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명이 김질인 가야의 8대 왕에 대한 내용은 질지왕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문하좌시중 |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 |||||||
초대 배극렴 | 제2대 조준 | |||||||
문하좌정승 | ||||||||
제2대 조준 | 제3대 심덕부 | 제4대 성석린 | 제5대 민제 | |||||
문하좌정승 | 문하좌정승 → 좌정승 | 좌정승 | ||||||
제6대 이거이 | 제7대 김사형 | 제8대 하륜 | 제9대 조준 | |||||
좌정승 | 판의정부사 → 좌의정 | |||||||
제10대 하륜 | 제11대 성석린 | 제12대 하륜 | 제13대 남재 | |||||
좌의정 | ||||||||
제14대 하륜 | 제15대 류정현 | 제16대 박은 | ||||||
제16대 박은 | 제17대 이원 | 제18대 류정현 | 제19대 이직 | |||||
제20대 황희 | 제21대 맹사성 | 제22대 최윤덕 | 제23대 허조 | |||||
제24대 신개 | 제25대 하연 | 제26대 황보인 | ||||||
제26대 황보인 | 제27대 남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7대 남지 | 제28대 김종서 | 제29대 정인지 | }}} | ||||
제30대 한확 | 제31대 이사철 | 제32대 정창손 | 제33대 강맹경 | |||||
제34대 신숙주 | 제35대 권람 | 제36대 한명회 | 제37대 구치관 | |||||
제38대 황수신 | 제39대 심회 | 제40대 최항 | 제41대 조석문 | |||||
제42대 홍달손 | 제43대 박원형 | |||||||
제43대 박원형 | 제44대 김질 | 제45대 홍윤성 | 제46대 윤자운 | |||||
제46대 윤자운 | 제47대 김국광 | 제48대 최항 | 제49대 한명회 | |||||
제50대 조석문 | 제51대 심회 | 제52대 윤필상 | 제53대 홍응 | |||||
제54대 노사신 | ||||||||
제55대 신승선 | 제56대 정괄 | 제57대 어세겸 | 제58대 한치형 | |||||
제59대 성준 | 제60대 이극균 | 제61대 류순 | 제62대 허침 | |||||
제63대 박숭질 | 제64대 신수근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문하우시중 |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 |||||||
초대 조준 | 제2대 김사형 | |||||||
문하우정승 | ||||||||
제2대 김사형 | 제3대 성석린 | 제4대 민제 | 제5대 하륜 | |||||
문하우정승 | 우정승 | |||||||
제5대 하륜 | 제6대 이서 | 제7대 이무 | 제8대 성석린 | |||||
우정승 | ||||||||
제9대 이서 | 제10대 조영무 | 제11대 이무 | 제12대 이서 | |||||
우정승 | 판의정부사 → 우의정 | 우의정 | ||||||
제13대 조영무 | 제14대 남재 | 제15대 이직 | 제16대 류량 | |||||
우의정 | ||||||||
제17대 남재 | 제18대 박은 | 제19대 한상경 | 제20대 이원 | |||||
제20대 이원 | 제21대 정탁 | 제22대 류관 | 제23대 조연 | |||||
제24대 황희 | 제25대 맹사성 | 제26대 권진 | 제27대 최윤덕 | |||||
제28대 노한 | 제29대 허조 | 제30대 신개 | 제31대 하연 | |||||
제32대 황보인 | 제33대 남지 | |||||||
제33대 남지 | 제34대 김종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4대 김종서 | 제35대 정분 | 제36대 한확 | }}} | ||||
제37대 이사철 | 제38대 정창손 | 제39대 강맹경 | 제40대 신숙주 | |||||
제41대 권람 | 제42대 한명회 | 제43대 구치관 | 제44대 황수신 | |||||
제45대 박원형 | 제46대 황수신 | 제47대 최항 | 제48대 홍윤성 | |||||
제49대 강순 | 제50대 김질 | |||||||
제50대 김질 | 제51대 윤사분 | 제52대 윤자운 | 제53대 김국광 | |||||
제53대 김국광 | 제54대 한백륜 | 제55대 성봉조 | 제56대 김질 | |||||
제57대 윤사흔 | 제58대 윤자운 | 제59대 윤필상 | 제60대 홍응 | |||||
제61대 이극배 | 제62대 노사신 | 제63대 허종 | 제64대 윤호 | |||||
제65대 신승선 | ||||||||
제66대 정괄 | 제67대 어세겸 | 제68대 정문형 | 제69대 한치형 | |||||
제70대 성준 | 제71대 이극균 | 제72대 류순 | 제73대 허침 | |||||
제74대 박숭질 | 제75대 강귀손 | 제76대 신수근 | 제77대 김수동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김질 관련 틀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문정공(文靖公) 김질 金礩 | |
출생 | 1422년 (세종 4) |
사망 | 1478년 4월 6일[1] (향년 55~56세) (음력 성종 9년 2월 24일) |
봉호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시호 | 문정(文靖) |
본관 | 구 안동 김씨 |
자 | 가안(可安) |
호 | 쌍곡(雙谷) |
부모 | 부친 - 김종숙(金宗淑, ? ~ 1470) 모친 - 이양직(李良直)의 딸 |
부인 | 동래 정씨(? ~ 1458) - 정창손의 장녀 |
자녀 | 장남 - 김의동(金義童) 차남 - 김예동(金禮童) 3남 - 김지동(金智童) 4남 - 김성동(金誠童, 1452 ~ 1495) 5남 - 김이동(金利童) |
[clearfix]
1. 개요
조선 초의 문신. 개국공신 김사형이 그의 증조부이며 단종 복위를 위한 사육신의 정변 계획을 세조에게 고해 바친 것으로 유명하다.2. 생애
1450년(문종 1) 추장 문과로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고 성삼문, 신숙주와 함께 문종의 총애를 받았다. 1455년(세조 1) 성균관사예로 임명되었는데, 이 때 성삼문의 제안으로 단종 복위 거사에 동참하게 되었으나 거사가 실패로 돌아가 목숨을 잃을 것을 우려하여 장인 정창손의 집으로 찾아가 거사를 밀고하였고 결국에는 세조에게 사육신의 계획을 고하게 된다.[2]사육신 사건 이후에는 이런 모습으로 인해 생육신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으나 세조로부터 공로를 인정받아 군기감판사로 임명되었으며, 좌익공신, 상락군, 평안도관찰사, 공조판서, 병조판서, 우참찬,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까지 지냈다. 세조가 승하한 이후에는 한명회, 신숙주와 함께 원상이 되어 어린 예종과 성종을 보좌했으며, 경국대전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후손으로 김자점, 김구가 있다.[3]
[1] 율리우스력 3월 28일[2] 단 정창손은 계유정난에 가담한 인물인 만큼, 이 음모를 고변해야 할 입장이기는 했지만, 자기 사위가 저 혼자 살려고 자기 동료들을 배신했다는 비겁함에 기가 막혀 '이 더러운 놈...'이라고 욕을 퍼부었다. 맹꽁이 서당에서도 사위를 살벌하게 노려보며 "더럽고... 치사한 놈..." 이라고 역겨워 한다.[3] 단 김구는 자신들의 직계 조상인 김자점과 김질을 그다지 달가워하지 않았다. 김구 입장에서는 김질과 김자점 때문에 본인을 포함한 후손들이 오랫동안 비난을 받게 만들었으니 어찌보면 달가워하지 않은 것이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