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3:24:30

신승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안천부원군 한경 상산부원군 강윤성 김천서 여흥부원군 민제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청천부원군 심온 화산부원군 권전 여량부원군 송현수 파평부원군 윤번
예종 예종, 성종 성종
청천부원군 한백륜 상당부원군 한명회 함안부원군 윤기견 영원부원군 윤호
연산군 중종
거창부원군 신승선 익창부원군 신수근 파원부원군 윤여필 파산부원군 윤지임
인종 명종 선조
금성부원군 박용 청릉부원군 심강 반성부원군 박응순 연흥부원군 김제남
선조 광해군 인조
해령부원군 김희철 문양부원군 류자신 서평부원군 한준겸 한원부원군 조창원
효종 현종 숙종
신풍부원군 장유 청풍부원군 김우명 광성부원군 김만기 여양부원군 민유중
숙종 경종 영조
경은부원군 김주신 청은부원군 심호 함원부원군 어유구 달성부원군 서종제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오흥부원군 김한구 청원부원군 김시묵 영안부원군 김조순 영흥부원군 김조근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익풍부원군 홍재룡 영은부원군 김문근 여성부원군 민치록 여은부원군 민태호
순종
해풍부원군 윤택영
추존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조(이안사) 익조(이행리) 도조(이춘)
이숙(이공숙) 최기열 안변부원군 박광
환조(이자춘) 덕종(의경세자) 원종(정원군)
영흥백 최한기 서원부원군 한확 능안부원군 구사맹
진종(효장세자) 장조(사도세자) 문조(효명세자)
풍릉부원군 조문명 영풍부원군 홍봉한 풍은부원군 조만영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신승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판문하부사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초대

이서
제2대

이거이
제3대

성석린
제4·5대

조준
제6대

성석린
제7대

이화
제8대

하륜
제9대

이서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성석린
제14대

남재
제15대

류정현
제16대

한상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7대

심온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하연
}}}
제21대

하연
제22대

황보인
제22대

황보인
제23대

이유
제24대

정인지
제25대

정창손
제26대

강맹경
제27대

정창손
제28대

신숙주
제29대

구치관
제30대

한명회
제31대

황수신
제32대

심회
제33대

최항
제34대

조석문
제35대

이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대

박원형
제37대

한명회
제38대

홍윤성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9대

윤자운
제40대

신숙주
제41대

정창손
제42대

윤필상
제43대

이극배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류순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익대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68년 10월 28일 예종에 의해 책록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 (1등)
신숙주 신운 류자광 한계순
한명회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 (2등)
박원형 박지번 심회 이극증
이복 이부 이서 이준
이침 정현조
수충정난익대공신 (3등)
강곤 권감 권찬 김효강
노사신 류한 박중선 서경생
신승선 안중경 어세겸 윤계겸
이존명 정인지 정창손 정효상
조득림 조석문 조익정 한계희
한백륜 홍응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 김국광 신숙주 윤자운
정현조 조석문 최항 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 송문림 심회 윤사흔
이정 이침 정인지1 정창손1
한계미 한계희 한백륜 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 김겸광 강희맹 노사신
박중선 서거정 성봉조 신승선
양성지 윤계겸 이극배 이극증
이숭원 임원준 정효상 한계순
한치형1 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 김교 김길통 김수녕
김수온 김순명 류수 류지
박거겸 선형 신정2 신준
심한 어유소 오백창 우공
윤필상1 이극돈3 이석형 이수남
이숙기 이승소 이철견 이현
이훈 정난종 정숭조 한보
한의 한치례 한치의 한치인
함우치 허종 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조선 연산군의 장인 | 폐비 신씨(거창군부인)의 부친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장성공(章成公)
신승선
慎承善
출생 1436년(세종 18)
사망 1502년 7월 13일[1] (향년 65 ~ 66세)
(음력 연산군 8년 5월 29일)
재임기간 제45대 영의정
1495년 10월 30일[2] ~ 1497년 5월 10일[3]
(음력 연산군 1년 10월 4일 ~ 연산군 3년 3월 29일)
봉호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시호 장성(章成)
본관 거창 신씨
계지(繼之), 원지(元之)
사지당(仕止堂)
부모 아버지 - 신전(慎詮)
어머니 - 순흥 안씨 안강(安剛)의 딸
부인 중모현주[4]
자녀 슬하 3남 5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신수근[5]
차남 - 신수겸(慎守謙, 1453 ~ 1506)
3남 - 신수영(慎守英, 1461 ∼ 1506)
장녀 - 전주 이씨 이형(李泂)의 처(1466 ~ )
차녀 - 남경(南憬)의 처(1467 ~ )
3녀 - 안환(安煥)의 처(1469 ~ )
4녀 - 거창군부인[6]
5녀 - 유윤범(柳潤範)의 처

1. 개요2. 생애
2.1. 세조 ~ 예종 시절2.2. 성종 시절2.3. 연산군 시절
3. 사후4. 여담5.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연산군의 장인이다. 매우 잘생겼다고 전해진다.[7]

2. 생애

1444년 세종의 손녀이자 임영대군의 딸인 중모현주와 결혼하였고 이후 세조 때부터 1456년 음서 천거와 과거 장원 급제 등으로 문과에 진출했다. 예문관제학, 이조참판, 병조참판, 공조참판, 지돈녕부사, 동지돈녕부사 겸 동궁빈전 세자빈객, 공조판서 겸 동궁빈전 세자빈객, 병조판서, 특진관, 좌참찬,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사소대장, 이조판서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이 된 후 영의정에 이르렀다.

2.1. 세조 ~ 예종 시절

1453년 진사과에 합격하였는데 그 때 나이가 고작 18세였다. 용모가 아름다워 임영대군사위로 발탁되었다.

1454년 사마시에 급제하고 돈녕부승(敦寧府丞), 정랑 등을 거쳐 1466년(세조 12) 1월 당상관에 승진하면서 병조참지에 발탁되었다. 같은 해 3월 알성시에서 장원으로 급제한 뒤 병조참판에 승진, 그 해에 다시 발영시(拔英試)에 3등으로 급제하고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겸임하였다.

1468년 남이 사건 처리에 참여한 공적으로 익대공신이 되었다.

2.2. 성종 시절

1471년 성종을 임금으로 세우는 데 참여한 공적으로 좌리공신이 되었다.

1478년부터 세자 연산군을 2년 반 동안 과외시켰는데, 세자가 눈에 띄게 성장하자 그 후부터 성종이 그를 매우 신임하였다. 그 후 고위직인 병조판서로 임명되었다.

1484년 세자빈객(世子賓客)을 겸대, 1486년 병조판서 겸 특진관(兵曹判書兼特進官)이 되었다.

1487년 성종은 "병조 판서 신승선의 딸로 세자빈을 삼도록 하라."라는 명을 내린다.

1487년 딸이 세자인 연산군의 빈(嬪)으로 뽑히자 그를 계기로 좌참찬, 1488년 한성부판윤, 1489년 예조판서, 1491년 사소대장(四所大將)을 겸대, 이어 이조판서가 되었다가 1492년 병으로 사직하였다. 이후 우의정이 되었다.

2.3. 연산군 시절

1495년∼1499년에 걸쳐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로서 『성종실록』의 편찬을 주관하였다.

상술했듯 신승선은 연산군의 장인어른이었다. 소혜왕후는 이 점을 감안해 신승선을 좌의정으로 승격시켰다가 영의정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사위의 난폭함으로 인해 신승선은 병을 핑계 삼아 여러 번 휴가를 냈다.

그의 호가 사지당(仕止當)인 이유도 '나 벼슬 안 할래'라는 자신의 의견을 담은 것이다. 신승선은 결국 사직한 뒤인 1502년 별세하였고[8], 갑자사화가 일어나며 그의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3. 사후

신승선이 사망할 당시 연산군은 중전 신씨가 거애(장례에서 곡을 하는 것)를 하지 못하도록 막고 고기 반찬을 먹도록 하였다. 이것만 보면 연산군이 쓸데없는 패악질을 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 신씨는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였다. 즉 신씨가 자칫 건강을 해치고 유산까지 할 것을 우려해서 일부러 막은 것에 가깝다. 이 당시 신하들도 "비록 친아버지의 장례이지만 임산부이니 고기 반찬을 먹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보고하였다.# 한편 신씨가 임신한 아기는 이후 유산된 것으로 추정한다.

4. 여담

매우 잘생겼다고 전해진다. 왕자인 임영대군사위로 발탁된 결정적인 이유도 잘생겨서 였다고 한다. 현재 그의 영정은 전해지지 않아 정확한 외모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어쨌든 사서에 두고두고 언급이 될 정도인걸 보아 당시 기준으로는 아주 미남이었던 모양이다.

5. 가족 관계

아내는 임영대군의 딸이었으며, 슬하에 신수근, 신수겸, 신수영 3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전부 중종반정임사홍과 함께 미리 제거당해 대가 끊겼다. 또한 연산군의 정비인 거창군부인 신씨는 그의 딸이며, 중종의 첫 왕비인 단경왕후 신씨도 그의 손녀로 장남 신수근의 딸이다.
[1] 율리우스력 7월 3일[2] 율리우스력 10월 21일[3] 율리우스력 5월 1일[4] 세종의 4남 임영대군의 장녀.[5]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의 아버지.[6] 10대 국왕 연산군의 왕비.[7] 연산군일기 44권, 연산 8년 5월 29일 경자 2번째기사[8] 공교롭게도 이 당시 현직 영의정이던 인수대비의 사촌오라버니 한치형도 이 시기에 별세하였다. 신승선 다음에 한치형이 영의정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