 1680년 경신환국 이후에는 10년간 형제가 번갈아 가며 영의정에 제수되기도 하였으나, 결국 1689년의 기사환국에 즈음하여 유배 후 사사(賜死)라는 파란을 겪는다. 김수증은 현재의 강원도 화천군 화악산(華嶽山)에 은거하며 혼란을 피할 수 있었다.

김창집노론 4대신으로 경종에 의해서 성주에서 사사되었으나, 동생인 김창협김창흡은 학문과 문장에서 당대를 호령하였고 그 후손들과 사위, 제자들은 학력(학맥), (가문)혼맥으로 얽히며 장동 김씨는 최고 명문가 지위를 유지한다. 이후 사도세자를 옹호하는 시파로 노선을 타면서[5] 정조의 눈에 들게 된다. 김조순(金祖淳)은 정조가 총애했고 생전에도 그와 사돈 관계를 맺으려고 했다. 정조 본인도 김조순의 5대조인 김수항 등의 학문을 정순하다고 여겨 존경했을 정도였다. 정조 본인은 노론 자체를 싫어한 것도 아니며, 싫어할 수도 없는 것이 오히려 노론의 영향을 받고 성장한 인물이다. 정조는 문체반정이니 하는 행보를 밟았고 심환지에게 나도 벽파라며 시인했다.

2.5. 세도 정치기

신 안동 김씨는 나라 망하게 한 귀족 가문으로 인식이 되어 있지만 청백리나 훌륭한 관리, 재상, 학자가 많다. 오히려 이런 면모 때문에 일찍이 가문이 융성하게 된 것이다. 세도 정치의 막을 연 김조순도 실록을 보면 관서 지방을 다녀와 백성들의 어려움을 상소한 일도 나오고, 관대한 면도 있는 유능하고 곧은 관료였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는 생전에 정조의 큰 신임을 받는 정조의 친위 세력이었고, 그의 딸이 순조의 비가 된 것도 정조의 유지에 따른 것이었다. 그가 신 안동 김씨를 이끌던 시기는 전횡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김조순은 당대에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김조순의 뒤를 이어 아들인 김좌근(金左根)과 양손자인 김병기, 또 다른 장동 김씨인 김문근 등이 세도정치를 하면서 모두가 아는 막장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과거에서 왕족은 멸시를 받고 신 안동 김씨 출신이 급제하자 '조선이 이씨의 나라인가, 김씨의 나라인가'를 외친 경평군 이세보[6]가 눈엣가시가 되어 유배를 갔을 정도였다. 어찌나 이들의 위세가 높았는지 이원경을 추존하려던 역모의 주모자들도 왕은 폐위시켜야 하지만 신 안동 김씨는 보전해야 한다는 소리를 할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 그래도 상황이 급변하면 하루 아침에 역적으로 몰려 멸문지화를 당할 수도 있었음을 우려했는지 왕실의 외척 즉 왕의 장인 자리는 놓지 않았다.

비록 헌종조 초와 철종조의 신 안동 김씨의 권력 독점은 조선이 망하는 데 크게 기여한 건 사실이지만 적어도 이들은 자기 집안이라면 능력도 안 보고 무조건 요직에 앉힌 여흥 민씨(驪興 閔氏)와는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로 일족 관리가 굉장히 철저한 편이다. 참고로 이 집안은 무능하다고 판단되면 실권이 없는 한직으로 보내는 건 기본이고 승진도 안 시켜준다. 그 흥선대원군마저도 신 안동 김씨 중 유능한 인사들을 판서급으로 기용할 정도였다. 애초에 흥선대원군이 집권한 뒤에도 안동 김씨 가문은 정치 주도권을 흥선대원군에게 내줬을 뿐이다. 인사에 대한 숙청도 수장인 김좌근은 명예직으로 물러나는 형태로 은퇴하고 김병기가 잠깐 지방 외직으로 좌천되었다가 곧 복귀한 정도가 고작이었고 가문의 재산과 명예는 거의 대부분 지켰다.

이로 인해 김병학(金炳學)과 김병국(金炳國)을 중앙 정계에서 완전히 몰아내는 건 불가능했다.[7] 고종 초의 정승과 재상직을 역임하며 대원군의 개혁 공신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김병학은 고종 초의 대표적 영의정이었고 대원군의 개혁 정책을 뒷받침했으며, 그의 아우인 김병국(金炳國)은 이조 판서, 호조 판서를 역임했고 사창제 실시에 크게 기여했다.[8] 그렇지만 끝내 정승 자리에 오르지 못한 것이 한이 됐는지 대원군 하야를 거들었고 덕분에 고종 친정 이후에 이최응과 함께 정승직을 역임할 수 있었다. 김병기는 병조판서, 좌찬성을 역임했다. 대원군 하야 이후에는 김병덕, 김병교, 김병시, 김병지 등 신 안동 김씨들이 판서급의 요직에 대거 기용되었다. 왕후 3명·부원군 3명·정승 15명·배향공신 6명·판서 35명 등 많은 고관대작을 배출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한일합방에 협력한 공으로 8명이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수작하거나 습작하였다.[9]

신 안동 김씨 세도 정권은 천주교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편이었다. 엄밀히 말해선 큰 관심이 없던 것에 가깝다. 천주교 박해에 적극적이었던 것은 정순왕후와 벽파 세력이었고 그 이후에 집권한 안동 김씨 입장에선 굳이 천주교 잡을 이유가 없었다. 오히려 신 안동 김씨 내부에서는 천주교 신자들도 간간히 나왔는데, 대표적인 것이 김상헌의 봉사손인 김건순으로[10] 이 사람은 병자호란치욕을 씻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청나라를 정벌하려는 망상을 품고 있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여러 의미에서 시파(時派: 시류에 영합)다운 면모. 헌종 때의 천주교 박해인 기해박해를 주도한 세력은 풍양 조씨.[11][12] 그들 자신도 유자고, 유자 중에 신주 불태우고 제사 안 지내는 행위를 옹호할 사람도 그걸 주장할 명분이 있는 사람도 없다. 아무리 신 안동 김씨가 강하나 천주교를 탄압하지 않는다는 것은 적당한 명분을 만들어 몰아낼 가능성이 높았다. 그래서 기해박해는 풍양 조씨가 안동 김씨를 견제하기 위한 정치적 박해라는 해석이 있다.
自洪國榮專權以來, 凡戚畹當路者, 謂之勢塗, 其指勢塗也, 必擧其所居坊洞之名, 如明世宰輔之擧地以號而曰, 長沙·江陵·分宜·貴溪之類, 故金氏稱典·校洞, 趙氏稱磚洞, 至大院君居雲峴, 故稱雲峴, 非但勢塗爲然, 近世之稱大臣也亦然, 必以閤字, 配其洞名曰某閤, 如居會洞則曰會閤, 升洞則曰升閤。

홍국영이 집권한 후 외척으로 출세한 사람들을 세도가로 칭하였다. 그 세도가를 가리킬 때는 반드시 그들이 거주한 방리와 동명을 들어, 명나라 때 대신들이 지명을 따라 장사(長沙)[13] · 강릉(江陵)[14] · 분의(分宜)[15] · 귀계(貴溪)[16] 등으로 불렀던 것과 같이, 김씨들도 전동(典洞)교동(校洞)으로 부르고, 조씨들은 전동(磚洞), 대원군운현궁에서 살았으므로 운현(雲峴)이라고 한 것이다.
비단 세도가만 그런 것이 아니라 근세의 대신들도 그렇게 하여, 반드시 「閤」 자를 洞名에다가 붙여 ‘某閤’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면, 會洞에 거주할 경우 會閤, 升洞에 거주할 경우는 升閤이라고 하였다.
<매천야록> 1권 上 - 세도가의 칭호[勢塗稱號]

3. 인명

3.1. 정치인

3.1.1. 조선 · 근대

3.1.1.1. 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세종
2
신덕왕후
1
정안왕후
1
원경왕후
1
소헌왕후
단종 세조 예종 성종
1
정순(定順)왕후
1
정희왕후
2
안순왕후
1
공혜왕후
폐비 윤씨
2
정현왕후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1
거창군부인
1
단경왕후
2
장경왕후
3
문정왕후
1
인성왕후
1
인순왕후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1
의인왕후
2
인목왕후
1
문성군부인
1
인열왕후
2
장렬왕후
1
인선왕후
현종 숙종 경종 영조
1
명성왕후
1
인경왕후
2
인현왕후
폐비 장씨
3
인원왕후
2
선의왕후
1
정성왕후
2
정순(貞純)왕후
정조 순조 헌종 철종
1
효의왕후
1
순원왕후
1
효현왕후
2
효정왕후
1
철인왕후
고종 순종
1
명성태황후
2
순정효황후
<nopad> }}}}}}}}}
<rowcolor=#FFD400> 이름 출생 종파 직책
순원왕후
(純元王后)
1789년 문정공파 왕후
효현왕후
(孝顯王后)
1828년 문정공파 왕후
철인왕후
(哲仁王后)
1837년 문정공파 왕후
3.1.1.2. 부원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0%, #7e2f22 20%, #7e2f22 80%, #51120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안천부원군 한경 상산부원군 강윤성 월성부원군 김천서 여흥부원군 민제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청천부원군 심온 화산부원군 권전 여량부원군 송현수 파평부원군 윤번
예종 예종, 성종 성종
청천부원군 한백륜 상당부원군 한명회 함안부원군 윤기견 영원부원군 윤호
연산군 중종
거창부원군 신승선 익창부원군 신수근 파원부원군 윤여필 파산부원군 윤지임
인종 명종 선조
금성부원군 박용 청릉부원군 심강 반성부원군 박응순 연흥부원군 김제남
선조 광해군 인조
해령부원군 김희철 문양부원군 류자신 서평부원군 한준겸 한원부원군 조창원
효종 현종 숙종
신풍부원군 장유 청풍부원군 김우명 광성부원군 김만기 여양부원군 민유중
숙종 경종 영조
경은부원군 김주신 청은부원군 심호 함원부원군 어유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오흥부원군 김한구 청원부원군 김시묵 영안부원군 김조순 영흥부원군 김조근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익풍부원군 홍재룡 영은부원군 김문근 여성부원군 민치록 여은부원군 민태호
순종
해풍부원군 윤택영
추존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조(이안사) 익조(이행리) 도조(이춘)
이숙(이공숙) 최기열 안변부원군 박광
환조(이자춘) 덕종(의경세자) 원종(정원군)
영흥백 최한기 서원부원군 한확 능안부원군 구사맹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
풍릉부원군 조문명 영풍부원군 홍봉한 풍은부원군 조만영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
<rowcolor=#ffd400> 이름 출생 종파 직책
파일:노년.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조순
(金祖淳)
1765년 문정공파 부원군
김조근
(金祖根)
1793년 문정공파 부원군
김문근
(金汶根)
1801년 문정공파 부원군
3.1.1.3. 후궁
조선의 후궁
[[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정식 후궁 첩지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

<rowcolor=#FFD400> 이름 출생 종파 직책
영빈김씨(寧嬪金氏) 1669년 문정공파 후궁
3.1.1.4. 부마
<rowcolor=#ffd400> 이름 봉호 간택 종파 부인
김현근
金賢根
동녕위
東寧尉
1823 문충공파 명온공주
3.1.1.5. 영의정
<colcolor=#f0ad73,#f0ad73>
조선 영의정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01·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106대

윤방
제107대

김류
제108대

이홍주
제109대

최명길
제110대

홍서봉
제111대

이성구
제112대

최명길
제113대

신경진
제114대

심열
제115대

홍서봉
제116대

김류
제117대

홍서봉
제118대

김류
제119대

김자점
제120대

이경석
제121대

이경여
제122대

김육
제123대

정태화
제124대

김육
제125대

이시백
제126대

김육
제127대

이시백
제128대

정태화
제129대

심지원
제130대

정태화
제130대

정태화
제131대

홍명하
제132대

정태화
제133대

허적
제134대

정태화
제135대

허적
제136대

김수흥
제137대

허적
제137대

허적
제138대

김수항
제139대

남구만
제140대

김수흥
제141대

여성제
제142대

권대운
제143대

남구만
제144대

류상운
제145대

서문중
제146대

최석정
제147대

서문중
제148대

최석정
제149대

신완
제150대

최석정
제151대

이여
제152대

서종태
제153대

이유
제154대

서종태
제155대

김창집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55대

김창집
제156대

조태구
제157대

최규서
}}}
}}}}}}}}}

<colcolor=#f0ad73,#f0ad73>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14대

심환지
제215대

이시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서매수
제218대

이병모
제219대

김재찬
제220대

서용보
제221대

한용구
제222대

김재찬
제223대

남공철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심상규
제226대

이상황
제227대

조인영
제228대

권돈인
제229대

정원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9대

정원용
제230대

조인영
제231대

권돈인
제232대

김흥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정원용
제235대

김좌근
제236대

정원용
제237대

김좌근
}}}
제237대

김좌근
제238대

조두순
제239대

이경재
제240대

김병학
제241대

정원용
제242대

김병학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이유원
제245대

이최응
제246대

서당보
제247대

홍순목
제248대

김병국
제249대

심순택
제250대

김병시
제251대

김홍집
}}}}}}}}}
<rowcolor=#FFD400> 이름 출생 종파 직책
김수흥
(金壽興)
1626년 문정공파 영의정
파일:김수항 초상.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수항
(金壽恒)
1629년 문정공파 영의정
파일:김창집 초상.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창집
(金昌集)
1648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흥근
(金興根)
1796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좌근
(金左根)
1797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학
(金炳學)
1821년 문정공파 영의정
파일:金炳國.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병국
(金炳國)
1825년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시
(金炳始)
1832년 문정공파 영의정
3.1.1.6. 좌의정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2대

이건명
제223대

최규서
제224대

최석항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55대

조태구
제256대

최석항
제257대

이광좌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rowcolor=#FFD400> 이름 출생 종파 직책
김상헌
(金尙憲)
1570년 문정공파 좌의정
김이소
(金履素)
1735년 문정공파 좌의정
김홍근
(金弘根)
1788년 문정공파 좌의정
3.1.1.7. 우의정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인조 ~ 경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2대

이건명
제223대

최규서
제224대

최석항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55대

조태구
제256대

최석항
제257대

이광좌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정원용
제334대

김흥근
제335대

박영원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김도희
제338대

조두순
제339대

박회수
제340대

조두순
제341대

박회수
제342대

조두순
제343대

조두순
제344대

이유원
제345대

김병학
제346대

강로
제347대

이최응
제348·349대

김병국
제350대

송근수
제351대

김병국
제352대

이재원
제353대

김홍집
제354대

김병시
제355대

김홍집
제356대

김병시
제357대

김홍집
제358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홍영식
제377대

김병시
제378대

김유연
제379-382대

조병세
제378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rowcolor=#FFD400> 이름 출생 종파 직책
김상용
(金尙容)
1561년 문충공파 우의정
김이교
(金履喬)
1764년 문충공파 우의정
김달순
(金達淳)
1760년 문정공파 우의정
김병덕
(金炳雲)
1825년 문충공파 우의정
3.1.1.8. 고위관료

3.1.2. 근대 · 현대

3.1.2.1. 국회의장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cfa547,#cfa54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bgcolor=#1271B5,#1271B5> 제헌 <bgcolor=#008855,#008855> 제2대 <bgcolor=#254170,#254170> 제3대 <bgcolor=#254170,#254170> [[제4대 국회|{{{#fff 제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승만 신익희 신익희 이기붕 이기붕 곽상훈
[[제4대 국회|{{{#fff 제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5대 국회|{{{#fff 제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808080,#808080> [[제5대 국회|{{{#fff 제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835B38,#835B38> 제6·7대
곽상훈 백낙준 이효상
<nopad> 제8대 <bgcolor=#835B38,#835b38> 제9대 <bgcolor=#DAA520,#DAA520> 제10대 <bgcolor=#004C97,#004C97> [[제11대 국회|{{{#fff 제1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백두진 정일권 백두진 정래혁
<bgcolor=#004C97,#004C97> [[제11대 국회|{{{#fff 제1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A84E9,#0A84E9> 제12대 <bgcolor=#0A84E9,#0A84E9> [[제13대 국회|{{{#fff 제13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03990,#003990> [[제13대 국회|{{{#fff 제13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채문식 이재형 김재순 박준규
[[제14대 국회|{{{#fff 제1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4대 국회|{{{#fff 제1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5대 국회|{{{#fff 제1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nopad> [[제15대 국회|{{{#fff 제1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박준규 이만섭 황낙주 김수한 박준규
<bgcolor=#00AA7B,#00AA7B> [[제16대 국회|{{{#fff 제16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000A8,#0000A8> [[제16대 국회|{{{#fff 제16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FFD918,#FFD918> [[제17대 국회|{{{#000 제17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FFD918,#FFD918> [[제17대 국회|{{{#000 제17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만섭 박관용 김원기 임채정
<bgcolor=#0095DA,#0095DA> [[제18대 국회|{{{#fff 제18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095DA,#0095DA> [[제18대 국회|{{{#fff 제18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C9252B,#C9252B> [[제19대 국회|{{{#fff 제19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C9252B,#C9252B> [[제19대 국회|{{{#fff 제19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제20대 국회|{{{#fff 제20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0대 국회|{{{#fff 제20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1대 국회|{{{#fff 제2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1대 국회|{{{#fff 제2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정세균 문희상 박병석 김진표
<bgcolor=#152484,#152484> [[제22대 국회|{{{#fff 제2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152484,#152484> [[제22대 국회|{{{#fff 제2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580009,#580009> <bgcolor=#580009,#580009>
우원식 }}}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rowcolor=#cfa547> 이름 출생 종파 직책
파일:김수한 국회의장(초상화).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수한
(金守漢)
1928년 예의소승공파 국회의장
3.1.2.2. 국회부의장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cfa54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color: #181818""
<bgcolor=#1271b5,#1271b5>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 김동원
[[제2대 국회|{{{#000 제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대 국회|{{{#000 제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장택상 김동성 조봉암 윤치영
[[제3대 국회|{{{#fff 제3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3대 국회|{{{#fff 제3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최순주 조경규 곽상훈 조경규 황성수 이재학
<nopad> [[제4대 국회|{{{#fff 제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00080> [[제4대 국회|{{{#fff 제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재학 한희석 임철호 김도연 이재형
[[제5대 국회|{{{#fff 제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808080,#808080> [[제5대 국회|{{{#fff 제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영준 서민호 소선규
[[제6대 국회|{{{#fff 제6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6대 국회|{{{#fff 제6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나용균 장경순 이상철
[[제7대 국회|{{{#fff 제7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7대 국회|{{{#fff 제7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윤제술 장경순 정성태
<bgcolor=#835b38,#835b38> 제8대
장경순 정해영
[[제9대 국회|{{{#fff 제9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9대 국회|{{{#fff 제9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진만 이철승 구태회 이민우
<bgcolor=#daa520,#daa520> 제10대
민관식 고흥문
[[제11대 국회|{{{#fff 제1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1대 국회|{{{#fff 제1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채문식 김은하 윤길중 고재청
<bgcolor=#0A84E9,#0A84E9> [[제12대 국회|{{{#fff 제1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A84E9,#0A84E9> [[제12대 국회|{{{#fff 제1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최영철 김녹영 조연하 장성만 공석
<bgcolor=#0A84E9,#0A84E9> [[제13대 국회|{{{#fff 제13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03990> [[제13대 국회|{{{#fff 제13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노승환 김재광 조윤형
[[제14대 국회|{{{#fff 제1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4대 국회|{{{#fff 제14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황낙주 허경만 이춘구 이한동 홍영기
<bgcolor=#003990,#003990> [[제15대 국회|{{{#fff 제1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1b5b40> [[제15대 국회|{{{#fff 제15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오세응 김영배 신상우 김봉호
<bgcolor=#00aa7b,#00aa7b> [[제16대 국회|{{{#fff 제16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0000a8> [[제16대 국회|{{{#fff 제16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홍사덕 김종하 김종호 김태식 조부영
[[제17대 국회|{{{#13366d,#13366d 제17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7대 국회|{{{#13366d,#13366d 제17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000;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덕규 박희태 이용희 이상득
[[제18대 국회|{{{#fff 제18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8대 국회|{{{#fff 제18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윤성 문희상 정의화 홍재형
[[제19대 국회|{{{#fff 제19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9대 국회|{{{#fff 제19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병석 박병석 정갑윤 이석현
[[제20대 국회|{{{#fff 제20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0대 국회|{{{#fff 제20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심재철 박주선 이주영 주승용
[[제21대 국회|{{{#fff 제2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1대 국회|{{{#fff 제21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상희 정진석 김영주 정진석 정우택
<bgcolor=#152484,#152484> [[제22대 국회|{{{#fff 제2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bgcolor=#152484,#152484> [[제22대 국회|{{{#fff 제22대 {{{#!wiki style="padding: .5px 1.5px; background: transparent;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학영 주호영 }}}
역대 국회의장}}}}}}}}}
<rowcolor=#cfa547> 이름 출생 종파 직책
파일:Remini20211111134551464.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덕규
(金德圭)
1941년 참봉공파 국회부의장
3.1.2.3. 영부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3대 제4대 제5-8대 제10대
공덕귀 육영수 홍기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윤보선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제11·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이순자 김옥숙 손명순 이희호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노태우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권양숙 김윤옥 - 김정숙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문재인
제20대 제21대
김건희 김혜경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이재명 }}}
}}}}}}}}}

<rowcolor=#ffc224> 이름 출생 종파 직책
파일:external/www.pa.go.kr/L_KYS_02.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옥숙
(金玉淑)
1935년 참봉공파 영부인
파일:371023_111364_543.pn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혜경
(金恵京)
1966년 문충공파 영부인
3.1.2.4. 정무직공무원
3.1.2.5. 국회의원

3.2. 훈장 수훈자

3.2.1.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티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끼띠카쫀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서재필)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rowcolor=#fede58> 이름 출생 종파 직책
파일:Kim Chwa-chin.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좌진
(金佐鎭)
1889년 문충공파 북로군정서군 총사령관

3.2.2. 국민훈장 무궁화장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59
제임스 밴 플리트
군인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1969
조동식
교육인
1969
곽상훈
독립운동가, 국회의장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국회의장
1970
이상백
독립운동가, 사회학자
1970
이은상
시인, 역사학자
1971
유일한
기업인
1973
박두병
기업인
1974
박태준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79
김연수
기업인
1979
주요한
문학가, 언론인, 정치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0
김홍일
군인, 독립운동가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5
이항녕
법학자
1987
이병철
기업인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1988
정주영
기업인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4
고형곤
철학자, 교육인, 정치인
1994
문병집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1996
정범모
교육인
1997
박성용
기업인
1998
고흥문
국회부의장
1998
주영하
교육인
2000
이건희
기업인
2001
송건호
언론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2004
고병익
역사학자
2004
이기백
역사학자
2004
유봉식
기업인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박관용
국회의장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류택형
법조인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3
손경식
기업인
2013
맹광호
의학자
2013
한덕수
국무총리
2014
김승호
기업인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UN 사무총장
2017
양승태
대법원장
2017
서용달
경영학자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8
정세균
국회의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0
문희상
국회의장
2021
최종태
기업인
2022
박병석
국회의장
2022
리차드 위트컴
군인
2023
송창근
기업인
2023
김박
기업인
2023
자승
종교인
2024
이임성
법조인
2024
이상만
지질학자
2024
임희섭
사회학자
2024
장석진
언어학자
2024
김상주
공학자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rowcolor=#00a89c> 이름 출생 종파 직책
파일:총장.pn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익동
(金益東)
1930년 참봉공파 경북대학교총장

3.3. 독립유공자

3.4. 교육자

3.5. 정당인

3.6. 예술인

3.7. 운동선수

3.8. 연예인

4. 분파

<rowcolor=#ece5b6> 파명 파조
판관공파(判官公派) 계권(係權)
감찰공파(監察公派) 영전(永銓)
학생공파(學生公派) 호(琥)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헌(瓛)
진사공파(進士公派) 홍(弘)
진사공파(進士公派) 등(登)
구애공파(龜厓公派) 응(譍)
진사공파(進士公派) 영균(永勻)
부사공파(府使公派) 영추(永錘)
장령공파(掌令公派) 영수(永銖)
삼당공파(三塘公派) 영(瑛)
증승지공파(贈承旨公派) 규보(奎報)
목사공파(牧使公派) 성보(星報)
승의랑공파(承議郞公派) 극(克)
증승지공파(贈承旨公派) 태(兌)
춘당공파(春塘公派) 원(元)
봉사공파(奉事公派) 지효(至孝)
통훈공파(通訓公派) 정보(政報)
서윤공파(庶尹公派) 번(璠)
문정공파(文正公派) 상헌(尙憲)
휴암공파(休庵公派) 상준(尙寯)
문충공파(文忠公派) 상용(尙容)
부사공파(府使公派) 상관(尙寬)
부윤공파(府尹公派) 상복(尙宓)
학생공파(學生公派) 선효(善孝)
진사공파(進士公派) 순(珣)
사직영공파(社稷令公派) 생하(生河)
눌제공파(訥薺公派) 생명(生溟)
원천공파(源泉公派) 달행(達行)
정헌공파(定獻公派) 계행(係行)
참봉공파(參奉公派) 극인(克仁)
진사공파(進士公派) 극의(克義)
생원공파(生員公派) 극례(克禮)
학생공파(學生公派) 극지(克智)
군수공파(郡守公派) 극신(克信)
어담공파(漁潭公派) 삼익(三益)
계공랑공파(啓功郞公派) 맹구(孟龜)
참봉공파(參奉公派) 시량(時亮)
생원공파(生員公派) 시우(時佑)
생원공파(生員公派) 이려(以礪)
중파(仲派) 중구(仲龜)
숙파(叔派) 숙구(叔龜)
등암공파(藤菴公派) 계구(季龜)
습독공파(習讀公派) 엄(淹)
첨사공파(僉使公派) 온(溫)
항제공파(恒薺公派) 낙(洛)
낙와공파(樂窩公派) 치림(致林)
참봉공파(參奉公派) 언적(彦迪)
별장공파(別將公派) 홍(洪)
계공랑공파(啓功郞公派) 지형(之炯)
증참의공파(贈參議公派) 지찬(之燦)
예의소승공파(禮儀少丞公派) 생(生)
사직서령공파(社稷署令公派) 생하(生河)
자헌공파(資憲公派) 지병(之炳)
국헌공파(菊軒公派) 준(浚)
학생공파(學生公派) 수정(遂晶)
현감공파(縣監公派) 지철(之哲)
호장공파(戶長公派) 처상(處商)
사헌공파(司憲公派) 원수(元水)
사과공파(司果公派) 열(烈)
선군공파(選軍公派) 여중(呂重)
판관공파(判官公派) 용(龍)
시중공파(侍中公派) 학(鶴)

4.1. 항렬

※ 22세부터 대동항렬자를 사용한다.
<rowcolor=#ece5b6> 세수 항렬자
22世 ○순(○淳)
23世 ○근(○根)
24世 병○(炳○)
25世 ○규(○圭)
○균(○均)
26世 ○진(○鎭)
27世 ○한(○漢)
28世 ○동(○東)
29世 ○현(○顯)
30世 ○년(○年)
○기(○基)
31世 ○일(○鎰)
○종(○鍾)
32世 ○구(○求)
33世 ○모(○模)
34世 연○(然○)
35世 ○배(○培)
36世 ○선(○銑)
37世 ○원(○源)
38世 ○영(○榮)
39世 사○(思○)
40世 ○준(○埈)
41世 선○(善○)
42世 ○택(○澤)
43世 ○식(○植)
44世 ○환(○煥)
45世 철○(喆○)
46世 용○(鏞○)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개화당
開化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세대 개화파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이동인 최한기
2세대 개화파
김옥균 김윤식 김홍집 박영교 박영효
서광범 서재창 서재필 유길준 홍영식
급진개화파
(문명개화론)
온건개화파
(동도서기론)
김옥균 박영효 김윤식 김홍집 박정양
서재필 유길준 어윤중 장석주 조희연
급진개화파 온건개화파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급진개화파
急進開化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화당
고종
( ~ 1897)
권동진 김옥균 박영교 박영효 서광범
서재창 서재필 신응희 유길준* 유혁로
이규완 이도재 정난교 정병하 홍영식
대한제국
(1897 ~ 1910)
고영희 권동진 권중현 민영달 박영효
박중양 송병준 서재필 신응희 안경수*
양한묵 오세창 유길준* 유혁로 윤치호
이규완 이도재 이준 이재극 정난교
* 온건개화파로 보는 시각도 있음.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1] 총인구 49,705,663명[2] 봉의 눈과 용의 수염.[3] 별의 정기와 호랑이의 위엄.[4] 김선평이 효공왕의 아들이라는 것은 족보에만 기록된 내용이다. 실제로 효공왕은 아들이 없고, 김선평의 출신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다만 고창성의 성주로 있었으니 호족 또는 진골 귀족 출신으로 볼 여지는 있다.[5] 김달순처럼 사도세자를 비판하던 벽파에 가담한 장동 김씨(壯洞 金氏)도 없지는 않았다.[6] 단, 이 말 자체는 경원군 이하전이란 주장도 있다.[7] 참고로 이 둘은 흥선대원군과 친밀한 관계였고 강화도 조약을 반대하거나 유보하자는 입장이었다. 그런 점 역시 무시할 수 없다.[8] 사창제(社倉制)는 사창을 백성이 직접 관리하는 제도이며 주자의 정책이다. 고종 실록에 김병국이 사창제를 건의하는 기사가 실려있는데 김병국과 고종 모두 주자의 정책임을 인지하고 있다. 사창제 자체도 성공적이라 고종 11년 호조 판서가 고종에게 "그래도 사창제가 환곡 중에서 가장 낫습니다." 라고 할 정도이니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다.[9] 황실령인《조선귀족령》에 의거해서 조선귀족 작위를 수여하였다. 자작 2명(김성근; 김호규), 남작 6명(김가진, 김병익, 김종한, 김학진; 김덕한, 김세현). 이 중 김가진은 1910년 남작 작위를 수작하였으나 1919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동단 총재, 임시정부 고문 등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하여 남작 작위가 수작 불능 처리되었다. 한편 김석진은 1910년 남작 작위가 수여되자 이를 거절하고 며칠 후 자결하였고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10] 다만 김건순은 당시 조선의 실세인 안동 김씨 집안이며 권력의 핵심에 해당되는 사람으로 사회에 불만을 품을 하등의 이유가 없었다는 점에서, 이 사건이 다소 이상하다는 역사학자들의 견해도 있다. 나중에 김건순은 역모를 일으키려고 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되었으나, 신 안동 김씨 집안의 권세가 워낙 막강해서 일반적으로 역모죄라면 적용되는 연좌제가 신 안동 김씨 집안에는 적용되지 않았고, 김건순 한 명한테만 책임이 쏠렸다.[11] 박해 사건이 풍양 조씨가 득세할 때 일어났기에 풍양 조씨 세력이 박해를 주도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박해를 하라고 시킨 인물은 순원왕후(純元王后)였다.[12] 사실 천주교에 큰 관심이 없었어도 명분으로 탄압했을 것이다. 비슷한 예시로 중국공산당 장쩌민파룬궁(法輪功) 박해가 있다.[13] 명나라 때 대신 이동양(李東陽)[14] 장거정[15] 엄숭[16] 명나라 때 대신 하언(夏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