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9:36:33

이도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59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도재(195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1961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도재(1961)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제국 국장.svg파일:투명.png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병시
제2대

정범조
제3대

김홍집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정범조
제7대

민영휘
제8대

이호준
제9대

박정양
제10대

한규설
제11대

이종건
제12대

이하영
제13대

조병식
제14대

정낙용
제15대

임상준
제16대

신기선
제17대

김가진
제18대

조병세
권한대행

김가진
제19대

민영소
제20대

박정양
제21대

심상훈
제22대

민종묵
제23대

이근택
제24대

한규설
제25대

서정순
제26대

김윤식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좌의장
우의장
조병세 정범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부의장
초대

김영수
제2대

어윤중
제3대

신기선
제4대

윤치호
제5대

이하영
제6대

윤치호
제7대

홍종억
제8대

서정순
제9대

김가진
제10대

이유인
제11대

이용태
제12대

이도재
제13대

이종건
제14대

이근호
제15대

이건하
제16대

김가진
제17대

이근호
제18대

이종건
제19대

이근상
제20대

이재곤
제21대

성기운
제22대

신기선
제23대

이근상
}}}}}}}}}}}}


李道宰
1848년(헌종 14) ~ 1909년(융희 3) 9월 25일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구한 말 관료, 정치가. 본관연안(延安), 는 성일(聖一), 아호는 심재(心齋), 운정(篔汀),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대한제국내부대신, 외부대신, 학부대신 등을 역임했다. 급진개화파이지만 고영희, 박중양, 이규완 등과 달리 한일 강제 병합에 반대했고 이완용, 송병준 등의 친일반민족행위자들에 의해 고종이 강제로 폐위되자 박영효, 남정철과 고종에게 폐위를 압박한 대신들을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발각되어 실패했다. 이후에는 친일파로 전향했던 박영효, 남정철과 달리 친일파로 전향하지 않은 채 1907년에 총리대신 이완용의 모함으로 박영효와 함께 나문정죄 당하여 1909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생애

1848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이명익(李溟翼)의 아들로 태어나, 이후 증 우의정 이건익(李健翼)에게 입양되었다. 젊을 때에는 강위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무예에도 일가견이 있었다 한다. 1879년(고종 16) 식년 생원시에 3등 45위로 입격하였고, 33세가 되던 1880년 음서무관직에 천거되어 관직에 나아갔다. 2년 후인 1882년(고종 19)에는 생원으로 별시 문과에 병과 14위로 급제하여, 홍문관 부수찬(副修撰, 종6품)에 제수되었다.

1883년, 경상좌도 암행어사로 나가 당시 수령에 의해 누명에 씌어져 살해, 수탈, 고문 등의 피해를 받던 백성들을 구제해 백성들이 고마운 마음으로 바위에 그의 공적을 쓴 어사암이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아직까지 남아있으며, 1884년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키자 진압 작전에 참전해 갑신정변을 진압했다. 이후 경상좌도암행어사, 동부승지, 참의군국사무, 이조 참의, 성균관 대사성 등을 지냈다. 1886년 호군에 재직중 사대당[1]에 의해 고금도귀양을 갔고, 1894년 개화당(급진개화파) 정부가 수립되며 풀려났다. 이 후 전라감사로 돌아와 그가 유배 당시 보던 섬사람들의 고충을 기억해 강진, 해남, 영암으로 흩어져 있던 섬들을 묶어서 섬사람들 공동체를 건설하였다. 그게 지금의 완도군이다. 즉 이 조치는 행정구역 신설이라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천년 동안 억압받던 섬사람들의 공동체가 탄생한 것이다. 이에 완도 사람들은 고금도에 그를 기리는 영세불망비를 세웠다.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전라도 감사로 파견되어 김개남을 사로잡아 전주 초록바위 위에서 처형시키고, 전봉준을 생포했다.

군부대신, 학부대신 등을 역임했지만 단발령이 내려지자 상소를 올리고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 후 다시 철도원 총재, 학부대신, 내부대신 등을 역임했다. 1904년 일본이 황무지 개척권을 요구하자 사람들을 모아 농광회사를 설립하고 '황무지 개척은 일본인에게 맡길 것이 아니라 우리 손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1906년에 그동안의 공적으로 태극장을 서훈받았다. 1907년, 시종원경으로 있을 당시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고종의 퇴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하여 어전회의가 개회되자, 질병을 이유로 참석하지 않았다. 동년에 수학원장이었던 이도재가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된 후 칙임관 1등에 서임되었다. 이완용 내각에 의해 고종이 강제로 퇴위하자 박영효, 남정철 등과 평양에서 올라온 시위대 제2연대의 지원을 통해 7월 20일, 고종의 양위식 날 이완용을 비롯한 고종의 양위를 결정한 관료들을 전부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사전에 발각됐고 결국 체포되었다. 이후 다시 시종원경과 칙임관 1등에 서임되었으나, 조중응이 고종의 양위식에 이도재가 질병 등의 이유로 참석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벌할 것을 아뢰어 탄핵을 받았고, 1909년 9월 25일에 타계하였다. 이에 순종이 몹시 애통해하며 장례 물품을 지원해주었다.

3. 여담

현재 육군박물관에서 부장 이도재 예복을 보관 및 전시 중인데 국가등록문화재 제 553호로 1897~1907년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대한제국의 예복이다. 이 예복은 운정 이도재가 입었던 것으로 대한제국의 예복이라는 상징적인 가치 뿐만이 아니라 보존 상태, 디자인, 색상 등 보존 상태가 뛰어나 보존 가치가 더욱 높다.

전라남도 관찰사 재직 중이던 1906년 6월 19일, 조정의 명령으로 전라북도 순창군에 주둔한 최익현의 의병진을 진압하기 위해 광주군에 주둔한 대한제국군 진위대를 파견한 바 있다. 《매천야록》에 따르면 군대를 파견할 당시 순창군 경내에 주둔만 하고 의병과 교전을 일절 하지 말라고 칙령을 내렸고, 혹시라도 교전을 한다면 승리를 거둔다한들 참형에 처할 것이라고 엄하게 단속해두었기에 광주군에서 파견된 진위대는 최익현 의병진과 교전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도재의 강직함을 엿볼 수 있는 일화이다.매천야록 제5권 崔益鉉의 被執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조희연
제2대

신기선
제3대

안경수
제4대

조희연
제5대

이도재
제6대

조희연
제7대

이윤용
제8대

민영환
제9대

이종건
제10대

민영기
제11대

심상훈
제12대

민영환
제13대

심상훈
제14대

민병석
제15대

윤웅렬
제16대

민병석
제17대

민영철
제18대

신기선
제19대

이근택
제20대

이봉의
제21대

윤웅렬
제22대

민영철
제23대

이용익
제24대

윤웅렬
제25대

민영기
제26대

이윤용
제27대

이종건
제28대

권중현
제29대

이용익
제30대

심상훈
제31대

권중현
제27대

이근택
제28대

권중현
제29대

이병무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29대

이병무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박영효
제2대

이헌영
제3대

박정양
제4대

유길준
제5대

박정양
제6대

남정철
제7대

박정양
제8대

이근명
제9대

심상훈
제10대

민영환
제11대

이근명
제12대

이건하
제13대

민병석
제14대

이건하
제15대

김주현
제16대

이헌영
제17대

조병호
제18대

이재극
제19대

민영환
제20대

이도재
제21대

이용태
제22대

조병필
제23대

이용태
제24대

조병식
제25대

이도재
제26대

이지용
제27대

윤용구
제28대

이지용
제29대

민병석
제30대

이종건
제31대

박용화
제32대

이지용
제33대

이도재
제34대

이지용
제35대

임선준
제36대

이근상
제37대

이도재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8대

임선준
제39대

송병준
제40대

박제순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가진
제2대

이범진
제3대

정병하
제4대

조병직
제5대

이윤용
제6대

정낙용
제7대

이도재
제8대

민병석
제9대

김명규
제10대

박제순
제11대

김명규
제12대

권재형
제13대

박정양
제14대

권재형
제15대

민병석
제16대

민영기
제17대

이종건
제18대

민병석
제19대

권재형
제20대

김규홍
제21대

민종묵
제22대

민영소
제23대

김가진
제24대

이도재
제25대

이지용
제26대

박제순
제27대

이근택
제28대

박제순
제29대

조동희
제30대

권중현
제31대

성기운
제32대

송병준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3대

조중응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서광범
제2대

장석주
제3대

조병직
제4대

이범진
제5대

한규설
제6대

조병식
제7대

한규설
제8대

조병식
제9대

이유인
제10대

조병직
제11대

신기선
제12대

서정순
제13대

한규설
제14대

윤웅렬
제15대

이도재
제16대

유기환
제17대

권재형
제18대

신기선
제19대

한규설
제20대

이재극
제21대

이지용
제22대

박제순
제23대

김가진
제24대

권중현
제25대

박제순
제26대

이지용
제27대

이근호
제28대

박제순
제29대

민영기
제30대

이근택
제31대

권중현
제32대

박용대
제33대

이하영
제34대

조중응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4대

조중응
제35대

고영희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윤식
제2대

이완용
제3대

민종묵
제4대

조병식
제5대

이도재
제6대

민종묵
제7대

조병직
제8대

박제순
제9대

민종묵
제10대

박제순
제11대

조병식
제12대

이도재
제13대

박제순
제14대

이하영
제15대

박제순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박정양
제2대

이완용
제3대

서광범
제4대

이도재
제5대

조병직
제6대

신기선
제7대

민종묵
제8대

이완용
제9대

조병직
제10대

조병호
제11대

이도재
제12대

김명규
제13대

윤용구
제14대

신기선
제15대

민병석
제16대

이건하
제17대

김규홍
제18대

민영소
제19대

박정양
제20대

이용직
제21대

민영환
제22대

이재극
제23대

박제순
제24대

민영철
제25대

이지용
제26대

이완용
제27대

이재곤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0대

이재곤
제31대

이용직
}}}}}}}}}}}}

급진개화파
急進開化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개화당
고종
( ~ 1897)
권동진 김옥균 박영교 박영효 서광범
서재창 서재필 신응희 유길준* 유혁로
이규완 이도재 정난교 정병하 홍영식
대한제국
(1897 ~ 1910)
고영희 권동진 권중현 민영달 박영효
박중양 송병준 서재필 신응희 안경수*
양한묵 오세창 유길준* 유혁로 윤치호
이규완 이도재 이준 이재극 정난교
* 온건개화파로 보는 시각도 있음.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1] 친청 성향의 온건개화파 세력으로 대표적인 인물로는 김홍집김윤식, 박제순, 신기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