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4:38:45

남연군

<colbgcolor=#29176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영친왕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

남연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F7C22, #6B8E23 20%, #6B8E23 80%, #5F7C2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 제3대
연령군 낙천군 (은신군) 남연군
- 제4대 제5대 -
흥녕군 완림군 이기용 (이해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목조
익조
도조
환조
초대
태조 고황제
제2대
정종
제3대
태종
제4대
세종
제5대
문종
제7대
세조
제6대
단종
덕종 제8대
예종
제9대
성종
제10대
연산군
제11대
중종
폐세자 이고 제12대
인종
제13대
명종
덕흥대원군
제14대
선조
제15대
광해군
원종 흥안군
폐세자 이지 제16대
인조
제17대
효종
경안군 제18대
현종
복녕군
임창군 제19대
숙종
의원군
밀풍군 제20대
경종
제21대
영조
안흥군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이진익
제22대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이병원
제23대
순조 숙황제
전계대원군 남연군
문조 익황제 제25대
철종 장황제
흥선대원왕
제24대
헌종 성황제
제26대
고종 태황제
제27대
순종 효황제
[범례] 실제 혈통 기준 · 세로선(│): 부자 관계 · 가로선(─): 형제 관계 }}}}}}}}}}}}
계동궁 3대 궁주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장종의 손자
남연군 | 南延君
파일:남연군 이채중 묘소.jpg
남연군묘 전경
출생 1788년 9월 21일[1]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 1836년 5월 4일[2] (향년 47세)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묘소 남연군묘(南延君墓)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채중(采重/寀重) → 구(球)
부모 친부 - 이병원(李秉源)
친모 - 연일 정씨(延日 鄭氏)
양부 - 은신군
양모 - 남양군부인 남양 홍씨(南陽郡夫人 南陽 洪氏)
형제자매 3남 1녀 중 2남
배우자 군부인 여흥 민씨
(郡夫人 驪興 閔氏)
자녀 4남 1녀
종교 유교 (성리학)
신장 약 150cm 전후[3]
치수(稚受)
군호 남연군(南延君)[4]
시호 영희(榮僖) → 충정(忠正)
}}}}}}}}} ||
파일:남연군비.jpg
남연군 신도비
1. 개요2. 생애3. 사후
3.1. 묘소
4. 여담5. 가족 관계

[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의 왕족.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대원군아버지, 고종할아버지이다.

2. 생애

1788년(정조 12년)에 태어났다. 첫 이름은 이채중(李采重).

그는 원래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6대손이라 출생 당시에는 왕족이 아니었다. 그러나 28세였던 1815년(순조 15년)에 정조의 이복 동생이자 연령군의 양손자인 은신군양자로 입적하여 종친이 되었다. 이때 남연군(南延君) 군호를 받고 이름을 구(球)로 고쳤다.

이 양자 입적으로 제법 빵빵한 인맥을 얻었다. 은신군의 부인이자 남연군의 양어머니 남양 홍씨는 조선 후기의 유명한 실학자 홍대용의 5촌 조카이자, 추사 김정희의 양어머니의 자매였다. 즉, 김정희와는 피는 섞이지 않았지만 족보상 이종사촌이 되었다.

인현왕후의 백부 민정중의 후손이 되는 민경혁의 딸과 결혼하여 4남 1녀를 보았다. 장남 흥녕군 이창응과 차남 흥완군 이정응은 젊어서 죽었고 3남과 4남이 조정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3남은 평판은 굉장히 안 좋지만 영의정을 지내는 흥인군 이최응이고 막내 아들은 그 유명한 흥선대원군 이하응. 남연군은 막내 아들의 재능이 남다름을 알아차리고 김정희 문하로 보내서 글과 그림을 배우게 했다고 한다.

본래 남연군은 왕실 직계와 상당히 멀었지만, 사도세자의 친자 은신군양자가 되면서 족보상 직계 왕통에 꽤 가까운 입장이 되었다. 이 덕분에 당시 사람이 귀했던 왕실의 가까운 종친으로 대접받았으며 아들인 이최응, 이하응과 함께 '종친의 모범'으로 인정받은 기록도 있다.

남연군 본인은 살아 있을 때 정치적으로는 그리 큰 두각을 나타냈다거나 주목을 받지는 못한 듯하며, 기록이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그냥 조용하고 무난하게 살다 간 인물로 보인다. 다만 은신군의 양자가 된 뒤에도 자신의 본가 근처에서 생활한 것 및 수원관 재직 시절 제사 제대로 안챙기고 용주사에서 술을 마시거나 고기를 구워 먹기도 했으며, 이조예조의 소속 관원도 아니면서 능참봉의 인사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탄핵당한 적은 있었다.실록 그러나 순조가 직접 망령된 거짓말이라고 지적하며 오히려 탄핵을 한 이이희를 삭탈관직하였다. 따라서 정말로 이런 일이 있었는지는 미지수다.

1828년(순조 28년) 청나라에서 회강을 평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조정에서는 남연군을 정사로 한 진하사(進賀使)를 파견했다. 이런 일에는 원래 정승급 인물을 정사로 보낸다. 이는 남연군이 정승급 얼굴마담의 자격을 갖췄고 조정에서 그만한 대우를 받았다는 뜻이다.

3. 사후

1822년부터 14년간 소갈증과 신장풍을 앓다가 헌종 2년(1836년)에 사망했다. 죽은 후 조정은 남연군을 순조의 묘정에 배향하고 영희(榮僖)라는 시호를 내렸으나, 고종 1년(1864년)에 충정(忠正)으로 고쳤다.

3.1. 묘소

파일:남연군 이채중 묘소.jpg
<colbgcolor=#94153E>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남연군묘
처음에는 경기도 연천군에 묻혔지만 뒷날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의 현 위치로 이장했다. 여기에는 유명한 야사가 있다. 지금의 남연군묘 자리에는 원래 절('가야사'라고 전해진다)이 있었으나, 실력 있는 지관 하나가 이하응에게 천하의 명당 자리라고 그 절을 소개하여 "이 터는 천하의 명당으로 천자 나올 땅(二代天子之地)입니다. 그러나 무덤의 주인은 화를 얻을 것이며 나라 역시 화를 입을 것입니다."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이하응은 "어쨌든 천자가 나올 자리인데 둘이면 어떤가?"라며 지관을 데리고 그 절을 둘러보았고, 가산을 팔아 그 절 주지에게 값을 치르고 절을 철거한 뒤,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현재의 자리로 이장했다고 전한다. [5] 뒷날 고종은 이 덕에 자신이 왕위에 올랐다며 남연군의 묘가 있는 가야산에 보덕사(報德寺)를 세웠다고 한다. 영화 《명당》이 이 야사를 모티브로 해서 만든 영화이다.

그런데 남연군 묘는 손자가 왕위에 오른 후 수난을 겪었다. 바로 오페르트 도굴 사건. 다만 지금 자리에 묘를 쓸 때 도굴에 대비해 튼튼한 석곽을 마련한 덕에 관까지 파헤쳐지지는 않았다. 살아 생전보다는 죽은 후에 그야말로 영욕을 모두 누린 셈이다.

2017년 묘소 및 주변 토지를, 소유권자인 운현궁 사손 이청이 관할 지자체에 기증했다고 한다.

4. 여담

  • 현손이구와 한글 이름은 같으나 한자는 다르다. 남연군과는 달리 이쪽은 李.

5. 가족 관계

  • 친증조부 : 안흥군 이숙(安興君 李埱, 1693 ~ 1768) - 인평대군의 증손, 대궁의 5대 종주
    • 친조부 : 이진익(李鎭翼, 1728 ~ 1796)
      • 생부 : 이병원(李秉源, 1752 ~ 1822)
      • 생모 : 연일 정씨(延日 鄭氏)
        • 형 : 이도중(李䆃重, 1784 ~ 1872)
        • 이복동생 : 이휘중(李彙重, 1803 ~ 1888)
  • 양증조부 :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 ~ 1719)
  • 부인 : 군부인 여흥 민씨(郡夫人 驪興 閔氏, 1784 ~ 1831) - 민정중[7](閔鼎重)의 4대손 민경혁(閔景爀)의 딸
    • 장남 :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 ~ 1828)
    • 차남 :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 ~ 1848)
    • 3남 : 흥인군 이최응(興寅君 李最應, 1815 ~ 1882)
    • 4남 : 흥선대원군 이하응(興宣大院君 李昰應, 1820 ~ 1898)
    • 장녀 : 신억(申檍)에게 출가

[1] 음력 8월 22일.[2] 음력 3월 19일.[3] 아들 흥선대원군의 키가 150cm 손자인 고종의 키가 153cm였는데 아들과 손자의 키하고 키가 유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남연군의 키는 150cm 전후로 추정된다.[4] 군호는 양어머니의 본관 남양(南陽)에서 따왔다. 남양은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이다.[5] 여담으로 이 가야사에 있던 동종은 나중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봉원사에 봉안되었으며 현재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64호에 지정되어있다.[6] 홍대용(洪大容)의 사촌[7] 민유중의 형, 인현왕후의 백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