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김병시 | 제2대 정범조 | 제3대 김홍집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정범조 | 제7대 민영휘 | 제8대 이호준 | 제9대 박정양 | 제10대 한규설 | |||
제11대 이종건 | 제12대 이하영 | 제13대 조병식 | 제14대 정낙용 | 제15대 임상준 | |||
제16대 신기선 | 제17대 김가진 | 제18대 조병세 | 권한대행 김가진 | 제19대 민영소 | |||
제20대 박정양 | 제21대 심상훈 | 제22대 민종묵 | 제23대 이근택 | 제24대 한규설 | |||
제25대 서정순 | 제26대 김윤식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좌의장 | 우의장 | |||
조병세 | 정범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부의장 | ||||
초대 김영수 | 제2대 어윤중 | 제3대 신기선 | 제4대 윤치호 | 제5대 이하영 | |||
제6대 윤치호 | 제7대 홍종억 | 제8대 서정순 | 제9대 김가진 | 제10대 이유인 | |||
제11대 이용태 | 제12대 이도재 | 제13대 이종건 | 제14대 이근호 | 제15대 이건하 | |||
제16대 김가진 | 제17대 이근호 | 제18대 이종건 | 제19대 이근상 | 제20대 이재곤 | |||
제21대 성기운 | 제22대 신기선 | 제23대 이근상 | }}}}}}}}}}}} |
이하영 관련 틀 | ||||||||||||||||||||||||||||||||||||||||||||||||||||||||||||||||||||||||||||||||||||||||||||||||||||||||||||||||||||||||||||||||||||||||||||||||||||||||||||||||||||||||||||||||||||||||||||||||||||||||||||||||||||||||||||||||||||||||||||||||||||||||||||||||||||||||||||||||||||||||||||||||||||||||||||||||||||||||||||||||||||||||||||||||||||||||||||||||||||||||||||||||||||||||||||||||||||||||||||||||||||||||||||||||||||||||||||||||||||||||||||||||||||||||||||||||||||||||||||||||||||||||||||||||||||||||||||||||||||||||||||||||||||||||||||||||||||||||||||||||||||||||||||||||||||||||||||||||||||||||||||||||||||||||||||||||||||||||||||||||||||||||||||||||||||||||||||||||||||||||||||||||||||||||||||||||||||||||||||||||||||||||||||||||||||||||||||||||||||||||||||||||||||||||||||||||||||||||||||||||
|
조선귀족 자작 | |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이하영 李夏榮 | Lee Ha-young | |
출생 | 1858년 8월 15일 |
경상도 기장현 동면 이천리 (現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이천리)[1] | |
사망 | 1929년 2월 27일 (향년 70세) |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 |
본관 | 경주 이씨[2] |
직업 | 통역관, 외교관, 정치가, 기업인 |
자 | 치행 (致行) |
호 | 금산 (琹山)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작위 | 조선귀족 자작 |
부모 | 부: 증 내부대신 이유수 모: 증 정경부인 서산 추씨 |
형제 | 제: 이준영[3], 이태영[4], 이선영[5] |
자녀 | 자: 이규삼(출)[6], 이규원, 이규복, 이규성 녀: 서정교의 처, 이규성의 처 |
비고 | 을사삼흉[7]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clearfix]
1. 개요
구한말의 외교관이자 정치가, 관료. 또한 일제강점기 시절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을사삼흉[8]이라 부르기도 한다. 1858년 [음력] 8월 15일생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관이다.을사조약 당시에 표면상으로는 반대를 했으나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었고 이후 조선귀족 자작 작위를 받고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고문으로 지내는 등 친일 행보를 이어갔다.
2. 생애
자세한 내용은 이하영(1858)/생애 문서 참고하십시오.3. 평가
이하영이 미국 정부로부터 백만불(현재 원화로만 계산해도 11억 원)을 당겼다는 것 자체가 불가사의한 일이다. 김옥균은 그로부터 불과 3년 ~ 4년 전 일본에 무상 차관을 빌리러 갔다가 실패했고, 차선책으로 국채 발행을 시도했지만 모두 허사였다. 게다가 그 돈을 써서 미군을 빌려온다?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이다.어쨌든 이하영이 미국에 돌려주지 않은 16만 불 중 얼마를 비상금으로 놔뒀는지는 몰라도, 당시 조선으로서는 막대한 돈이었을 텐데 그 행방이 투명하지 않다. 하여간 고종이 목돈을 만들라고 사람을 보내면 곱게 오는 경우가 없었다. 갑신정변을 말아먹은 김옥균 역시 1882년 제물포 조약 직후 일본에 가서 받은 17만 엔을 귀국해서는 수중에 한 푼도 안 남았다고 하는 걸 보면, 용처가 개혁을 위한 군자금이었다고 해도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면할 수 없고(한성순보를 창간하는데 썼다고도 한다), 결과적으로 개혁에 독이 됐다. 당시 아직 입장을 정하지 않았던 많은 중도적 정부 인사들마저 등 돌리게 만들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1884년 무상 차관을 준대서 김옥균이 일본에 갔건만 결국 일본 정부한테 찬바람을 맞았다. 1882년 임오군란 역시 불량미라는 불투명한 재정 집행이 도화선이 된 참사였다.
이하영은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에, 2007년 대한민국 친일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 위원회의 친일 반민족 행위 195인 명단에 올랐다. 2008년 민족 문제 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 인명 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에도 선정됐다.
4. 기타
- 영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 최형배(하정우) 시골집 벽사진의 주인공이다. 찢어지게 없는 집에 태어나서 온갖 우연의 연속으로 출세 후, 가족들에게 벼슬을 안겨주었고, 게다가 자기 회사에 정계 거물들을 주주로 앉혀놓고 빽으로 성공한다는 방식도 영화 내용과 비슷하다. 윤종빈 감독이 알고 사진을 썼는지는 미지수.
- 이하영은 1959년 발간된 경주이씨찬성공파세보(慶州李氏贊成公派世譜)에 5남1녀 중 차남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1988년에 발간된 경주이씨대동보와 1999년에 편찬된 경주이씨상서공파세보에서는 이름이 지워져 있다. 즉, 경주이씨대동보에서는 그의 증조부 이흥혁의 후손을 모두 삭제하였고, 상서공파세보에서는 이흥혁도 포함하여 모두 삭제하였다.
- 일뽕들 사이에서 최근 들어 추종하고 있는 인물이기도한데, 밑바닥에서 시작해 고위직 친일파로 출세해서 성공했다는 점 때문에 자기들도 밑바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거라는 희망과 함께 일뽕/비판 문서에도 나와있다시피 식민지 시대에 대한 환상과 식민지 수혜론에 대한 정당한 비판의 반발로 추종하고 있다.
5. 같은 가문의 인물 목록
※ 을사삼흉 이하영은 선조 때 영의정 이항복의 장남 이성남의 9대손이고, 독립명문가[11] 이회영 6형제[12]는 이항복의 차남 이정남의 9대손이다. 이회영의 형 이석영의 양부이기도 한 고종 때의 영의정 이유원 역시 이정남의 후손이다. 같은 가문의 일원임에도 동시대에 극과 극의 행보를 보였다. 족보에서는 이하영의 증조부 이흥혁 및 그 후손을 모두 삭제하였다.[13]※ ■: 친일반민족행위자, ■: 독립유공자[14]
- 9대조: 이성남. 증 이조판서. 이항복의 장남.
- 8대조: 이시중. 증 호조참판.
- 7대조: 이세형. 도사[15].
- 6대조: 이이좌. 직장[16].
- 5대조: 이종영(계)[17].
- 4대조: 이경한.
(이하영의 증조부 이하 족보에서 삭제)* 증조부: 이흥혁. 증 비서승.* 조부: 이응효. 증 의정부 참찬.* 부: 이유수. 증 내부대신.* 본인: 이하영.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외부대신, 법부대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조선귀족 자작. 친일반민족행위자(을사삼흉). 이항복의 10대손.* 동생: 이준영[18]. 대한제국 법부·학부협판[19]. 강원도관찰사. 국문학자.* 아들: 이규원. 대한제국 궁내부 시종원 시종[20]. 이왕직 찬시[21]. 대륙고무공업주식회사 이사. 조선물산장려회 이사. 조선불교단 이사. 조선실업구락부 평의원. 동방직물판매주식회사 대표이사. 조선귀족 자작. 조선귀족회 부회장. 창복회 위원. 친일반민족행위자.* 손자: 이종찬. 제8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제9·10대 국회의원. 일본군 경력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으나, 습작 거부, 친일행적 공개 반성, 군의 정치적 중립성 강조 등의 행보로 참군인으로 칭송받기도 하였다.
- 14촌: 이태좌. 영조 때 좌의정. 이세필의 장남. 이항복의 4대손.
- 15촌: 이종성. 영조 때 영의정.
- 16촌: 이경륜[25]. 정조 때 황해도 관찰사.
- 17촌: 이정규. 순조 때 강원도 관찰사.
- 18촌: 이계선. 철종 때 사간.
- 19촌: 이유승. 고종 때 이조·예조·형조·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우찬성, 궁내부특진관. 이항복의 9대손.
- 20촌(형제): 이건영, 이석영(출)[26], 이철영, 이회영, 이시영(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이소영[27], 이호영. 이항복의 10대손.
- 21촌: 이규룡(계)[28], 이규면, 이규훈 / 이규준, 이규서, 성명미상(女) / 이규붕, 성명미상(女), 이규상, 이규화 / 이규룡(출)[29], 이규학, 이규온(女), 이규숙(女), 이규창[30], 이경숙(女), 이현숙(女), 이규동[31] / 이규창[32], 이규열[33], 이규웅 / 성명미상(女) / 이규봉(이규황?), 이규린(이규준?)
- 22촌: 이종찬(이규학의 3남), 이종걸(이규동의 장남)
- 14촌: 이정좌. 이세필의 차남. 이항복의 4대손.
- 15촌: 이종주.
- 16촌: 이경관. 증 좌찬성.
- 17촌: 이석규. 이조판서.
- 18촌: 이계조. 이조판서.
- 19촌: 이유원. 철종·고종 때 전라도·함경도·황해도관찰사, 예조·형조·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좌의정, 영의정. 이항복의 9대손. 이유승의 차남 이석영의 양부.
- 20촌: 이석영(계)[34], 이수영, 성명미상(女), 성명미상(女), 이호영, 이표영.
6. 여담
윤치호 역시 구한말에 영어를 습득한 인물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1] 경주 이씨 집성촌이다.#[2] 백사공파 10대손. 중시조 35세 '榮'자 항렬이다.[3] 대한제국 법부·학부협판, 강원도관찰사. 일본 훈3등욱일중수장.[4] 군수.[5] 참봉.[6] 동생 이준영의 양자로 출계.[7] 을사조약 당시에는 중립을 지키거나 반대하였지만 후에 친일로 전향한 민영기, 이하영과 함께 고종을 압박한 이재극 이렇게 3인을 통틀어 말하는 용어로 정식 학술 용어는 아니다.[8] 이하영, 민영기, 이재극[음력] [10] 다만 이완익은 1870년대에 친일파로 전향했으며, 을사늑약이 체결되기도 전인 1904년에 죽었다.[11] 이회영 일가는 명문가의 후손으로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했고, 그 공로로 광복 후 일가에서 건국훈장·건국포장 13명을 배출하였다. 건국훈장(12명) : 이건영, 이석영, 이철영, 이회영, 이시영, 이호영 등 6형제, 이회영의 부인 이은숙, 이건영의 장남 이규룡(생부는 이회영), 이석영의 장남 이규준, 이회영의 차남 이규학·3남 이규창, 이회영의 사위 장해평(이규숙의 남편). 건국포장(1명) : 이시영의 장남 이규창(초명은 이규봉).[12] 요절한 이소영을 제외하고 흔히 이회영 6형제로 칭한다.[13] 이흥혁부터 삭제한 것은 이하영의 후광으로 증조부 이흥혁은 비서승, 조부 이응효는 의정부참찬, 부친 이유수는 내부대신으로 추증되어 이하영의 친일행적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었기 때문인 듯하다.[14] 광복 후 건국훈장, 건국포장 등을 받은 인물들만 포함함. 기타 독립운동가들은 포함하지 않았음.[15] 都事. 종5품 관직.[16] 直長. 종7품 관직.[17] 입양되었다. 생부 성명미상.[18] 李準榮.[19] 協辦. 각부 대신(大臣)의 하위직. 갑오개혁 이전에 각조 판서(判書)를 보좌하던 참판(參判)과 유사함.[20] 이규원은 종2품까지 가자(加資;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의 품계를 올리는 일)되었다.[21] 찬시(贊侍). 한일병합 이후 일제가 이왕직(李王職)에 개설한 시종과 같은 관리이다.[22] 郞廳. 일반적으로 정3품 이상 당상관에 비교하여 종3품 당하관 이하의 관원을 지칭하나, 좁은 의미로는 6조의 정5품 정랑 또는 종6품 좌랑을 지칭한다. 또한 비변사, 경리청, 준천사 등 일부 관청에는 낭청 자체가 종6품~정7품의 관직 명칭이다.[23] 부(府)를 관할하던 종2품 지방 장관직. 경주·평양·전주·영흥·함흥·의주·강화·광주 등 8곳의 부가 있었다. 부윤은 절제사(節制使)를 겸직하였다.[24] 참판은 6조의 장관인 판서를 보좌하는 종2품 차관직이다. 각 조의 중요 사무는 판서, 참판, 참의가 합의하여 시행하는 것이 관례였으므로 상당한 발언권이 있었다.[25] 조부는 이세필의 3남 충청감사 이형좌(李衡左), 부친은 이조판서 이종백(李宗白)이다. 이세필의 장남 이태좌의 아들 이종성에게 입양되었다.[26] 고종 때 영의정 이유원의 양자로 출계.[27] 일찍 사망.[28] 생부는 이회영.[29] 이건영의 양자로 출계.[30] 초명은 '이규호'.[31] 초명은 '이규석'.[32] 초명은 '이규봉'.[33] 초명은 '이규홍'.[34] 생부는 이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