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9176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 영조 현효대왕 | 도정궁 사손 | ||||||||||||||||||||||||||||||
| | |||||||||||||||||||||||||||||||
진종 소황제 | 장조 의황제 | |||||||||||||||||||||||||||||||
| | | | |||||||||||||||||||||||||||||
정조 선황제 | 은언군 | 은신군 | 은전군 | |||||||||||||||||||||||||||||
| | | | | | |||||||||||||||||||||||||||
순조 숙황제 | 상계군 | 전계대원군 | 남연군 | 풍계군 | 진안군 | |||||||||||||||||||||||||||
| | | | | | | | | | | ||||||||||||||||||||||
문조 익황제 | 철종 장황제 | 익평군 | 회평군 | 영평군 | 흥녕군 | 흥완군 | 흥인군 | 흥선헌의대원왕† | 완평군 | 완성군 | ||||||||||||||||||||||
| | | | | | | | | | | | |||||||||||||||||||||
| | |||||||||||||||||||||||||||||||
헌종 성황제 | 고종 태황제 | 덕안군† | 경은군 | 청안군 | 완림군† | 완순군 | 완영군† | 흥친왕 | 완은군† | 인양군† | 의양군 | 예양정 | 완창군 | |||||||||||||||||||
| | | | |||||||||||||||||||||||||||||
| | | ||||||||||||||||||||||||||||||
완효헌친왕† | 순종 효황제 | 의친왕 | 영친왕 | 풍선군† | 영선군 | 경원군 | ||||||||||||||||||||||||||
| | |||||||||||||||||||||||||||||||
청풍군 | 창산군 | |||||||||||||||||||||||||||||||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남연군 관련 틀 | ||||||||||||||||||||||||||||||||||||||||||||||||||||||||||||||||||||||||||||||||||||||||||||||||||||||||||||||||||||||||||||||||||||||||||||||||||||||||||||||||||||||||||||||||||||||||||||||||||||||||||||||||||||||||||||||||||||||||||||||||||||||||||||||||||||||||||||||||||||||||||||||||||||||||||||||||||||||||||||||||||||||||||||||||||||||||||||||||||||||||||||||||||||||||||||||||||||||||||||||||||||||||||||||||||||||||||||||||||
|
계동궁 3대 궁주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장종의 손자 남연군 | 南延君 | |||
남연군묘 전경 | |||
출생 | 1788년 9월 21일[1] | ||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 |||
사망 | 1836년 5월 4일[2] (향년 47세) | ||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 |||
묘소 | 남연군묘(南延君墓)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휘 | 채중(采重/寀重) → 구(球) | ||
부모 | 친부 - 이병원(李秉源) 친모 - 연일 정씨(延日 鄭氏) | ||
양부 - 은신군 양모 - 남양군부인 남양 홍씨(南陽郡夫人 南陽 洪氏) | |||
형제자매 | 3남 1녀 중 2남 | ||
배우자 | 군부인 여흥 민씨 (郡夫人 驪興 閔氏) | ||
자녀 | 4남 1녀 | ||
종교 | 유교 (성리학) | ||
신장 | 약 150cm 전후[3] | ||
자 | 치수(稚受) | ||
군호 | 남연군(南延君)[4] | ||
시호 | 영희(榮僖) → 충정(忠正) |
남연군 신도비 |
[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의 왕족.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고종의 할아버지이다.2. 생애
1788년(정조 12년)에 태어났다. 첫 이름은 이채중(李采重).그는 원래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6대손이라 출생 당시에는 왕족이 아니었다. 그러나 28세였던 1815년(순조 15년)에 정조의 이복 동생이자 연령군의 양손자인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여 종친이 되었다. 이때 남연군(南延君) 군호를 받고 이름을 구(球)로 고쳤다.
이 양자 입적으로 제법 빵빵한 인맥을 얻었다. 은신군의 부인이자 남연군의 양어머니 남양 홍씨는 조선 후기의 유명한 실학자 홍대용의 5촌 조카이자, 추사 김정희의 양어머니의 자매였다. 즉, 김정희와는 피는 섞이지 않았지만 족보상 이종사촌이 되었다.
인현왕후의 백부 민정중의 후손이 되는 민경혁의 딸과 결혼하여 4남 1녀를 보았다. 장남 흥녕군 이창응과 차남 흥완군 이정응은 젊어서 죽었고 3남과 4남이 조정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3남은 평판은 굉장히 안 좋지만 영의정을 지내는 흥인군 이최응이고 막내 아들은 그 유명한 흥선대원군 이하응. 남연군은 막내 아들의 재능이 남다름을 알아차리고 김정희 문하로 보내서 글과 그림을 배우게 했다고 한다.
본래 남연군은 왕실 직계와 상당히 멀었지만, 사도세자의 친자 은신군의 양자가 되면서 족보상 직계 왕통에 꽤 가까운 입장이 되었다. 이 덕분에 당시 사람이 귀했던 왕실의 가까운 종친으로 대접받았으며 아들인 이최응, 이하응과 함께 '종친의 모범'으로 인정받은 기록도 있다.
남연군 본인은 살아 있을 때 정치적으로는 그리 큰 두각을 나타냈다거나 주목을 받지는 못한 듯하며, 기록이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그냥 조용하고 무난하게 살다 간 인물로 보인다. 다만 은신군의 양자가 된 뒤에도 자신의 본가 근처에서 생활한 것 및 수원관 재직 시절 제사 제대로 안챙기고 용주사에서 술을 마시거나 고기를 구워 먹기도 했으며, 이조나 예조의 소속 관원도 아니면서 능참봉의 인사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탄핵당한 적은 있었다.실록 그러나 순조가 직접 망령된 거짓말이라고 지적하며 오히려 탄핵을 한 이이희를 삭탈관직하였다. 따라서 정말로 이런 일이 있었는지는 미지수다.
1828년(순조 28년) 청나라에서 회강을 평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조정에서는 남연군을 정사로 한 진하사(進賀使)를 파견했다. 이런 일에는 원래 정승급 인물을 정사로 보낸다. 이는 남연군이 정승급 얼굴마담의 자격을 갖췄고 조정에서 그만한 대우를 받았다는 뜻이다.
3. 사후
1822년부터 14년간 소갈증과 신장풍을 앓다가 헌종 2년(1836년)에 사망했다. 죽은 후 조정은 남연군을 순조의 묘정에 배향하고 영희(榮僖)라는 시호를 내렸으나, 고종 1년(1864년)에 충정(忠正)으로 고쳤다.3.1. 묘소
<colbgcolor=#94153E>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남연군묘 |
그런데 남연군 묘는 손자가 왕위에 오른 후 수난을 겪었다. 바로 오페르트 도굴 사건. 다만 지금 자리에 묘를 쓸 때 도굴에 대비해 튼튼한 석곽을 마련한 덕에 관까지 파헤쳐지지는 않았다. 살아 생전보다는 죽은 후에 그야말로 영욕을 모두 누린 셈이다.
2017년 묘소 및 주변 토지를, 소유권자인 운현궁 사손 이청이 관할 지자체에 기증했다고 한다.
4. 여담
5. 가족 관계
- 친증조부 : 안흥군 이숙(安興君 李埱, 1693 ~ 1768) - 인평대군의 증손, 대궁의 5대 종주
- 친조부 : 이진익(李鎭翼, 1728 ~ 1796)
- 생부 : 이병원(李秉源, 1752 ~ 1822)
- 생모 : 연일 정씨(延日 鄭氏)
- 형 : 이도중(李䆃重, 1784 ~ 1872)
- 이복동생 : 이휘중(李彙重, 1803 ~ 1888)
- 양증조부 :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 ~ 1719)