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0ad73,#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nopad> 판문하부사 | |||||||||
홍영통 | 안종원 | 권중화 | 심덕부 | ||||||
이화 | 이거이 | 조준 | 김사형 | ||||||
<nopad> 영의정 | |||||||||
초대 이서 | 제2대 이거이 | 제3대 성석린 | 제4·5대 조준 | ||||||
제6대 성석린 | 제7대 이화 | 제8대 하륜 | 제9대 이서 | ||||||
제10대 하륜 | 제11대 성석린 | 제12대 하륜 | 제13대 성석린 | ||||||
제14대 남재 | 제15대 류정현 | 제16대 한상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17대 심온 | 제18대 류정현 | 제19대 이직 | 제20대 황희 | 제21대 하연 | }}} | |||
제21대 하연 | 제22대 황보인 | ||||||||
제22대 황보인 | 제23대 이유 | ||||||||
제24대 정인지 | 제25대 정창손 | 제26대 강맹경 | 제27대 정창손 | ||||||
제28대 신숙주 | 제29대 구치관 | 제30대 한명회 | 제31대 황수신 | ||||||
제32대 심회 | 제33대 최항 | 제34대 조석문 | 제35대 이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대 박원형 | 제37대 한명회 | 제38대 홍윤성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9대 윤자운 | 제40대 신숙주 | 제41대 정창손 | 제42대 윤필상 | 제43대 이극배 | ||||
제44대 노사신 | 제45대 신승선 | 제46대 한치형 | 제47대 성준 | 제48대 류순 | }}} | ||||
}}}}}}}}} |
1. 개요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연산군 때 영의정을 지냈다. 성준, 이극균과 함께 연산군의 탈선을 막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2. 생애
한확의 조카이자 인수대비의 사촌 오라버니이며 월산대군, 명숙공주와 성종의 외당숙이기도 하다. 또한 세조의 측근이자 공신인 한명회와는 10촌간이 된다. 왕실과 인척으로 얽혔으며 집안 역시 명문가였던 셈이다. 심지어 고모들이 명나라의 황실 후궁으로 들어가면서 명나라 황실과도 인연을 맺었다. 사촌 한치의, 한치례도 고위관직을 지냈다.음서로 관직에 올랐고 사헌부, 사복시, 사온서 등에서 관직을 거치다가 세조 말년에는 승정원의 우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좌승지를 지냈고 이후 장례원판결사, 동지중추부사, 이조참판, 호조참판까지 지냈다. 예종 때 다시 호조참판을 지낸 뒤, 명나라에 책봉주청사로 파견되어 사신으로 다녀왔다.
성종 즉위 이후에는 좌리공신 3등에 책록되고 청성부원군에 진봉되었으며 대사헌을 거쳐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인수대비의 사촌 오라버니로 성종 시절의 전성기를 이룩하는 데 기여하였고 개성유수, 경기도관찰사,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 의정부좌참찬 등을 했다.
연산군 즉위 이후에는 의정부우찬성, 의정부좌찬성을 했고 우의정으로 정승 반열에 올랐다. 무오사화 때는 김일손과 김종직의 제자들을 잡아들여서 엄히 국문 할 것을 주장했고 김일손의 처형에 동의했다.
이후에는 좌의정에 올랐으며 1500년에 영의정에 올랐다. 하지만 영의정 재직 중에 좌의정 성준, 우의정 이극균 등과 함께 연산군에게 시폐 10조를 올리면서 충언을 하고 연산군을 바른 정치로 이끌어 보려고 하다가 연산군의 미움을 받았고 1502년에 사망한다.[1]
사후 1504년에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부관능지를 당했고[2] 첩의 자식 한수는 참형에 처해졌고 사위 임유침은 유배되었다. 하지만 중종반정 이후에 신원되었다.
3. 평가
인수대비의 사촌오라버니로 외척이었지만 순박하고 침착했다고 한다. 그리고 관직에 있을 때는 부지런하고 조심했으며 연산군 때는 연산군을 바른 정치로 이끌어보고자 했으나 실패했고 갑자사화 때 부관능지를 당한 비운의 충신이라고 할 수 있다.4. 대중매체
-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에서는 전국근이 연기했다.
- 장녹수에서는 최정훈이 연기했다.[3] 작중 인수대비의 최측근 노릇을 한다.
- 왕과 비에서는 김종결이 연기했다.[4] 작중 인수대비의 최측근 노릇을 하고 외척이면서도 인수대비에게 충언을 아끼지 않고 인수대비와 연산군 간의 갈등을 중재하려는 포지션이다.
- 인수대비에서는 김하균이 연기했다.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에서는 김익태가 연기했다.
- 폭군의 셰프에서는 손종학이 연기한다. 단, 본작에서는 한민성으로 각색되어서 등장한다.
5. 여담
6. 둘러보기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태조 ~ 연산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 }}} | |||||
초대 배극렴 | 제2대 조준 | |||||||
<bgcolor=#c00d45,#c00d45> 문하좌정승 | ||||||||
제2대 조준 | 제3대 심덕부 | 제4대 성석린 | 제5대 민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문하좌정승 | 좌정승 | }}} | |||||
제6대 이거이 | 제7대 김사형 | 제8대 하륜 | 제9대 조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좌정승 | 판의정부사 | 좌의정 | }}} | ||||
제10대 하륜 | 제11대 성석린 | 제12대 하륜 | 제13대 남재 | |||||
<nopad> 좌의정 | ||||||||
제14대 하륜 | 제15대 류정현 | 제16대 박은 | ||||||
제16대 박은 | 제17대 이원 | 제18대 류정현 | 제19대 이직 | |||||
제20대 황희 | 제21대 맹사성 | 제22대 최윤덕 | 제23대 허조 | |||||
제24대 신개 | 제25대 하연 | 제26대 황보인 | ||||||
제26대 황보인 | 제27대 남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7대 남지 | 제28대 김종서 | 제29대 정인지 | }}} | ||||
제30대 한확 | 제31대 이사철 | 제32대 정창손 | 제33대 강맹경 | |||||
제34대 신숙주 | 제35대 권람 | 제36대 한명회 | 제37대 구치관 | |||||
제38대 황수신 | 제39대 심회 | 제40대 최항 | 제41대 조석문 | |||||
제42대 홍달손 | 제43대 박원형 | |||||||
제43대 박원형 | 제44대 김질 | 제45대 홍윤성 | 제46대 윤자운 | |||||
제46대 윤자운 | 제47대 김국광 | 제48대 최항 | 제49대 한명회 | |||||
제50대 조석문 | 제51대 심회 | 제52대 윤필상 | 제53대 홍응 | |||||
제54대 노사신 | ||||||||
제55대 신승선 | 제56대 정괄 | 제57대 어세겸 | 제58대 한치형 | |||||
제59대 성준 | 제60대 이극균 | 제61대 류순 | 제62대 허침 | |||||
제63대 박숭질 | 제64대 신수근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 }}} | |||||
초대 조준 | 제2대 김사형 | |||||||
<nopad> 문하우정승 | ||||||||
제2대 김사형 | 제3대 성석린 | 제4대 민제 | 제5대 하륜 | |||||
문하우정승 | 우정승 | |||||||
제5대 하륜 | 제6대 이서 | 제7대 이무 | 제8대 성석린 | |||||
우정승 | ||||||||
제9대 이서 | 제10대 조영무 | 제11대 이무 | 제12대 이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우정승 | 판의정부사 | 우의정 | }}} | ||||
제13대 조영무 | 제14대 남재 | 제15대 이직 | 제16대 류량 | |||||
우의정 | ||||||||
제17대 남재 | 제18대 박은 | 제19대 한상경 | 제20대 이원 | |||||
제20대 이원 | 제21대 정탁 | 제22대 류관 | 제23대 조연 | |||||
제24대 황희 | 제25대 맹사성 | 제26대 권진 | 제27대 최윤덕 | |||||
제28대 노한 | 제29대 허조 | 제30대 신개 | 제31대 하연 | |||||
제32대 황보인 | 제33대 남지 | |||||||
제33대 남지 | 제34대 김종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4대 김종서 | 제35대 정분 | 제36대 한확 | }}} | ||||
제37대 이사철 | 제38대 정창손 | 제39대 강맹경 | 제40대 신숙주 | |||||
제41대 권람 | 제42대 한명회 | 제43대 구치관 | 제44대 황수신 | |||||
제45대 박원형 | 제46대 황수신 | 제47대 최항 | 제48대 홍윤성 | |||||
제49대 강순 | 제50대 김질 | |||||||
제50대 김질 | 제51대 윤사분 | 제52대 윤자운 | 제53대 김국광 | |||||
제53대 김국광 | 제54대 한백륜 | 제55대 성봉조 | 제56대 김질 | |||||
제57대 윤사흔 | 제58대 윤자운 | 제59대 윤필상 | 제60대 홍응 | |||||
제61대 이극배 | 제62대 노사신 | 제63대 허종 | 제64대 윤호 | |||||
제65대 신승선 | ||||||||
제66대 정괄 | 제67대 어세겸 | 제68대 정문형 | 제69대 한치형 | |||||
제70대 성준 | 제71대 이극균 | 제72대 류순 | 제73대 허침 | |||||
제74대 박숭질 | 제75대 강귀손 | 제76대 신수근 | 제77대 김수동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 |||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 ||||
권감 | 김국광 | 신숙주 | 윤자운 | |
정현조 | 조석문 | 최항 | 한명회1 | |
홍윤성 | ||||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 ||||
김질 | 송문림 | 심회 | 윤사흔 | |
이정 | 이침 | 정인지1 | 정창손1 | |
한계미 | 한계희 | 한백륜 | 구치관 | |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 ||||
강곤 | 김겸광 | 강희맹 | 노사신 | |
박중선 | 서거정 | 성봉조 | 신승선 | |
양성지 | 윤계겸 | 이극배 | 이극증 | |
이숭원 | 임원준 | 정효상 | 한계순 | |
한치형1 | 홍응 | |||
순성좌리공신 (4등) | ||||
구문신 | 김교 | 김길통 | 김수녕 | |
김수온 | 김순명 | 류수 | 류지 | |
박거겸 | 선형 | | 신준 | |
심한 | 어유소 | 오백창 | 우공 | |
윤필상1 | 이극돈3 | 이석형 | 이수남 | |
이숙기 | 이승소 | 이철견 | 이현 | |
이훈 | 정난종 | 정숭조 | 한보 | |
한의 | 한치례 | 한치의 | 한치인 | |
함우치 | 허종 | 황효원 | ||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