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0:42:27

권람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권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난공신(단종)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53년 11월 8일 단종에 의해 책록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 (1등)
권람 김효성 박종우 박중손
이계전 이사철 이유 정인지
최항 한명회 한확 홍달손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수충협책정난공신 (2등)
곽연성 권준 류수 류하
봉석주 신숙주 양정 엄자치
윤사윤 전균 홍윤성
수충정난공신 (3등)
강곤 권경 권언 김처의
류사 류서 류자환 설계조
성삼문 송익손 안경손 이몽가
이예장 이흥상 임자번 최윤
한명진 한서구 홍순로 홍순손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익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55년 9월 5일 세조에 의해 책록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1등)
권람 신숙주 윤사로 이곤
한명회1 한확 이증2
수충경절좌익공신 (2등)
강맹경 권반 양정3 윤암
이계린 이계전 이사철 전균
정인지1 정창손1, 4 최항 홍달손
윤형5
추충좌익공신 (3등)
구치관 권공 권자신6, 7 박강
박원형 성삼문6, 8 원효연 윤사윤
윤자운 이극감9 이극배 이예장
이징석 이휘6 정수충 조득림
조석문 조효문 최유 한계미
한종손 황수신 황효원 홍윤성10
김질11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58년 6월 29일 세조에 의해 책록
3 1466년 연회에서 세조에게 양위를 종용한 혐의로 인한 제명
4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3등에서 2등으로 책록
5 1455년 10월 22일 세조에 의해 책록
6 1456년 단종 복위 운동으로 인한 제명
7 1699년 숙종 때 복권
8 1691년 숙종 때 복권
9 1504년 아들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0 1455년 11월 12일 세조에 의해 책록
11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책록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익평공(翼平公)
권람
權擥
<nopad> 파일:권람초상화.jpg상상화
출생 1416년(태종 16)
한성부
사망 1465년 3월 11일[1] (향년 48 ~ 49세)
(음력 세조 11년 2월 6일)
한성부
봉호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시호 익평(翼平)
본관 안동 권씨 (추밀공파)
정경(正卿)
소한당(所閑堂, 所閒堂)[2]
후주당(後週堂), 지재(止齋)
부모 부친 - 권제(權踶, 1387 ~ 1445)
모친 - 이준(李儁)의 딸
부인 영원군부인(寧原郡夫人) 고성 이씨(1410 ~ 1491)[3]
자녀 슬하 2남 8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권걸(權傑)
차남 - 권건(權健, 1458 ~ 1501)
장녀 - 청주 한씨 한서구(韓瑞龜)의 처
차녀 - 박사화(朴士華)의 처
3녀 - 신억년(申億年)의 처
4녀 - 남이의 처
5녀 - 안동 김씨 김수형(金壽亨)[4]의 처
6녀 - 신수근의 처 영가부부인(永嘉府夫人)
7녀 - 평산 신씨 신말평(申末平)의 처
8녀 - 민사건(閔師騫)의 처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가, 작가.

한명회, 신숙주와 함께 계유정난의 핵심 중 핵심이며 정난공신, 좌익공신에 올랐고 좌의정을 지냈다.

2. 생애

조선 좌명공신에 녹훈된 권근의 손자이고 세종정인지를 가르친 당대의 대학자 권우(權遇)가 그의 종조부이며 1416년(태종 16) 종1품 우찬성을 지낸 아버지 권제(權踶)[5]와 어머니 전의 이씨 이준(李儁)의 딸 사이에서 6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권제가 술과 기생첩에 빠져 어머니와 형제들을 구타하자 이를 말리다가 본인도 폭행을 당했으며 어머니를 버리자 가출하여 방랑하였다. [6]

방랑하던 중에 한명회를 만나 같이 전국 유람을 하기도 했다. 친구가 된 한명회와는 조선의 관포지교라 불릴정도로 사이가 돈독했다고 한다.
권람과 한명회는 선대의 혈연 관계로 이어져 있다. 즉 권람과 한명회의 최초 공통 조상은 고려 후기 첨의정승 권부(1262-1346)이다.
우선 권부의 증손자인 권근의 손자가 권람이다.(권부-권고-권희-권근-권제-권람)
그리고 권부의 손자 중 권적의 사위가 한수이다(권부-권준-권적-권적의 사위 한수) 이 한수의 증손자가 한명회이다(한수-한상질-한기-한명회).
즉 한명회의 증조할머니가 안동 권씨여서 권람과 혈연관계가 된다.

그 뒤 진의부위(進義副尉:종9품 문관의 품계)로 있다가 1450년 식년시 문과에 응시하여 을과 1위로 장원 급제하였는데 이 때 한명회는 또 과거에서 떨어져 음서로 들어갔다.

사실 이 장원 급제는 문제가 있는데 본래 권람의 성적은 4위였으나 당시 1위를 한 김의정(金義精 또는 金義貞)의 아버지 김자강이 수군[7]의 아들이라 집안이 변변치 않고 명망이 없다는 이유로 당시 왕인 문종의 명에 의해 4위인 권람을 장원으로 올려 준 것.# 이 때문에 김의정은 석차도 을과 2위, 아원(亞元)으로 밀리고 관직도 현감(縣監:종6품)에 그쳤다.# 또한 이 때 2위였다가 3위로 억울하게 강등당한 사람이 이시애의 난 때 살해당한 강효문(康孝文)이다.

수양대군을 만나고 한명회를 추천하여 함께 쿠데타를 모의했는데 계유정난이 성공한 후에는 1등 정난공신에 오른다.
세조가 즉위한 뒤 벼슬이 우찬성, 좌찬성,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활을 잘 쏘고 글을 잘 썼지만 비리가 심해서 여러 번 탄핵 받았다. 세조 말년에 병을 이유로 관직에서 물러났고 1465년 병으로 죽었다.

3. 기타

  •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 사건에 연루되어 사육신과 함께 처형된 김문기의 맏며느리[8] 권영금(權英今)은 당시 이조판서였던 권람 덕택에 사실상 노비 신세를 면했는데, 이는 그녀가 권람의 5촌 당질[9]이었기 때문이다. 사육신 집안의 다른 여성들처럼 권영금 역시 노비가 되었으나, 이를 본 권람이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일부러 자신의 노비로 하사받았다고 한다.# 공식적으로는 권람의 노비가 된 것이지만 실질적으로 따지고 보면 당숙의 빽으로 풀려나 보호받은 셈이다.
  • 남이신수근[10]은 그의 사위들이다. 신수근은 권람의 차녀, 남이는 권람의 여섯째 딸과 결혼했다. 권람의 딸이 남이와 결혼할 때의 이야기가 설화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 민중들의 남이에 대한 생각이 반영된 이야기이다.

4. 대중매체

  • 1994년 KBS2 드라마 <한명회>에서는 배우 김기섭이 연기했다. 덕분에 유튜브에 올라온, 권람이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소개하는 에피소드에선 '노태우(제4공화국)가 노태우(제5공화국)에게 전두환(제5공화국)을 소개시켜줬다'는 댓글이 흥하기도 했다.(...) 실제 역사에서와 같이 한명회의 단짝으로 묘사되며, "경륜은 한명회요, 문장은 권람" 이라는 식으로 소개하며 한명회와의 우애를 자랑하는 장면도 몇 번 나온다. 주인공 한명회만큼은 아니어도 은근히 개그 캐릭터 같은 면이 있는데, 계집종을 후실로 들이기 위해 한명회와 짜고 꾀병을 부리는 에피소드가 대표적[11]. 하지만 그 동시에 생각이 깊은 인물로 그려지기도 하는데, 정국을 살피는 안목도 나름대로 갖추고 있어 생각이란 게 없는 홍윤성을 꾸짖는 장면도 간간이 나오고 병사하기 얼마 전에는 "자네(한명회)는 그 경륜으로 세상을 바꾸어 놓았지만 난 문장으로 한 일이 무엇이란 말인가..." 식으로 한탄하기도 한다.
  • 1998년 KBS1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배우 김갑수가 연기했다. 세조실록의 내용을 충실히 옮겨 놓은 것 외에도 이래저래 고증에 문제가 있는 작품답게 실제 역사와 달리 한명회와 친분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지는 않으며[12], 오히려 임종 직전에 신숙주에게 "한명회를 조심하게. 그 놈은 천하를 몇 번이고 뒤집을 놈일세."라고 경고한다. 그래도 운검을 폐한 후에 한명회와 뒷풀이 술자리를 가지며 자네(한명회)가 그래서 성삼문 등을 시샘한다는 전하의 질책을 듣는다고 한 마디 하고, 한명회도 아무 일 없었으면 됐고 자기가 못난 놈이라고 넉살 좋게 웃어넘기는 등 교제가 아예 없지는 않았다.

5. 관련 문서


[1] 율리우스력 3월 2일[2] 그의 사위 신수근도 호가 소한당이다.[3] 이원의 4녀[4] 양녕대군의 외손자.[5] 세종실록 108권, 세종 27년 4월 16일 기미 4번째기사의 권제의 졸기(卒記)를 보면 '총명하고 학문이 넓으며 말을 잘하고 세상일에 대해 말하기를 좋아하였지만 기생첩에 혹하여 제 처자식들에 대한 대접이 아주 야박해서 집안의 도가 바르지 못했기에 세상 사람들이 좋지 않게 여겼다'고 사관들에게 대차게 까였다. 권제는 1414년(태종 14) 알성시 문과에 을과 1등으로 장원 급제한 인물이었기에 재주는 확실히 뛰어났고 종1품 우찬성까지 지냈지만 행실은 어지간히 안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6] 가문의 흑역사안동 권씨 후손들은 이를 언급하지 않는다. 하지만 세조실록 35권, 세조 11년 2월 6일 계미 2번째기사의 권람의 졸기에 제대로 박제되었다.[7] 조선 시대의 수군은 신량역천(身良役賤) 또는 칠반천역(七般賤役)의 하나로 꼽힐 만큼 신분상으로는 양인이었으나 일이 고되어 천한 계급으로 대우받았다.[8] 장남 김현석(金玄錫)과 혼인하였다.[9] 4촌 형 권담(權聃)의 장녀이다.[10] 연산군의 부인 폐비 신씨의 오빠이자 중종의 첫 부인 단경왕후의 아버지.[11] 짧게 줄이면, 권람의 부인이 성격이 꽤 괄괄한 것으로 묘사되어 그냥 후실을 들이고 싶다고 하면 먹힐 턱이 없었다. 이에 한명회가 일단 드러누워 꾀병을 부리라는 아이디어를 내고, 노란색 염료인 홰나무 꽃물을 가져다가 얼굴에 발라 큰 병인 것처럼 꾸미고는 권람 부인에게 계집종을 후실로 들이지 못해 이런다고 일러준다. 남편을 살리는 방법이 그것뿐이라고 들은 권람 부인은 할 수 없이 허락하는데, 권람의 시신을 담을 관까지 준비해 오면서 호들갑을 떠는 한명회가 핵심인 장면이긴 하지만 한참 끙끙 앓다가 부인이 방에서 나가자 옆에 있던 홍윤성과 좋다고 낄낄거리는 권람의 모습도 볼 거리.[12] 권람이 아니라 실제 역사에서는 딱히 개인적인 접점이 없는 인물이었던 이현로가 한명회의 단짝처럼 그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