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재곤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c0c0><colcolor=#000,#ddd> 대한제국의 매국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을사오적 | ||||
이지용 | 박제순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
}}}}}}}}} ||
이재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주 이씨 경창군파의 역대 종주 | |||||||||||||||||||||||||||||||||||||||||||||||||||||||||||||||||||||||||||||||||||||||||||||||||||||||||||||||||||||||||||||||||||||||||||||||||||||||||||||||||||||||||||||||||||||||||||||||||||||||||||||||||||||||||||||||||||||||||||||||||||||||||||||||||||||||||||||||||||||||||||||||||||||||||||||||||||||||||||||||||||||||||||||||||||||||||||||||||||||||||||||||||||||||||||||||||||||||||||||||||||||||||||||||||||||||||||||||||||||||||||||||||||||||||||||||||||||||||||||||||||||||||||||||||||||||||||||||||||||||||||||||||||||||||||||||||||||||||||||||||||||||||||||||||||||||||||||||||||||||||||||||||||||||||||||||||||||||||||||||||||||||||||||||||||||||||||||||||||||||||||||||||||||||||||||||||||||||||||||||||||||||||||||||||||||||||||||||||||||||||||||||||||||||
10대 이신응 | → | 11대 이재곤 | → | 12대 이해국[1] | }}} |
조선귀족 자작 | |||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 |||
이름 | 이재곤 (李載崑 / 李載崐)[2] | ||
본관 | 전주 이씨 경창군파 | ||
호 | 동원(東園) | ||
출생 | 1859년 4월 8일 (음력 3월 8일) | ||
조선 경기도 양주군 (現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 | |||
사망 | 1943년 7월 11일 (향년 84세) | ||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 |||
직업 | 관료, 정치가 | ||
주요 경력 | 진주부 관찰사 공주부 관찰사 대한제국 학부대신 조선귀족 자작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종교 | 유교 (성리학) | |
작위 | 조선귀족 자작 | ||
배우자 | 대구 서씨, 평산 신씨 | ||
자녀 | 1남 이원용, 2남 이윤용, 3남 이연용, 4남 이관용, 5남 이순용, 6남 이운용, 7남 이면용, 1녀 이씨[3] | ||
비고 | 정미칠적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 |
[clearfix]
1. 개요
조선과 대한제국의 종실 출신 관료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2. 생애
2.1. 조선 시기
1859년(철종 10년) 4월 8일(음력 3월 8일)에 경기도 양주군에서 선조의 9남 경창군의 9대 종손인 현령 이신오(李愼五)[4]의 2남 1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위로는 형 이을경[5]이 있었으나 1864년 8월에 21촌 숙부인 흥완군 이정응(고종의 큰아버지)의 양자가 되었고 아버지 이신응 역시 얼마 지나지 않은 1870년(고종 7년) 10월 사망하면서 12살 나이에 경창군파 종손이 되었다.엄밀히 말하면 왕족은 대군 후손의 경우 5대손까지, 군 왕자의 후손은 4대손까지만 포함되어 종친부에서 관리하는 사람들만 일컫는 것이다.[6] 하지만 이재곤의 조상 중 마지막으로 왕이었던 사람은 300년 전 임금인 선조라서 이 시기에 그와 그의 일가는 원칙적으로 왕족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의 형 이재완이 고종의 사촌이 되면서 이재곤 역시 자연스럽게 고종과 가까운 친척 형제로 지냈고 이후 사실상 왕실의 일원으로 대접받았다.
22살인 1880년(고종 17년)에 과거 급제를 한 후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승정원 관리를 시작으로 1882년(고종 19년)에 홍문관 교리를 지냈고 어윤중을 중심으로 운영한 감생청(減省廳)[7] 설립 초기에 사과(司果)[8]로서 일을 보았다. 1883년(고종 20년)에는 사간원 장령[9]이 되었고 1890년(고종 27년)에 《선원보략(璿源譜略)》을 수정할 때 찬수감인종부정(纂修監印宗簿正)으로 임명받아 수정을 관리감수하는 역할을 맡았다. 1895년(고종 32년)에는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으로서 진주부 관찰사[10]와 공주부 관찰사[11]를 맡았고 1896년(건양 원년)에는 비서원경 직을 역임했다.
2.2. 대한제국 시기
1897년(광무 원년)에는 상의사장 직을 역임했고 1898년(광무 2년)에 여흥부대부인이 사망했을 때 장례를 책임졌다. 그 무렵 태복사장(太僕司長) 겸 경효전제조(景孝殿提調)로서도 활동했다. 1899년(광무 3년) 특진관으로 왕실의 본 뿌리들인 전주[12]와 삼척[13]에 단과 비를 세우는 일 및 조경단에서 제를 지내는 총책임을 맡았다. 또한 장예원소경(掌禮院少卿)으로서 선원보속수교정당상(璿源譜續修校正堂上)으로 왕실 족보를 수정했고 종2품 내무 협판 칙임관 3등에 올랐다.1900년(광무 4년)에는 학부 협판 칙임관 3등으로서 서리대신사무(署理大臣事務)로 임명받았고 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수반판사(首班判事)직을 맡았다. 1901년(광무 5년)에는 법부 협판 칙임관 3등으로서 서리대신사무와 법부법률기초위원장(法部法律起草委員長)이 되었고 1902년(광무 6년)에 회계원경으로써 홍문관 학사와 평식원 총재 직을 같이 맡았다.
1904년(광무 8년)에는 궁내부 특진관, 관제리정의정관(官制釐正議定官)을 역임했고 1905년(광무 9년) 정2품이 되어 내장사장(內藏司長) 칙임관 4등, 중추원 찬의가 되었다. 1906년(광무 10년)에는 경상북도 관찰사 칙임관 3등, 재실회계심사국장(宰室會計審査局長) 칙임관 1등을 역임했다.
이렇게 승승장구했는데 문제는 이 시기 높은 벼슬을 한 왕족들처럼 이 사람도 역시 친일 루트를 탔다는 것. 1907년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 체결 때 학부대신으로서 앞장서 조약 체결을 이끄는 공을 세워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욱일대수장을 서훈받아 정미칠적의 명단에 그의 이름을 당당히 올리게 되었다. 이후 신사회, 대동학회, 대한여자흥학회, 한자통일회, 국민연설회 등의 각종 친일 단체에서 임원을 맡는 등 적극적인 친일 활동을 했다. 뿐만 아니라 1909년(융희 3년)에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후에는 한자통일회 지회장으로서 "한자통일회 이토 히로부미 추도회"를 개최했다.
2.3. 일제강점기
《조선귀족열전》 (朝鮮貴族列傳) |
3. 여담
4. 가족과 후손
부인은 대구 서씨(1858~1936)와 평산 신씨(1870~1963) 2명이고 2명의 부인들 사이에서 7남 1녀를 보았다. 딸은 이름이 전해지지 않고 1남은 이원용(李源鎔), 2남은 이윤용(李潤鎔), 3남이 이연용(李淵鎔), 4남은 이관용(李灌鎔), 5남이 이순용(李淳鎔), 6남은 이운용(李沄鎔), 7남이 이면용(李沔鎔)이다.장남 이원용은 1880년에 태어나 내각 참서관을 역임했는데 아버지보다 4달 앞선 1943년 3월에 사망했다. 이원용은 딸 5명과 아들 2명을 두었는데 장남이 이해국(李海菊), 차남이 이해백(李海栢)이다. 이해국은 이재곤 사후 자작위를 물려받아 친일 활동을 했으며 그래서 그런지 말년이 좋지 않았는데 1950년 9.28 서울 수복 직후에 살해당했고 동생 이해백은 아예 실종되었다. 둘 다 자식은 없었기 때문에 이원용의 대는 이재곤의 6남 이운용의 아들 이해석(李海釋)이 양자로 들어와 잇고 있다.
2남 이윤용은 1883년에 태어나 1947년 사망했는데 딱히 행적이 드러나지는 않는다. 3남 이연용은 1890년에 태어나 1970년 사망했고 딸 2명만 있을 뿐 아들이 없어 남계는 단절되었다.
4남 이관용과 5남 이순용은 친일파인 아버지와 다르게 독립운동가였다.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 참조.[15]
5. 같이 보기
경술국치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555; 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배경 | 대한제국의 국권피탈과정 | |
전개 | 운요호 사건 · 강화도 조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영일동맹 ·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 가쓰라-태프트 밀약 · 포츠머스 조약 · 을사조약 · 정미 7조약 · 대한제국군 해산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경술국치 | ||
관련 인물 | <colbgcolor=#000><colcolor=#FFF>을사조약 관련자 | 이지용 · 박제순 · 이근택 · 이완용 · 권중현 · 민영기 · 이하영 · 이재극 · 이토 히로부미 · 하야시 곤스케 | |
정미7조약 관련자 | 이완용 · 임선준 · 고영희 · 이병무 · 조중응 · 이재곤 · 송병준 · 이토 히로부미 | ||
경술국치 관련자 | 이완용 · 박제순 · 고영희 · 조중응 · 민병석 · 이병무 · 윤덕영 · 조민희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기타 인물 | 조선 총독 · 왕공족 · 이왕 · 조선귀족 | ||
영향 | 순국 지사 | 민영환 · 박승환 · 이범진 · 조병세 · 황현 · 홍범식 | |
저항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최익현 · 신돌석 · 임병찬 · 이인영 · 허위 · 이강년 · 홍범도) · 13도 창의군 · 헤이그 특사 (이상설 · 이준· 이위종)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안중근) · 오적 암살단 (나철) · 황제 대리 의식 집행 거부 & 관료 암살 시도 (남정철 · 박영효 · 이도재)* · 시일야방성대곡 (장지연) | ||
기타 | 한일병합 (일제강점기 · 한국통감부 · 조선총독부 · 무단 통치 · 친일반민족행위자 · 토지 조사 사업) · 일본어 잔재설 · 식민사관 · 식민지 근대화론 · 한일 무역 분쟁 | ||
관련 문서 | 식민지 · 강점기 · 병합 | ||
* 박영효 등이 고종의 퇴위에 협조한 대신들을 암살하려다 처벌된 사건은 이완용이 고종 퇴위를 반대하던 대신들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된 사건이라는 주장도 있음 | }}}}}}}}} |
[1] 원래 이재곤의 장남 이원용이 물려받아야 했으나 아버지 이재곤보다 먼저 죽었기 때문에 이원용의 장남이자 이재곤의 장손자인 이해국이 바로 이었다.[2] 둘 다 '산이름 곤' 자로서 '山' 자가 '昆' 위에 있느냐 왼쪽 옆에 있느냐의 차이만 있다.[3] 달성 서씨 서정억과 혼인했다.[4] 1868년 흥선대원군이 종친 항렬자 통일령을 내려 이신응(李愼應)으로 개명했다.[5] 양자가 되면서 이름을 이재완으로 개명한다.[6] 다만 그것은 원칙적인 것인데 조선 왕계 최초로 서출 방계 임금인 선조 이후로 점차 왕사를 잇는데 위기감이 생기고 인조 이후 인조계 왕손이 귀했기 때문에 순조 시기부터는 대원군들의 종손(봉사손) 왕자의 4대손 이후에도 계속해서 왕족 신분을 유지시키는 경우가 생겨났다. 원리원칙대로 군의 후손들을 점차 왕족에서 배제할 경우 정말로 왕통 단절을 걱정해야할 판이었기 때문. 이러한 세습 왕족 가문들은 마치 일본 덴노가의 세습 친왕가와 비슷한 목적이다. 세대가 지남에 따라 원래대로라면 신적강하로 평민화되어야 하는 방계들이 덴노가의 단절에 대비해 평민화되지 않고 계속해서 왕족 신분을 유지하는 것.[7] 1882년에 국가 재정 절감을 위해 설치한 임시 관청으로 임오군란 이후 관제 개혁을 하면서 관상감 안에 감생청을 두고 개혁안을 제시하도록 하여 정부 기구를 재정비하고자 했다.[8] 조선 시대 5위에 있던 정6품 무관직.[9] 사간원은 조선 시대 삼사의 하나로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며 장령은 사헌부, 사간원 등 소속의 정4품 관직으로 정원은 2명이다.[10] 현재의 경상남도지사 격.[11] 현재의 충청남도지사 격.[12] 조선 왕실의 본관이다.[13]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 목조 이안사가 전주를 떠나 처음 정착했던 곳이다.[14] 이로써 그는 대한제국의 매국노 중 마지막 생존자가 되었다.[15] 이는 전세계에서 생각보다 많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각 나라의 매국노는 자식들에게 최고급 교육을 해주길 마련이고 공부를 잘하는 자식일수록 식민지 본국과 본래 민족에게도 속하지 못한 자신들의 처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자국의 독립운동에 뛰어드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