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7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nopad> 조선 총리대신 (1894~1895) | |||||||
초대 김홍집 | |||||||
<nopad> 조선 내각총리대신 (1895~1896) | |||||||
초대 김홍집 | 제2대 박정양 | 제3대 김홍집 | 제4대 김병시 | 제5대 윤용선 | |||
<nopad> 조선 의정 (1896~1897) | |||||||
제6대 김병시 | 제7대 심순택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nopad> 대한제국 의정 (1897~1905) | ||||
초대 심순택 | 제2대 김병시 | 제3대 심순택 | 제4대 윤용선 | 제5대 조병세 | |||
제6대 윤용선 | 제7대 윤용선 | 제8대 윤용선 | 제9대 윤용선 | 제10대 심순택 | |||
제11대 윤용선 | 제12대 심순택 | 제13대 윤용선 | 제14대 이근명 | 제15대 윤용선 | |||
제16대 이근명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nopad> 대한제국 의정대신 (1905~1907) | |||||
제17대 민영규 | 제18대 조병호 | ||||||
<nopad>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1907~1910) | |||||||
제19대 이완용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19대 이완용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nopad> 조선 중추원 의장 (1894~1897) | |||||||||||
초대 김병시 | 제2대 정범조 | 제3대 김홍집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정범조 | 제7대 민영휘 | 제8대 이호준 | |||||||||
<nopad>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1897~1910) | |||||||||||
초대 이호준 | 제2대 박정양 | 제3대 한규설 | 제4대 이종건 | 제5대 이하영 | |||||||
제6대 조병식 | 제7대 정낙용 | 제8대 임상준 | 제9대 신기선 | 제10대 김가진 | |||||||
제11대 조병세 | 제12대 민영소 | 제13대 박정양 | 제14대 심상훈 | 제15대 민종묵 | |||||||
제16대 이근택 | 제17대 한규설 | 제18대 서정순 | }}} {{{#!wiki style="margin:-31px -1px -11px" | ||||||||
제18대 서정순 | 제19대 김윤식 | ||||||||||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 중추원 부의장) | }}} }}}}}}}}} |
대한제국 제2·13대 중추원 의장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e09> 조선 제2대 내각총리대신 박정양 朴定陽 | Bak Jeong-yang | |||
| |||
출생 | 1841년 (헌종 7) 12월 24일 | ||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 |||
사망 | 1905년 (고종 42) 11월 2일 (향년 64세) | ||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 |||
묘소 | 경기도 포천시 | ||
재임기간 | 조선 제2대 내각총리대신 | ||
1895년 8월 20일 - 1895년 10월 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e09> 본관 | 반남 박씨 | |
부모 | 아버지 박제근 어머니 이씨부 | ||
배우자 | 양주 조씨 부인 인동 장씨 부인 | ||
자녀 | 3남 2녀 | ||
학력 | 진사시 합격(1867년) 알성문과 급제(1868년) | ||
종교 | 유교(성리학) | ||
주요 경력 | 주미전권대사 조선 호조판서 조선 한성부 판윤 조선・대한제국 학부대신 조선 내각총리대신 조선・대한제국 내부대신 조선・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대한제국 표훈원 총재 | ||
자 | 치중(致中) | ||
호 | 죽천(竹泉) | }}}}}}}}} |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가. 온건 개화파의 대표 인물이며 조선 최초의 주미대사.2. 생애
|
본관은 반남 박씨.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일족으로[1] 마찬가지로 먼 친척인[2] 박규수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유대치 문하에서 김윤식, 김홍집, 김옥균 등과 교우하였다. 1864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하고 1866년 문과에서 급제하였으며 온건 개화파의 일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하였으며 관직에서 승승장구하여 성균관 대사성, 한성부 좌윤, 사헌부 대사헌 등을 지냈다. 1887년 주미 특파 전권 대사가 되어 워싱턴 D.C.에 부임했다.
1889년 귀국하여 홍문관 제학, 호조판서, 한성부 판윤 등을 지내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제1차 김홍집 내각이 수립되고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자 회의원이 되었다. 11월 제2차 김홍집 내각 때는 학무대신이 되었고 1895년 삼국간섭 등으로 제2차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자 총리대신이 되어 과도 내각을 세웠다가 을미사변 때 수구파의 대대적인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다시금 제3차 김홍집 내각이 수립되자 내부대신이 되어 을미개혁을 진행하다가 아관파천으로 김홍집이 살해당해서 제4차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자 내부대신, 총리대신 서리, 궁내부대신 서리를 겸임하여 정국을 주도했다.
1897년 독립협회 설립을 주도하였고 만민공동회에 정부 측 인사로 참가하였다. 독립협회가 폭력적으로 탄압당하자 사직서를 올렸으나 반대로 고종에 의해 내무부대신이 되었다. 이후 고종 주도의 광무개혁 중 한성부판윤 이채연과 함께 근대적 도시 개조 사업인 한성개조사업에 큰 공헌을 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9월 표훈원 총재가 되었고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장도 받았으나 병이 악화되어 11월 사임 후 곧바로 사망하였다. 순종 때 문익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3. 여담
- 개화에 앞장섰으나 온건 개화파를 보호하는 역할을 자임해서 정쟁에 자주 휘말렸다. 김홍집의 3번의 내각에 모두 참가하였으면서도 제3차 김홍집 내각 전후로 총리대신 서리를 맡았다는 점에서 박정양의 정치 역경을 알 수 있다. 한 마디로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수습은 거의 박정양이 맡았다는 것이다.
- 친일적인 측면이 엿보였다는 평도 있으나[3]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 정부 측 인사로 계속 참가했다는 점과, 을사오적에 대한 처벌을 주장했다는 점, 그리고 이상재 등 젊은 개화파의 정치적 후견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우리가 아는 친일파하고는 거리가 멀다.[4]
- 미국 사교계 파티에 참석했다가 문화충격을 받기도 했다. 파티에 여자들도 많이 있는 것을 보고 '저 여자들은 모두 기생인가?'라고 물었다가,[6] '저 여자들은 미국 저명인사들의 아내이거나 딸이다'라는 대답을 듣고 놀랐다. 그런가 하면 파티에 참석한 여자들의 옷차림(가슴과 어깨를 많이 드러낸 드레스)과 남녀가 짝이 되어 서로의 몸을 잡고 춤을 추는 것에도 충격을 받았다.
- 박정양의 둘째 아들 박승철은 독립운동가로 아버지가 타계한 후 아버지의 문인이었던 이상재로부터 영어를 교육받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유학했으며, 1922년엔 해방 후 법무부 장관을 지낸 김준연과 함께 독일 베를린 대학교로 다시 유학을 갔으며 막 독립한 폴란드를 포함해서 유럽권 일대를 순회하고 잡지에 기행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귀국 후엔 배재고등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다가 농촌 운동과 관련된 기독교계 항일 민족주의 단체에 참여해 옥고를 치렀다. 해방이 될 때까진 고향인 연천군에서 계속 거주한 것으로 보이나 해방 후 38선이 그어져 연천이 북한에 속하게 되자 월남해 현재 한국전력의 전신이기도 한 남선전기의 사장을 지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납북되면서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 수가 없는 상태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김홍집 내각 (갑오개혁 ・ 을미개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구분 | 제1차 | 제2차 | 제3차 | 제4차 |
내부대신 | 민영달 | 박영효 | 박정양 | 유길준 | |
외부대신 | 김윤식 | 김윤식 | 김윤식 | 김윤식 | |
탁지부 대신 | 어윤중 | 어윤중 | 심상훈 | 어윤중 | |
군부대신 | 이규원 | 조희연 | 안경수 | 조희연 | |
법부대신 | 윤용구 | 서광범 | 서광범 | 장석주 | |
학부대신 | 박정양 | 박정양 | 이완용 | 서광범 | |
농상공부 대신 | 서정순 엄세영 | 김가진 | 김가진 | 정병하 | |
※ 1차 내각은 6조 판서를 8아문 대신으로, 2차 내각은 아문을 부로 고침. 2차 내각은 출범당시, 3차 내각은 특정기간을 기준으로 함. 4차 내각은 을미사변 이후 친일성향으로 조각되어 을미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아관파천 이후 고종에게 을미사적으로 불리고 처형 명령이 떨어지면서 실각함.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7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tablewidth=100%><nopad><tablebgcolor=#fff,#1c1d1f> 조선 참정 (1896~1897) | ||||||
초대 박정양* | 제2대 남정철* | }}} {{{#!wiki style="margin: -35px -1px -11px" | <nopad> 대한제국 참정 (1897~1905) | |||||
초대 남정철* | 제2대 박정양* | 제3대 윤용선 | 제4대 조병식 | 제5대 김영수 | ||||
제6대 이호준 | 제7대 윤용선 | 제8대 박정양 | 제9대 조병식 | 제10대 이헌영 | ||||
제11대 김성근 | 제12대 민영환 | 제13대 박정양 | 제14대 민영환 | 제15대 서정순 | ||||
제16대 심상훈 | 제17대 신기선 | 제18대 이호준 | 제19대 김성근 | 제20대 조병직 | ||||
제21대 조병식 | 제22대 서정순 | 제23대 심상훈 | 제24대 이헌영 | 제25대 김성근 | ||||
제26대 김규홍 | 제27대 심상훈 | 제28대 조병식 | 제29대 심상훈 | 제30대 신기선 | ||||
제31대 김성근 | 제32대 조병호 | }}} {{{#!wiki style="margin: -35px -1px -11px" | <nopad> 대한제국 참정대신 (1905~1907) | |||||
제32대 조병호 | 제33대 조병식 | 제34대 민영환 | 제35대 심상훈 | 제36대 조병호 | ||||
제37대 한규설 | 제38대 민영철 | 제39대 박제순 | 제40대 이완용 | |||||
* 내부대신이 참정을 예겸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nopad> 조선 학무아문대신 (1894~1895) | |||||||||
초대 박정양 | |||||||||
<nopad> 조선 학부대신 (1895~1897) | |||||||||
초대 박정양 | 제2대 이완용 | 제3대 서광범 | 제4대 이도재 | 제5대 조병직 | |||||
제6대 신기선 | 제7대 민종묵 | 제8대 이완용 | 제9대 조병직 | ||||||
<nopad> 대한제국 학부대신 (1897~1910) | |||||||||
초대 조병직 | 제2대 조병호 | 제3대 이도재 | 제4대 김명규 | 제5대 윤용구 | |||||
제6대 신기선 | 제7대 민병석 | 제8대 이건하 | 제9대 김규홍 | 제10대 민영소 | |||||
제11대 박정양 | 제12대 이용직 | 제13대 민영환 | 제14대 이재극 | 제15대 박제순 | |||||
제16대 민영철 | 제17대 이지용 | 제18대 이완용 | 제19대 이재곤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19대 이재곤 | 제20대 이용직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tablewidth=100%><nopad> 조선 공무아문대신 (1894~1895) | <nopad> 조선 농상아문대신 (1894~1895) | |||||
초대 신기선 | 초대 엄세영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nopad> 조선 농상공부대신 (1895~1897) | |||||
초대 김가진 | 제2대 이범진 | 제3대 정병하 | 제4대 조병직 | 제5대 이윤용 | ||||
제6대 정낙용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nopad> 대한제국 농상공부대신 (1897~1910) | ||||||
초대 정낙용 | 제2대 이도재 | 제3대 민병석 | 제4대 김명규 | 제5대 박제순 | ||||
제6대 김명규 | 제7대 권재형 | 제8대 박정양 | 제9대 권재형 | 제10대 민병석 | ||||
제11대 민영기 | 제12대 이종건 | 제13대 민병석 | 제14대 권재형 | 제15대 김규홍 | ||||
제16대 민종묵 | 제17대 민영소 | 제18대 김가진 | 제19대 이도재 | 제20대 이지용 | ||||
제21대 박제순 | 제22대 이근택 | 제23대 박제순 | 제24대 조동희 | 제25대 권중현 | ||||
제26대 성기운 | 제27대 송병준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27대 송병준 | 제28대 조중응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nopad> 조선 내무아문대신 (1894~1895) | ||||||||
초대 민영달 | 제2대 민영상 | 제3대 서상우 | ||||||
<nopad> 조선 내부대신 (1895~1897) | ||||||||
초대 박영효 | 제2대 이헌영 | 제3대 박정양 | 제4대 유길준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남정철* | ||||||||
<nopad> 대한제국 내부대신 (1897~1910) | ||||||||
초대 남정철* | 제2대 박정양* | 제3대 이근명 | 제4대 심상훈 | 제5대 민영환 | ||||
제6대 이근명 | 제7대 이건하 | 제8대 민병석 | 제9대 이건하 | 제10대 김주현 | ||||
제11대 이헌영 | 제12대 조병호 | 제13대 이재극 | 제14대 민영환 | 제15대 이도재 | ||||
제16대 이용태 | 제17대 조병필 | 제18대 이용태 | 제19대 조병식 | 제20대 이도재 | ||||
제21대 이지용 | 제22대 윤용구 | 제23대 이지용 | 제24대 민병석 | 제25대 이종건 | ||||
제26대 박용화 | 제27대 이지용 | 제28대 이도재 | 제29대 이지용 | 제30대 임선준 | ||||
제31대 이근상 | 제32대 임선준 | 제33대 이도재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34대 임선준 | 제35대 송병준 | 제36대 박제순 | ||||||
* 내부대신이 참정을 예겸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nopad> 조선 탁지아문대신 (1894~1895) | ||||||
초대 어윤중 | ||||||
<nopad> 조선 탁지부대신 (1895~1897) | ||||||
초대 어윤중 | 제2대 심상훈 | 제3대 어윤중 | 제4대 윤용선 | 제5대 심상훈 | ||
제6대 박정양 | ||||||
<nopad> 대한제국 탁지부대신 (1897~1910) | ||||||
초대 박정양 | 제2대 민종묵 | 제3대 조병호 | 제4대 심상훈 | 제5대 민영기 | ||
제6대 조병호 | 제7대 조병직 | 제8대 민영기 | 제9대 박정양 | 제10대 민영환 | ||
제11대 민영기 | 제12대 조병직 | 제13대 조병식 | 제14대 민병석 | 제15대 김규홍 | ||
제16대 심상훈 | 제17대 김성근 | 제18대 심상훈 | 제19대 이용익 | 제20대 박정양 | ||
제21대 민영기 | 제22대 조병호 | 제23대 민영기 | 제24대 민영철 | 제25대 민영기 | ||
제26대 고영희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제26대 고영희 | 제27대 임선준 | 제28대 고영희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박정양 | 제2대 이승수 | 제3대 서광범 | 제4대 이범진 | 제5대 조민희 |
지도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회장 | |||
<rowcolor=#87ceed,#87ceed> 초대 안경수 | 제2대 | 제3대 서재필 | 제4대 윤치호 | |
간부 | ||||
위원장 | | 고문 | 서재필 | |
위원 | ||||
김가진 | 남궁억 | 박정양 | 송헌빈 | |
안창호 | 오세창 | 유길준 | 윤치호 | |
이상재 | 이승만 | |||
* 1898년 7월 17일 제명되었다. |
[1] 촌수로는 7촌. 수빈의 큰아버지인 박윤원의 현손이다. 반대로 말하면 박정양의 증조부 박종여의 사촌이 수빈과 박종경 남매이다.[2] 이쪽은 훨씬 멀다. 22촌(...) 조손 항렬이고 박규수가 할아버지뻘. 한참 예전 사건인 기묘사화의 희생자인 소위 기묘명현 중 한 명인 박소의 장남 박응천의 11대손이 박정양, 4남인 박응복의 9대손이 박규수이다.[3] 본래 개화파치고 친일 의혹 안 받아보는 사람이 없다. 19세기에는 어느 국가와 가까운지에 따라 파당 이름이 결정되는 일이 많았다. 이 때문에 친일파라고 해서 이완용 등과 동급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4] 사실 이완용 같이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친일파는 정확히 말하면 '매국노'라고 지칭하는게 맞다. 현대 정치인들의 성향을 서술할때도 친미나 친중이란 식으로 묘사되듯이, 친~란 것은 사전적으로 특정 국가에 비교적 우호적이거나 그 국가와 협조하려는 성향을 지닌 것을 의미한다. 을사오적 같은 경우 일본과 협조하려는 것을 떠나서 나라를 아예 팔아먹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욕을 먹는 것이다.[5] 조선시대에 태어난 인물이기 때문에 민주주의란 개념을 이해 못하고 미국 대통령에 대해 일국의 군주로 여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신으로서 외국에 파견된 입장에서 군주를 만나면 절하며 예를 표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6] 유교 문화권인 조선에서는 큰 잔치를 벌여도 남녀의 자리를 별도로 마련했고, 남자들 자리에 자유롭게 드나드는 여자들은 음식 시중 드는 노비이거나 노래와 춤으로 흥을 돋우는 기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