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0%, #7e2f22 20%, #7e2f22 80%, #51120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태조 | 정종 | 태종 | |||
안천부원군 한경 | 상산부원군 강윤성 | 월성부원군 김천서 | 여흥부원군 민제 |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
청천부원군 심온 | 화산부원군 권전 | 여량부원군 송현수 | 파평부원군 윤번 | |||
예종 | 예종, 성종 | 성종 | ||||
청천부원군 한백륜 | 상당부원군 한명회 | | 영원부원군 윤호 | |||
연산군 | 중종 | |||||
거창부원군 신승선 | 익창부원군 신수근 | 파원부원군 윤여필 | 파산부원군 윤지임 | |||
인종 | 명종 | 선조 | ||||
금성부원군 박용 | 청릉부원군 심강 | 반성부원군 박응순 | 연흥부원군 김제남 | |||
선조 | 광해군 | 인조 | ||||
| | 서평부원군 한준겸 | 한원부원군 조창원 | |||
효종 | 현종 | 숙종 | ||||
신풍부원군 장유 | 청풍부원군 김우명 | 광성부원군 김만기 | 여양부원군 민유중 | |||
숙종 | 경종 | 영조 | ||||
경은부원군 김주신 | 청은부원군 심호 | 함원부원군 어유구 | 달성부원군 서종제 |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
오흥부원군 김한구 | 청원부원군 김시묵 | 영안부원군 김조순 | 영흥부원군 김조근 |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 |||
익풍부원군 홍재룡 | 영은부원군 김문근 | 여성부원군 민치록 | 여은부원군 민태호 | |||
순종 | ||||||
해풍부원군 윤택영 | ||||||
추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목조(이안사) | 익조(이행리) | 도조(이춘) | |||
이숙(이공숙) | 최기열 | 안변부원군 박광 | ||||
환조(이자춘) | 덕종(의경세자) | 원종(정원군) | ||||
영흥백 최한기 | 서원부원군 한확 | 능안부원군 구사맹 | ||||
진종(효장세자) | 장조(사도세자) | 문조(효명세자) | ||||
풍릉부원군 조문명 | 영풍부원군 홍봉한 | 풍은부원군 조만영 | }}} |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 |
출생 | 1633년 3월 2일 (음력 인조 11년 1월 23일) |
사망 | 1687년 4월 26일 (향년 54세) (음력 숙종 13년 3월 15일) |
봉호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시호 | 문충(文忠) |
본관 | 광산 김씨(光山 金氏)[1] |
자 | 영숙(永叔) |
호 | 서석(瑞石), 정관재(靜觀齋) |
부모 | 부친 - 김익겸(金益兼, 1614 ~ 1637) 모친 - 해평 윤씨(1617 ~ 1689)[2] |
형제자매 | 남동생 - 김만중 |
부인 | 서원부부인(西原府夫人) 청주 한씨(? ~ 1720) |
자녀 | 슬하 4남 3녀 장남 - 김진구(金鎭龜, 1651 ~ 1704) 차남 - 김진규(金鎭圭, 1658 ~ 1716) 장녀 - 인경왕후 3남 - 김진서(金鎭瑞, 1663 ~ ?) 차녀 - 김한혜(金漢惠, 1668 ~ ?) 3녀 - 김복혜(金福惠, 1673 ~ ?) 4남 - 김진부(金鎭符, 1676 ~ ?) |
1. 개요
조선 효종, 현종, 숙종 때 문관이자 척족(부원군)으로, 특히 숙종의 첫번째 국구가 된다.2. 생애
예학의 대가인 사계 김장생의 증손자이며, 조부는 허주 김반이므로[3] 그리고 김집의 친조카손자가 되며, 아버지는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김익겸으로 김만기는,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으로 유명한, 서포 김만중의 형이다. 숙부로 대사성, 대제학을 역임한 김익희와 병마절도사를 지내고 김석주와 같이 남인을 숙청 공작을 실행했다가 기사환국 때 죽은 김익훈이 있다. 북헌 김춘택의 조부이기도 하다.[4]숙종의 첫 번째 왕후인 인경왕후의 아버지로 광성부원군에 올랐고, 숙종의 외숙부이자 공작정치로 유명한 김석주하고도 친인척 관계를 형성했다.[5] 종조부 김집의 제자인 송시열의 문하로 들어가 수학했다. 더불어, 모친은 윤두수의 현손녀이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3. 붕당
골수 서인이었으며, 또한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당한 뒤에는 골수 노론이기도 했다. 또 민유중,[6] 김석주 등과 함께 삼척으로도 불렸다.송시열의 문인이며, 기해예송과 갑인예송에서 송시열의 뜻을 따르면서 서인의 과격파로서 남인의 의견에 강하게 맞섰다. 그의 딸이 세자빈이 된 뒤에는 병조참판과 예조참판을 지냈고 병조판서와 예조판서, 그리고 대제학을 지냈으며 숙종 즉위 이후 국구가 되면서 영돈녕부사로 임명되었고 훈련대장, 호위대장, 오위도총부도총관으로 군권까지 쥐었다. 경신환국 때 서인으로서 김석주, 김익훈, 이사명 등과 더불어서 옥사를 일으켜서 남인들을 많이 숙청했다. 그러다가 경신환국을 일으키고 불과 몇개월 뒤인 동년 11월에 딸이자 숙종의 첫번째 왕비 인경왕후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4. 사후
죽은 뒤 경기도 시흥군 대야미리(현 군포시 대야미동) 산 1-12번지에 안장되었다.경모재(敬慕齋)에 제향되었고, 1719년(숙종 45)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비명과 신도비문은 1687년 스승인 우암 송시열이 지었고, 글씨는 김진규가 썼다. 그밖에 숙종이 직접 써 준 어필비문(御筆碑)이 1699년(숙종 25)에 묘소 근처에 세워졌다. 사후 증직으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성균관 관상감사에 추증되었다.
1992년 6월 5일 그의 묘소와 비석, 신도비는 경기도 기념물 제131호로 지정되었다.
5. 저서
《서석문집》 18권6. 가족 관계
- 증조부 : 김장생(金長生)
- 종조부 : 김집(金集)
- 조부 : 김반(金槃)
- 부인 : 서원부부인 청주 한씨(西原府夫人 淸州 韓氏) - 한유량(韓有良)의 딸
- 장남 : 광은군(光恩君) 김진구(金鎭龜, 1651년 ∼ 1704년)
- 며느리 : 이광직(李光溭)의 딸
- 손자 : 김춘택(金春澤)
- 손자 : 김보택(金普澤)
- 손자 : 김운택(金雲澤)
- 손자 : 김민택(金民澤)
- 손자 : 김조택(金祖澤)
- 손자 : 김복택(金福澤)
- 손자 : 김정택(金廷澤)
- 손자 : 김연택(金延澤)
- 차남 : 김진규(金鎭圭, 1658년 ~ 1716년)
- 손자 : 김성택(金星澤)
- 손자 : 김양택(金陽澤)
- 장녀 : 인경왕후 김씨 - 조선 제 19대 왕 숙종의 정비
- 사위 : 숙종
- 외손녀 : 공주(1677 ~ 1678)
- 외손녀 : 공주(1679 ~ 1679)
- 외손 : 왕손(1680. 8. 6. 유산)
- 3남 : 김진서(金鎭瑞, 1663 ~ ?)
- 차녀 : 김한혜(金漢惠, 1668 ~ ?) - 정형진(鄭滎振)에게 출가
- 3녀 : 김복혜(金福惠, 1673 ~ ?) - 연안 이씨 이주신(李舟臣)에게 출가
- 4남 : 김진부(金鎭符, 1676 ~ ?)
- 손자 : 김연택(金延澤) - 생부 김진구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680년 6월 14일 숙종에 의해 책록 → 1689년 9월 8일 숙종에 의해 삭제 → 1694년 6월 24일 숙종에 의해 추복 | |||||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1등) | ||||||
김만기 | 김석주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분충효의병기보사공신 (2등) | |||
이입신 | | | | |||
| ||||||
분충효의보사공신 (3등) | ||||||
남두북 | | 박빈 |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 <colcolor=#000> 조준, 이화,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
정종 | 이방의 | |
태종 |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 |
세종 |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이제, 이보 | |
문종 | 하연 | |
세조 | 권람, 한확, 한명회 | |
예종 | 박원형 | |
성종 | 신숙주, 정창손, 홍응 | |
중종 |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 |
인종 | 홍언필, 김안국 | |
명종 | 심연원, ■이언적 | |
선조 | 이준경, ■이황, ■이이 | |
인조 |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이보 | |
효종 |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이요, 민정중, 민유중 | |
현종 | 정태화, | |
숙종 |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 |
경종 | 이유, 민진후 | |
영조 |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 |
장조 | 이종성, 민백상 | |
정조 |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 |
순조 |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이구, 조만영 | |
문조 | 남공철, 김로, 조병구 | |
헌종 | 이상황, 조인영 | |
철종 | 이헌구, 이희, 김수근 | |
고종 |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 |
순종 | 송근수, | |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서무종향 |
서인 西人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사림파 | ▲ 훈구파 | |||
선조 (1575 ~ 1608) | |||||
박순 | 윤두수 | 고경명 | 성혼 | 심의겸 | |
이이 | 정철 | 황윤길 | 조헌 | 송상현 | |
김명원 | 송익필 | 권율 | 윤근수 | 이항복 | |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 |||||
오윤겸 | 신흠 | 심지원 | 이경석 | 정태화 | |
청서 | 공서 | ||||
노서 | 소서 | ||||
김장생 | 김상헌 | 김류 | 신경진 | 이귀 | |
김집 | 이식 | 김자점 | 이시백 | 최명길 | |
효종 - 현종 (1649 ~ 1674) | |||||
청서 | 소서 | 노서 | |||
산당 | 한당 | 낙당 | 원당 | ||
송준길 | 송시열 | 김육 | 김자점 | 원두표 | |
숙종 (1674 ~ 1720) | |||||
강경파 | 온건파 | ||||
송시열 | 민유중 | 김수항 | 윤증 | 남구만 | |
김만기 | 김석주 | 김만중 | 박세채 | 최석정 | |
▼ 노론 | ▼ 소론 | ||||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노론 老論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서인 | ||||||
숙종 (1674 ~ 1720) | |||||||
산당 | 한당 (청풍 김씨) | ||||||
송시열 | 김수흥 | 민정중 | 김수항 | 김육 | |||
민유중 | 김만기 | 이세백 | 김만중 | 김우명 | |||
권상하 | 이여 | 이이명 | 민진원 | 김석주 | |||
경종 (1720 ~ 1724) | |||||||
김창집 | 민진원 | 이건명 | 이이명 | 정호 | |||
조태채 | 김용택 | 윤지술 | |||||
영조 (1724 ~ 1776) | |||||||
준론 | 완론 | ||||||
낙당 | 화당 | 탕평론 | |||||
정호 | 민진원 | 이병상 | 정언섭 | 홍치중 | |||
이관명 | 조관빈 | 이의현 | 원경하 | 홍계희 | |||
반탕평론 | 의리탕평론 | 조제탕평론 | |||||
남당 | 동당 | 중당 | 북당 | ||||
김상로 | 이천보 | 유척기 | 정휘량 | 홍봉한 | |||
홍계희 | 원경하 | 신만 | 홍인한 | ||||
공홍론 남당, 청명당 | 양척론 동당, 중당 | 부홍론 북당 | |||||
김상로 | 김귀주 | 유척기 | 정휘량 | 홍봉한 | |||
김치인 | 김종수 | 송명흠 | 김상복 | 홍인한 | |||
정조 - 순조 초기 (1776 ~ 1806) | |||||||
벽파 (청명당) | 북학파 | 시파 (탕평당) | |||||
김종수 | 심환지 | 홍대용 | 서매수 | 한용구 | |||
김귀주 | 김관주 | 박지원 | 남공철 | 정민시 | |||
서용보 | 김달순 | 김조순 | 이조원 | ||||
순조 초기 - 철종 초기 (1807 ~ 1851) | |||||||
반척신파 (청명당) | 척신파 (안동 김씨) | ||||||
김노경 | 김정희 | 김조순 | 김유근 | 김좌근 | |||
조인영 | 권돈인 | 김홍근 | 김흥근 | 정원용 | |||
이지연 | 김로 | 김병국 | 김병학 | 홍직필 | |||
세도 정치 | |||||||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