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23:51:48

홍종철(189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cd7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의장(조선 총독부 정무총감)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제2대

미즈노
렌타로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제4대

시모오카
주지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제6대

이케가미
시로
제7대

코다마
히데오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제11대

엔도
류사쿠
부의장
초대

김윤식
제2대

이완용
제3대

박영효
제4대

민병석
제5대

윤덕영
제6대

이진호
제7대

박중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1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colbgcolor=#fff,#1f2023> 고영희 권중현 민상호 박제순 송병준
이근상 이근택 이완용 이재곤 이지용
이하영 임선준 장석주 조중응 조희연
조민희 한창수
찬의
강경희 권봉수 김만수 김사묵 김영한
남규희 민상호 박경양 박승봉 박제빈
박중양 염중모 유맹 유정수 윤치오
이건춘 이겸제 이재정 이준상 정인흥
조영희 조희문 한창수 홍승목 홍종억
부찬의
고원식 구희서 권태환 김교성 김낙헌
김명규 김명수 김준용 김필희 김한규
김한목 나수연 민건식 민원식 박제환
박희양 서상훈 서회보 성하국 송지헌
송헌빈 신우선 신태유 어윤적 엄태영
오재풍 오제영 윤치오 이도익 이만규
이봉로 이원용 이항직 정동식 정병조
정진홍 조병건 조재영 조제환 조원성
최상돈 한동이 허진 홍우철 홍운표
홍재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2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고희경 권중현 민병석 민영기 박영효
송병준 이하영 윤덕영 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 김영한 김한목 남규희 민상호
민영찬 민형식 박승봉 박이양 박기양
박상준 박승봉 박의병 박제빈 박중양
백인기 상호 서상훈 신석린 신응희
어윤적 엄준원 염중모 유맹 유성준
유정수 유혁로 이건춘 이겸제 정진홍
조민희 조진태 조영희 조희문 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 고원훈 권태환 김갑순 김교성
김기태 김명규 김명준 김상설 김상섭
김연상 김영무 김정태 김준용 김창한
김필희 김현수 나수연 노창안 박경석
민건식 민영은 박기동 박기순 박봉주
박이양 박제환 박종렬 박흥규 박희양
방인혁 서병조 선우순 송종헌 송지헌
신석우 신태유 신창휴 심준택 심환진
안병길 양재홍 오재풍 오태환 원덕상
유기호 유빈겸 유익환 유흥세 윤치소
이강원 이근우 이기승 이도익 이동우
이만규 이병렬 이병학 이택규 이택현
이항직 이흥재 이희덕 장대익 장도
장상철 장응상 장직상 장인원 전석영
정동식 정란교 정병조 정순현 정재학
정태균 정호봉 조병건 천장욱 최석하
피성호 한영원 한상봉 한창동 허명훈
홍성연 현은
참의
구연수 김윤정 김춘희 김한목 김희작
남규희 민병석 박기순 원응상 윤갑병
윤정현 장헌식 정건유 현기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3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민병석 윤덕영 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서규 김영진
김윤정 남궁영 민상호 박두영 박상준
박영철 박용구 박중양 서상훈 신석린
어담 엄준원 염중모 유정수 유진순
유혁로 윤갑병 이겸제 이범익 이진호
장헌식 정교원 조경하 조성근 조희문
주영환 최린 한규복 한상룡 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 강번 고일청 김경진 김기수
김기홍 김도현 김두찬 김병규 김사연
김상설 김상형 김상회 김신석 김영택
김정석 김정호 김종흡 김진수 김창수
김한규 김한목 김한승 남백우 노영환
문종구 민병덕 박기석 박종렬 박보양
박봉진 박철희 박희옥 방의석 방태영
서병조 서병주 석명선 선우순 성원경
손재하 손조봉 송지헌 신희련 안종철
오세호 오태환 원덕상 유승흠 유태설
이경식 이교식 이근수 이근우 이기찬
이기승 이동우 이명구 이방협 이승우
이병렬 이선호 이은우 이종섭 이충건
이진호 이택규 이희덕 이희적 인창환
장대익 장석원 장직상 장헌근 정관조
정란교 정대현 정석모 정석용 정해붕
조병상 주영환 지희열 최남선 최양호
최연국 최윤 최윤주 최준집 최지환
최창조 하준석 한영원 현준호 현헌
홍치업 황종국
참의
강필성 김병원 김성규 김제하 박상준
어윤적 유만겸 유성준 진희규 홍정철
}}}}}}}}}
[ 194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bgcolor=#062861><-5> 고문 ||
김윤정 박중양 윤치호 이범익 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사연 김연수
김영배 김영진 김우영 김윤정 김태석
김화준 박두영 박상준 서상훈 신석린
안종철 원덕상 유만겸 유진순 이겸제
이경식 이계한 이병길 이원보 장직상
장헌식 정교원 정란교 정연기 진학문
최린 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 권중식 김경진 김동준 김병욱
김부원 김사연 김신석 김원근 김재환
김태집 노준영 민재기 박지근 박창하
박필병 방의석 서병조 손창식 송문화
신현구 양재창 원병희 위정학 이경식
이기찬 이승우 이신용 이영찬 이익화
이종덕 임창수 장용관 장윤식 장준영
장직상 전덕룡 조병상 조상옥 차남진
최윤 최승렬 최정묵 최준집 한익교
한정석 현준호 황종국
참의
김하섭 문명기 이승구
||
†. 재직 중 사망.
}}}}}}}}}}}}}}}}}} ||
<colbgcolor=#000><colcolor=#fff> 홍종철
洪鍾轍
파일:홍종철.jpg
창씨명 고카이 쇼와다치
洪海鍾轍
출생 1893년 4월 25일
전라도 고창군 대아면 대야리
(현재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대기마을[1] 542번지)
사망 1973년 4월 29일 (향년 80세)
본관 남양 홍씨
주요
경력
전라북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임시위원
동아일보 고창지국 고문
전라북도 민선 도평의회원
조선박람회 평의원
고창산업조합 감사
전라북도 관선 도평의회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구한말의 관료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였다. 본관은 남양. 친일파 708인 명단의 중추원 부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중추원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들었다. 홍영표의 조부이기도 하다.

2. 생애

1893년 4월 25일, 전라도 고창군 대아면 대야리(현재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대동리 대기마을 542번지)에서 아버지 홍재삼(洪在森)과 어머니 진대기(陳大基) 사이에서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 한학을 배웠고 1913년 3월 고창공립보통학교 학무위원을 지냈다. 일제 강점기에 막대한 수입을 벌어들인 아버지로부터 유산을 물려받아 1937년에는 약 111만 평의 땅을 소유한 거부였다.

1914년 9월 22일 고창소방조 설비비를 조선총독부에게 기부했고 1915년 4월 21일 에는 도로개수비를, 1915년 6월 17일에는 도로부지용 토지를 각각 기부했다. 1916년 7월 5일 부터 1917년 7월 10일까지 전라북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임시위원으로 활동했고 2년 후 사립 고창고등보통학교[2] 건립 과정에서 16,000원을 기부했다. 1920년 1월 14일 에는 동아일보사 설립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23년 4월에는 동아일보 고창지국 고문을 지냈다.

1924년 4월 1일, 1927년 4월 1일에는 전라북도 민선 도평의회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928년 11월 16일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쇼와대례기념장, 1928년 11월 22일에는 조선총독부로부터 특례은배를 받았다.

1929년 5월 1일에는 조선박람회 평의원으로 위촉되었다. 1924년부터 홍해농장을 운영했으며 1927년 11월 부터 고창산업조합 감사를 지냈다. 1930년 4월 1일 전라북도 관선 도평의회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930년 6월 3일 부터 1933년 6월 2일 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가 되어 친일 행적을 이어갔다.

1935년 10월에는 조선총독부로부터 시정 25주년 기념표창과 은배 1조를 받았다. 1973년 4월 29일 사망했다.

3. 기타

  • 홍종철의 후손인 홍영표는 조부가 친일파인 것에 대해 2015년 본인의 누리집을 통해 공개 사과했다. 홍영표 의원 “친일 후손으로서 사죄드립니다” 이에 따르면, 홍영표의 부친도 이를 부끄러워 해서 서울대 법대에 재학하며 법조인의 꿈을 키우다가 이 사실을 알고 20대에 스스로 낙향해 평생 후학을 가르치며 살다가 사망했다고. 홍영표 본인 역시 꾸준히 친일파 후손들의 재산을 환수하기 위한 운동과 부평 미군 부대 부지 공원화 추진 운동을 해왔다. 독립유공자들과 그들의 후손에 대한 지원 활동을 꾸준히 펼쳐 독립유공자협의회 등 독립운동 유공단체들로부터 감사패를 받은 적도 있다. # 또한 2.8 독립 선언 같은 독립유공자 행사 등에 참여하며 광복회 임원들과 함께 독립운동 기념 행사 등을 돕기도 했다.

[1] #[2] 현재의 고창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